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서비스 전공 여대생의 외모스트레스, 섭식태도에 관한 연구

        주경숙(Kyung-Sook J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자기 가치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는 항공 서비스 전공 여대생은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마른 체형으로의 관리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 여대생의 체형인식, 외모스트레스, 섭식태도의 정도와 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근거로 심리적, 정신적 문제점 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2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통해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외모스트레스의 평균 33.31±10.61점, 섭식태도의 평균 18.82±10.38점이었다. 체형인식에 따른 외모스트레스와 섭식태도의 차이 정도를 살펴보면, 외모스트레스 정도는 체형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섭식태도 정도는 체형의 주관적 인식, 이상적 인식, 체형만족도, 체형의 비교모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상관관계는 외모스트레스와 섭식태도 간 순 상관관계(r=.359, p<.001)가 있었으며,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체형의 주관적 인식, 이상적 인식, 외모스트레스로 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자신의 체형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부정적 섭식태도로의 이행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방안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 of college femal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The data collected from 223 research subjects was analyzed through SPSS 20.0,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 were average 33.31±10.61 and 18.82±10.38 respectively.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 in accordance with the perception of body image, the appearance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image satisfaction while the ea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ideal perception of body image, body image satisfaction, and comparative model of body imag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r=.359, p<.001), and such variable like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ideal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appearance stress had effects on the eating attitude, which showed 23% explanatory power. Such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the correct perception of her own body image, and also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measures for preventing the negative eating attitude.

      • KCI등재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서적 섭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영석,김희경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서적 섭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폭식행동,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적 섭식, 경험회피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섭식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정서적 섭식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정서적 섭식을 매개하여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경험회피의 수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회피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정서적 섭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폭식행동을 완화하기 위한 치료적 개입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함께 정서적 섭식을 줄이도록 하고, 경험회피의 수준을 고려한 개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대근무 간호사의 섭식태도 영향요인

        정희자,송민선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 스트레스, 우울 및 섭식태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섭식태도 영향요인 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학병원 교대근무 간호사 152명이며, 설문조사는 2021년 7월 1일부터 20일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적 수준의 이상섭식태도는 7.9%, 잠재적 위험 수준의 이 상섭식태도는 19.1%로 나타났다. 섭식태도와 우울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섭식태도의 영향요인은 음주(1회 /월)와 우울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들의 섭식태도를 개선하기 위해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음주와 섭식태도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추후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stress, depression, and eating attitudes of shift work nurses,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eating attitudes. Participants were 152 shift work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ly 1 to July 20,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abnormal eating attitudes at clinical and sub-clinical levels was 7.9% and 19.1%,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eating attitudes were alcohol drinking(1 time/month) and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strategies to prevent depression in order to improve the eating attitude of nurses working in shifts, and repeated research on the relevance of alcohol drinking and eating attitudes is needed.

      • KCI등재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와 프로테오믹 분석

        박정아,김용균,Park, Jung-A,Surakasi, Venkara Prasad,Kim, Yong-G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는 음파 처리에 따른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생리 변화를 발육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유충의 섭식량은 섭식을 통해 형성된 잎 내부 갱도의 길이로 분석했다. 이때 5,000 Hz (95 dB)의 음파 처리는 섭식 행동을 크게 둔화시켰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또한 용발육에 영향을 주어 315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발육 지연 효과를 나타냈고, 1,000 - 5,000 Hz 음파 범위에서 우화를 억제하였다. 스트레스 음파는 암컷의 산란 행동을 억제시켰으나 성충의 주광성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 음파(5,000 Hz, 95 dB)를 받은 용은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 결과 단백질 발현 양상에서 무처리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정 단백질에 대한 MALDI-TOF 분석 결과는 trafficking protein particle complex I, triosephosphate isomerase, hypothetical protein TcasGA2_TC013388, polycystin-2, paraneoplastic neuronal antigen MA1 및 tropomyosin I (isoform M)의 단백질들이 무처리구에서 발견되고, 음파 처리구에서는 소멸되었다. 반면에 DOCK9, cytoskeletal keratin II 및 $F_0F_1$-ATP synthase beta subunit은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단백질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생리 과정을 교란하는 스트레스 음파가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스트레스 음파를 이용하여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새로운 물리적 해충 방제 기술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verse effects of sound treatment on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during several developmental stages. Larval feeding activity was analyzed by measuring feeding tunnel length. It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sound treatment (5,000 Hz, 95 dB). Sound treatment delayed the pupal period at 315 - 5,000 Hz and prevented adult emergence at 1,000 - 5,000 Hz. Female oviposition was also inhibited by the stress sound treatments. However, phototactic adult movement was not affected by sound treatment. Pupae treated with 5,000 Hz showed marked changes in protein patterns analyzed by 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 MALDI-TOF analysis of specific protein spots indicated that trafficking protein particle complex I, triosephosphate isomerase, hypothetical protein TcasGA2_TC013388, polycystin-2, paraneoplastic neuronal antigen MA1, and tropomyosin I (isoform M) were predicted in the control insects and disappeared in the insects treated with sound. By contrast, DOCK9, cytoskeletal keratin II, and F0F1-ATP synthase beta subunit were predicted only in the sound-treated insects. Furthermore, stress sou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usceptibility of L. trifolii to insecticid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ological processes of L. trifolii are altered by sound stress, which may be exploited to develop a novel physical control tactic against L. trifolii.

      • KCI등재

        여대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섭식장애, 정신건강의 구조모형 연구: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이유리 ( Yu Ri Lee ),김남중 ( Nam Jung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여대생의 정신건강 수준을 알아보고,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섭식장애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광주ㆍ전남지역의 여대생 328명이었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정신건강이 중간 수준 이하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자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섭식장애가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정신건강을 위한 대학생활스트레스 대응전략 및 학교-교수-학생간의 협업지도, 건강한 섭식문화 교양교육 등과 같은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o discuss whether there was an structural analysis mediating effect of eating disord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28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tal health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lower than intermediate level. Second, the university life str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d a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Third, the eating disorde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university life stress and the mental health.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comprehensiv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stress coping strategy, triangle(university, professor, students) cooperation and eating culture of general education.

      • 뇌의 Orexin 발현과 운동 : 스트레스 조절 인자로서의 역할

        장혁기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8 스포츠과학리뷰 Vol.2 No.1

        Orexins (Orexin A & B) are hypothalamic peptides of brain most recognized for their significant effects on feeding and arousal. Physiologically the orexin system has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behaviours that are associated with wakefulness, locomotion, and stress. Central orexin activates hypothalamo-pituitary-adrenal (HPA) axis and may be involved in stress-induced activation of the HPA axis, resulted in a dose-dependent elevation of circulating adrenocorticotropin (ACTH) and corticosterone related with stress regulation. Both Orexin 1 receptor and 2 receptor have been found in the general area of the hypothalamus, but their localizations are region-specific : OX-2R mRNA is predominant in the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 (PVN) region. The PVN area is innervated by OX-A and OX-B immunoreative projections, which both originate from the lateral hypothalamic area and perifornical nucleus. Those projections suggest an action of endogenous orexin on ACTH release, either by neuromodulatory effects in the PVN, or by neuroendocrine actions in the pituitary gland following release into the median eminence. Swimming and running exercise in rats activated orexin neuron in the brain and central administration of Orexins increased physical activity. Orexins is important not only stress regulating but also physiological regulator about exercise. But, the study of orexin about exercise is not enough for knowledge of the mechanism. Orexin은 중추 섭식 조절인자로서 밝혀진 이래에 뇌의 시상하부에서의 다양한 조절인자로서 역할하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다. 그 조절로는 섭식조절을 비롯하여 수면·각성 조절, 자율신경계 조절, 스트레스 조절 등이 있다. 특히, 생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시상하부로부터 시작되는 HPA축이 활성화하는데 이를 조절하는 상위레벨의 조절인자로 Orexin이 발견되었다. 이 Orexin 의 발견으로 스트레스 기전의 새로운 개념도가 형성되었고, 운동 스트레스시에도 관련되며, 그 조절 인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연구되기 시작되었다. Orexin은 식욕을 조절하는 뇌의 외측시상하부에서 발현하는 단백질로 뇌의 여러 부위에 그 수용체가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생리적으로 복잡하고 많은 조절에 관여한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ACTH 분비를 자극하는 CRH가 많이 존재하는 부위인 PVN에 Orexin 수용체가 존재함으로써 HPA축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져 그 연구가 시작되었다. 최근의 몇몇 연구를 통하여서는 수영 및 런닝 운동이 뇌의 Orexin 신경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쥐에게 외인성 Orexin의 투여가 자발적 신체활동을 증가시켰다. 이처럼, 운동학적으로 Orexin은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운동에 대해 생리적으로 중요한 조절 인자임이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운동 분야에서 Orexin이 역할과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s among College Students of Northern Gyeonggi-do, Korea

        ( Heeseon Jang ),( Hyunggon Kang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7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2 No.2

        목적: 이 연구는 경기 북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울 정도와 이상섭식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경기북부 대학생 총 48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 섭식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서 Garner와 Garfinkel(1979)이 개발한 Eating Attitude Test-40(EAT-40)을 우리나라에서 표준화한 섭식 태도 검사(Eating Attitude Test-26, EAT-26)를 활용하였고, 우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DSM-IV(미국정신협회)의 우울증 진단 기준에 따른 10문항의 자가 우울증 진단 테 스트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결과: 이상섭식태도를 보이는 대학생은 91명으로 전체 연구대상의 18.9%이었다. 이상 섭식 태도를 보이는 대학생의 경우 우울 정도의 평균은 4.73점으로 정상적인 섭식 태도를 보이는 대학생의 우울 정도의 평균 2.57 점 보다 높았다. 이상 섭식과 우울 정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울 점수가 1점 증가할 때 이상 섭식 발생 위험이 1.31 배임을 볼 수 있었다. 우울 정도 이외에 이상 섭식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야식, 체중감량여부, 스트레스, 외모 만족도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이상 섭식에 우울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올바른 섭식 태 도 증진과 우울증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s among college students of northern Gyeonggi-do in Korea. Methods: This was a self-report study, targeting a total number of 481 college students. We used the eating attitudes test-26 (EAT-26) to identify participants with eating disorders, while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evaluated by a self-diagnostic test composed of 10 questions.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18.9% were found to have an eating disorder (91 out of 481 participants). The depression score for students with eating disorders was markedly higher (4.73points) than that for students with normal eating habits (2.57 points). We no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ating disorder and depression. Specifically, when depression score increased by 1 point, the risk of eating disorder was 1.31 times higher. Additional factors that increased the risk of having eating disorders besides depression were eating late, weight loss, degree of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one`s appearance.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depres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ating disorders. Therefore, it is need t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right eating habits and prevent depression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이 쥐방울덩굴의 생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박현준,박혜경,손가연,남보은,김재근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2

        For the conservation of both Sericinus montela (vulnerable species by red book of Korea) and A. contorta,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Aristolochia contorta. We selected four A. contorta habitats at Gapyeong, Pyeongtaek, Cheongju, and Yeoju in Korea and surveyed community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species, herbivore appearance, support types,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July and October, 2018. Habitat environments and the growth and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A. contorta were different according to four habitats of different regions. In particular, the fastest growth speed and earliest flowering and fruiting were observed in Pyeongtaek. Growth of A. contorta in Cheongju and Yeoju were interrupted by aboveground damage from human disturbance. In this study, support types seemed to be important for growth speed of A. contorta. Flowering and fruiting timing were likely to be related to combined effects of soil cation contents and competitive and herbivore stresses. Therefore, providing effective support and reducing biological stress should be necessary for stable growth and proper flowering and fruiting timing of A. contorta. In addition, experimental evidence would be need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soil cation and biological stress on flowering and fruiting of A. contorta in detail.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색목록 취약종(VU)인 꼬리명주나비와 그것의 유일한 먹이 식물인 쥐방울덩굴의 보전을 위하여, 수변 지역에 서식하는 쥐방울덩굴의 서식지 환경과 이들 중 생육과 생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네 개의 국내 쥐방울덩굴 서식지(가평, 평택, 청주, 여주)에서 2018년 7월과 10월에 방형구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주요 동반종, 초식 곤충의 출현 여부, 지지대의 유형,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쥐방울덩굴 개체군의 서식지 환경과 생육 및 생식 양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평택 개체군에서가장 빠른 생육 속도와 개화 및 결실 시기를 나타냈으며, 청주와 여주 개체군에서는 인간의 교란으로 인한 지상부 손상이 원활한 생육을 방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 쥐방울덩굴의 생육 속도는 쥐방울덩굴의 초기 생육 시기부터 제공된 지지대의 유형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쥐방울덩굴의 개화 및 결실 시기에는 경쟁과 섭식 스트레스의 생물적 요인과 높은 토양 양이온 함량의 비생물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쥐방울덩굴개체군의 빠른 생육과 적절한 시기의 개화와 결실을 위해서 안정적인 지지대의 제공과 경쟁과 섭식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초음파 처리에 따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발육 및 교미행동 교란 분석

        김용균,손예림,박복리,Kim, Yong-Gyun,Son, Ye-Rim,Park, Bok-Ri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3

        일부 고주파 음파 처리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리변화를 유발시킨다. 이 연구는 초음파(${\geq}$ 20 kHz) 처리가 파밤나방 유충 섭식, 용 발육 및 성충 교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초음파 처리는 5령충의 섭식 활동을 억제시켰다. 특별히 30 kHz 또는 45 kHz 초음파 처리를 받은 유충은 50% 이상의 섭식활동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초음파 처리를 받은 유충은 혈장의 주요 영양물질 함량이 변동되었다. 혈장 단백질은 처리 초음파의 주파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혈당은 처리 초음파의 주파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지질 함량은 30 kHz 처리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파밤나방 5령의 혈구, 지방체 및 표피세포의 세 조직은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들인 세 종류의 열충격단백질과 apolipophorin III를 발현시켰다. 그러나 초음파를 처리할 경우 일부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크게 억제시켰다. 초음파 처리는 또한 용발육을 억제시켜, 용기간을 연장시키고 성충으로 우화를 현격하게 낮추었다. 끝으로 초음파 처리는 성충의 교미행동을 억제시켜 암컷의 산란력을 뚜렷하게 낮추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음파가 파밤나방의 생리적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Some high frequency sounds alter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ultrasound (${\geq}$ 20 kHz) on larval feeding, pupal development, and adult mating behavior of S. exigua. Ultrasound suppressed feeding behavior of fifth instar larvae, and 30 or 45 kHz treatment inhibited more than 50% of feeding activity. Larvae treated with ultrasound exhibited alterations in major nutrient compositions in the hemolymph plasma. Plasma protein level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ultrasound frequency. In contrast, sugar level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ultrasound frequency. Lipid level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ultrasound frequency up to 30 kHz and then decreased at treatments > 30 kHz. Hemocytes, the fat body, and epidermis expressed three heat shock proteins and apolipophorin III. Ultrasound treatment markedly inhibited expression of some stress-related genes. Ultrasound treatment also inhibited S. exigua pupal development by extending the pupal developmental period and preventing adult emergence. Last, ultrasound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adult mating behavior, which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female fecundity. These results show that ultrasound is a physiological stress to S. exigua.

      • KCI등재

        여대생의 외모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및 우울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혜경(Chang, Hae Kyung),손정남(Sohn, Jung Nam) 기본간호학회 2014 기본간호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degree of appearance stress, ego-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 depression, and eating attitude and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eating attitude in women undergraduat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38 women undergraduates. Data analyses were done using SPSS/WIN 18.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eating attitude was 0.3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type of eating attitude. Also, appearance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39% of the variance in eating attitud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eating attitud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change poor eating attitude for women undergradu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