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은화에서 분리한 Caffeic Acid의 신경세포보호 활성

        손예림,마충제 한국생약학회 2020 생약학회지 Vol.51 No.1

        We previously reported that caffeic acid isolated from Lonicera japonica showed potent neuro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glutamate injured neuronal cell death in primary cortical cells.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neuroprotective activity in glutamate injured HT22 cells and elucidate mechanisms of neuroprotective action of caffeic acid. We used glutamate induced HT22 cell death as a bioassay system. The compound de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increased by high concentration of glutamate treatment in HT22 cells. Also, Ca2+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this compound. This compound mad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aintain to normal condition. This also affected anti-oxidative enzymes and glutathione contents. Treatment of this compound increased not only glutathione reductase and peroxidase to the control level and also amount of glutathione, an endogeneous antioxidant. Thes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affeic acid isolated from L. japonica exerted potent neuroprotective activity through the anti-oxidative pathway.

      • KCI등재

        환경조절열처리 기술을 이용한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nensis) 살비 효과

        손예림,이종호,김용균,Son, Ye-Rim,Lee, Jong-Ho,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2

        The hawthorn spider mite, Tetranychus viennensis, is a pest of apples and a quarantine pest from some countries that import apples from Korea. A 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CATTS) was developed as an alternative disinfestation method to methyl bromide fumigation treatment, and has been applied to control various insects and other arthropod pests on fruits. We applied CATTS to disinfect T. viennensis under conditions that were previously developed to control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First, T. viennensis was sampled from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and identified by its morphological characters. In addition, both cytochrome oxidase I (COI)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supported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Second, the heat-tolerant developmental stage was determined in T. viennensis. When a $46^{\circ}C$ heat treatment was applied to egg, nymph, and adult stages of T. viennensis, adults were the most tolerant stage. Third, when heat temperature was used along with 1% $O_2$ and 15% $CO_2$, the mit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usceptibility to the heat treatment. Finally, CATTS at $46^{\circ}C$ with 15% $CO_2$ and 1% $O_2$ for 30 min resulted in 100% mortality of all T. viennensis development stag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ATTS isapplicable to disinfest T. viennensis in post-harvest apples.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nensis)는 사과 해충으로 수출시 일부 국가에서 주요 검역 대상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조절열처리(controlled atmosphere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CATTS)는 메틸브로마이드 훈증 처리의 대체 기술로서 과실류를 가해하는 다양한 곤충 및 기타 절지동물 해충류를 소독하는 기술로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을 방제하기 위해 개발된 CATTS 조건을 벚나무응애에 적용하였다. 먼저, 매실나무에서 벚나무응애를 채집하였고, 이를 형태적 특징으로 동정하였다. Cytochrome oxidase I (COI)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들의 염기서열은 형태적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둘째로, 벚나무응애의 열처리에 대해 가장 높은 내성을 보이는 발육시기를 결정했다. 알, 약충과 성충을 $46^{\circ}C$에서 열처리를 하였을 때 성충에서 가장 높은 내성을 보였다. 셋째, 고온과 변경된 공기조건(1% 산소와 15%의 이산화탄소)을 결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응애의 고온에 대한 감수성이 현격하게 증가하였다. 끝으로 CATTS 조건인 $46^{\circ}C$에서 15%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1%의 산소 농도에서 30분 처리는 벚나무응애의 모든 발육태에서 100%의 살비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수확된 사과에 존재하는 벚나무응애를 사멸하는 데 CATTS 소독 처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RAPD 분자지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집단 유전적 변동 분석

        손예림,김용균,Son, Ye-Rim,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1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사과에 주요 해충이다. 이 해충을 환경친화형 방법으로 방제하기 위해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제 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처리는 복숭아순나방 방제에 효과적이나 이러한 광범위영역에 대한 구체적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복숭아순나방의 교미행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복숭아순나방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는 분자지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기술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두 개의 분자지표를 개발하였다. 상이한 지역과 시기에 따라 구분되는 야외 복숭아순나방 집단들에 대해서 이들 분자지표를 이용하여 집단 유전 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들 분자지표들은 특정지역에서 복숭아순나방 집단들이 시기적으로 유전적 조성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또한 서로 다른 지역의 복숭아순나방 집단들은 거리에 따라 상대적으로 차이가 증가하였지만, 계절이 진행함에 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였다.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s a serious pest on apples. To control this pest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mating disruption strategy using sex pheromone has been developed. Area-wide application of mating disruption has been needed to be effective, with little understanding on how much size of apple cultivating area should be treated in one time application of the mating disruption technique. On this matter, we needed to determine a minimal mating active zone of G. molesta that should be applied with mating disrupters to be effective. Molecular markers to discriminate a specific population should be developed to trace population migration for reproductive behaviors. Here we developed two effective molecular markers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technique. Different field populations of G. molesta, based on locations and seasons, were analyzed with these markers. In a specific location, G. molesta populations varied in genetic composition with different seasons. Different local populations showed differential variation according to their relative distances among apple orchards. In overall, genetic variation among different populations became lessen with progression of seasons.

      • KCI등재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l)의 수확 후 소독 처리로서 CATTS 기술의 적용 가능성

        손예림,최경희,김용,김용균,Son, Ye-Rim,Choi, Kyung-Hee,Kim, Yong,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1

        아열대성 작물을 대상으로 피해를 주는 해충에 대해서 친환경 소독 기술로서 환경조절열처리(CATTS: controlled atmosphere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기술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사과를 일부 외국으로 수출할 경우 검역대상으로 지목받고 있는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에 CATTS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노출된 복숭아심식나방은 $46^{\circ}C$의 CATTS 치사 설정온도에서 반수치사노출시간이 14.66 분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 노출은 $46^{\circ}C$에 대한 복숭아심식나방의 감수성을 현격하게 높였다. 다음으로 수확 후 사과 내부에서 가해하는 복숭아심식나방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조된 CATTS 장치로 소독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용 CATTS 장비는 이산화탄소와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처리 기간 동안 기기 내부 및 과실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제작되었다. 이산화탄소가 15%룰 유지하면서 기기의 내부온도가 $46^{\circ}C$에 도달한 후 60분 경과하였을 때 100%의 나타냈다. 이러한 비교적 장기간 고온 노출은 기기 내부 온도 증가($0.35^{\circ}C$/min)에 비해 대상 곤충이 위치한 과실 내부(0.12-$0.23^{\circ}C$/min)가 현격하게 느리게 처리 온도에 도달하여 이들 사이에 나타나는 온도 편차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과를 가해하는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수확 후 소독 기술로서 CATTS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As an environment-friendly phytosanitary measure, CATTS (controlled atmosphere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kill several quarantine insect pests infesting subtropical agricultural commodities. This study tested any possibility to apply CATTS to apples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quarantine insect from the imported countries. When the larvae of C. sasakii were directly exposed to $46^{\circ}C$ (an installed lethal temperature of CATTS), they showed a median lethal time at 14.66 min. Addition of high carbon dioxide to the temperature treatment enhanced the thermal limit susceptibility of C. sasakii to $46^{\circ}C$. CATTS device was constructed to automatically control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with real-time monitoring both in the chamber and in the fruit. The larvae internally infesting apples were tested using the CATTS device and showed 100% lethality after 60 min exposure to a treatment of $46^{\circ}C$ under 15% $CO_2$ in the chamber. Relatively long exposure may be due to the deviation between the ramping temperature ($0.35^{\circ}C$/min) of the chamber and the ramping temperature (0.12-$0.23^{\circ}C$/min) inside apple fruit, where the tested larvae were located.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that CATTS can be applied as a quarantine measure to kill the larvae of C. sasakii locating inside the apples.

      • KCI등재

        CATTS를 이용한 저곡해충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의 소독 효과

        손예림,김용,김용균,Son, Ye-Rim,Kim, Yong,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친환경 소독 기술인 환경조절열처리(CATTS: 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system)는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 처리의 대체 기술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저장 곡물 해충인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를 CATTS를 통해 저장 기간 중 방제가 가능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성충은 $46^{\circ}C$에서 열충격 감수성을 보였으며 여기에 CA 조건(15% 이산화탄소, 1% 산소)은 감수성을 현격하게 증가시켰다. CATTS 조건($46^{\circ}C$, 15% 이산화탄소 1% 산소)에서 120 분간 노출시켰을 때 유충(초기, 중기, 말기)과 성충 모두 100% 살충율을 나타냈다. CATTS 처리에 대한 감수성이 거짓쌀도둑거저리 발육 시기에 띠라 상이했고 말기 유충에서 높은 내성을 보였다. 거젓쌀도둑거저리 열충격단백질의 발현이 CATTS에 대한 내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postharvest treatment called CATTS (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nonchemical measure for methyl bromide fumigant treatment. This study applied CATTS to control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infesting stored grains. Adults of T. castaneum were susceptible to $46^{\circ}C$ heat treatment. The susceptibility was further enhanced by addition of CA conditions (15% $CO_2$ and 1% $O_2$). When CATTS ($46^{\circ}C$, 15% $CO_2$, $16^{\circ}C/h$ treating rate) was applied to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T. castaneum, it showed 100% control efficacy by 120 min exposure. There was a variation in CATTS susceptibility among developmental stages, in which late instar larvae were most tolerant. Heat shock proteins of T. castaneum appeared to be implicated in the tolerance of CATTS.

      • CATTS 소독 처리에 따른 사과 품질 조사

        손예림,김용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환경조절열처리는 일명 CATTS (controlled atmosphere temperature treatment system)로 특정 해충의 생존 한계에 해당하는 고온을 처리하면서 방역효과를 극대 화하는 기술로써 수확 후 소독 처리 기술인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처리를 대체할 친 환경 수확 후 소독 기술로 개발되고 있다.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은 수출국의 검역 대상 해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사과를 일부 외국으로 수출할 경우 검역대상으로 지목받고 있는 복숭아심식나방에 CATTS 기술을 적용하였고, 이에 따른 수출용 후지 사과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소독 처리에 사용된 CATTS는 시간 당 16℃씩 증가하여 기기의 내부 온도가 46℃가 되었을 때 이산화탄소 15%, 산소 1% 환경 조건을 맞추어 주었고, 과실 내부의 온도가 44℃에 도달하였을 때 소독 처리를 시작하였다. CATTS 소독 처리는 0 분, 30 분, 60 분, 75 분, 90 분, 120 분, 150 분과 180 분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CATTS 소독 처리 후 후지 사과는 상온 (25℃) 조건에서 1 일, 7 일과 14 일 저장하였고, 저온(1℃) 조건에서 1 일, 7 일, 14 일, 30 일, 60 일, 75 일, 90 일과 120 일 저장하였다. 저장 시기별로 사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사과 품질은 이화학 품질 특성(경도, 당도와 산도), 호흡 속도(에틸렌, 이산화탄소)와 외부・내부 갈변율을 조사하였다. 이화학 품질 특성과 호흡 속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60 분 처리 시간을 기준으로 처리 시간과 저장 기간이 증가 에 비례하였다.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집단 변동 분석을 위한 분자지표 개발 전략

        손예림,박정아,김지민,김용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사과 해충으로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과실에 피해를 주는 일차해충이다. 이에 따라 과실 내부에서 피해를 주는 유충이 방제 대상이나, 살충제와 접촉이 어려워 방제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제기술이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제 처리이다. 그러나 소규모로 흩어져 있는 국내 사과원 구도는 단일 과원의 교미교란제 처리는 교미된 암컷의 이주에 따라 유효성을 얻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 광범위한 교미교란제 처리가 불가피하나,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가 처리 대상인지 결정하기 어렵고 불필요한 광역화는 비용면에서 현실성이 없다. 대안으로 복숭아순나방 성충의 교미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면 교미교란제 처리 규모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숭아순나방 교미 반경 결정을 위해서는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 분자지표의 개발이 우선적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세 가지 전략으로 접근하였다. 첫째로, 복숭아순나방 미토콘드리아 전체 염기서열 분석으로 이를 통해 집단간 변이를 보이는 부위를 결정하려 했다. 둘째로 PCR-RFLP 기술로서 미토콘드리아 DNA의 제한효소 다형부위 결정기술이다. 끝으로 PCR-RAPD로서 전체 게놈에 대한 임의적 증폭물에 대한 다형 유전좌위 개발 전략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일반 성인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영향요인

        연정,김소담,장희정,예림,김혜미,박지인,김선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2 No.2

        Background: Health illiteracy is a problem often unrecognized by health care providers. It influences medical costs and the health status of adul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in community-dwelling adul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t.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420 adults aged 18 or older were interviewed by trained nursing students between November 1 to December 30, 2011.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using the Short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health literacy was 50.64±19.18.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ducation (ß=0.17, P=0.001), alcohol use (ß=-0.12, P=0.010), and perceived health status (ß=0.11, P=0.029). These factors accounted for about 7% of health literacy. Conclusions: Health literacy is a very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Our findings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alcohol us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should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this issue in patient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Korean assessment tool for health literacy and specified interventions for enhancing health literacy are needed to improve health outcomes. 연구배경: 건강정보 활용능력은 질병 유병률 및 만성질환자 자가 관리에 있어 중요한 개념으로 의료비용 및 부정적 건강결과에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국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활용능력의 수준과 건강정보 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420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2011년 11월부터 12월까지로, 일대일 면접에 의한 자가보고형 설문형태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건강정보 활용능력은Chew 등이 개발한 Short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redictive Analysis SoftWare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은 최대 75점 만점에 평균 50.64점(±19.18)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최종학력이 고졸 이상일수록(ß=0.17, P=0.001), 음주를 하지않는 사람일수록(ß=-0.12, P=0.010),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ß=0.11 P=0.029), 건강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높음을알 수 있었다. 이들 세 변인의 설명력은 약 7%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관리자들은 건강관련 교육 시 대상자들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의료기관의 서식 및 교육자료 등의 개발에 있어서 대상자의 최종학력, 건강행위,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건강정보의 이해와 활용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및 의사소통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겠다. 향후 건강정보 활용능력에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명확한 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요구되며, 또한 광범위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활용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지역적 분화 및 이동

        박정아,손예림,배성우,김용균,Park, Jung-A,Son, Ye-Rim,Bae, Sung-Woo,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3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사과재배지를 중심으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월동집단의 발생패턴을 조사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의 발생은 남부지역에서 더 일찍 시작되었지만, 발생밀도는 비슷한 지역이라도 사과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월동집단의 성충은 사과원 내부에서 모니터링한 자료와 이웃하는 사과원 사이 지점에서 포획된 밀도 변화가 서로 유사하여 이들의 사과원 사이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사과원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모니터링한 자료는 바람이 불어오는 가장자리 지점이나 이웃하는 사과원과 가까이 위치한 트랩에서 높은 포획 밀도를 보여, 이들의 이동이 사과원 안에서는 둔화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월동세대가 나타나는 비교적 초기(4월 20-25일)에 서로 다른 사과원에 발생하는 월동세대의 유전적 거리를 분석하였다. PCR-RAPD법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집단들 사이에 유전적 분화가 있음을 나타냈다. 더욱이 동일한 지역에서 전년도 가을 집단과 초봄의 월동집단 사이에 유전적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이러한 월동세대 집단간 차이는 겨울 기간동안의 지역간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도태압에 따른 유전적 병목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제시된다. Spring phonology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was monitored using sex pheromone traps in apple cultivating areas. Their occurrence was earlier in southern areas and their population siz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orchards even in a local cultivating zone.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appeared to move between local orchards, based on the fact that monitoring data obtained at the sites between orchards were similar to those of nearby orchards. However, within orchards, these adult movements appeared to decrease and showed skewed occurrences at the side of upwind direction or close to neighboring orchards. At initial occurrence peak(April 20-25), the ovenvintering populations of the different local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ir genetic distances. PCR-RAPD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etic differences among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G. molesta. This genetic differentiation of overwinterin populations may be due to genetic bottleneck following differential selection pressures against the subpopulations of G. molesta during winter on the basis of the RAPD analysis that each early spring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o its previous fall population in the same loc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