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정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록에 관한 연구

        유학수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09 교정사회복지연구 Vol.1 No.-

        교정사회복지를 실천함에 있어서 교정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상황에 개입하게 되는데, 이 때 다양한 실천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기술 가운데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기록이며, 기록이란 교정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개입행위와 클라이언트의 성장 또는 변화양상을 객관적이고 순차적이며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으로서, 교정사회복지실천 활동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업무이며, 또한 실천기술의 일부이다. 교정사회복지실천 활동의 개입 목적 달성 여부는 기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책임성도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사회복지사는 좋은 기록을 위하여 기록에 대한 기술이나 지침 등을 충분히 익혀두어야 할 것이다. 교정사회복지사가 좋은 기록을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결정과 행동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와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 그리고 각 단계별 서비스 전달에 관한 정보를 충실히 담아야 한다. 이때 서비스 전달이 잘 묘사되고 기록이 간결하고 구체적이고 타당하고 명확하고 논리적이어야 하며 무엇보다 사실에 근거해야 하고 전문가의 견해를 담으면서도 클라이언트의 관점을 무시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기록을 유지하는 체계는 효율적이어야 하고 정보의 선택이나 보관 그리고 읽는 사람에게 제시되는 방법적인 측면까지 고려되어야 하며 교정사회복지사의 관찰사항과 해석을 구분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문서의 색출 또한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그의 권리 보호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이다.

      •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정순(Jeong-Soon Park)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4 교정사회복지연구 Vol.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응에서 사회적 적응유연성,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정도에 대해 파악하고, 남한사회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는 2008년 8월 25일부터 9월 25일까지 표준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0세부터 24세 미만의 탈북 청소년들이다. 총 20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이중 응답이 성실한 18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이 된 탈북청소년은 평균연령이 18.43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였다. 주거형태는 임대아파트가 대부분이며, 학교에 취학하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미래를 준비하는 전형적인 청소년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성적은 중하로 편중되어 있고, 종교는 대부분이 개신교였으며 종교가 없는 경우도 많았다. 천주교나 불교는 소수였다. 상관관계를 본 결과, 여러 요소들이 서로 상관관계를 가진 것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드러났다. 개인적요소인 만 나이는 교사의 지지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남한거주기간은 남한친구의 지지와 상관관계에 있었고, 자존감계는 가족의지지, 남한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 적응유연성과 상관관계에 있었다. 사회적 지지의 네 부분(가족의 지지, 탈북친구의 지지, 남한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은 모두 적응유연성과 상관관계에 있었다. 특이한 것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였는데 유독 만 나이와 교사의 지지는 부적 상관관계였다. 적응유연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선형회귀분석을 한 결과,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자아존중감, 남한친구의 지지, 가족의 지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탈북청소년이 남한사회에 잘 적응하게 하려면 가족의 지지를 높이고, 남한친구의 지지를 높이고, 자아존중감을 높여 주어야 한다. 사회적 지지 중 탈북친구의 지지가 적응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는데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djustment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moved from North Korea. To achieve the goal,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80 North Korean adolescents residing in Seoul or Gyeonggi-do. Total of 205 questionaries collecte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18.43 and most of them lived in rented apartment houses. The most respondents attended schools. They were typical young generation who prepared their future. Their school records were average or less than average. Most of them were Christians, but some students were atheists. A few of them were Catholics or buddhist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various factors were interrelated. The age as individual elements was related to the support from teachers. The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was related to the support from South Korean friends. Self-respect was related to the support from family, South Korean friends, teachers and resilience. The four aspects of social support which are support from family, friends from North Korea, South Korean friends and teachers were all related to resilience. All correlations were positive except one between the age and the support from teachers.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resilience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self-esteem, support from South Korean friends and family are factors which affect on resilie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positive support from family and South Korean friends and to keep their self-respect in order to help the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to adjust in South Korean Society. It was expected that support from friends who came from North Korea was more influential than other support, but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factor was less important than expected. It is needed that research should be followed up to explore this matter more precisely.

      • 장애인의 서비스 접근성과 사회통합과의 관계

        한주빈(Joo Bin Han)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3 교정사회복지연구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접근성과 장애인의 사회통합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인복지의 궁극적 목적은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통합이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 스스로의 자립을 위한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장애인의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한 비장애인의 의식변화와 사회구성원으로서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의 접근성은 매우 중요하다.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의 기회와 참여가 증가하여 같은 사회에 살고 있는 비장애인과 동등한 상태로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적 접근성, 시간적 접근성, 경제적 접근성, 심리적 접근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연결망과 서비스 기회가 획득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장애인의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과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접근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실증적인 연구조사가 요구된다. 이때 고려되어야 할 점은 물리적 환경뿐 아니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 사회적 참여, 제도적 통합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access and social integration on the handicapped. Upon survey, the ultimate purposes of welfare on the handicapped are self-reliance and social integration. For this, it is important to empower personal abilities centered in self-reliance on the handicapped. However, there are very essential that the non-handicapped consciousness change for social integration and service access for making the handicapped to be community members. The social integration on the handicapped would be vitalized in terms of opportunities and participations, being reached to equal social service access among all ordinary human beings. In this regard, these should be considered about spatial, time, economic, and physical access. Furthermore, for rising service access, social networks and service opportunities are absolute to be given for the handicapped. Then, continuous interest in service access and positive research are needed for using community resource, program approachability, and so on due to successive social integration for them. At this point, like physical conditions, social attitude, participation, and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them, etc would be thought as well.

      • 외국인재소자의 다문화감수성이 수용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정상규(Sang Gyu Jung)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0 교정사회복지연구 Vol.2 No.-

        대한민국의 교도소는 다인종 다문화의 다양화된 교도소문화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시대의 한국사회의 구성원 및 외국인 범죄의 증가는 질적인 측면에서 국내인 범죄 못지않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제 한국은 순수단일민족이 아니며 여러 민족과 인종이 때로는 용광로처럼 한국의 문화에 동화되고 샐러드보울처럼 민족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어울리는 다문화주의 사회이다.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과 더불어 외국인범죄도 사회 환경 등의 이유로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며 다문화 시대에 부합한 외국인수용자에 대한 문화적 감수성, 수용만족도, 의사소통만족도등을 측정하여 외국인수용자의 다문화감수성이 수용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새로운 다문화주의 교정복지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Republic of Korea's prison, the prison culture, a melting pot of diverse forms of multiculturalism and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members of the Korea Society and the increase of foreign crime in terms of quality as good as guknaein crime has become a social problem. Now, Korea is not a pure single people sometimes multiple ethnic and racial melting pot culture of Korea as being assimilated into the salad bowl as a nation, while maintain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is Becoming multicultural society. With racial and cultural diversity of international crime is rising sharply due to the social environment is a situation consistent with the foreign audience about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cultural sensitivity, acceptance satisfac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by measuring the acceptance of foreign detainees and Life Satisfaction Influence of multiculturalism in the new welfare policy for campus issues and research are needed.

      • 심리적 계약 위반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동일(Dong-Il Chun)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1 교정사회복지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 위반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의 원활한 운영관리와 서비스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관점에 기반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경기 일원의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표집한 20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태도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탈 성향은 학력이 높은 집단이 대졸 이하인 집단 보다 높았고, 과장 이상의 직급자 보다는 평직원의 이탈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평직원 보다 과장 이상인 집단이 발언 성향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심리적 계약 위반과 직무태도와 관계를 살펴보면, 심리적 계약 위반에 대한 지각이 높아질수록, 이탈 성향과 무시 성향은 늘어나며, 발언성향은 줄어들었다. 셋째,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탈 성향에 대해서는 학력, 직급, 계약 위반이 주요한 요인이며, 발언 성향에 대해서는 직급과 계약 위반이 영향을 미치며, 무시 성향에 대해서는 계약 위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계약에 대한 이해는 사회복지 조직의 과학적인 인사관리 방법 모색과 사회복지기관 운영관리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함의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사회복지 서비스 질의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workers' Attitude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 and workers' attitude in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workers, (2)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workers' attitude in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workers, (3)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employee toward the employee's attitud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nalysis with quantitative methods. To accomplish these goa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02 employees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ome out as follows; First, the workers' personal character of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employee was related with exit, voice, neglect of workers' attitude. Seco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perceived by employee's was related with exit, voice, neglect of workers' attitude. Thir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perceived by emplyees is the effect exit, voice, neglect of workers' attitude. But the loyalty has not been selected with psychological contract vialation of all. The findings can contribute to take proper measures of improving social service quality, of personnel management, and of effective point for policy making.

      • 교정시설 내 전문 『교정복지사』 도입에 관한 시론

        윤종우(Jong-Woo Yun)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4 교정사회복지연구 Vol.6 No.-

        이 논문에서는 교정시설 내 교정복지사 도입에 관한 시론적 연구를 시도 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 교정복지론에 대해 학계에서 논의된 것은 최근의 일이며, 교정 실무계에서도 아직 이렇다 할 교정 정책적 마인드의 부재현상을 엿볼 수 있다. 교정시설 내에 수용되어 있다는 이유로 교정복지 푸어(correctional welfare poor)에 처한 현상은 헌법상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서 보면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닐 것이라는 관점에서 연구의 틀을 유지 하였다. 교정직 전문 인력 채용방법을 보면, 경력경쟁채용 임용에서도 교정복지 내지 사회복지사 자격을 소지한 채용은 없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히려 무도, 방송, 외국어 등 행정관리 편의 주의적 채용분야가 비일비재하게 시행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21세기 복지국가로 나아가고 있는 오늘날 교정복지의 이념과 가치를 구현하고 추진하는 실무적 주체가 불모지대로 남아 있는 것을 타파해야 할 교정의 현실적 과제를 안고 있다. 교정현장에 교정복지사를 도입하여 제도적으로 교정복지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연구를 전개하였다. 우리나라 교정사 가운데 한 번도 시도하지 않은 교정복지사 제도를 이제는 체계적으로 인테이크(intake)할 시점에 와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남북한 대비에서도 우리가 ‘반교정복지’가 되지 않도록 유념을 요한다. 교정복지사 제도를 통하여 수형자의 재범방지, 교정교화와 사회복귀를 위하여 추진하는 것이 열린 교정이자 스마트한 교정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In this paper purpose is to try to study introduce correction social worker into the correctional facilities. Despite the importance that correction social worker introduction, be discussed in academic circles recently. The absence of a commitment to support or establish policy is not enough sympathy for them. The basis of this study is that everyone has right to a life worthy of human. It is not desirable for being prisoner can’t receive the benefits of social welfare. Recently, we have developed into a welfare state. However, it is not subject to implement and promote the ideals and values of the correction welfare. We have a real challenge to overcome it and as to do professional correction social worker introduce into the correctional facilities. I emphasize in this study that it is time to implement correction social worker system did not try even once in the domestic correction history. In order to promote the recidivism prevention, correctional and rehabilitation of prisoners that even those that would seek to open correction and smart correction by welfare system through correction.

      • 노인장기요양보험 현황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정수일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09 교정사회복지연구 Vol.1 No.-

        본 연구는 금년 7월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 실정에 맞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노인 비율이 유례가 없을 정도로 높아지고 있다. 얼마 되지 않아 확실하게 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황을 보면 우리나라는 독일과 일본의 예를 따라 독립사회보험 방식으로 제5의 사회보장보험식의 형태로 시행하였다. 급여의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서 노인성질병을 가진 자로 거동이 불편하여 장기요양이 필요한 자로 한정하며, 장기요양인정 판정을 받은 수급자에게는 등급에 맞추어 시설급여, 재가급여와 특별현금급여가 제공된다. 재원조달은 사회보험방식으로 보수의 몇 퍼센트를 보험료로 강제 징수하여 조달하며, 정부가 보험재정의 일정 부분을 부담하고 이용자도 일정부분을 부담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문제점을 보면 첫째 협소한 대상자로 제한되어 있고, 선정기준이 모호하다, 둘째 시설인프라의 구축의 불균형으로 이용이 불편하다, 셋째 전문 요양보호사 교육이 240시간으로 소양과 실습하기에는 너무 적으며, 숙달되지 않은 교육생들에게 1급 요양보호사 자격이 주어지고 있다, 넷째 본인 일부 부담률이 높아 차상위 계층의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등 미흡한 부분이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협소한 대상자를 넓혀 차상위 계층과 가족과 생활능력이 없이 생활하는 65세 이상노인들까지도 확대하여야하며 선정기준등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필요한 적재적소를 정확히 파악하여 시설을 설치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상자를 늘림으로 인한 재정 적자 등은 시설보다는 재가 서비스 혜택을 늘려 선택의 폭을 넓히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셋째 통합적 운영체계로 복합서비스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수준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관리하려면 요양관리사 제도를 두어 관리하여야하며, 다섯째 현재 복지비용을 줄이고 있으나 이를 더욱 더 확대하여 정부재정 비율을 높이고, 이용자의 부담률을 낮추며 차등적용 등이 필요하다.

      • 청소년상담실 프로그램이용 실태와 개선방안

        김영미(Young-mi Kim)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3 교정사회복지연구 Vol.5 No.-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problems there are in the operations of youth counseling centers. The second part was to outline a plan that will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se youth counseling center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opin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used the counseling centers. It examined their thoughts about normal problems faced in life, their mental state, their use of counseling centers, and their ideas for improvements to the counseling centers. In this study one hundred and sixty-five (165) students were surveyed. They wer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program of the youth counseling centers in In-cheon. Eighty-three (83)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 and eighty-two (82) were female. There were forty-one (41) middle school students, seventy-five (75)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nd forty-nine (49)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quantify the data collected, the ANOVA Verification program with SPSS Win12.0 software was used to verif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ques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First, the youth counseling centers need to become an autonomous entity. They need to be allowed the freedom to create and maintain different counseling programs to suit the needs of the community in which they are located. The counseling centers also need to create long term goal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nditions in their unique community. Second,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counseling facilities andthese facilities are staffed by unqualified counselors. Instead of expecting ideal effects from counseling according to counseling theory, the present situation needs to be changed. More counseling facilities should be built. These facilities should select, train, and place more qualified counselors. With these change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counseling will improve and the effects of counseling will be greater. Third, a consistent method of evaluation needs to be developed. Regularly evaluating the operation of the youth counseling centers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unseling centers operations. The centers should be evaluated in several different aspects. These are recruitment of volunteer workers, training of their workers, the management of the centers, the contributions of the centers to their communities, and the benefits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receive. Fourth, students who had problems with their friends, sex, and money showed a high rate of using the youth counseling centers. The frequency of these problems is low because their school grades and their future career are the two biggest problems teenagers face. However, students who do have problems with friends, sex, and money used and received positive results from the youth counseling centers. Actually, there were two groups of students who used the youth counseling centers. The first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family and home life. The other group ha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family and home life. The first group, with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needed to be counseled about studies, grades, and what career to choos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The other group needed to be counseled about friends, the opposite sex, trouble with their parents, etc. Especially consistent problems the students had were shown to be worried about school courses, grades, and their future careers. These concerns also gave them problems related to their friends. Students who had trouble with their parents and financial difficulties wanted to solve their problems needed counseling about potential capacities and their course of action. Therefore, counselors need to have different counseling plans based on the student’s family financial level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friends.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이용경험이 있는 학교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생활과 심리상태 그리고 상담실의 이용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해 그들의 의견과 생각을 살펴봄으로써, 상담실 운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청소년상담지원센터의 상담프로그램을 이용한 학교의 중학생 41명, 인문계고등학생 75명, 실업계고등학생 49명 등 총 165명(남자83명, 여자82명)이었다. 수집된 설문지에 대한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별 빈도 및 백분율, 각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는 ANOVA 및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차지단체의 흐름에 맞게 지역차원의 청소년상담지원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내의 여건과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들의 요구에 기초하여 자율적이고 특성적인 사업을 개발하고 자치단체별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장기적 목표와 비전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상담실의 개선을 위해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상담실을 쉽고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는 곳에 설치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상담실의 공간과 시설을 편안하고 안락하게 만들어 줄 것’, ‘상담실의 수를 증가시켜 줄 것’에 대해 요구하고 있다. 상담실의 위치가 집근처나 학교근처, 시내 등 물리적으로 가까울수록 청소년이 좀 더 쉽게, 많이 이용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시 말해, 청소년상담실은 누구나 어디에서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생활공간으로 확대ㆍ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그들에게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상담실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운영 평가기준을 개발하여야 한다. 상담실 운영에 있어 평가 시 대형 프로그램과 형식적으로 눈에 보이는 서류만이 아니라, 자원 활동 자 발굴, 양성, 관리의 측면과 지역사회 기여도 및 공익성을 함께 평가하여야 한다. 지역주민의 자원 활동 참여는 지역중심으로 청소년상담실을 운영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활성화 방안이다. 넷째, 친구갈등, 성과 관련된 문제, 경제적인 곤란함 등을 가장 큰 고민거리라고 꼽은 집단에서 상담실 이용경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물론, 청소년들의 주된 고민거리 1, 2 순위가 성적과 진로문제이기 때문에, 친구나 성과 관련된 문제들의 절대적인 빈도는 낮지만, 친구문제나 성에 대한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는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상담실을 활용해왔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상담실을 이용했던 학생들 중,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집단 평균보다 높은 집단의 학생들은 학업과 진로 문제를 상담하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평균 이하의 집단에서는 친구, 이성, 부모 갈등 문제 등을 희망하고 있다. 특히, 이들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가장 중요한 고민과 상담희망 사항을 교차분석한 결과 이들의 문제거리는 대단히 일관된 것으로 보여 진다. 즉, 진로와 성적에 대해 고민하는 학생들은 학업과 진로 문제를 상담할 것을 희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친구 문제와 결부되어 학생들에게 연관된 고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가정불화는 부모 갈등 문제로, 그리고 경제적인 곤란함은 자신의 잠재능력을 확인하고 싶거나 진로문제를 상담함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를 보여준다. 따라서 상담자는 청소년의 가정 경제 수준이나 부모와의 관계․교우관계 등에 따라 상담 전략을 차별화 시킬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老人長期療養保險 制度의 實施에 따른 敎會老人福祉 活性化 方案 硏究

        李振容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09 교정사회복지연구 Vol.1 No.-

        인간은 신분, 직업, 연령, 신체적, 정신적 건강, 경제적 지위 등의 어떤 면에서도 차별을 받지 않는 인간적인 권리로서의 존엄성(dignity)이 존중되어야 한다. 비록 노인이 신체적 질병이나 정신적 장애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들의 존엄성과 개별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나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되 각각 개성이 존중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모든 노인에게는 권리와 책임이 수반됨으로 노인복지법에서는 노인은 국가 및 사회 발전에 기여해 온 자로서 존경을 받으며 건전하고 안정된 생활을 보장받아야 하며, 능력에 따라 적당한 일에 종사하고, 사회적 활동에 참여 할 기회를 보장받고,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그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인복지법이 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요즘 노인 문제 중 노인 학대가 사회 복지적 과제로 대두하고 있으며, 결국 노인 학대 방지법이 입법화 되었으며, 노인에 대한 문제 및 과제로 노인 부양 문제, 노인 퇴직 문제, 노인 고용 문제, 노인 여가 활동 문제, 노인 요양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장기 요양 보험법을 제정, 실시에 따른 교회 노인복지 활성화 방안을 연구, 제시하여 교회가 노인복지 및 사회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는 노인복지형 교회 목회를 제안하고자 한다. 교회 노인복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노인복지를 위한 교회에서의 목회적 역할로 교회가 현 사회의 니드(need)를, 특히 노인 장기 요양 보험 제도를 중심하여 교회 노인복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노인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수련(Su-Lyon Seo)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09 교정사회복지연구 Vol.1 No.-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ged c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social role forfeiture and solitary through the social volunteer activities and could achieve the life satisfaction. The methodology is to use survey template to the 536 older person 60 years old who are participating the volunteer program at the nationwide welfare institute for the old aged. 10 questionnaire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fter the volunteer activities has been asked and analyzed by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As a result,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gender, age, an academic background, relig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But there are certain degree of relations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many parameters such as positive value of the self, comfort of life, happiness, self attainment, future expectation, and positive acceptance of the reality, satisfactions, social self value, and physical health. The interesting point here is the aged shows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fter volunteer activities even he or she is jobless or not in a good health conditions. Conclusion : Throughout this study, we could find out the very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volunteer activities of the aged. First, the linkage between the welfare institutes and community should be politically guaranteed to expand the activities. Second, the emotional support program is required for the solitary aged or monthly rent volunteers to continue the volunteer activity. Third, the administrative care for the education and maintaining the healthy should be provided to the aged considering physical aging. Fourth, the supporting structure for the paid service program is required to help the low income or indigent aged volunteers. Fifth, the mid and long term utiliz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fter we understand the their precious job. 이 연구는 노인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사회적 역할상실이나 고독의 문제를 극복하여 생활만족(Life Satisfaction)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전국의 노인복지관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60세이상의 노인 536명에게 질문지 방법을 사용했으며 자원봉사활동 이후 노인의 생활만족도 관련 10개 문항으로 조사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연령, 학력, 종교는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긍정적 자아의 가치, 삶의 편안감, 행복감, 자아 성취감, 미래에 대한 기대, 긍정적 현실수용, 만족감, 사회적 유용감, 심리적 건강에 대해 자원봉사활동 이후 생활만족도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을 통해서 사회적 역할이 회복되고 심리적 만족과 삶의 활력을 되찾았음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노인이 무직이거나 건강이 매우 나쁜 상태에도 자원봉사 이후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제시된 부분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향후 노인자원봉사활동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가 발견되었다. 첫째, 노인자원봉사활동은 고학력 노인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노인복지관 내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활동 영역을 넓혀 갈 수 있도록 연계망이 정책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혼자 살거나 월세를 사는 노인자원봉사자들을 위해 봉사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의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현재 60~70대 노인자원봉사자들이 80대에도 활기차게 자원봉사활동을 지속 할 수 있도록 건강유지교육이나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넷째, 저소득이거나 빈곤한 노인 자원봉사자를 위해 유급봉사 프로그램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현재직업이 있으면서 봉사하는 노인에게 기관과 노인이 봉사활동의 스케쥴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자원봉사이후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이전직업과 관련이 있을 때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전조사와 함께 중장기적인 활용 프로그램 설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