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송징 전설의 형성 과정과 계열 분화에 관한 연구 -장도 당제 계열과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에 나타난 송장군 전설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권도경 ( Do Kyung Kw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0 No.-

        본 연구는 송장군 전설과의 다층적인 관계에 대한 면밀한 고려를 바탕으로 송징 전설의 형성 및 분화, 전승 과정의 다기한 맥락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호국신사?사현 계열에 관한 기존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고에서는 강한 구비 전승력과 풍부한 서사성을 보여주는 장좌리 장도 당제 계열과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을 중심으로 송징 전설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계열분화의 역사적 배경, 서사 구조적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송징 전설의 장좌리 장도 계열은 송징이 그 부하 엄장군이 배신하여 침입해 들어오자 까투리로 변신하여 까투리섬으로 도망갔는데, 엄장군이 쏜 화살에 맞아서 죽었다는 이야기, 장도를 중심으로 한 토착 해양세력이 인근의 내륙 혹은 도서 지역에 존재한 다른 해양세력과 대결을 벌이다 한 쪽이 패망한다는 서사구조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호국신사?사현 계열의 그것과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장도 계열의 송징의 신화적 능력이 호국신사?사현 계열의 선사자(善射者) 상징이 아니라 변신술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두 계열의 송징 전설이 각기 다른 특수한 역사적?서사적 맥락 하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신 장도 계열에서 선사자는 엄목으로, 그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이야기의 서사구조는 송징의 그것과 유사하다. 엄목 전설은 가용리의 엄나무 수목신앙이 완도 일대 장수 전설과 결합되면서 의인화 된 것으로, 송징 전설의 장도 계열은 바로 이 엄목 전설을 수용하여 재맥락화 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엄목 전설의 수용은 송장군 전설이 장도 당제 전설로 구체화 하면서 송징 전설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송징 전설의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은 완도 일대의 송장군 전설이 완도에 입도한 고려조 삼별초 송장군 전설과 결합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도리와 달도리를 제외한 완도군 대부분의 송징 당제가 모두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달리 장좌리는 송장군 당제가 고려장사 송징 당제로 일차 변이한 후에 고려조 삼별초 송장군의 완도 입도라는 사건과 함께 고려장사 송징 당제가 다시 삼별초 송징 장군 당제로 이차 변이하는 복합적인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억령이 15세기에 창작한 ?송대장군가?와 ?송장군?은 고려 말 삼별초 송징 장군, 고려 장사 송징, 호국신사의 주신 송징, 사현 유래담의 주인공인 완도 토착민 송징, 장좌리 장도?중도리?화개리?대구미?부흥리?대신리?대야리?고마리?사후리?군내리 당제의 주신인 송징 등을 포함하여 완도군의 해양세력인 송장군, 고려말 삼별초 송장군, 정도리 당제의 주신인 송대장군, 달도리 당제의 주신인 송대할머니, 송대장골?송대목?송대여 등의 지명 유래담의 주인공인 송대장군 전설을 모두 취합한 종합 판으로, 송장군이란 명칭이 항상 고려 말 삼별초 송징 장군으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고려말 삼별초 송징 장군 전설 속에서 그 주인공은 항상 송장군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적어도 고려만 삼별초 송징 장군 전설 내에서 만큼은 송장군과 송징 장군이 유연하게 오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course that the Songjing legend is formed and differentiated into the lower fac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e various intricacies of the fomational or differentiational, traditional course in Songjing legend,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for the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Songjanggun(宋將軍) legend. This study classified Songjing lengen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The second type is the Jangdo(將島) sacrifice fraction in Jangjwari(將坐里). The third type is the Goryeo(高麗) Sambyolcho(三別抄) general fraction. Among these, beforehand make clear that the analysis about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on the basis of the preexistent study of the author. The Jangdo(將島) sacrifice fraction in Jangjwari(將坐里) of the Songjing lege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showing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one is defeated against the other, after the native ocean forces in Jangdo stands face to face with the other ocean forces in the neiborhood. But we can know that these two fractions of Songjing lengend is formed in the different intricacies historicaly or narratively. I guess that the Goryeo(高麗) Sambyolcho(三別抄) general fraction of the Songjing legend is formed, as Songjanggun legend in the neighborhood of Wando(莞島) combines with the legend about Sambyolcho(三別抄) general who walks in Wando in Goryeo dynasty. This study brings to a conclusion that in Jangjwari, the course of transition of Songjing legend is exsist complexly. I guess that after firstly Songjanggun legend in Jangjwari changes into the Goryeo muscular man, Songjing legend, secondly the Goryeo muscular man, Songjing legend chages again into Sambyolcho(三別抄) Songjing general legend as Sambyolcho(三別抄) general who walks in Wando in Goryeo dynasty.

      • KCI등재

        17세기에 의례화된 송대장군

        최종성(Choi, Jong 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송징, 송장군, 송대장군 등의 담론과 실천은 전남 완도에 집중되고 있으며, 자료상 탈-완도의 가능성도 높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인조 7년(1629) 소위 이충경 옥사를 기록하고 있는 의금부의 재판기록인 ??역적이충경문서(逆賊李忠慶文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자료)를 통해,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등 한반도 중북부에서 의례화되었던 송대장군을 만나게 된다. 이충경을 비롯한 해서 및 관서 지역 출신의 하층민들은 상경거사(上京擧事)를 실행에 옮기기 전에 최영 및 남이와 더불어 송대를 모시는 장군제를 비밀리에 거행하였다. 『역적이충경문서』에 자주 등장하는 최영, 남이, 송대 등 3장군의 의례야말로 그간 송징 자료의 공백기로 남아 있는 17세기의 틈을 메워줄 뿐만 아니라 완도 중심의 편중성을 덜어주는 좋은 소재가 아닐 수 없다. 15세기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서 송징은 호국신사의 신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16세기 『석천집』에서는 지역의 민중영웅으로서 송대장군이 유자들의 비웃음 속에서 소박한 무당굿을 흠향하는 신령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17세기 『역적이충경문서』에서는 상경거사를 획책하는 사회적 약자들 속에서 반왕조를 원조하는 장군신으로서 송대장군이 의례화되었다. 3세기에 걸친 편린들 속에서 괴력과 비극을 겸비한 송대장군의 종교적 힘과 그 발산을 확인할 수 있다. 민중들의 종교적 상상력과 감수성은 적장(敵將)도 역장(逆將)도 그리고 또 다른 적장(賊將)마저도 호국신사(護國神祠)의 주인으로, 때론 위민(爲民)의 영웅신으로, 급기야는 반왕조의 희망을 지지하는 신령으로도 전략화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하였음을 실감하게 된다. It is reported that the folktales and rituals related to Song Jing(宋徵), Song Janggun(宋將軍, General Song), and Song Daejanggun(宋大將軍, Great General Song or General Song Dae) are only in the neighborhood of Wando Isl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17<SUP>th</SUP> century ritual to general Song Dae in central and northern inland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State Tribunal Report on Rebel Yi Chung-gyeong’s Cabal (逆賊李忠慶文書). Yi Chung-gyeong and his followers sacrificed a horse to God, hanging three portraits of generals Choe Yeong, Nam Yi, and Song Dae(Song Jing) in Anbyeon, Hamgeong Province. The naratives of Song Da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first two. It is believed that they accomplished the heroic merits while alive, but got a wrongful death from their political opponents. This contradiction between good deed and false charge is used efficiently to maximize their own religious power. Yi Chung-gyeong’s cabal recognized three generals as the powerful deities, and also ritualized general deities for their rebellious dreams.

      • KCI등재

        송징 전설의 범주 규정 및 계열 분류와 당제 유래전설의 서사원형 고찰

        권도경(Kwon do-k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7 No.-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안 도서 지역의 대표적인 인물 전설인 송징 전설을 대상으로 유형 범주 규정 및 계열 분류, 서사의 원형적인 내러티브 분석과 재구성을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와 차별화되는 본 연구의 주안점은 송징 전설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남해안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지역 전설인 송장군 전설과의 : 관련양상 속에서 존재하며, 이 송징 전설은 특정한 지리적역사적ㆍ신앙적ㆍ특수성과 관련하여 구체화된 한 하위 유형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즉 송징 전설은 송장군 전설과의 상호 작용속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며, 송징 전설 속에는 이러한 송장군 전설과의 관계도 속에서 다기한 세부 계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 하에서 송징 전설의 범주를 규정하고 그 하위 범주를 세분화 하는 동시에, 송징 전설 내부에 존재하는 하위 계열의 존재양상과 특징을 드러내는 계열도를 구체화 할 수 있었다.<BR>  우선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및 관련 자료 속에서 송징 전설로 거론되어 온 텍스트를 수집ㆍ정리한 후에 각각의 범주를 규정하였다. 이러한 범주 규정 과정에는 송징 전설과 송씨 성을 가진 인물 전설 사이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였다. 다음으로 송징 전설의 범주화와 작업을 바탕으로 하여 송징 전설 내부에 존재하는 하위 계열을 분류하였다. 이 계열 분류는 송정 전설의 형성 및 전승 과정상에 나타나는 유형적 보편성과 역사적ㆍ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바탕 위에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사적인 층차를 보여주는 송징 전설 속에 나타나는 원형적인 서사구조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송징 전설의 형성 및 전승 과정 속에서 반복되는 내러티브의 원형을 추출하고 재구성해보았다.   This study provided the category and classified the patterns, analyzed and reconstructed archetype-narrative structure in Song-jing legend, representative individual-legend among island regions in west-south seasides. The point of this study being discriminated against the preexistent studies is what not solitary exeist is Song-jing legend isn"t solitary exeist, but is exeist in relation to Song-jang-gun lendgend, regional legend that is transmitted widespreadly in west-south seasides and this Song-jing legend is exist as type in a lower rank that is concretizd in relation to distinctive facts geographicaly, historicaly, religiously. That is what Song-jing legend was built up in interactions with Song-jang-gun legend and it is constituted with the particular parts that is making relation as various aspects.<BR>  Being based on these sense of sights,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category of Song-jing lendgend and classify the lower patterns, besides could concretize the network-map appearing existent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part in Song-jing legend.<BR>  Firstly, this study classified each patterns after gathered and arranged all texts that have mentioned as Song-jing legend in the preexistent studies and the related datum. In these course of providind category, this study considered positively the rel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Song-jing legend and legend of chracters having the surname calling "Song".<BR>  Secondly, this study classified the lower patterns in Song-jing legend based on the work categorizing Song-jing legend. This study proceeded the work of classification of the lower patterns on the basis that considered the resionalㆍhistorical distinctiveness and typical universality appearing in the course of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Song-jing legend.<BR>  Finally, this syudy examined the chracteristics of the archetype-structure appearing as different aspects in Song-jing legend. This study drew out and reconstructed the archetype of narrative-structure being repeated in the course of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Song-jing leg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