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들의 운동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의 관련성

        양재근 ( Jae Keun Yang ),이종훈 ( Jong Hun Lee ),김영호 ( Young Ho Kim ),현승권 ( Seung Kwon H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개인의 운동행동은 일련의 단계에 따라 변화한다는 전제하에 각 운동단계별로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 변인들의 영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운동행동의 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사회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들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N구와 J구에 거주하는 성인 총 439명(남자성인: 310명, 여자성인: 129명, 평균연령: 35.9세)의 자료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성인들의 운동행동 단계와 이와 관련된 사회적, 심리적 변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운동행동단계 질문지, 자기효능감 질문지, 의사결정 질문지, 변화의 과정 질문지, 사회적 지지 질문지, 물리적 환경 질문지 등이 사용되었다. 운동행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된 각각의 심리적, 사회적 변인들은 각 운동단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변인들 중, 행동적 과정, 자기효능감, 인지적 과정, 운동이득 등이 각 운동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적 변인의 경우에는 친구의 지지, 가족의 지지, 정책적 환경, 그리고 물리적 환경 등 모든 변인들이 운동행동의 단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변인들이 운동행동의 변화단계와 사회적 변인간의 관련성을 중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2개의 사회적 변인 (친구의 지지, 물리적 환경)과 단계적변화모형의 3개의 심리적 하위변인(행동적 과정,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이 변화의 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운동행동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데 있어 사회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social variables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to better predicting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A total 439 adults (males: 310, females: 129, average age: 35.9 years)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 questionnaires were applied for evaluating individuals` soci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relating to exercise behavior. Results indicated that most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tructs, except for exercise barrier differentiated across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Furthermore, the sub-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well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variables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In particular, 3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behavioral processes,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 and 2 individual social variables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physical environment) showed 54% of the variance to explaining exercise behavior.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integration of the sub psychological construct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with social variables to predicting the transition of exercise behavior.

      • KCI등재후보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변인 연구

        김민경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and the differences of influencing factors of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the 284 of single mother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F-test,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ores of single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showed higher than median, family variables were lower than median, and instrumental support showed higher than emotional support.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bout median. 2.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ducation, health, self-respect,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monthly income,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3.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health, self-respect, problem-solving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instrument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Depress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self-respect, emotional coping,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conclusion, to develop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mothers must be used individual, family,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nd implications for alternatives to support single mothers from this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18세미만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의 정도와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살펴보고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한부모가족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이혼한 여성가장으로서 284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개인적 변인 중 건강,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등은 1점에서 5점범위 내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적 변인은 전반적으로 모두 3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변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보다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3.01, 우울은 평균 3.06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홀로된 원인, 건강수준,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으로는 도구적 지지,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에는 개인적 변인 중 교육수준, 건강수준, 자존감, 정서적 대처가,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사회적 변인 중 정서적 지지, 교육프로그램참여, 제도적 지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도구적 지지,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정서적 지지, 제도적 지원, 건강수준, 홀로된 원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는 가족스트레스, 모자녀갈등관계, 가족자원, 정서적 대처, 교육프로그램참여, 자존감과 제도적 지원, 정서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어야 하겠으며 나아가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제도적 지원에서도 적용할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최항준(Choi, Hang-J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3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현상을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영아의 기질변인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어머니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 변인, 영아기질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종속변인으로 선택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으로 이미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있는 취업모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PSKC) 2차년도(2009)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총 1,904가구 중 후속출산을 계획하고 있는 취업모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의미한 변인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양육스트레스였다. 매개변인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된 주요한 변인들의 경로 중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였다.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변인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경제활동변인과 자녀양육, 가족 및 친족 범위의 사회적 지원, 부부간의 가사 및 육아의 역할분담 경향,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이었다. 특히 경제변인은 후속출산계획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w birth rate of working mothers with psycho-social factors within the family.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infant temperament variables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ing mothers’ subsequent birth plan w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study were mothers who were working and raising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variables which were related to the subsequent birth plan of working mothers. If the causes for the low birth rate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effective policy making.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etho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latent variables, which were abstract concepts rais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t was expected to build up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In this study, the data were from the second-year study of the Panel of South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by the Child 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PSKC study included 2,078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born at medical institutions (It is not clear whether you mean the children or the mothers were born at these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except Jeju. 226 households dropped out from the first-year study and 52 households were added newly to the second-year study, so 1,904 households ended up participating in the study. SPSS 12.0 was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MOS 7.0 was used to fi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paths of variables on the mother"s subsequent birth plan.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models were analyzed step-by-step from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final model. The hypothetical model was used to presum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lat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theories, and the final model was used to choose the rational selection model that was most appropriate for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모자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김오남 한국인간발달학회 2004 人間發達硏究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모자가족 청소년자녀를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의 정도와 개인적, 가족적, 학교사회적 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살펴보고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모자가족 청소년자녀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이혼한 모자가족 청소년자녀로서 284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가족 청소년자녀의 개인적 변인 중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등은 1점에서 5점 범위 내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적 변인은 전반적으로 모두 3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학교사회적 변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보다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 중 생활만족도는 평균 3.18, 우울은 평균 3.01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개인적 변인 중 자존감, 문제해결적 대처,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 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학교사회적 변인으로는 도구적 지지, 정서적 지지, 학교성적, 친구관계만족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에는 개인적 변인 중 부부재 기간, 자존감, 정서적 대처가, 가족적 변인 중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모자녀 갈등관계, 가정 월평균소득, 학교사회적 변인 중 정서적 지지, 학교성적, 친구관계만족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모자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 결과 생활만족도에 도구적 지지, 가족스트레스, 가족자원, 친구관계만족도, 자존감, 학교성적, 문제해결적 대처, 정서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는 가족스트레스, 모자녀 갈등관계, 가족자원, 정서적 대처, 학교성적, 친구관계만족도, 자존감, 정서적 지지, 부부재 기간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성종호,이영식,이길홍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시험 불안의 인지적, 감정적 두 요소와 상호 관련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수험생들의 개인적 변인과 수험생들을 둘러싼 환경적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인적 변인으로는 성별, 나이, 학업 성적, 지능(I.Q), 심리 상태(자존심, 강박 성향, 일반적 불안 성향, 사회적 인정 욕구)이며, 환경적 변인으로는 수험생의 거주 지역, 학교 특성(인문계/실업계), 부모의 학력, 직업, 경제 상태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시험 불안의 인지적, 감정적 두 요소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시험 불안이란 시험에 국한된 특수 불안인지 아니면 일반적 불안의 한 단면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 시내의 강남과 강북에 소재한 남·녀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Spielberger의 시험 불안 목록(Test Anxiety Inventory), 심리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Rosenberg의 자존심 척도(Self-Esteem Scale), Hodgson과 Rachman의 Maudsley Obessive-Compulsive Inventory, 이영식과 이철원의 한국형 소아 공포-불안 주제 목록, Ellis의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중 사회적 인정 욕구(Demand for Approval)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 1) 시험불안의 감정적 요소, 인지적 요소, 총점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2) 시험불안은 인문계와 실업계간, 강남과 강북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시험불안은 중학교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고교 1학년과 2학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시험불안은 자존심 척도, 지능지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강박 장애 척도, 사회적 인정 욕구 척도, 소아불안 척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소아 불안 척도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보였다. 5)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 총점 모두는 어머니의 학력과는 의미 있는 관계를 보였고, 경계 상태와는 시험 불안의 감정적 요소가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다. 6)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와 학업 성적 사이에는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다. 결 론: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다면, 첫째,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가 청소년의 심리적 요소, 환경적 요소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지만, 학업 성취 면에서는 인지적 요소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시험 불안은 시험이라는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한다고 하지만 개인의 전반적인 심리적 상황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특성 불안의 요소를 가자고 있으며, 소아, 청소년에서 나타나는 불안 장애의 일종이라고 정의 내릴 수가 있다. 셋째,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만이 청소년의 학업 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 모두는 심리적 요인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넷째,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중 어머니의 학력이 시험 불안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것은 어머니가 자녀를 통해 보상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녀의 심리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의 환경적 변인은 큰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individual, socioenvironmental factors in adolescents. Also, this study assessed whether two components,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distinctly distinguished or not, and whether test anxiety was specific state anxiety limited to test situation or a part of general trait anxie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 evaluate test anxiety level, we used Spielberg's Test Anxiety Inventory. For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Rosenberg's self-esteem scale, Maudsley's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 Lee's the Korean version of Fear-Anxiety Survey Schedule for Children, and Ellis' Demand for Approval scale were applied.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st anxiety level was higher in girls,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ffspring's of high school graduate mother, and high economic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graduate mother, and high economic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characteristics and residence location. 2) Test anxiety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self-esteem, I.Q. and correlated positively with obsessive-compulsiveness, demand for approveness, especially general fear-anxiety(r=0.47). So although test anxiety occurs in test situation, test anxiety is a part of general trait anxiety affected by individual psychologic factors. 3) The better school achievement subjects showed the lower worry component of test anxiety. 4) Two components,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not distinctly distinguished in this study. Conclusion : In summary, first,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not markedly different from accord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factor, sociodemographic factor but performance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correlated with Worry of test anxiety. Second, although test anxiety was occurred in specific situations as test, test anxiety was affecte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so defined by a series of anxiety disorder. Third, only Worry of test anxiety was correlated with performance achievement and Worry and Emotionality wer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factor. Forth, mother's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this means that mother has the wish to compensate the her inferiority through her offspring and mother strongly affect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te.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LPA)를 통한 성인 외상 경험자의 PTSD 증상의 유형과 특성 분석

        김예원,이덕희,정하영,이동훈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1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subclasses that differed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 severit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gender,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religion), psycho-social (prior experience of counseling, prior psychiatric treatment, recent suicidal ide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variables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for classification among latent class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osttraumatic growth (PTG) level among classes.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three-step estimation approach to identify the PTSD symptom severity, on a nationwide sample of trauma exposed South Korean adults (n = 642).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Normal, Partial PTSD, and Complete PTSD. Korean adults’ recent experience of suicide ideation and anxiety were found to be useful in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and PTSD Risk classes, while gender, age, counseling experience, recent suicidal ideation, anxiety and somatization were useful in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and Complete PTSD. Counseling experience was shown to be useful in distinguishing Partial and Complete PTSD. The mean levels of PTG and its sub-factors were varied among cla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 성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수준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월 평균 소득, 종교유무), 심리사회적 특성 변인(심리상담 경험, 정신과 약물치료 경험, 최근 자살 사고 경험), 심리적 디스트레스 변인(우울, 불안, 신체화)을 탐색하며, 각 집단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64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3단계 추정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3개의 잠재집단이 추출되었으며, 집단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정상집단, 부분 PTSD 집단, 완전 PTSD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국내 성인의 최근 자살 사고 경험과 불안은 정상집단과 PTSD 위험 집단을 구분하는데 각기 유용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심리상담 경험, 최근 자살사고 경험, 불안, 신체화는 정상집단과 완전 PTSD 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상담 경험이 부분 PTSD 집단과 완전 PTSD 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성장의 평균과 하위변인이 각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과 사회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

        김희영(Kim, Heuiyung),정봉교(Chung, Bongkyo)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농촌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316명의 농촌 지역 거주 노인들이 연구보조원의 도움을 받으면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생활습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성공적 노화에 관한 설문에 응답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AMO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남성에서는 연령, 음주 및 사회모임 그리고 여성에서는 일과 운동이 성공적 노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높은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를 나타내었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 및 성공적 노화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사회적 지지는 성공적 노화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졌다. 사회적 지지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매개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가 갖는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parameters, life style and successful aging an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opyschological stress on successful aging in elderly people. 316 elderly people were sampled in rural area. With the aid of survey assistants, participants complete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PWI-SF), Medical Outcome Study-Social Support survey(MOS-SSS) and Successful aging scale. Demographic , life style data were also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AMOS statistical procedures. Age, drinking and social group predicted successful ageing significantly in elderly man, but work and exercise predicted successful ageing significantly in elderly women. Elderly m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sociopsychological stress, higher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than elderly women. Sociopsychological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but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Social support had the partial mediation role between sociopsychological stress and successful aging.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Ⅰ) : 1994학년도 조선대학교 신입생 일부를 대상으로 1994 Chosun University Entrants

        박상학,조용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2

        본 연구는 본교 신입생들의 정신건강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대학생의 정신병리에 대해 어떤 인구학적 및 심리사회적 변인들이 관련이 있는 지를 탐색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1994년도 조선대학교 신입생 865명을 대상으로, SCL-90-R 및 저자들을 포함해서 김학렬 등이 개발한 1994학년도 조선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심리적 부적응자로 잠정 분류될 수 있는 학생의 비율이 조사 대상자 전체의 5.5%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았다. 2) 심리적 부적응 비율은 단과 대학, 재수 여부 및 부모생존(결손가정) 여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학생들의 정신병리와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관계에서는 자기지각변인이 정신병리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큰 예언변인이었으며, 부모와의 친밀도와 고교생활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강박증 및 전반적인 심리적 부적응을 제외한 거의 모든 유형의 정신병리에 대해 유의하였다. 4) 성차는 심리적 부적응 및 간이 정신진단검사의 몇가지 임상척도에 대해 유의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정신병리와 심리사회적 변인의 관계에 유의한 중재변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대학교 신입생들 중 심리적 부적응자로 잠정 분류될 수 있는 학생의 비율은 몇개의 다른 대학들에 비해 낮았으며, 또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대한 예방적 치료적 측면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mental health of Chosun university(CU) entrant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variables and psychopathology. Methods : Korean version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on 1994 Cu entrants' developed by Hack-Ryul Kim et al. including authors were administered to entrants(N=865) admitted to CU in 1994. Results : 1. The percentage of entrants tentatively classifiable as psychologically maladjusted was 5.5% the total subjects surveyed, and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2. But in that percentage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a) colleges, b) the groups who did or didn't experience failures in a college-entrance exam, and c) the groups who do or don't have living parents, respectively. 3) Of several psychosocial variables, self-perception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variable on the psychopathology of entrant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timacy with parents and high school life was also significant. 4) As for sex, its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certain scales in SCL-90-R was significant and it also played a role as a significant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variables and psychopathology.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the percentage of entrants tentatively classifiable as psychologically maladjusted in CU is lower than in some other universities, and that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청소년 및 대학생의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성유선 ( Sung Yu-sun ),이소연 ( Lee So-yea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및 대학생의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심리 관련 변인과 사회 관련 변인으로 분류하고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9년 8월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중 청소년과 대학생의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을 주제로 한 총 52편의 연구물을 메타분석 하였다(k=260). 부모화(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심리적 변인군과 사회적 변인군으로 분류하여 변인군별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비교하였으며, 산출된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메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부모화의 하위요인별 심리·사회적 변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전체 효과크기는 불공평, 정서적 부모화, 물리적 부모화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군의 ‘부적응적 정서조절 및 정서표현’, ‘부정적 자기’, ‘부정정서 경험’에서 불공평, 정서적 부모화, 물리적 부모화 순으로 중간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인군의 ‘대인관계 문제’에서 불공평, 정서적 부모화, 물리적 부모화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검증 결과, 청소년 및 대학생의 물리적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군에서의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모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부모화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과 목표를 제안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which have negative effects during the parentification of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and to undert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ir effect sizes.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52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3 and 2019 on the topic of the negative effect of parentification i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k=260).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group was calculated and compared by classifying the variables negatively affected by parentification into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 groups, and then meta-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eterogeneity of the calculated effect size. Our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sub-factor of parentification had the following effect sizes, respectively, Unfairness,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Physical Parentification. Second, the middle effect size appeared in the order of Unfairness,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Physical Parentification in th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 “Negative Self-Image”,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Expression”,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s”. Third, The middle effect size appeared in the order of Unfairness,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Physical Parentification in the Social variable group’s “Interpersonal Problem”. Lastly,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test we conducted,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of which Physical Parentification had a negative effect. This study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presented the variables which parentification have a negative impact upon. Through this, the direction and goals of further research related to parentification were proposed and basic data were also provided in order to advance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