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계급주의 아동문학론의 전개 양상과 의미

        류덕제 한국아동문학학회 201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6

        일제 강점기 아동문학 비평을 통해 계급주의 아동문학 운동과 아동문학론의 전개를 살피고자 했다. 계급주의 문학 일반이 그러한 것처럼 아동문학도 운동으로서의 문학이 갖는 속성을 그대로 드러내 보인다.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주된 발표 매체였던 <별나라>와 <新少年>은 카프(KAPF)의 산하 기관지는 아니지만 기관지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계급주의 아동문학의 방향전환이 당대의 주요한 논점이었는데, 이론적 주장과 실천 결과가 다소 다르다. 계급 운동의 전반과 같이 계급주의 아동문학도 1920년대 후반 방향전환을 단행하였으나 작품적 실천은 1930년대에 들어서야 가시적인 변화가 보인다. 계급문학은 늘 이념적 방향성이 문제가 되는데, 아동문학도 마찬가지였다. 카프(KAPF)의 영향 아래 있었던 계급주의 아동문학은 ‘아지·푸로’, ‘계급의식 주입을 통한 교화’ 등 계급문학 일반과 동일한 목소리를 내고 있었다. 동요·동시 논쟁은 갈래의 형식 논쟁으로 촉발된 것이지만, 속살을 뜯어보면 엄연히 계급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표절 논쟁은 소년문사들의 발표욕과 명예욕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어린 나이에 활자가 주는 마력에 빨려들어 분별없이 발표하는 데서 기인한 것이다. 또 하나는 발표 매체 간의 성격 차이에서 비롯된 계급적 당파성 문제이다. 일제 강점기 아동문학론이 가장 왕성했던 1930년대 초반 비평의 전개 양상은 주로 논쟁 형식을 띠고 있었다. 논쟁은 주장과 반론 그리고 재반론으로 이어지는 고도의 지적 행위이자 수준 높은 글쓰기 행위라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감정 싸움으로 흐르는 경우가 없지 않았지만, 대체로 문단의 건전한 상식을 회복하는 기능과 문학론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아동문학 체계론

        김만석(Kim, Man-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초창기 한반도 프로아동문학과 순수아동문학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해방 초기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조선아동문학과 소련 사회주의 아동문학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창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기부터 중국 좌익의 범위 하에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중국의 계급주의아동문학, 정치아동문학의 영향을 받는다. 문화혁명 이후, 중국아동문학을 뒤따라 상처문학, 반성문학의 성격을 띠게 된다. 1990년대에 이르러 중국조선아동문학은 자기의 자주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아동문학의 장점을 널리 수용하여 자기 민족적인 특징을 살려 가면서 중국이라는 사회, 정치, 환경에 적응하는 독자적인 아동문학체계를 구축한 아동문학이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그 대상을 소년, 아동으로 명확히 밝힌 아동문학이다. 그러면서 아동문학은 성인들이 소년아동을 신심이 건전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쓴 문학임을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아동문학은 아이들 자신의 유치한 문학이 아니라 어른들과 아이들을 위한 고상한 문학인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선진적인 아동문학이론을 수용한 중국아동문학리론체계를 받아들여 아동문학을 유년문학, 동년문학, 소년문학으로 나누고, 이 3단계 문학이 통합된 문학임을 선언한 문학이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동요, 동시, 동화, 우화, 이야기, 수필, 아동소설, 아동희곡. 텔레비영화문학 등으로 그 장르를 나누고 있다.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was affected by both early professional children literature of Korean Peninsula and pur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liberation,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d been created under Joseon childrens literature and socialism through Joseon and the Soviet Union. From the late of 195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 under the leftist had been affected by childrens literature of classism in China and political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literature indicated injury literature, reflection literature following Childrens literature of China. In 199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made a step forward independence.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s reflected the good points and characterized their own ethnicity, so it has become independent childrens literature that has adapted to society, politics, environment in China.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has targeted for boys and children. In addition, adults have written them to bring up children as social members of sound body and mind. Therefore, childrens literature is not puerile but high-toned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theory system of China has accepted the advanced childrens literature theory of japan and it has combined 3 system; youth literature, young age literature, boy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genre of Ethnic Koreans categorizes into nursery song, nursery rhyme, fairy tale, fable, story, essay, childrens novel and television movi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아이들보이』의 아동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권혁준(Kwon, Hyug-ju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2

        1913년 신문관에서 발간한 아동잡지『아이들보이』는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진정한 아동 문학의 출발은 방정환의『어린이』로 보아야 한다 는 견해도 있었으나 필자는『아이들보이』야말로 우리나라 근대 아동문학의 출발을 알리는 잡지라고 생각한다.『아이들보이』를 아동문학의 기점으로 잡아야 하는 이유를 문학 행위의 세 주체 인 독자, 작가, 텍스트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아이들보이』가 명실공히 ‘아이들’을 독서 주체로 상정 하였다는 점은 아동문학 형성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진정 한 근대 아동문학의 시작은 ‘아동의 발견’으로 비롯되기 때문이 다.『아이들보이』는 창간사에서 ‘아이들’을 독서 주체로 상정하였다는 점을 선언하고, 잡지의 내용과 기사의 문체를 보통학교 학령층의 어린이에게 정확히 맞추어 발간하였다. 둘째,『아이들보이』에 게재된 기사는 거의 최남선이 작성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아동문학 형성의 요인 중 하나를 작 가군의 등장이라고 본다면『아이들보이』의 작가군은 매우 불완전한 것이었으나, 이것은 시대적 한계일 수밖에 없었다. 셋째, 아동문학 형성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아동문학 텍스트 의 존재이다.『아이들보이』에는 다양한 서사물이 실려 있어 미래의 작가와 당시의 독자들에게 아동문학의 씨앗을 전해주었으며, 최초의 창작동화를 수록함으로써 명실공히 아동문학 형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아이들보이』에 수록된 옛이야기와 서양 동 화의 번역물은 당시의 아동 독자에게 아동만을 위한 서사 문학 의 효용과 필요성을 환기하여 창작 동화 형성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동화를 창작할 수 있는 씨앗을 전해주었으며, 창작 동화 <센둥이 검둥이>를 수록함으로써 우리나라 아동문학 형성의 요람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아이들보이』에는 초창기의 동요로 볼 수 있는 <소낵이는>이 실려 있다. 이 작 품은 화자를 아이로 설정하여 아이의 생활 감정을 노래한 것으로, 1920년대의 동요와 비교해보아도 그 수준에서 크게 차이가 없다. 『아이들보이』는 우리나라 아동문학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자양분을 공급하여 배태시킨 태반이자, 초창기 아동문학을 성장시킨 요람이었다. The childrens magazine 《Aideulboi》, which Shinmungwan published in 1913,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me researchers insists that the《Eorini》 written by Bang Jeong-hwa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beginning of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I consider the 《Aideulboi》 is the first step of the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reasons why the《Aideulboi》 is the first childrens magazine in terms of three aspects which are reader, writer, and text. First, the fact that《Aideulboi》set children as the main readers is important, because the true beginning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begins with the ‘discovery of children’. At the first issue of《Aideulboi》, they declared that they chose children as the main reader group. Also they published the magazines that positioned its contents and text exactly to elementary school level. Secondly, when we consider the writer as one of the factor that formed the childrens literature, the writer groups of 《Aideulboi》 was incomplete. However, it was the limitation of that period. In this period of Korea, Choi nam-seon and Lee gwang-su was the only writer not only in the childrens literature but also in the adult literary world. Thir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forming children’s literature is the text. Variety of literary works in; 《Aideulboi》 spread the childrens literatures to the children in those times and to the writers of next generation, and one of its works was the first modern children’s story which was th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literature. Also,《Aideulboi》 included work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early children’s song. This song tells about emotion of the real life of children, so it is not inferior to the children’s song in 1920s. For these reasons,《Aideulboi》 had grown to the cradle of early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아동문학 창작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이도환(Lee, Do-Hwan)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5

        본고는 2008년 현재 문예창작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전국의 각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아동문학 관련 교육 내용과 실태를 점검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의 지적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글이다. 문학은 이제까지 시, 서사(소설), 평론이라는 다소 고답적이고 단순했던 개념의 분류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아동문학도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아동문학은 낡은 이론의 틀에서 조금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동문학’은 단순히 ‘어린이들을 위한 읽을거리’로 폄하되어 본격문학에 편입되지 못하고 특수문학이라는 틀에 얽매여 있다. 그러므로 아동문학이 대학에서 본격적인 문학 교육의 과정 중 하나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그 이론적 틀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아동문학에 대한 정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인인 작가가 아동이나 동심을 가진 아동다운 성인에게 읽히기 위해 쓴 모든 저작’이라는 개념부터 수정, 보완되어야 한다. 문학 작품을 만들어낸 작가의 정체성과 그 대상 독자의 구분으로 해당 문학을 정의하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이며, 아동문학의 본질이 아닌 그 기능에 의지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아동문학의 개념을, 아동문학 작품을 만들어내는 작가의 정체나 작품을 읽는 독자의 대상으로 정의하여서는 안 된다. 작품이 지닌 미학적 특징과 형식의 특징으로 구분하여야 한다. 대학에서의 아동문학 창작 교육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아동문학 자체가 인문학의 연구 범위 안에 들어설 수 있도록, 그 이론적 토대를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게 만들어야 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라고 하겠다. This article has researched the reality an the contents related to juvenile literature done in the department literary creation of universities. Also, it has clarified the problems and considered the solution to them. Literature has been getting out of the highbrow and simple classifications including poem, narration(novel) and criticism. From the transition wave, juvenile literature needs to establish a new concept. However, juvenile literature has not taken one step further from the old-fashioned theoretical frame and juvenile literature has been lowered into only stories for children and has not been incorporated into the main literature, but into the special literature.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etical frame is needed for juvenile literature to gain a firmer foothold in universities. First of all, the definition that is widely used requires to revise; all the writings that adult or children writers write to be read by childlike grownups. It is anachronistic to define literature by classifying writers identity and target readers. Also, this definition is based on the function not on the essence. Juvenile literature should not be defined from writers identity or the target readers, but should be based on aesthetic features and forms. The creative education of juvenile literature should be included in humane studies to go into a main orbi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foundation. That is the first task.

      • KCI등재후보

        주요섭 동화에 나타난 아동문학관

        정혜원(Jeong Hye-W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0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8

        주요섭은 지금까지 아동문학가보다는 <사랑 손님과 어머니>란 소설로 더 유명한 소설가이다. 때문에 후대의 아동문학연구자들이 그를 제대로 연구하지도 않았고 아동문학사에서 제외시켜 놓았다. 그는 상해 호강대학에서 교육학을, 미국 스탠포드 대학원에서 교육심리를 전공한 것을 바탕으로 근대 아동문학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작품을 창작하고 이론을 정립하였다. 이 논의에서는 그가 정립한 아동문학이론을 살펴보고 이 이론이 작품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밝히고자 한다. 그는 아동뿐만 아니라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관심을 가졌으며 언론매체에 다양한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 중 잡지『학등』 창간호에「아동문학연구대강」이란 글을 통해서 그가 가졌던 아동문학관을 펼치고 있었다. 이 글은 거의 1세기 전의 글이지만 현대 아동문학이론에 바탕이 되고 있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그 이론이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학의 기능이 교시적(敎示的) 기능과 쾌락적(快樂的) 기능이 있듯이 그가 쓴 글에서도 이 두 가지 기능을 근간으로 한 아동문학을 보여주고 있다. 그가 그 중에서 더 비중을 두는 것은 교시적 기능, 즉 교육성이다. 물론 당대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계몽운동이 활발했던 시기이다. 이런 측면을 감안할 때 그의 주장이 시대와 무관하지 않다고 설명할 수도 있으나 그가 전공한 교육심리학과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 동안 아동문학에서 소외되어 있던 주요섭의 작품 발굴과 그의 이론을 통해 당대의 모습을 볼 수 있어 의미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Ju, Yo-Seop is well known not as a childrens literature writer as a novelist who wrote a novel, A man of a guest house and my mother so far. It has made researches on his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neglect and has made little of him as a childrens literature writer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e majored in Education at a college of Shang-hai, China and Educational Psychology at the Graduate School of Stanford University, US. This fact lets us notice how he was interested in the childrens literature. Actually he wrote many works for Korean children and made various theses on childrens literature. I am trying to make an analysis of his works in the aspect of the whole stream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 interest was on juveniles as well as children and he published various workson the media. Among them we can confirm what his points of view on childrens literature were and specially I am obliged to noticing an article, A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which appeared at the first number of childrens magazine, Hak-Dueng(Crane Light). You may recognize that this article which was written one century ago made bases of modern theories on childrens literature and shows two general functions of childrens literature; instructive and amusing. But he gave much weight in instructive fun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The Enlighten Movement was the inevitable trend in his days but I am sure that his standpoints on childrens literature were possibly from his major, Educational Psychology. As we re-consider and analyze Ju, Yo-Seops works left out of the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for a long time, we can have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features of modernization.

      • KCI등재

        아동문학 장과 책 읽는 여성들 - 1990년대 출판시장·국가정책·독서운동을 바탕으로 -

        강도희(Kang, Dohe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9

        문학사를 다시 쓰는 최근의 여러 시도들은 아동문학사 안에서도 다양한 시기와 주체에 대한 관심을 요청하고 있다. 이 글은 1990년대 아동문학 출판 및 독서 문화를 조망하는 가운데 집단적 정체성으로서 여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한다. 1990년대는 소비자-시민문화의 확장이나 독서교육 시장의 부상과 관련해 아동청소년문학이 질적·양적으로 급등했던 시기이다. 이와 함께 대거 나타난 여성 아동문학 작가들에 대한 주목은 당대에도 있었지만, 여성 출판인이나 학부모 여성의 등장은 문학계 내에서 큰 관심을 받지 않았다. 이들은 대체로 성장기인 6~70년대에 여성잡지나 외국문학을 읽고 80년대에 대학을 다니는 등 고등교육을 받은 세대로, 앞 세대 여성들이 그 독서량에 한계가 있고 자녀를 위한 아동문학 독서에서 주로 출판사나 학교 교사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적극적으로 아동문학의 독자가 된다. 그중 일부는 아동도서 출판계에 종사하는 여성들로 여성편집인클럽 등을 주재하면서 자신들의 전문적인 안목을 형성한다. 80년대 말부터 빠르게 성장한 아동도서 출판시장은 전집 위주에서 단행본 위주로 바뀌며 작품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일러스트레이션 등 관련 분야 역시 체계화된다. 여성들이 아동문학 편집·일러스트레이션·번역에 진입한 데에는 시공간에 크게 얽매이지 않아 가사노동과 병행이 가능했다는 점도 고려되는데, 대개는 영세한 사업장에 종사하거나 프리랜서 노동이 많아 경제 위기의 타격을 쉽게 받았다. 또 이들 ‘커리어 우먼’의 역할은 아동문학 자체나 문화 산업의 발전보다는 엘리트 여성의 개인적인 성공담으로만 말해지기 쉬웠다. 그리하여 가정으로 귀환한 여성들은 아동문학 독서를 비롯한 자녀 교육을 통해 자기 가치를 재증명한다. 제도적으로도 독서 강좌나 이동도서관 등 주부의 독서 환경이 마련되고, 입시에서 논술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책 읽는 엄마’의 역할이 강조된다. 엄마들은 독서 교육을 혼자만의 일, 즉 개별 가정의 사적 영역에 머물지 않고 주부의 정치성을 획득하는 기로로 삼기도 한다. 여성운동의 한 갈래로서 80년대 말 나타난 주부 운동에는 그림책 모임의 사례가 언급된다. 대표적으로 어린이도서연구회의 지역 조직 동화읽는어른 모임은 어도연이 교사 중심에서 학부모 중심으로 이동하는 데에 영향을 끼쳤으며, 회보 『동화읽는어른』을 통해 남성 아동문학가 중심의 아동문학 비평의 장에 여성 학부모로서의 경험과 그에 동반되는 여성주의적 관점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들의 아동문학 읽기는 학부모를 아동문학의 이차 독자로서 한정하지 않고 그들만의 경험과 환경 속에서 얻는 감동과 심미적 쾌락을 새롭게 분석할 여지를 남긴다. Several recent attempts to rewrite the history of literature have required to observe various periods and subjects with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This article looks through the publishing and reading culture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90s and analyzes how women’s identification was formed and deployed there. With expansion of the category of consumer-citizen, children and youth literature showed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velopment in the 1990s, also in the relation of the rise of the reading education market. However, compared to the attention to the growth of female writers, the appearance of female publishers and mothers as a major reader of children’s literatur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within the literary world. While women of previous generations had limitations in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only to rely on publishers or school teachers, these new group of women is the generation who read women’s magazines or foreign literature in the 1960~70s and received higher education in universities of the 1980s. Women in the publishing industry of children’s books formed their professional perspective participating in collective activities such as the meeting of Korean Women Edutior Club. The publishing market, which has grown rapidly since the late 1980s, has changed their central form from a collection to a single children’s book, increasing its attention to the quality of work and systemizing related fields such as illustration. Young women entered easily into the spheres of editing, illustration, and translation which were less bound by time and space, making it possible to run parallel with household labor. They worked frequently in a small business or freelance work, which made them vulnerable to the economic crisis. In addition, the role of these ‘career women’ was rather represented as the personal success stories of elite women not with the discourse of the gener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Thus, women who returned to their homes had to re-prove their value through children’s education, including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emergence of reading education of students, the role of ‘reading mothers’ was emphasized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housewife readers such as mobile libraries and reading educator courses was established. Simultaneously, mothers also used the act of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as a way to acquire the political power of housewives rather than the private realm of individual families, even as a branch of the women’s movement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s local group, Adults Reading Children’s Book led the change of central subject in civic reading organization from school teachers to women parents, and through the journal Adults Reading Children’s Book, they inscribe women’s experience and feminist perspectives in the male-critic centered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criticism. Their work does not limit parents to secondary readers of children’s literature, but leaves room for a new analysis of the emotions and aesthetic pleasures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as an adult.

      • KCI등재

        한국전쟁 전후 아동 잡지에 나타난 아동문학 작가군의 남북 분화 과정 연구

        장정희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ppearing in children’s magazin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in June 1950. First, I researched about children’s magazin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Except for “Children(어린이)” (1948 May-1949.12), many magazines all ended in May-June 1950. North Korea’s “Children’s Literature” was also temporarily suspended during the Korean War and began to be published again in 1954.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I could see that there was an ideology that children’s magazines at this time were pursuing, but they were not exclusive to each other, and practical exchanges were taking place. Next, I tracked the author’s movement in children’s literature magazines in the south and north before the Korean War. First, I took note of “Children’s Country(어린이나라)” The activities of Yoon Bok-jin (Children’s Song), Park Tae-won (Novel, Boys’ Novel), and Park Se-young (Comment)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changes in the work. I also identified several authors who were active in children’s magazin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fore the Korean War but whose activities were not confirmed in North Korea. Typical examples are Jung Ji-yong, Choi Byung-hwa, Jeong Tae-byung, and Hyeon Dong-yeom. This paper was able to meet the sudden transformat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to hostile literature after passing the “Korean W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tage was also settled as a division of disconnection without exchange. We need to discover and illuminate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ho were buried in ideological barriers. In addition, a new research method that can view the division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should be derived. 본고는 1950년 6월에 발발한 한국전쟁 전후 아동 잡지에 나타난 한국 아동문학 작가군의 남북 분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본 연구는 한국전쟁 전후 남북 아동 잡지류의 창간 및 발행 현황을 살폈다. 한국전쟁 발발 전에 이미 종간된 어린이 (1948. 5.~1949. 12.)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동 잡지는 ‘1950년 5월~6월’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일제히 종간을 맞이하였으며, 북한 아동문학 의 경우도 한국전쟁기에는 일시 휴간되었다가 다시 1954년부터 발행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이 시기 남북 아동 잡지는 일부 이념적 선호 경향이 얼마간 있었으나 한국 아동문학 문단이 배타적 입장이 아닌 실질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한국전쟁 전 남북 아동문학 잡지에 나타난 아동문학 작가의 이동 현황을 추적해 보았다. 먼저, 어린이나라 를 주목하여 윤복진(동요)․박태원(소설, 소년소설)․박세영(평론)의 활동 경로를 주요 작품 경향 분석과 더불어 탐색해 보았다. 또 한국전쟁 전 남한에서 발행된 아동 잡지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으나 북한 아동문학 내에서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작가군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정지용, 최병화, 정태병, 현동염을 주목했다. 본고는 ‘6.25전쟁’이라는 민족 동란으로 인해 새로운 아동문학 건설기를 맞이한 한국 아동문학이 적대적 대치의 문학으로 급선회한 모습을 만날 수 있었으며, 아동문학장 역시도 점차 교류가 없는 단절의 분단 과정으로 정착해 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념의 장벽에 가려 묻혀 있던 한국전쟁 전후 한국 아동문학장 내의 아동문학가를 발굴 조명해 나가는 한편, 남북 아동문학장의 분단을 해소하여 통합적 관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남북 학술 교류를 통해 도출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 KCI등재후보

        방정환 아동문학론의 문학 교육적 함의(含意)

        임성규(Lim, Sung-Kyu)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아동문학 연구의 활황과 더불어 이제는 아동문학 교육을 통해 초등학교의 문학 교수-학습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아동문학은 그 자체로 아동을 위한 계몽적 자질을 내함(內含)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아동 교육의 매재(媒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에서 우선적으로 고구(考究)되어야 할 것이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이다. 이론적, 사상적 기저가 없는 교육 이론은 쉽게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을 정초 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셈이다. 그리고 그러한 중심에 한국 아동 문학의 본격적 문을 연 방정환의 아동 교육 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방정환에 대한 아동문학적 접근은 그의 생애나 동화, 동요 등의 지배적 부분에 치중함으로써 방정환이 지향했던 아동 계몽 철학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방정환이 남긴 아동문학론은 방정환이 기획하고 구상했던 아동문학 교육의 설계도란 점에서 현재의 아동문학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내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아동 존중의 정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아동 중심의 문학교육 철학과 단순한 교훈을 넘어 심미적 즐거움을 강조하는 교육 설계론이다. 그러므로 성인과 동등한 인격체로 서의 아동을 재발견해냄으로써 근대적 아동문학의 시원을 마련한 방정환의 아동문학 교육 사상을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초등학교 의 문학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educational thought of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investigating childrens literature essay. He opened full-scale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re-discovery of child and childrens literature. It is narrow perception him to establishing person childrens day. So, study of his childrens education philosophy is basic work for making theoretical bas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Creating childrens story and poetry for children is partial view in the his childrens education. His childrens essay have excellent feature for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is point,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the essenc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at we have to succeed. Specially, it was gushed Korean soil that anxiety national future. Its spirit help to raise childrens existence to clean position. The succession of his children respect philosophy is modern peoples indispensable task that living today. Actually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now germinating. Increased childrens literature discourse after 90s help popular concern in childrens literature. But teaching-learning study discourse of childrens literature text in th classroom be have to reclaimed. In this context, we have to make a raise ideological, philosophical base for the root of childrens literature instruction. And this meaningful point, Bang Jung 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help to new philosophical root formation. Accordingly, more close material inquiry and interpretation work be have to accomplished for basic found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아동문학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영의(Yoo, Yung-eui),장윤호(Jang, Yun-ho)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아동문학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문학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연구동향이 어떠한지 파악하기 위해 파이썬을 활용한 웹크롤링을 통해‘아동문학’을 주제어로 2020년 5월 11일부터 2020년 5월 15일까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2000년 이후 자료 5,490건을 데이터 클리닝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 방법으로는 넷마이너(NetMiner)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시각화 하기 위해 워드클라우드와 관계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학위논문에서 사용된 키워드 빈도는 문학, 아동, 동화, 교육, 초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학술지는 문학, 아동, 동화, 교육, 동시의 순서로 나타났다. 키워드 중심성 분석에서는 학위논문의 경우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에서 문학, 동화, 교육, 아동, 영어의 순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고유벡터중심성은 문학, 아동, 교육, 치료, 영어 순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학술지의 키워드 중심성을 파악한 결과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은 문학, 아동, 동화, 교육, 어린이 순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고유벡터중심성은 문학, 아동, 교육, 청소년, 한국의 순서, 매개중심성은 문학, 아동, 동화, 교육, 문화의 순서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문학관련 연구동향은 빈도수가 높은 문학, 아동, 동화, 교육이라는 주제어와 함께 치료, 영어, 청소년, 문화 등 중심성 높은 주제어들이 다양한 조합을 이루어 연구되어 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s literature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data was collected from 5,490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related to children s literature from May 11, 2020 to May 15, 2020 through web crawling using Python. For data analysis, NetMiner4 was used to analyze the word frequency. Word-cloud and relational network were performed to visualize the data.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keywords in the thesis papers were found to be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education, and elementary in a descending frequency order. For academic journals, the keywords were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education, and children’s poem in a descending frequency order. Keyword central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sis papers showed high connection-, proximity-, and mediation-centrality around the keywords of literature, fairy tales, education, children, and English, while showing high eigenvector-centrality around the words of literature, children, education, treatment, and English. Academic journals revealed high connection and proximity-centrality around the keywords of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education, and children, showing high eigenvector centrality around the words of literature, children, education, adolecentes, and Korea, and presenting high mediation-centrality around the words of literature, children, education, and culture.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s literature research trends generally have a focus on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and education; additional focus is given to other centralized keywords such as treatment, English, and culture.

      • KCI등재

        (연구논문)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아동문학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동시를 중심으로-

        박경수 ( Kyung Su Park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2 항도부산 Vol.28 No.-

        이 글은 그 동안 ``공백기``로 놓여 있었던 부산지역 아동문학을 실상대로 가능한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간지 매체인 신문들과 아동잡지들, 그리고 아동문학 작품들이 게재된 여러 문학잡지들에서 부산지역과 연고를 가진 이들의 아동문학 작품들을 찾는 문헌실증적인 작업을 했다. 이들 작업을 거쳐 파악된 부산지역 아동문학 작품들은 아동문학의 전체적 전개과정을 고려하여 시기별로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피되, 아동문학 갈래 중 동시(동요 포함)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그리고 시기별 주요 아동문학 작품들을 글쓴이 별로 모아서 그들의 작품세계의 특징을 밝히려 했다. 지금까지 논의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아동문학은 1923년 이후부터 서서히 모습이 드러났다. 『금성』지에 발표된 손진태의 동시 6편이 가장 앞자리에 놓였다. 그의 동시는 기존의 계몽적인 동시 작품들과 달리 이야기를 담은 동시의 길을 새롭게 개척했다. 둘째, 영화인으로 잘 알려진 이경손이 부산시절 상당한 동시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들은 소박한 동심을 바탕으로 인상적 장면과 상황을 잘 묘사하고 있었다. 셋째, 김소운이 1920년대 중반 문학청년 시절 시를 발표하는 가운데 몇 편의 동시를 남겼다. 그러나 그의 동시는 분명한 갈래 인식을 보여주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넷째, 부산지역의 여러 문학아동들이 『신소년』을 비롯하여 여러 일간지 매체들을 통해 동시 작품들을 투고했다. 이중에 황문경의 동시 <겨울 아침>은 1924년 『매일신보』 현상공모에서 1등 당선된 작품이었다. 그리고 일부 아동의 작품에서 어린이가 처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담아내고 있었다. 다섯째, 1927년 이후부터 동래고보생과 부산 제2상의 문학청년들이 시, 시조 등을 발표하는 가운데 동시 작품들을 다수 발표했다. 동래고보 출신으로 강중규, 김대봉, 김정한, 조순규, 지한웅 등이 동시 작품들을 발표했다. 특히 김대봉과 김정한의 동시가 다른 이들보다 많으면서 일부 사회의식을 담아내는 작품들도 있어서 주목되었다. 부산제2상 학생이었던 김규직이 소년문예운동에 앞장을 섰고, 유재성이 현실모순과 불합리한 조건을 문제 삼고 있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여섯째, 1920년대 후반기에도 유진흥, 양섭, 파리계애거 등을 비롯한 부산지역 문학아동과 문학청년들이 틈틈이 작품을 투고하여 발표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들 중 아동문학을 계속 하는 이들이 없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일곱째, 1931년 이후 황대생은 『신소년』을 통해 얼굴을 새로 내밀면서 사회비판의식을 담은 동시 작품들을 발표했고, 고니류는 『매일신보』에 25편의 동시를 발표하면서 의성어와 의태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This study aims at restoring the juvenile literature in Busan area, which has been ``a blank``, to the state as it was. Emperical research on the juvenile literary works by the writers based in Busan area was done, especially on the works in the daily media including newspapers, children`s magazines and other literary magazines with children`s work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in Busan area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with respect to the general development in juvenile literature. The works focused on the children`s poems including children`s songs in each period were studied.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classifying the works of each period according to the writers. The main issues addressed so far are as follows: First, the juvenile literary works of Busan area appeared gradually after 1923. The first works appeared in Gumsung, which were children`s poems by Jintae Son. His works were a frontier containing a story different from other enlightening contemporary works. Second, quite a lot of children`s poems by Kyungson Lee, a well-known director, screen-writer, and critic, were published while he was in Busan. HIs poems portrayed impressive scenes and situations well enough through the innocence of childhood. Third, Soun Kim left some children`s poems in 1920s. However, it seemed that they failed to fit in any specific categories. Fourth, the children`s literary works by the writers of Busan area were run in several daily media such as Shinsonyun. Among them, Winter Morning by Munkyung Hwang won the first place in the contest by Maeil Shinbo. Some works by children critically portrayed the harsh conditions they were facing. Fifth, after 1927 some children`s poems along with other poems and sijos were published, which were by young literary aspirants from Dongnae High School and Busan Second Commercial School. Junggyu Kang, Daebong Kim, Jeonghan Kim, Sungyu Cho, Hanung Ji were from Dongnae Secondary School. Especially the works by Daebong Kim and Jeonghan Kim were a lot more than those of others and some of their works showed some social consciousness. Gyujik Kim led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and Jaeseong Yu published some works reflecting the real contradiction and irrational conditions. Both of them were from Busan Second Commercial School, Sixth, in late 1920s, the young literary aspirants such as Jinhung Yu, Seop Yang, Parigyeager submitted and published their works. However, none of them continued juvenile literature. Seventh, after his debut in Shinsonyun, 1931 Daesaeng Hwang published children`s poems with social criticism. Goniryu published 25 children`s poems in Maeil Shinbo making efficient use of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The juvenile literature in Busan area during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dated back to Jintae Son and there were children`s poems in its center. Nevertheless, there were none that left their traces behind as a writer of juvenile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Jintae Son, Gyungson Lee, Junggyu Kang, Daebong Kim, Goniryu published significant works, though, all of them worked 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is the limit of the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rea during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Yet, with the migration of Juhong Lee into Busan came a turning point in the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rea and it developed a new ph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