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통제이론의 관점에서 본 수형자의 가족관계: 가족접견, 서신교환, 구금 후 가족관계 변화

        민수홍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2

        This study examined prison inmates’ family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ol theory. It tested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upon family visit,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and prisoner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after his/her incarceration. Sinc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are available,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actors, other than attachment. Empirical test results give full support to social control theory. Parent attachment tapping quality of pre-prison relationship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number of family visit and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Parent attachment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 prisoners’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after his/her incarceration. Contacts with family helps to assess inmates’ family relationships positively after incarceration. Besides theoretical factors, inmates’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was influenced by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Family visit was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nd time served for the most recent incarceration. Prisoner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was influenced by gender, age, time served for most recent incarceration and family contact(visit and mail). Policy implica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made and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범죄자가 유죄판결을 받고 교도소에 수감되면 그들의 가족관계는 큰 변화를 맞게 된다. 수형자가 가족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 가정을 지킬 수 있고, 이들의 수형생활이 안정되며, 출소한 이후의 재범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는 수감기간 중에 수형자가 경험하는 가족관계(가족접견, 편지수신, 구금 후 수형자가 느낀 가족관계 변화)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였다. 먼저 사회통제이론의 관점에서 수형자의 가족관계를 설명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관련 선행연구가 제한적인 점을 고려하여 수형자와 관련된 다른 변인들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을 위해 6개의 교도소에서 수집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형자와 가족 간 접촉정도(가족접견과 서신수신)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고, 수형자가 구금 이후 느낀 가족관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서열형 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통제이론에서 도출한 가족애착(아버지 애착, 부모애착)이 강할수록 각기 가족접견과 서신수신이 많았다. 또한 수형자의 가족애착이 강할수록 이들은 구금 후 가족관계가 이전과 비슷하거나 더 좋아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차원에서 수형자 관련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가족의 서신수신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 교육, 가구 총 수입이었다. 가족접견 횟수에는 교육, 가구 총 수입과 이번 범죄로 복역한 기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구금 후 수형자가 느낀 가족관계의 변화에는 성별, 나이, 이번 범죄로 복역한 기간과 구금 중 가족접촉 정도(가족접견과 서신수신횟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추론을 제시하였고, 사용한 자료와 연구의 한계와 더불어 정책적 함의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출소자 가족지원 사업의 필요성

        박선영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6 법무보호연구 Vol.2 No.

        현재 국/내외 교정계에서는 수형자와 출소자 개인에 대한 교육, 훈련, 지원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에 대한 지원을 통한 가족관계 강화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가족 유대감이 강할수록 수형자의 수용생활이 안정되고 출소 후 재범이 억제된다는 실증 연구결과로 인해 가족관계 강화가 효과적인 재범 억제 전략으로 등장한 것이다. 이 러한 전략은 실무계와 학계에서는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일반 대중들은 범죄 자들에 대한 반감으로 이러한 정책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가 족지원의 필요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통계자료 분석, 외국 사례 등을 검토 하였다. 국/내외적으로 높은 재범률, 재범 유발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 들어난 가족관 계 약화, 가족관계 강화와 재범의 상관관계 연구, 위기가족으로서의 수형자/출소자 가정 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가족관계 강화가 재범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가족관계 강화 필요성에 기반한 국/내외 가족관계 강 화와 수형자/출소자 가족지원 사례를 제시했다. 수형자/출소자 가족지원 사업은 재범 억제를 통해 우리 사회를 안전하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의 피해자로 인식 되고 있는 수형자/출소자 가족의 인권과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in addition to prisoner rehabilitation efforts, prisoners and released prisoners’family supporting has been implemented throughout the world. This strategy result from the research findings that strong family ties not only influence inmate’s stable prisons life but also prevent released inmates from committing other crimes. That is, enhancing family bonds has become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preventing crimes. However, due to the antipathy toward offenders, the general public is likely to have negative perspective to supporting prisoners’ fami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released prisoners’ family supporting, the current study reviewed official crime statistics, previous research on barriers to prisoners’ successful reintegration into society, relationship between the enhancement of family bonds and recidivism, and prisoners’ and released prisoners’ family as at risk family. Moreover, the family supporting programs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U.S.A., England, and Canada, were examined. This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supporting released prisoners’ family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preventing crimes. In addition, it will be an humane program for so called second victim, the offenders’ family.

      • 수형자의 자아존중감과 가족 및 대인관계가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황미진(Hwang, Mi-Jin),유현숙(Yu, Hyun-Suk)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5 교정사회복지연구 Vol.7 No.-

        본 연구는 교도소에 수감 중인 수형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그리고 대인관계와 부정적 정서의 상관관계와 이들 변인이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교도소 수형자 총 126명이었으며 자아존중감 척도, 가족관계 및 접촉적 결속척도, 대인관계척도, 그리고 우울, 불안,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정적 정서의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수감전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및 가족과 교류, 대인관계와 부정적 정서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부정적 정서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 석한 결과, 부정적 정서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형자의 건강한 재소생활 및 사회적 적응과 관련한 부정적 정서를 감소하기 위하여 가족치료를 포함한 상담, 집단상담 등의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정시설 내 사건사고를 예방하고 수형자의 가정 및 사회로의 건강한 복귀를 위한 다각적인 접근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th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of prisoners. Methods: The researchers gave a strucured questionnaire to 126 prisoners from jail in Jeollabuk-do province. Results: Results indicated self-esteem, family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 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great effect o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because of the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Conclusions: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the materials on family therapy, counseling, and group counseling for the prisoners 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 KCI등재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신연희,전영실,김영식 한국교정학회 2008 矯正硏究 Vol.- No.40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prisoners' family strength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6 male and female inmates incarcerated in pris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ucture factors(the stability of marriage, the extent of family contact), family quality factor(family relation), and social demographic factors(sex,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punishment factors(experience of incarceration, period of incarceration) are analyse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family strengths of inmates are related to sex, education, economic condition,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duration mostly. The main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female prisoners, the lower educated prisoners, the poor families,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the longer separation from family shows negative to the family strengths. Second, according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family strengths, the specific approach based on sex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for prisoners and their families who are in lower socio-economic conditions to enforce family strengths. Finally, the strengths of prisoners' families will be effective to enforce the family quality rather than family structure. 본 연구는 수용자 교화 및 관리에서 가족건강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연구로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 가족건강성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혼 남녀수형자 556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을 가족의 구조(혼인관계 안정성, 가족과 접촉정도)와 가족의 질적인 면(가족관계)으로 정의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이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및 형관련 특성(입소경력, 복역기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질적인 면에서 모두 수용자의 성별,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입소경력, 복역기간 등과 대부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견사항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혼인관계가 안정적이지만 가족과의 접촉 및 가족관계에서 더 부정적이며, 수용자의 교육수준이 낮거나 가족이 빈곤한 경우, 그리고 입소경력이 있거나 시설 수용으로 가족과 분리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건강성의 구조적·질적인 면 모두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있어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가 많아 가족건강성 강화정책은 수용자의 성적인 특수성에 기반하여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수용자와 그 가족이 가족건강성에 관한 우선적인 정책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인 면보다는 가족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는데 보다 비중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