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자녀 애착의 조절효과

        강도희 ( Kang Do Hee ),장경은 ( Jahng Kyung 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유아의 불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애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6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80부를 대상으로 SPSS 25.0 통계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5의 Model 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자녀 애착은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유아의 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를 통해 조절효과의 구체적인 방향과 강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낮을 때에는 어머니-자녀 애착을 통해 유아의 불안이 더 낮아지지만,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 경우 어머니-자녀 애착을 통해 유아의 불안을 낮추는 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 관련한 상담 및 자녀와의 애착 관계 형성을 위한 양육 코칭, 유아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놀이치료 등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on child anxiety and determine whether mother-child attach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others of children aged 5 to 6. The data from a final sample of 280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software and Model 1 from PROCESS Macro 3.5.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mother-child attachment partial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Examining the specific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moderation effect through graphs, it was found that wh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was low, mother-child attachment led to lower child anxiety. However, wh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 mother-child attachmen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child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s related to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parenting coaching for building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play therapy to alleviate child anxiety.

      • KCI등재

        아동문학 장과 책 읽는 여성들 - 1990년대 출판시장·국가정책·독서운동을 바탕으로 -

        강도희(Kang, Dohe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9

        문학사를 다시 쓰는 최근의 여러 시도들은 아동문학사 안에서도 다양한 시기와 주체에 대한 관심을 요청하고 있다. 이 글은 1990년대 아동문학 출판 및 독서 문화를 조망하는 가운데 집단적 정체성으로서 여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한다. 1990년대는 소비자-시민문화의 확장이나 독서교육 시장의 부상과 관련해 아동청소년문학이 질적·양적으로 급등했던 시기이다. 이와 함께 대거 나타난 여성 아동문학 작가들에 대한 주목은 당대에도 있었지만, 여성 출판인이나 학부모 여성의 등장은 문학계 내에서 큰 관심을 받지 않았다. 이들은 대체로 성장기인 6~70년대에 여성잡지나 외국문학을 읽고 80년대에 대학을 다니는 등 고등교육을 받은 세대로, 앞 세대 여성들이 그 독서량에 한계가 있고 자녀를 위한 아동문학 독서에서 주로 출판사나 학교 교사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적극적으로 아동문학의 독자가 된다. 그중 일부는 아동도서 출판계에 종사하는 여성들로 여성편집인클럽 등을 주재하면서 자신들의 전문적인 안목을 형성한다. 80년대 말부터 빠르게 성장한 아동도서 출판시장은 전집 위주에서 단행본 위주로 바뀌며 작품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일러스트레이션 등 관련 분야 역시 체계화된다. 여성들이 아동문학 편집·일러스트레이션·번역에 진입한 데에는 시공간에 크게 얽매이지 않아 가사노동과 병행이 가능했다는 점도 고려되는데, 대개는 영세한 사업장에 종사하거나 프리랜서 노동이 많아 경제 위기의 타격을 쉽게 받았다. 또 이들 ‘커리어 우먼’의 역할은 아동문학 자체나 문화 산업의 발전보다는 엘리트 여성의 개인적인 성공담으로만 말해지기 쉬웠다. 그리하여 가정으로 귀환한 여성들은 아동문학 독서를 비롯한 자녀 교육을 통해 자기 가치를 재증명한다. 제도적으로도 독서 강좌나 이동도서관 등 주부의 독서 환경이 마련되고, 입시에서 논술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책 읽는 엄마’의 역할이 강조된다. 엄마들은 독서 교육을 혼자만의 일, 즉 개별 가정의 사적 영역에 머물지 않고 주부의 정치성을 획득하는 기로로 삼기도 한다. 여성운동의 한 갈래로서 80년대 말 나타난 주부 운동에는 그림책 모임의 사례가 언급된다. 대표적으로 어린이도서연구회의 지역 조직 동화읽는어른 모임은 어도연이 교사 중심에서 학부모 중심으로 이동하는 데에 영향을 끼쳤으며, 회보 『동화읽는어른』을 통해 남성 아동문학가 중심의 아동문학 비평의 장에 여성 학부모로서의 경험과 그에 동반되는 여성주의적 관점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들의 아동문학 읽기는 학부모를 아동문학의 이차 독자로서 한정하지 않고 그들만의 경험과 환경 속에서 얻는 감동과 심미적 쾌락을 새롭게 분석할 여지를 남긴다. Several recent attempts to rewrite the history of literature have required to observe various periods and subjects with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This article looks through the publishing and reading culture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90s and analyzes how women’s identification was formed and deployed there. With expansion of the category of consumer-citizen, children and youth literature showed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velopment in the 1990s, also in the relation of the rise of the reading education market. However, compared to the attention to the growth of female writers, the appearance of female publishers and mothers as a major reader of children’s literatur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within the literary world. While women of previous generations had limitations in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only to rely on publishers or school teachers, these new group of women is the generation who read women’s magazines or foreign literature in the 1960~70s and received higher education in universities of the 1980s. Women in the publishing industry of children’s books formed their professional perspective participating in collective activities such as the meeting of Korean Women Edutior Club. The publishing market, which has grown rapidly since the late 1980s, has changed their central form from a collection to a single children’s book, increasing its attention to the quality of work and systemizing related fields such as illustration. Young women entered easily into the spheres of editing, illustration, and translation which were less bound by time and space, making it possible to run parallel with household labor. They worked frequently in a small business or freelance work, which made them vulnerable to the economic crisis. In addition, the role of these ‘career women’ was rather represented as the personal success stories of elite women not with the discourse of the gener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Thus, women who returned to their homes had to re-prove their value through children’s education, including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emergence of reading education of students, the role of ‘reading mothers’ was emphasized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housewife readers such as mobile libraries and reading educator courses was established. Simultaneously, mothers also used the act of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as a way to acquire the political power of housewives rather than the private realm of individual families, even as a branch of the women’s movement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s local group, Adults Reading Children’s Book led the change of central subject in civic reading organization from school teachers to women parents, and through the journal Adults Reading Children’s Book, they inscribe women’s experience and feminist perspectives in the male-critic centered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criticism. Their work does not limit parents to secondary readers of children’s literature, but leaves room for a new analysis of the emotions and aesthetic pleasures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as an adult.

      • KCI등재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강도희(Kang, Do Hee),장경은(Jahng, Kyung Eu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 5세에서 만 6세 사이의 학령 전기에 해당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어머니-자녀 애착에 관련된 배경 변인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자녀 애착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높은 수준의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어머니-자녀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더라도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성격적 특성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적응적 기여를 동시에 고려하여 어머니-자녀 애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면담을 통한 개입방법을 설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To this end, in this study, 279 mothers with children aged from 5 to 6 yea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child attach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higher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resulted in a lower level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High level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child attachmen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That is, even if the level of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 it was found that a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tendency resulted in a lower negative effect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mother-child attac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to improve the mother-child attachment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mothers’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daptive contribution of their self-oriented perfectionism.

      • KCI등재후보

        식민지 미디어와 ‘의심하며 읽기’ -방정환의 잡지 활동을 중심으로-

        강도희 ( Kang Dohee )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본고는 경찰로 대표되는 식민지기 일본의 출판 탄압이 방정환의 글쓰기에 끼친 영향을 ‘의심’과 ‘위장’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살펴본다. 그의 글쓰기는 언제나 전략적일 수밖에 없었는데, 그의 독자 및 청중은 숨겨진 진의를 능숙하게 파악하는 숙련된 지식인이 아닌, 아동, 여성, 농민 등 막 언어를 깨우치는 이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은폐되어 있는 권력의 모순을 알기에 이들은 ‘아직’ 직관적이고 평면적인 독자였다. 직설적 발화가 어려웠던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상황에서 근대적 글쓰기는 태생부터 징후적 독해를 요구했고 이러한 징후의 생산에는 세 주체, 즉 작가, 검열을 행하는 식민권력, 조선인 독자가 개입했다. 이중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은 단연 작가로, 권력의 눈을 피해 의미를 전달하는 식민지 작가들의 수사적 기법이나 알레고리 분석이 오랜 기간 축적돼왔다. 그러한 글쓰기를 만드는 일차적 조건으로서 검열권력 역시 2000년대 이후 제도나 매체 연구를 통해 상당 부분 분석되었다. 한편 징후적 독해를 수행했던 당대 독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이는 자료의 부족 등 수용 연구가 갖는 어려움에서도 기인할 것이다. 본고는 1920년대 조선에서 누구보다 많은 독자와 활발히 교류했던 잡지 편집자 방정환을 통해 권력과 피식민 작가가 함께 구축한 불투명성의 문학장에서 독자에게 어떤 역할이 요구됐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repression of publication in Japan, a colonial period represented by the police, on Bang Jung-hwan’s writing through keywords “suspicious” and “disguise”. His writing always had to be strategic, as his readers and audiences were not skilled intellectuals who could grasp the hidden truth, but most of them were enlightened by the language of children, women, and farmers. Knowing the contradiction of hidden power, they were ‘still’ intuitive and flat readers. In the special situation of colonial Joseon, which was difficult to speak directly, modern writing demanded a sign reading from birth, and three subjects, namely writers, colonial powers, and Joseon readers, intervened in the production of these signs. Among them, the most studied are definitely writers, and the rhetorical techniques and allegiances of colonial writers who convey meaning to avoid the eyes of power have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s the primary condition for creating such writing, the power to censor has also been largely analyzed through institutional or media research since the 2000s.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on readers of the time who performed symptomatic reading, which may be due to difficulties in acceptance studies such as lack of data. This paper will examine what role readers were required in the literary field of opacity built by power and colonial writers through magazine editor Bang Jung-hwan, who actively interacted with more readers than anyone else in Joseon in the 1920s.

      • KCI우수등재

        홈 트레이닝을 위한 관절 핵심점 검출 및 자세 유사도 측정

        강도희(Do-hee Kang),이준민(Jun-min Lee),송병철(Byung Cheol Song) 대한전자공학회 2021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8 No.8

        최근 개인 건강에 관한 관심과 더불어 홈 트레이닝이 언택트 문화의 발전 아래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홈 트레이닝 애플리케이션들이 신체 핵심점 검출을 기반으로 한 자세 유사도 측정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자체 콘텐츠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한 목표 영상에 대해 실시간 자세 유사도를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제안 애플리케이션은 딥러닝 기반의 신체 핵심점 검출기인 AlphaPose와 학습된 오토인코더를 결합하여 자세에 대한 특징을 담은 잠재 벡터를 추출한다. 그 다음, RBF(radial basis function)를 통해 두 자세의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된 자세 유사도 측정 방법은 기존에 Action Recognition task 혹은 Anticipation task에서 자주 사용되는 메트릭인 AP(average precision)와 cosine similarity를 통해 가장 적절한 유사도 비교 메트릭을 선정했다. 제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홈 트레이닝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Home training is drawing attention under the development of a ‘Untact Culture’ along with an interest in personal health. As a result, many home training applications provide posture similarity measurement based on body core point detection.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that its own contents are available. To compensate for this poi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lication to measure real-time pose similarity on target images freely set by the user. The proposed application combines AlphaPose, a deep learning-based body-core point detector, and learned autoencoders to extract latent vectors featuring postural features. T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postures is scored through a radial basis function(RBF) and provided to the user. The method of pose similarity measurement used in this application selected the most appropriate similarity comparison metric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mmonly used metrics in existing Action Recognition tasks or Anticipation tasks, such as AP(average precision), cosine similarity. The proposed application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home training and increases usability.

      • KCI등재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

        정미선(Jeong, mi seon),강도희(kang, do hee),채영란(Chae, young r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까지 10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181편) 석ㆍ박사학위논문(242편) 총 423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2010년 20편의 논문을 시작으로 2013년에는 31편, 2020년에는 45편의 연구가 게재되어 점차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중 직무스트레스가 제일 높았고 대인관계, 실습, 진로, 테크노, 안전사고, 취업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관련 대상으로는 보육교사(영아교사, 유아교사)가 높았고 유치원교사, 예비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제일 많이 이루어졌고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에서 나타난 특징에 근거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보육․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관련 연구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교사가 스트레스를 적게 느낄 수 있는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esent the tasks and directions for the stress researc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23 articles for registration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81 article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242 articles) for 10 years from 2010 to 2020 were analyzed by research period,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etc. As a result, first, starting with 20 papers in 2010, 31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3, and 45 studies were published in 2020, indicating that there is a gradual increase. Second, job stress was the highest among teachers’ stress,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actice, career, techno, safety accidents, and employment stress. Third, childcare teachers (infant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high in the subject of stres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follow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urth, as a method of studying the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ntitative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conducte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wa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discover the meaning of stress-related stud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to find ways for teachers to feel less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