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조용환 ( Yong Hwan J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4

        실행연구는 ‘재현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강점을 가진 질적 연구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실행연구의 원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그 기법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는 충실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한 실정에 대한 상심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실행연구다운 실행연구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실행연구를 실행연구답게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 그 탐구의 결과를 다음 일곱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동향 진단, 문제 분석, 향후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질적 연구를 소개하는 기존 문헌들에서 실행연구를 현장연구와 동일시하거나 현장연구의 한 가지 접근방법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 둘째로, 현장연구와 실행연구는 문제의식을 공유하지만 그 문제의식을 어떻게 방법(론)으로 구현해내는가에 따라서 명확히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다. 셋째로, 실행연구는 철저한 현장연구, 생활세계의 실질적 개선, 실천적 지식인으로서 주체 형성, 현장이론의 생성이라는 방법(론)적 특징을 가진다. 넷째로, 질적 실행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실천주의 패러다임의 견지, 불확실성의 지혜, 협동의 진화에 최대한 유의해야 한다. 다섯째로, 실행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자-참여자 합작 실행연구, 참여자 주도 실행연구, 비판적 실행연구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여섯째로, 실행연구의 ‘실행’이 행위이론의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함께 이해되고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로, 향후 질적 실행연구에서 사전검사-사후검사 형태 효과 검증에서의 탈피, ‘3E’의 교차적이면서도 통합적인 수행, 다양하고 독창적인 분석 및 해석 틀의 개발과 적용, 이해가 아닌 설명에 치우친 문적인 연구의 지양, 문질빈빈의 존재론적 접근 등의 과제들이 요청된다. Action research is highlighted these days for its strengths in overcoming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Action researchers have tried to minimize the gap or separation between the life world and the academic world, between ordinary people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owever, we still hav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action research as well as insufficient technical know-how about action research. Grieving over such problems,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methodological essence of action research and to examine its relevant research techniqu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result is reported along with seven items including the diagnosis of ‘state of the art,’ the analysis of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First, we easily find papers in which action research is either confused with field research or regarded as a branch of field research. Second, action resear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field research for its methodological specialties even though the two shares some of the same problems and orientations. Third, the methodological specialties include: ① research on the practical site ② the actual betterment of the life world ③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and transform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④ production of grounded theories, among others. Fourth, especially in qualitative action research, we should attend to: ① keep the emancipatory paradigm ② value the wisdom of uncertainty ③ promote the evolution of collaboration. Fifth, we are asked to take note of new-brand action researches including: ①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② practitioner action research ③ critical action research. Sixth, we need to develop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action research along with various ‘action theories.’ Seventh, we offe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such as: ① getting out of the old ‘before-after’ effect verification research models ② performing integrative and cross-modal research practices on three ‘Es’ (Experiencing, Enquiring, and Examining) ③ developing diverse analytic tools and creative interpretation frames ④ nourishing descriptive researches based on understanding rather than explanation ⑤ furthering ontological ‘moonzilbinbin (文質彬彬)’ approaches.

      • KCI등재

        변화 실행과정의 블랙박스: 변화과정의 순서와 선형성에 관한 단일 사례연구

        한수진,김언수 한국전략경영학회 2007 전략경영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 sequences and linearity of implementation process which has received little research attention. Even though there are a few studies on change implementation, our understanding is still limited regarding the order in which different parts of an organization should be transformed and the transition process which early change theorists described as a linear proces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lack of change implementation studies stems from the difficulties of research method which requires a longitudinal and in-depth qualitative approach. Thes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are addressed in this study. Time period covered by this study is over a period of 2 years and 4 months including 9 months of on-site interviews and observation. While the entir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target company is one big case, it is composed of fifteen sub-cases that are compared to find certain pattern of change sequences and linear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impact" and core elements were found in the critical time of change process, in other words during the early phase of change and implementation, to achieve effective organization change because change of such noticeable elements was accompanied with sense of urgency that was a key to change acceptance by employees. Second, while typical organization change sequence of preparation formulation implementation settlement was observed in the target company without major change, consolidation between steps and modification of change steps were also found. Finally, implementation of a large scale change studies turned out to be a nonlinear process characterized by delays, reversals, and oscillations of planned activities, due to unexpected incidents within and without an organization. These findings help us to enrich the understanding of change implementation proces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black box and to offer some implications on how to handle change implementation. 본 논문은 "변화가 실행되는 과정"에 대한 조직변화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실행 과정의 변화 순서 및 선형성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조직 변화 시 어떠한 요소(핵심적 요소 vs주변적 요소)를 먼저 변화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일관된 답을 찾지 못하고 있었으며, 조직 변화의 선형성에 있어서도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구심만이 증가되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실행 연구 분야의 현실은 종단적 심층 연구의 부족에서 기인된 것이라 판단하여, 본 연구는9개월의 참여관찰을 포함한 총 28개월간의 연구기간 동안 변화 전략 수립, 실행과정을 추적하였다. 조직변화과정 중 나타난 15개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실행 과정의 순서 및 선형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로는 첫째, 변화의 가장 첫 단계 및 실행의 첫 단계에 조직 구성원들에게 영향력이높은 핵심적인 사안 및 요소의 변화를 의도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조직 변화를 이끌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영향력이 강한 요소의 변화가 조직 변화 초기단계의 필요요소인 위기감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둘째, 준비-수립-실행-정착의 조직변화 단계는 크게달라지지는 않지만, 각 단계별 혼합과 변형의 형태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변화 과정 중 실행 단계에서는 대규모 조직 변화의 실행과정은 의도되지 않은 내부사건 및 외부사건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결과, 계획된 실행사례의 지연, 계획보다 앞당겨 실행, 계획되지 않은 사례의 실행 등의 통합으로비선형성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실증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에 블랙박스로 여겨지던 조직 변화의 실행 과정에 대한 이해의틀을 마련하고, 효과적 실행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 교육 현장을 위한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 개발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실행연구의 내용을 종합·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현장의 맥락과 상황에 알맞은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서구를 중심으로 한 기존 실행연구 모델의 단계와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에서 공유되는 핵심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명하고,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제 수행된 실행연구 사례들을 토대로 핵심적인 4가지 요소에 따라 진행되는 실행연구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합한 실행연구 모델을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확인과 구체화 단계에서는 실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문제를 확인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둘째, 실행 계획 단계에서는 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방안을 구상하고 준비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준비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하고 그 결과에 관한 증거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한다. 넷째, 성찰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실행 과정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연구의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고, 연구를 종결할지, 재실행할지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을 토대로 연구자의 역량과 현장의 맥락에 적합한 다채롭고 심도 있는 실행연구 사례들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ut together and analyze the content of many action researches developed so far and propose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proper for the context and situation of the education field. The study analyzed the stages and specific content of the old action research models mainly from the West to generate findings before identifying the core procedure and content shared among action researches and extracting the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Finally, the study proposed an action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four core elements based on real action research cases. The study developed an action research model fit for the education field of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checking and specifying a problem checks out the most important initial problem in action research and sets the research direction; second, the stage of planning an implementation designs and prepares a tentative plan to solve the initial problem; third, the stage of implementation practices the prepared solution firsthand and collects evidence about its outcomes in various ways; and finally, the stage of reflection investigates the research significance and value by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outcomes in-depth and determines whether to end or rerun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olorful and profound action research cases will be accumulated fit for the competence of a researcher and the context of the field based on th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 KCI등재

        초등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체육과 실행연구의 방향

        이호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Noffke(2009)의 실행연구 목적에 따른 범주구성을 근거로 실행연구의 목적에 따른 가치를 탐색해 보고, Mills(2000)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 모형을 통해 체육과 실행연구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Noffke는 실행연구의 목적을 개인적, 전문적, 정치적 차원으로 구분하였는데 연구자는 정치적 차원을 개인적, 전문적 차원으로 통합시키고 주요 체육정책과 모형실행에 관한 내용을 정책적 차원으로 명명하여 해석하였다. 개인적 차원의 가치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문화기술지와 실행연구의 관계를 기술하였으며, 전문적 차원에서는 현장개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였다. 정책적 차원은 국가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새롭게 소개된 체육수업모형 등의 현장적합성에 관한 실행연구의 확산을 강조하였다. Mills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 모형에 따른 실제에서는 초점영역 확인하기, 자료수집하기, 자료분석 및 해석하기, 발전된 실행계획 세우기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이나 기법 등을 선행연구의 사례 위주로 소개하였다. 실행연구는 교육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비평적인 동료와의 지속적인 숙의를 통해 현장을 개선하려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교사교육기관에서 직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험적인 실행연구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of the action research based on its purpose defined by Noffke(2009)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action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Dialectic Action Research Spiral model by Mills(2000). Noffke has classified the purposes of the action research into personal, professional, and political dimensions, the political dimension has been integrated into personal and professional dimens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major physical education policies and model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goals. The study has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ethnography that recently attracts keen attention and the action research in terms of the value in personal dimension and introduced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ield improvement program in terms of the value in professional dimension. The policy dimension has emphasized the dissemination of the action research on field suitability of national leve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urriculum books and materials, and newly introduced physical education models. In actual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Mills’ Dialectic Action Research Spiral model, a number of technologies and techniques required dur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focus area, collecting data,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developing advanced action plans have been introduced with focus on the case studies of preceding studies. The action research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in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through based on continues deliberations and consultations with critical colleagues based on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erefore, this paper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priori action research conducted b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for preparatory teachers.

      • KCI등재

        지식창출 및 공유전략으로서의 실행공동체(CoP: Communities of Practice)발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최미나,유영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지식경영의 한계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인재육성의 대안적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실행공동체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실행공동체의 활동 주제 영역과 발달단계에 따라 팀의 창출배경 및 목적, 팀 구성 방식, 리더 선정방법, 활동주제 유형 및 주제 선정방법, 팀 운영방식, 실행(Practice) 내용 및 공유방법, 팀원간 신뢰구축방법 등에 대한 차별적 특성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규명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는 실행공동체를 활용한 지식창출 및 공유과정을 심층분석하기 위해 우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실행공동체의 개념과 구성요소, 발달적 특성을 규명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실제 인재육성의 한 방편으로 실행공동체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 사례를 실행공동체의 활동 주제 영역과 발달 단계에 따른 차별적 특성에 비추어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향후 실행공동체를 지식경영과 인재육성의 대안적 접근방법으로 도입할 경우, 실행공동체 발달단계별 고려해야 될 사항과 지식창출 및 공유과정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실행공동체를 도입하기 위한 처방적 지침을 마련하는 기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nceptual definition and major features of CoP(Communities of Practices) and identify background and purpose of CoP, the ways of organizing team and choosing the leader, the method of selecting project, the ways of managing, practices itself and creating and sharing practices, the methods of building trust, leading to provide a fundamental rationale and a practical consideration for initiating CoP's character for application in Industrial educa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CoP's concept, major components and developmental stages was conducted and case study to explore different features of a classified CoP according to domain of knowledge and developmental stages. CoP constructs a shared domain of knowledge, community and practice. CoP are groups of people who share a common concern, a set of problems, or a passion about topic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of community. CoP was classified into research-oriented and production-oriented according to domain of knowledge. And CoP has a developmental pattern from the formation phase, maturation phase and to stewardship phase according.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were differential attributes in the areas of project issues to be tackled, the operating principles of community, the types and nature of practices, the way of building trust among members of community. Next, in the case of introducing CoP to the alternative approach to knowledg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oP for facilitating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process were drawn to take the practical prescriptions for future CoP implementation in the specific area. Finally,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ake bridge between CoP and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was conducted, providing som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to be tackled.

      • KCI등재

        국제관습법의 기본토대로서 국가실행 개념의 재인식

        鄭京洙(Kyung-Soo Jung) 대한국제법학회 2004 國際法學會論叢 Vol.49 No.3

        국가실행이 국제관습법 형성에 있어서 기본토대라는 점은 자명하다. 그러나 어떠한 국가실행이 국제관습법을 창설할 수 있는지 다시 말해서 어떠한 국가실행이 관습창설실행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적 논의들이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국가실행은 국가들의 실제 활동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이를 보완하여 국가실행을 국가들의 실제 활동에 준하는 행위를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국가실행을 국가들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적 행위로 보기도 한다. 그리하여 전통적 이론은 국가들의 실제 활동과 그에 준하는 행위, 국가상호간 행위에 해당하는 국가 실행을 관습창설실행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국가실행의 개념을 협소하게 파악하는 전통적 이론은 오늘날 중대한 도전을 받고 있다. 20세기 후반 국제사회는 국가들의 수가 증가하고 법공동제의 이질성이 커졌으며, 국제관계의 수행방식이 의회방식의 외교가 중시되고 있으며, 국제법의 규율대상이 인권ㆍ환경ㆍ우주ㆍ극지ㆍ심해저 등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새로운 법요청적 상황은 국가실행을 더 이상 국가들의 실제 활동에 국한시키는 전통적 이론의 한계를 부각시켰다. 그리하여 보다 다양한 국가실행의 형태를 관습창설실행으로 포함시킬 필요성이 커졌다. 국제사회의 새로운 법요청적 상황에 따른 국제관습법이론 변화의 핵심은 국가실행 개념의 확대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관습창설실행은 국가들의 실제 활동 뿐 아니라 국제법에 관한 견해와 태도를 추론할 수 있는 국가의 모든 행위와 성명을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논의의 법리적 정당성은 ‘북해대륙붕’ 사건과 ‘니카라과’ 사건에 대한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하여 오늘날 국제관습법의 기본토대로서 국가실행의 개념은 국가들의 실제 활동 뿐 아니라 언어적 행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가실행 개념의 확대는 그와 연관된 새로운 법이론적 과제를 낳고 있다. 현대 국제관습법이론은 그 과제의 해결을 통해 보다 완전해칠 수 있을 것이다. It is indisputable that state practice is a stratum in the formation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However, it has not been agreed on what kind of state practice can creat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other words, there have been numerous theoretical approaches over the issue that which kind of state practice can be a custom-creat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 actual acts of states are regarded as state practice. Also, there are authors who extend the scope of state practice into other acts corresponding to the actual acts of states. In addition, some authors consider state practice as reciprocal actions among states. In short, traditional theories regard these acts as state practice such as actual acts of states, other acts corresponding to the actual acts of states, reciprocal actions among states. These days, however, there is a great challenge to the narrow definition of state practice based on those traditional view. In the late 20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ing number of nation-states which has caused a fundamental change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consequently leading to widening heterogeneity of international legal community and increasing importance of parliamentary diplomacy. Also, the scope of international law has been expanding to those new fields such as human rights, the environment, outer space, the Poles, the deep seabed and so on. Thus, these new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cast some doubts over the validity of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state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more various state practices into the scope of custom-creating practice. In conclusion, the essential change to the theory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lies in expanding the scope of state practice. In other words, the custom-creating practice must include not only actual acts of states but also other acts or statements reflecting their opinion or attitude over international law, which can be found in the decisions of the ICJ in the Nicaragua case and the North Sea Continental Shelf case. However, this expansion of the scope of state practice alos creates new problem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contemporary theory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will come into further theoretical perfection by solving the problems.

      • KCI등재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 연구

        권봉숙 ( Kwon Bong Soo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퇴계 이황(1501~1570)은 오늘날 건강증진에 해당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증진의 내용을 실천에 옮기는 퇴계의 실행력의 근원을 알고 현대적 웰빙 라이프에 적용이 가능한지 알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실행력은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지 않다.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긍정적인 건강결정 인자들을 중심으로 신체적인 활동, 정신적인 활동 그리고 사회적인 활동으로 균형 있게 배분되어 있었다. 현대인이 추구하는 웰빙 라이프에서도 신체활동과 관련된 의식주 생활, 정신활동과 관련된 문화생활 그리고 사회활동과 관련된 직업생활과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일반적인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은 질병 예방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기획되고 디자인 된다. 더 나아가 웰빙 라이프의 실현에 있다.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은 생에 대한 확고한 외경심을 실현하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퇴계가 실천한 건강증진의 근원을 살펴보면 오늘날 웰빙 라이프의 실현을 위함과 다르지 않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퇴계의 신체적 건강증진의 실행력의 근원은 개인적으로 병고에 시달림을 물리치기 위한 절박함에 대한 통찰이었다. 둘째는 정신적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은 병을 병으로 아는 지각력에서 시작됨을 통찰한 것이다. 셋째로 사회적 건강증진 실행력의 원천은 참된 사회봉사로서 대의를 실천해야 한다는 통찰에 있었다. 스스로의 통찰에서 행복추구를 게을리 하지 않은 것은 건강증진 활동을 지속시키는 근원적인 힘이 되었다. 현대 간호과학의 관점에서 건강증진 활동을 연속성 있게 지속적으로 실행해 나가는 내용은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퇴계의 활동과 다르지 않다.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에 비추어 보면 신체적 건강증진 실행력은 질병으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나타났고, 정신적 건강증진 실행력은 웰빙과 행복추구를 위해 문학 활동 등으로 내면의 지평을 넓혀가며 건강유지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인 건강증진 실행력은 퇴계가 공적인 업무에 헌신하고자 하는 현대적 전문직업인의 업무 수행을 위해 질병예방 활동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퇴계의 건강증진 실행력의 근원은 지금 이 시대에 절실하게 재조명이 필요한 내용이다. 현대사회에서 건강증진 실행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인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이 가능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는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health promotion to its origin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health promotion was linked to practicing sheer awe of life. Based on its origins, Toegye’s health promotion is not entirely different from practice of comtemporary well-being life in three main aspects. First,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physical health promotion was derived from his insight into desperation to overcome his suffering from illness. Second,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mental health promotion was derived from his insight into perceptivity of being aware of illness. Third,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social health promotion was derived from his insight that he had to make contributions to social service. The fundamental power of Toegye’s continuing health promotion was linked to his constant pursuit of happiness based on his insight of himself.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of nursing science, continuous practice of engaging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s not entirely different from Toegye’s practice of engaging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activitie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physical health promotion was related to activities performed to alleviate his sufferings from illnes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mental health promotion was linked to activities (e.g., literary activities) performed to broaden perspectives and persue well-being and happiness,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social health promotion was related to his activities for promoting illness prevention in order to help people dedicate themselves to official duties, The origins of the practical power of Toegye’s health promotion need to be reviewed in comtemporary societies. To enhance the practical power of health promotion, further studies on how to apply Toegye’s health promotion for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ies merit consideration.

      • KCI등재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장은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언어ㆍ다중문화시대에 교사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교사 실행공동체(a community of practice)의 가능성을 주장하며, 실제로 실행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함으로써, 다중언어주의와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8명의 현직교사이며, 약 10개월간 정기적인 줌 미팅과 상시적인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질적 연구방법(의도적 표집과 맥락적 자료수집 등)을 활용하였으나 사전ㆍ사후 설문을 통해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행공동체를 통한 교사들의 변화를 요약하면, 첫째, 생소한 영역이었던 다중언어주의 및 다중언어교육에 대해 지식적인 이해 및 인식 확장, 둘째, 이주배경 학생의 언어경험에 대한 인식 변화, 셋째, 언어 및 언어교육 전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다중언어교육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로의 전환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다중언어 교사교육을 위한 실행공동체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한 신념을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서 실행공동체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 환경의 이해와 간접 경험의 기회로서 실행공동체이다. 셋째, 지속적인 배움과 토론을 통해 지식과 이론적 이해에 기반한 수업 실행을 가능케하는 실행공동체이다. 이 연구에서 시간과 지속성의 한계, 참여자들의 서로 다른 환경으로 인한 협력적 문제해결의 제한과 동료코칭의 한계 등의 어려움을 발견하였으나 이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며, 지속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실행공동체 구축을 통해 해결가능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of a Community of Practice(CoP) in changing the participating teachers’ perception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Eight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regular and irregular online meetings for about ten months. This study adopted main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ut conducted pre- and post-surveys to report the teachers’ perceptions as a group.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CoP, the teachers were fou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unfamiliar’ topic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learning about theories and concepts; to re-think migrant students’ language use; and, to gain new perspectives on language and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proactive attitudes towards plurilingual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rgues that the CoP showed potentials for plurilingual teacher education in that it served as: a safe space to share teachers’ uncertain beliefs; an opportunity for indirect experiences of language diversity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and, a drive to develop pedagogical professionalism in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he constraints of the CoP were difficulties in sustainable learning due to limited time, hesitation in critical peer coaching,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due to the participants’ different teaching contexts.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ㆍ청소년의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은영,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2

        목적 :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행기능에 대한 중재 동향과 적용된 접근 법을 분석하여 작업치료 임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근거중심의 중재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해외 학회지에 개제된 연구를 대상으로 MEDLINE, Scopus, PubMed, ProQuest,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는 “Autism or ASD AND Execu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approach or treatment or training” 이었고 최종 2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는 연구의 질적수준, 연구 참여자의 특성, 중재종류, 종속변인으로 측정된 실행기능 영역,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 측정도구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근거수준은 수준Ⅰ에 해당하는 무작위 대조연구가 8편(38.1%)으로 가장 많았고 19편의 연구가 고기능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행 기능에 대한 중재의 종류는 총 11가지로 응용행동분석, 인지행동 접근, 보완 대체요법을 사용한 중재가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으로 많이 사용된 실행기능 영역은 인지적 유연성이었고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은 사회적 기술과 행동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각 영역별 측정도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도구로는 스트롭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 선로 잇기 검사, 런던타워 검사, 실행기능행동평정척도가 있었다. 결론 : 연구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의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동향 및 다양한 중재법, 평가 도구를 알 수 있었다.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도구가 다양하고 혼재되어 있으며 실행기능 중재에 초점을 둔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실행기능 결함이 자폐 범주성 장애의 주요 특징으로 나타나고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실행기능에 관심을 가지고 평가도구 및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examine the intervention on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and to provide evidence regarding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Studies for this review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MEDLINE, Scopus, PubMed, ProQuest, Cochrane Library database for article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6, using the following key word: "Autism or ASD AND Execu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approach or treatment or training”A total of 21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e level of quality,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type of intervention,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s used as dependent variable, another dependent variable, and measurement. The articles reviewed eight Level 1 evidence articles(38.1%) and 19 studies were conducted on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SD. Applied behavior analysis,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ere the most commonly applied interventions. The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was the most cognitive flexibility. The other variables were social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measurement tools for each area varied widely. A typical tool were stroop test, digit span, TMT, TOL, BRIEF. 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find and understand the trend of intervention on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ASD. As the executive function defect is a major feature of ASD,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evaluation tool and intervention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occupational therapy field with an interest in the executive function.

      • KCI등재

        저당권의 실행에 관한 비교

        김상용 ( Sang Yong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2 법과 정책연구 Vol.12 No.2

        저당권의 실행은 각국이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규율하고 있다. 각국의 저당권실행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저당권을 특정채권의 담보로만 이용할 것을 예정한 보전저당권으로 입법을 하였느냐, 저당권을 하나의 상품으로 유통하게 할 것을 예정한 유통저당권으로 입법을 하였느냐에 그 원인이 있다. 따라서 저당시장을 1차저당시장의 형성만을 예정한 나라에서와 2차저당시장의 형성도 예정한 나라에서의 저당권의 실행방법이 서로 다르다. 그리고 저당권은 저당목적물의 점유의 이전없이 그 저당목적물이 갖는 교환가치만의 지배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전저당권의 나라에서는 저당권의 실행을 경매에 의한 교환가치의 실현의 방법을 주된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그러나 초대형의 건물이 건축되고 그러한 대규모의 건물의 경매는 경락이 쉽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어려운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라서 초대형 건물이 갖는 수익가치를 실현하여 그 수익가치로부터 우선변제를 받는 방법을 강구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나가고 있다. 그리고 점유의 이전이 가능한 동산의 실행에는 동산담보권자의 自力에 의한 사적실행을 허용하는 국가가 많지만, 저당권의 목적물은 장소적 이전이 불가능하므로 법원에 의하여 집행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실행방법이다. 예외적으로 중국물권법에서는 저당권자와 저당권설정자간의 사적인 합의에 의하여 저당권을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는 있지만 저당권의 사적실행을 허용하면 저당권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저당권의 실행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그러므로 저당권의 사적실행은 허용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유저당 약정의 유효성을 인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저당권의 실행은 공적실행이 일반적인 실행방법이다. 그러나 공적실행 중에서도 강제집행의 방법에 의할 것인가, 담보권실행의 방법에 의할 것인가로 나누어지나, 양자를 일원화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중화민국에서와 같이 저당권에 기한 법원의 경매개시결정을 집행명의로 하여 일반채권에 기한 채무자의 책임재산에 대한 강제집행과 동일한 집행절차에 의하여 저당목적물을 강제집행하도록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당권에 기해서도 강제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제사정의 변화에 따라서 저당권의 실행방법도 융통성있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괄경매의 요건도 완화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소제주의보다는 인수주의가 타당하다.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저당권의 설정을 받고 대출한 자가 후순위저당권의 실행으로 선순위의 저당권이 소멸한다면, 저당권의 설정에 의한 장기투자를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대항력을 갖춘 선순위의 건물의 용익물권도 후순위의 저당권자의 실행으로 용익물권보다 선순위의 저당권의 소멸로 인하여 소멸하는 현재의 법체계는 건물에 대한 용익권으로서의 주택임차권, 상가건물임차권의 보호정신에도 반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바로 소제주의에서 발생하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보전저당권을 예정하여 입법한 나라에서도 인수주의로 나아감이 타당하다. 이와같이 저당권 실행에 관한 비교를 통하여 얻은 결론에 비추어 우리나라에서의 저당권실행의 제도개선의 방향으로는, 사적실행인 유저당을 금지할 것이며, 임의경매의 방법만을 공적실행의 방법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수익집행제도의 입법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강제집행과 담보권실행을 완전히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을 강구함이 필요하며, 그 결과로 경매의 공신적 효과를 강화하여 경락인의 소유권 취득을 보다 강력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하다. 그리고 현재의 소제주의를 인수주의로 전환하는 방안도 강구함이 필요하다. 또한 일괄경매의 요건을 완화하여 저당부동산의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함이 타당하다. Einzelner Staat hat seine typische Art und sein eigentumliches Prozess der Vollstreckung des Hypothengrundstucks. In Deutschland wird der Hypothekengrundstuck durch Zwangsvollstreckung mit dem Vollstreckungstitel zwangsweise versteigert oder verwaltet. In der Republik China(Taiwan) wird der Hypothekengrundstuck mit freiwilligem gerichtlichem Vollstreckungsbeschluss zwangsweise versteigert oder verwaltet. Aber in Japan wird der Hypothekengrundstuck nicht durch Zwangsvollstreckung mit Vollstreckungstitel, sondern durch gerichtlichen Beschluss ohne Vollstreckungstitel freiwillig versteigert oder verwaltet. In Korea wird der Hypothekengrundstuck durch gerichtlichen Beschluss freiwillig nur versteigert, nicht verwaltet. Die Unterschied der Art und des Prozesses der Vollstreckung des Hypothekengrundstucks liegt darin, dass die Zwangsvollstreckung mit dem Vollstreckungstitel der Vollstreckung der Verkehrshypothek angepasst ist; die freiwillige Vollstreckung der Vollstreckung der Sicherungshypothek geeignet ist. In der Republik China wird der kombinierten Mittelweg der Zwangsvollstreckung und der freiwilligen Vollstreckung angenommen und geregelt. In Korea wird die vorrangige Hypothek wegen der Versteigerung der nachrangigen Hypothekar erloscht, aber in Deutschland nicht erloscht, sondern von dem Ersteiger ubernommen. Die Prinzip der Nichterloschung sei besser als die der Eroschung. In Korea wird es kunftig erfordert, dass die Verfallensvertrag wie eine private Vollstreckung sollte verboten werden; die freiwillige Verwaltung konnte geregelt werden; die Zwangsvollstreckung und die freiwillige Vollstreckung sollte vereinheitlicht werden; der gutglaubige Eigentumderwerb des Ersteigers sollte stark geschutzt werden; die einheitliche gemeinsame Versteigerung des Grund und Bodens, auf dem Hypothek bestellt wird, und der Gebaude, auf der Hypothek nicht bestellt wird, sollte verwirklicht we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