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냉전과 소련군기념비

        정근식(Keunsik Jung)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5 No.1

        중국 동북지방과 북한에는 다양한 유형의 소련군기념비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 기념비들의 대부분은 1945년부터 1957년까지 세워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역사적 시간과 기념의 시간의 질서를 검토하고, 이들의 의미의 변화를 밝히며, 나아가 소련군기념비가 중국과 북한의 기념문화에 미친 영향을 동아시아 냉전문화 연구의 맥락에서 질문하고 있다. 초기 소련군기념비는 ‘해방’과 ‘추모’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지만, 1950년대 중반에는 ‘전승’과 ‘우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이들은 한국전쟁 이후에 북한과 중국에 세워진 전쟁기념비들에 영향을 미쳤다. 냉전기에 발생한 소련과 중국의 갈등, 북한의 주체사상은 동북아시아에서의 소련군기념비들의 역사적 중요성을 약화시켰으나, 탈냉전과 함께 소련군기념비는 동유럽과는 달리 국가 간 우호와 협력을 확인하는 역사적 기억의 터로 재활성화되고 있다. There are so many soviet army monuments in Northeastern China and North Korea. Most of them has been constructed during 1945 and 1957. This paper examines, first, the historical and commemorational times and the change of significance of them, second,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soviet monument culture on Chinese and North Korean memorial culture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Cold War studies. The early soviet army monuments were ascribed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mourning, but, the later monuments were distinguished by the victory and friendship around the pullout of the soviet army from Dalien. The monument culture of soviet army gave a model of commemoration culture in two countries including the victory and friendship tower. The emergent conflict between the USSR and the PRC as well as North Korea’s Juche doctrine, both emasculated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monuments in Northeastern Asia, but the end of the Cold War has been those revitalized as the site of the collective memory of cooperation and friendship, unlike their counterparts in Eastern Europe.

      • KCI등재

        1945년 “8월의 폭풍”과 1991년 “사막의 폭풍”: 붉은 군대의 만주 전역과 미군의 이라크 전역의 유사성 분석

        류한수(Lyu, Han-su)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소련군이 1945년 8월에 만주의 일본 관동군을 상대로 실시한 만주 작전과 1991년 2월에 미군을 비롯한 다국적군이 이라크군을 상대로 실시한 “사막의 폭풍” 작전의 유사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여러 면에서 두 작전은 매우 유사하다. 소련군은 소련 극동전구에 배치된 모든 군사력을 총지휘하는 극동사령 부를 조직해서 통합된 전구사령부의 지휘 아래 작전을 수행했다. 미군은 전구사 령부인 미중부사령부를 통해 작전을 지휘했다. 소련군의 기본 작전은 관동군의 방비가 가장 허술한 다싱안링 산맥과 고비 사막에 작전술적 기동부대를 투입해 주공을 펴고 만주 동부와 북부에서 조공을 펴서 관동군을 만주에서 포위해 섬멸 하는 것이었다. 미군의 기본 작전은 작전술적 기동부대가 이라크군 방비가 허술한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국경 지대에서 주공을 펴고 쿠웨이트에서는 해병대가 조공을 펴서 이라크군 주력을 쿠웨이트 전구 안에서 포위하는 것이었다. 소련군은 대대적 기만을 실시해 일본군이 소련군의 병력배치 상황을 오판하도록 유도했 다. 미군은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국경에서 공격을 하지 않고 페르시아 만에 상륙할 것처럼 이라크군을 기만했다. 공격이 개시되자 소련군의 주공 부대는 다싱 안링 산맥과 고비 사막을 넘어 관동군을 기습했고, 조공 부대도 적군을 고착시켜 만주 중부에서 관동군을 포위할 토대를 마련했다. 작전이 개시되자 다국적군의 주공을 맡은 작전술적 기동부대는 고속 전진하며 이라크군을 에워쌀 포위망을 구축했고 조공을 맡은 해병대는 쿠웨이트시티를 공격했다. 두 작전 모두 육군, 공군, 해군의 효과적 제병협동이 역할을 했다. 요컨대, 전구사령부를 구성하고 주공축선을 험지로 정하고 적극적 기만 작전을 수행한 뒤에 공격을 감행했다는 점에서 두 전역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이 유사성은 우연이 아니다. 미육군 지휘 참모대학 고등군사연구원에서 소련군의 군사 이론을 학습하면서 작전술을 터득 했던 미군 참모장교들이 “사막의 폭풍” 작전을 기획했다는 사실, 그리고 이 작전의 기획 과정에서 이 장교들이 자기들에게 작전술을 가르쳤던 소련군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의견을 교환했다는 사실에서 두 전역의 유사성이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oviet campaign against the Japanese Kwantung army in Manchuria in August 1945 and the operation “Desert Storm” carried by the U.S. forces against the Iraqi army at the Gulf War in 1991. In many ways the latter bore a striking resemblance to the former.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Red Army placed all the forces of the theater of the Far East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Far East Headquarters, which launched the coordinated operations against the enemy. In the Gulf War all the operations of the U.S, forces were coordinated by the theater headquarters, the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In its Manchurian campaign the basic operation planned by the Red Army was that the main attack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operational maneuvering forces through the Greater Khingan Range and the Gobi Desert defended weakly by the enemy and the supporting attack be carried out in the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of Manchuria. In the Gulf War the basic operation planned by the U.S. Central Command that the main attack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operational maneuvering forces at the Saudi-Iraq border defended weakly by the enemy and the supporting attack be carried out by the Marine Corps in Kuwait. Before the full-scale campaign the Soviet army launched the massive deception operations to induce the Kwantung army to misread its strategic intentions. For the Iraqi army to be deceived, the U.S. forces pretended to launch their main attack not in the Saudi-Iraq border but in the Persian Gulf. In both campaigns a great role was played by the efficient combined arms of the army, the navy, and the air forces. In a nutshell, the two campaigns shared the similaritie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the theater headquarters, the tendency to select the harsh terrains as the main attack axis, and the massive deception operations followed by the main attacks. Such similarities are more than a coincidence. The operations of the Gulf War were planned by “the Jedi Knights”, those U.S. military staff officers who had been taught the Soviet military theories and the operational art by their mentors, a batch of scholars majoring in the military history of the Soviet army at the School of Advanced Military Studies, th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at Fort Leavenworth. In the stages of panning the military strategies and operations, moreover, the “the Jedi Knights” kept in touch with their mentors, who gave advice to their apostles.

      • KCI등재

        1945년 “8월의 폭풍”과 1991년 “사막의 폭풍”: 붉은 군대의 만주 전역과 미군의 이라크 전역의 유사성 분석

        류한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6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oviet campaign against the Japanese Kwantung army in Manchuria in August 1945 and the operation “Desert Storm” carried by the U.S. forces against the Iraqi army at the Gulf War in 1991. In many ways the latter bore a striking resemblance to the former.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Red Army placed all the forces of the theater of the Far East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Far East Headquarters, which launched the coordinated operations against the enemy. In the Gulf War all the operations of the U.S, forces were coordinated by the theater headquarters, the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In its Manchurian campaign the basic operation planned by the Red Army was that the main attack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operational maneuvering forces through the Greater Khingan Range and the Gobi Desert defended weakly by the enemy and the supporting attack be carried out in the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of Manchuria. In the Gulf War the basic operation planned by the U.S. Central Command that the main attack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operational maneuvering forces at the Saudi-Iraq border defended weakly by the enemy and the supporting attack be carried out by the Marine Corps in Kuwait. Before the full-scale campaign the Soviet army launched the massive deception operations to induce the Kwantung army to misread its strategic intentions. For the Iraqi army to be deceived, the U.S. forces pretended to launch their main attack not in the Saudi-Iraq border but in the Persian Gulf. In both campaigns a great role was played by the efficient combined arms of the army, the navy, and the air forces. In a nutshell, the two campaigns shared the similaritie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the theater headquarters, the tendency to select the harsh terrains as the main attack axis, and the massive deception operations followed by the main attacks. Such similarities are more than a coincidence. The operations of the Gulf War were planned by “the Jedi Knights”, those U.S. military staff officers who had been taught the Soviet military theories and the operational art by their mentors, a batch of scholars majoring in the military history of the Soviet army at the School of Advanced Military Studies, th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at Fort Leavenworth. In the stages of panning the military strategies and operations, moreover, the “the Jedi Knights” kept in touch with their mentors, who gave advice to their apostles. 이 글의 목적은 소련군이 1945년 8월에 만주의 일본 관동군을 상대로 실시한 만주 작전과 1991년 2월에 미군을 비롯한 다국적군이 이라크군을 상대로 실시한 “사막의 폭풍” 작전의 유사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여러 면에서 두 작전은 매우 유사하다. 소련군은 소련 극동전구에 배치된 모든 군사력을 총지휘하는 극동사령부를 조직해서 통합된 전구사령부의 지휘 아래 작전을 수행했다. 미군은 전구사령부인 미중부사령부를 통해 작전을 지휘했다. 소련군의 기본 작전은 관동군의 방비가 가장 허술한 다싱안링 산맥과 고비 사막에 작전술적 기동부대를 투입해 주공을 펴고 만주 동부와 북부에서 조공을 펴서 관동군을 만주에서 포위해 섬멸하는 것이었다. 미군의 기본 작전은 작전술적 기동부대가 이라크군 방비가 허술한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국경 지대에서 주공을 펴고 쿠웨이트에서는 해병대가 조공을 펴서 이라크군 주력을 쿠웨이트 전구 안에서 포위하는 것이었다. 소련군은 대대적 기만을 실시해 일본군이 소련군의 병력배치 상황을 오판하도록 유도했다. 미군은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국경에서 공격을 하지 않고 페르시아 만에 상륙할 것처럼 이라크군을 기만했다. 공격이 개시되자 소련군의 주공 부대는 다싱안링 산맥과 고비 사막을 넘어 관동군을 기습했고, 조공 부대도 적군을 고착시켜 만주 중부에서 관동군을 포위할 토대를 마련했다. 작전이 개시되자 다국적군의 주공을 맡은 작전술적 기동부대는 고속 전진하며 이라크군을 에워쌀 포위망을 구축했고 조공을 맡은 해병대는 쿠웨이트시티를 공격했다. 두 작전 모두 육군, 공군, 해군의 효과적 제병협동이 역할을 했다. 요컨대, 전구사령부를 구성하고 주공축선을 험지로 정하고 적극적 기만 작전을 수행한 뒤에 공격을 감행했다는 점에서 두 전역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이 유사성은 우연이 아니다. 미육군 지휘참모대학 고등군사연구원에서 소련군의 군사 이론을 학습하면서 작전술을 터득했던 미군 참모장교들이 “사막의 폭풍” 작전을 기획했다는 사실, 그리고 이 작전의 기획 과정에서 이 장교들이 자기들에게 작전술을 가르쳤던 소련군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의견을 교환했다는 사실에서 두 전역의 유사성이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소련군과 영미군의 작전 수행방식의 비교: 유럽의 1944년 여름-가을 전역

        류한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5 No.-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military campaigns of 1941 implemented by the Soviet army and the Anglo-American army and compare both armies’ ways of war. In the Western world there was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 Operation Overlord and underestimate the Operation Bagration. In the similar vein the Anglo-American army was characterized as being effective in implementing the military operations, whereas the Soviet one as being clumsy and unskillful. A closer scrutiny reveals that such an image was just fictional. In the interwar period the Soviet army invented the idea of operational art and the theory of deep operation. In contrast to it the American army failed to develop any significant military doctrines and continued to prefer attrition warfare based on the enormous industrial power of USA. Due to the experiences in World War I, moreover, either British army or the American army had a strong tendency to evade being outflanked by their enemy. In mid-1944 the Soviet army succeeded in crushing the three German army groups within three months by implementing the deep operations based on its military doctrines invented in the interwar period. At the virtually same time the American army and the British army invaded the Normandy in June 1944, and yet they did not overcome the German resistance speedily and took two months to advance inland. In Falaise, moreover, they failed to crush the enemy’s main forces. It was not the end of December 1944 until the Allied armies broke out of the stalemate in the Western front. Their bad performanc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ors as follows: firstly, their tendency to prefer the attrition warfare and to evade the mobile warfare; secondly, their obsession with supplies; thirdly, a lack of the co-ordination between the Allied armed forces; and finally, some limitations to the competence of the theater commands. 이 글의 목적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군과 영미군의 1944년 후반기 전역을 살펴보면서 소련군과 영미군의 작전 수행 양상을 비교하는 것이다. 영미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비해 소련군의 대공세는 제대로 주목받지 못해왔다. 영미군은 기민하게 작전을 수행하는 효율적 군대로, 소련군은 인력과 물자의 우위만으로 작전을 서툴게 수행하는 비효율적 군대로 기억된다. 이러한 인식은 최근의 연구로 허상이었음을 드러난다. 전간기에 소련군은 작전술 개념과 종심작전 이론을 개발했지만, 그렇지 못한 미군은 산업 능력에 바탕을 둔 소모전을 선호했다. 제1차 세계대전의 경험 때문에 영미군에게는 돌출된 진격과 측방 노출을 회피하는 경향이 강했다. 소련군은 1944년 6월부터 종심작전으로 석 달 만에 독일군 3개 집단군을 포위섬멸하는 데 성공했다. 노르망디에 상륙한 영미군은 프랑스 내륙으로 전진하는 데 7주를 소요했고, 팔레즈에서는 독일군 주력을 섬멸하지 못해서 연말까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영미군의 불충분한 성과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작용했다. 첫째, 소모전을 선호하고 기동전을 기피하는 경향. 둘째, 군수보급에 관한 집착. 셋째, 집단군 및 동맹군 사이의 조율 난조. 넷째, 전구사령부의 권한 부족.

      • 소련의 체제적 목표와 소련군행정청의 대소련점령지역(동독)‘교육개혁’(1945-1949)

        윤용선(Yun, Yong-Se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소련점령지역 시기(1945-1949)는 동독의 역사에서 훗날 동독 사회의 토대가 마련된 중요한 시기로 평가된다. 나치체제의 붕괴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체제를 모색하던 소련점령지역에서 최고통치기구 역할을 수행한 소련군행정청은 전면적인 사회개혁을 추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소련군행정청이 추진한 사회개혁은 사회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고 있었으며, 개혁에는 당연히 교육도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치들은 다른 분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훗날 동독 교육제도의 근간이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당시 이루어진 소위 ‘교육개혁’에 있어서 소련의 역할, 영향, 의도 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소련군행정청이 교육정책에 참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여기에서는 무엇보다도 소련군행정청이 개혁을 추진한 기구와 인력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과정과 양자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은 초기 ‘교육개혁’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소련 망명인사들로 구성된 소위 ‘울브리히트 그룹’과 소련군행정청의 긴밀한 협조 하에 이루어짐으로써 소련의 의도를 충실하게 반영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처럼 교육정책이 소련의 통제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점령지역에서 이루어진 초기 교육제도의 변화는 사회주의적 혹은 스탈린 주의적 색채를 드러내지 않았고 오히려 바이마르 시대의 자유주의를 연상시켰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독일의 사회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부르주아 계급의 지지를 의도했던 소련의 대독일 정책과 관련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련군행정청이 교육 분야에서 행한 최초의 정치적 개혁은 ‘탈나치화’ 작업이었다. 교사의 대량해고와 교과내용의 전면적인 개편의 형태로 나타난 ‘탈나치화’ 작업은 같은 시기 독일의 서부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작업은 어느 모로 보나 소련점령지역의 민주화의 일환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소련의 ‘위장 민주주의’는 동서냉전이 가시화되던 1947년경부터 점차 가면을 벗기 시작했으며, 그로 인해 교육 역시 소비에트화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다. 교과내용과 형식은 스탈린주의가 절정에 달했던 1930년대 소련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채워졌다. 아울러 학교에서는 이제 민주주의 보다 사회주의가 강조되었으며, 교육의 공간에서 제기되는 일체의 자유주의적 요구는 즉각적이고 엄격한 탄압을 받았다. In the history of the GDR, the period of the Soviet occupation era of Germany(1945-1949) is often considered as a time in which the bases of the future eastgerman society are founded. In the Soviet Occupation Zone(SBZ), sought after the breakdown of the national-socialistic dictatorship after a new social system, the Soviet Military Aministration in Deutschland(SMAD) as the top administration-organ drove an extensive reform, including the educational reform. The educational policies turned into the future educational-frameworks of the GDR like the political measures in other area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 effect and motivation of the Soviet educational reforms of the SMAD in the SBZ. In the essay, one treats as well as the process, with which SMAD interfered into the education policy, as also circumstances between the SMAD and the German institutions. The present work concludes that educational reform in the SBZ took place under the narrow cooperation of the so-called ‘Ulbricht-Group’ and the SMAD, represented the Soviet interest consistently. Although the education policy stood in the SBZ under the Soviet control, it did neither look like the beginning socialistic nor stalinistic, but it rather reminded of the democratically oriented educational system of the Weimar Republic. The reason for this misrepresentation lies, above all, in the Soviet politics toward Germany right after the World War Two. The first political reform-politics of the SMAD took place in the SBZ was the so-called ‘Denazification’. Since similar ‘Denazification’ proceeded also in the west-part of Germany by the western Alliance, both educational politics appeared in much sense as one of the democratic measures to the all members of the Alliance. But the ‘Scheindemokratie(pseudo-democracy)’ of the Soviet Union exposed itself from 1947 as the Cold War began. Education and schools turned out into the suction of the Sovietization. Contents and Forms of Education in the whole resulted from the Soviet experiences that the Russians had done in the 1930s as the Stalinism had reached its climax. Then, socialism was emphasized more than democracy at school, and, as a result, all demands for democracy immediately met brutal prosecutions.

      • KCI등재

        전후 만철의 접수와 중국 동북철도의 재편

        임채성(Lim, Chais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4 No.-

        본고의 목적은 구 만철, 즉 중국동북철도를 대상으로 전후 만철이 어떻게 접수되어, 소련점령과 국공내전 가운데 재편되었는가를 밝힘으로써, 그것이 갖는 전후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패전시 만철은 소련군에 접수됨에 따라 중국 인의 자주적이고 정상적인 철도운영이 즉각 실현되지 못하고, 소련군의 만주점령과 만주산업 시설의 반출을 겪게 되었다. 접수과정 또한 극히 체계적이지 못하고, 각각의 지역에서 전황의 전개와 중국인의 대응방식에 의해 결정된 바가 컸 다. 전체적으로 중국인의 기술 및 관리능력은 낮았기 때문에, 소련군의 점령에서 국민당의 통치를 거쳐 공산당의 운영관리에 이르기까지 동북 철도의 운영을 위해서는 일본인의 기술과 관리 능력은 필수적이었다. 소련군의 철수와 더불어 국민정부가 진출하 였고, 1946년에서 47년에 걸쳐 동북행원을 중심 으로 철도운영을 하기 시작하여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주변부에 확실한 기반을 구축한 중공측이 반격에 나서자, 국부측의 철도망은 축소되었고, 결국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내전의 본격화에 대비하여 철도관리체제를 정비한 중공측은 군사작전에 철도를 우선적으로 동원하여 승전의 가능성을 잡았다. 바로 동북철도는 중공측에게 있어 만주라는 보급기지로부터 군수품을 공급하는 보급로였다. 내전승리 이후 동북철도의 사회주의적 철도 개조가 시작되었 다. 소련 전문가가 초빙되어, 일본인 유용자(留 用者)를 대신하여 사회주의 철도운영방식을 광범위하게 보급하였고 기술적 공백을 메워갔다. 이와 같이 전전 일본제국권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구 만철(중국동북철도)는 전후 에도 ‘신형철로’가 전중국에 전파되는 기술적 ‘원천’이 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the ways the South Manchuria Railway (SMR), i.e. the Northeast Railway of China, was requisitioned at the end of WW Ⅱ and was reorganized during the occupation of the Soviet Red Army and the Chinese Civil War, as well as to consider their postwar significance. As the SMR was requisitioned by the Soviet Red Army, China could not manage an independent and normal railroad service immediately, instead experiencing the Soviet occupation and the illegal transfer of Manchurian industrial facilities to the Soviet Union. However, due to the low level of Chinese technical and management ability, the Japanese were needed for the operation of the Northeast Railway of China from the occupation of the Soviet Red Army to the rule of the Kuomintang and the victory of the Communist Party. With the withdrawal of the Soviet Army, the Kuomintang Government began to manage railroads and achieved some results from 1946 to 1947. After the Communist Chinese Army launched a counterattack, there was no choice but to reduce and finally withdraw the railway network of the Kuomintang. The Communist Chinese Army organized the railroad management system as a supply route and grabbed at a chance for a war victory. Indeed, the Northeast Railway of China was the logistic network that supported the conduct of operations initiated by the Communist Chinese Army in the south of Shanhaiguan. The Northeast Railway of China, which had the highest level of technology among all prewar Japanese railways, was used as the “source” for a new type of railways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2차대전 종결 전후 뤼순(旅順)·다롄(大連)의 특수지위와 중소관계

        정형아(Jung, Hyung-Ah)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1

        제정러시아는 19세기말 다롄을 조차하였다가 러일전쟁에서 패전한 후 그 권리를 일본에 넘겨주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면서 소련은 뤼순과 다롄에서의 이권을 회복하였다. 본고는 소련이 이권을 회복하는 과정과 그로 인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소련의 역할을 중시한 미국은 소련의 요구를 수락하여 소련의 대일전 참전 대가로서 다롄을 국제자유항으로 사용하되 소련에게는 ‘우세한 권익’을 보장하기로 하였고, 뤼순을 소련의 해군기지로 임대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미국은 얄타협정으로 약속하였고, 중국은 『중소우호동맹조약』을 체결하여 승인하였다. 소련군이 뤼순·다롄 지역에 진주하여 관동군의 항복은 받은 후 40여 일 동안, 소련군은 지역의 치안유지에 국민당 세력과 치안유지회의 협조를 받았고, 그들의 활동을 허락했다. 이것은 중공인사들이 들어오기 전의 일이다. 공식적으로 소련이 『중소우호동맹조약』을 체결하면서 국민정부와 약속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고 국민정부를 지원하되 중공은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중공은 적어도 소련군이 방임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만주에서의 활동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래서 중공은 뤼순· 다롄으로 들어가면서 소련이 선점한 다롄의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해방구를 지원하는 물적 인적 자원의 근거지로 만들려고 하였다. 이러한 목표는 단지 소련군의 비공식적인 지원 속에 당, 정조직을 건립하고 또한 경찰조직을 통한 병력 확대로 실현해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소련군이 비밀리에 넘겨준 과거 관동군의 무기들은 뤼순·다롄의 현지 병력 뿐 아니라 타 지역의 무장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중공의 비공식적 활동은 공식적인 조약의 그늘에서 행해지 것으로 소련정부와 하층부 실무자들은 주어진 공식적 위치를 적절히 활용하면서 이념적으로 친근한 중공의 성장을 도울 수 있었다. 소련이 대일전 참전 대가로 뤼순과 다롄을 조차한 특수한 상황이 소련의 이익 뿐 아니라 중공의 뤼순·다롄의 선점에 기여하였고, 멀리는 중공의 동북근거지를 건립하는데 전초기지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Russian Empire (or Imperial Russia) leased Dalian (大連)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handed over the sovereignty to Japan after losing the Russo-Japanese War. However, as World War II ended, the Soviet Union regained its rights over Lushun (旅順) and Dalian.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the Soviet Union regained its rights and the consequences. Having valued the role of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acceded to the Soviet Union’s request to guarantee their ‘superior interests’ in Dalian in return for its participation in war against Japan, while using it as a free trade port, and decided to lease Lushun to the Soviet Union to use as a naval base. This was agreed by the United States at the Yalta Conference, and approved by China through the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lliance and Mutual Assistance. For over 40 days after the Soviet Union entered Lushun and Dalian and induced the Japanese Kwantung army’s surrender, the Soviet army was aided by the Kuomintang of China(KMT, Chinese Nationalist Party) and the Peace Maintenance Committee (PMC, Zhian weichihui) in maintaining public order, and permitted their activities. This was before the entry of the Chinese communists. Officially, the most important promise that the Soviet Union made with the Nationalist government by signing the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lliance and Mutual Assistance was ‘not to intervene in the domestic affairs of China, support the Nationalist government, and not stan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oweve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expected that they would be able to do something in Manchuria if the Soviet army adhered to non-interference. Thu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ried to turn Lushun and Dalian into a base for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to support the areas under their control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of Dalian occupied by the Soviet Union. This goal could be achieved by establishing political party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with the Soviet Union’s unofficial support and reinforcing troops through the police organization. Above all, the weapons of the Japanese Kwantung army in the past, secretly handed over to them by the Soviet Union, were used not only for the local troops in Lushun and Dalian but also for arming in other regions as well. As a result, the unofficial activitie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ere carried out in the shadow of the official treaty, and the Government of the Soviet Union and working-level officials could help the growth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at was ideologically familiar to them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official position given to them. The special circumstance in which the Soviet Union had leased Lushun and Dalian in return for participating in the war against Japan contributed to not only the Soviet Union’s benefits but also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prior occupancy of Lushun and Dalian. Also, this served as the outpost for establishing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base in the northeast in the long run.

      • KCI등재

        6․25전쟁 이전 북한의 군관학교 설립과 운영 : 조선인민군 제1중앙군관학교와 제2중앙정치학교를 중심으로

        김선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3 한국군사학논집 Vol.79 No.1

        On February 8, 1948,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1st Central Academy of the North Korean Army(Korean People’s Army) and the 2nd Central Political School to intensively foster military officers and political officers. Students embraced modern military doctrines for 7 to 10 months while being educated with Soviet military political textbooks and military manuals translated into Korean under the guidance of Soviet military advisers. The 1st Central Military Academy trained infantry and artillery officers through military studies until June 1948, and conducted tactical training of battalions and regiments from 1949 to 1950. In addition, the 2nd Central Political School educated students on the history of the World Communist Revolution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he weapons and equipment of the Soviet Army.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about 32.8% of officers in the North Korean Army had graduated from two academies. The junior military officers were mainly graduates of the 1st Central Military Academy, and the junior political officers were mainly graduates of the 2nd Central Political School. As a result, the two academies provided a human base for the modern offensive battles by comprehensively operating each type of soldier. 북한지도부는 1948년 2월 8일에 조선인민군 제1중앙군관학교와 제2중앙정치학교를 동시에 설립해서 인민군의 지상군간부와 문화간부․공군간부를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학생들은 7~10개월 동안 소련군 군사고문의 지도 아래 우리말로 번역된 소련군의 정치․군사 교재․교범으로 교육받으면서 소련군이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획득한 군사교리를 급속히 수용했다. 제1중앙군관학교는 1948년 6월까지 군사학 교육을 통해 보병․포병장교를 먼저 육성했다. 그리고 1949~1950년에 보병․포병․탱크병․공군이 참가하는 대대․연대 전술훈련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제2중앙정치학교는 세계공산주의혁명사․조선독립운동사에 대한 정치교육과 소련군의 무기․장비에 대한 군사교육을 실시했다. 특히 소련군의 정치교재를 직접 번역해서 학생들에게 군대의 정치공작을 교육했다. 1950년 6․25전쟁 당시 인민군의 군관 중 약 32.8%는 제1중앙군관학교와 제2중앙정치학교 출신이었다. 대대장 이하 하급 지휘관은 대부분 제1중앙군관학교 졸업생이었고, 문화부중대장과 대대․연대 선전원 등 하급 문화간부는 주로 제2중앙정치학교 졸업생이었다. 결국 2개 군관학교는 2년 동안 소련군의 사상과 교리로 무장한 군관을 배출함으로써 인민군이 각 병종을 종합적으로 운용해 현대적 공격전을 전개할 수 있는 인적 기반을 제공했다.

      • KCI등재

        “진흙 발의 거상”인가? “붉은” 스팀롤러인가?: 러시아/소련 군대에 관한 서방 세계의 편견과 실상

        류한수,유승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1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why and how the strong prejudices against the Russian/Soviet armed forces were in the modern Western World. The Russian/Soviet army tends to be seen as an brutal organization far from being efficient by the contemporary Westerners. The nineteenth century saw that the nationalistic sentiment lead the German soldiers to regard the Russian Imperial army as a “colossus with feet of clay.” In their eye the Russian army was just the seemingly powerful but practically precarious gigantic one.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Germany did not cast away a prejudice against the Red Army which replaced the Russian Imperial army in Soviet Russia. In 1930s the racist Nazi ideology came to prevail among the high-ranking Wehrmacht officers, who consider the Russian people to be an Asiatic Untermensch. Even after their defeat in the Russo-German War in 1945 they refused to admit that the Soviet army was a far cry from the inefficient brutal one. In the post-World War II era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began to regard the Soviet Union as their formidable rival and enemy and scrutinize the Soviet armed forces. Their perception of the Red army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former Wehrmacht officers who were in a position to co-operate with the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U. S. army in order to have a lead in the fierce competition with the Soviet army during the Cold War. As a result the strong prejudices against the Soviet army lingered in the mind of the Western World. 이 글의 목적은 러시아/소련 군대를 보는 서방 세계의 편견이 왜, 그리고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서방에서 소련군은 인명을 경시하는 비인간적이고 비효율적인 조직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편견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극단적인 민족주의가 유럽에 확산되면서 독일은 러시아군을 야만적인 군대이자 강해 보이지만 실은 허약한 “진흙 발의 거인”으로 보기 시작했다. 20세기에 독일은 제정 러시아가 무너진 뒤 들어선 소비에트 러시아를 주적으로 인식했다. “유대-볼셰비즘” 담론과 인종주의에 입각해서 독일국방군은 소비에트 연방을 허약한 체제로 보았고, 그러한 가정 아래 침공을 계획했다. 패전한 뒤에 독일의 고위 군인들은 소련군을 상대할 방법을 찾는 미국에 협력했고, 미국 육군청의 역사과가 주관하는 독소전쟁의 역사서술을 주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후에 독일국방군은 침략자가 아니라 유럽 그리스도교 문명을 아시아적 볼셰비즘에게서 지킨 존재로 부각되고 소련군은 무능한 비체계적 군대로 폄하되었다. 이런 식의 폄하는 냉전 시기의 미국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 독일 고위 장교들이 스스로를 정당화할 목적으로 양산해낸 기록에는 숱한 오류가 있다. 차츰차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소련군을 제대로 상대하기 위해서라도 제2차 세계대전 시기의 소련군을 편견 없이 보고 연구하려는 흐름이 서방의 연구자 사이에서 형성되기 시작했고 이들의 노력으로 소련군을 보는 시선은 차츰차츰 변화하기 시작했다.

      • KCI등재

        북조선 행정10국의 조직과 활동

        전현수 ( Hyun Soo Jeon ) 대구사학회 2016 대구사학 Vol.123 No.-

        북조선 주둔 소련군사령부는 북조선에 부르주아민주주의정권을 수립하라는 스탈린 명령에 따라 1945년 10월 평양에서 북조선 5도 인민위원회 대표대회를 소집하여 북조선에 독자적인 정권기관을 수립하는 문제를 제기했다. 1945년 11월 19일 소련군사령부는 공업, 교통, 농림, 상업, 체신, 재정, 교육, 보건, 사법, 보안의 행정10국을 조직하고 현지 조선인들 중에서 국장들을 임명했다. 행정10국은 소련군사령부 민정담당 부사령관 로마넨코 소장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 있었다. 행정10국에는 소련군사령부 대표가 파견되었다. 행정국들의 임무는 북조선의 경제생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방정권기관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데 있었다. 행정국들은 각 행정국에 대한 소련군사령부의 명령들과 지시들을 이행하고, 소련사령부를 위해 여러 문제들에 대해 자료를 준비하고 협의에 응해야 했다. 행정국들의 명령과 지시는 북조선의 모든 행정ㆍ경제기관들과 주민들이 의무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구속력을 갖고 있었다. 행정국들은 주민들의 경제적 문화적 생활의 정상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했지만, 행정국들 상호간의 연계의 결여, 중앙과 지방간의 연계의 결여, 간부들의 경험 및 전문성 부족 때문에 커다란 곤란을 겪어야 했다. 이 때문에 행정10국 전체를 아우르는 북조선의 유일한 중앙주권기관의 창설이 요구되었다. In accordance with Stalin’s order to establish a bourgeois democratic government in North Korea, the Soviet military command in North Korea convened in Pyongyang in October 1945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s committees for five provinces of North Korea and raised the question of instituting an independent political authority in North Korea. On November 19, 1945, the Soviet military command organized ten administrative bureaus corresponding to industry, transportation, agriculture and forestry, commerce, communications, finances, education, health, justice, and security, and appointed local Koreans as the directors of the bureaus. The ten administrative bureaus we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General Romanenko, the deputy commander of the civil administration that the Soviet military command operated in North Korea. Representatives of the Soviet military command were dispatched to the ten administrative bureaus. Duties of the administrative bureaus lay in more efficiently managing the economic life of North Korea and mediating the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 agencies. The administrative bureaus had to execute the Soviet military command’s orders and directions, prepare data regarding various issues of concern to the Soviet military command, and accede to consultations. The orders and directions of the administrative bureaus in turn wielded a binding force on all inhabitants as well as administrative and economic agencies of North Korea. The administrative bureau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normalization of inhabitants’ economic and cultural lives, but faced immense hardships due to scant connections among the administrative bureaus and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insufficient experiences and expertise of bureau executives. As a result, a demand arose for the foundation of a sole central political authority for North Korea that would encompass the ten administrative bureaus. (Professor of History and Director of Peace Research Institute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jeonhs@k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