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한 중국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속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경숙,하흠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2

        2017년 3월부터 한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체계 배치로 인해 중국여행사들은 한국의 단체패키지 관광 상품의 판매를 중지하였고 중국인 단체패키지 관광 중단에 따라 한국의 여행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한국의대 중국 관광마케팅의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고코자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가치가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객 만족 및 행동의도간의 관계에서 유의적인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관광객 만족과 추천의도에 가장 크게영향을 미치는 관광지 선택속성 요인은 서비스품질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관광지 선택속성 요인은 접근성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추천의도나 재방문의도 모두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광지 선택속성요인 중 프로그램 요인이 지각된 가치에 가장 큰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관광지내에 다양하고 우수한 프로그램, 콘텐츠 및 시설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다섯 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객 만족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가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여섯 째, 방한 중국인 단체패키지 관광의 중단으로 인해 한국의 관광산업이크게 타격을 입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의 재방문율을 끌어 올릴 수 있는 다각화 된 관광정책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관광지에 대한선택속성과 관광객 만족, 행동의도, 지각된 가치에 대한 관계 규명은 관광지 활성화에관한 향후 연구에 좋은 선행연구가 될 것이다. 그 동안의 대다수 연구들은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 행동의도의 관계만을 연구하여 아직까지는 지각된 가치를 매개변수로 하는 연구의 접근이 미흡한 실정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가치를 매개변수로하여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연구를 시도하여 복합적 관계 규명을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All of the Chinese travel agencies stopped selling their group package tour products for visiting South Korea since March this year due to the placement of the THAAD system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 result from the suspension of the group package tours by Chinese travel agencies, the South Korean tourism industry took a direct hit. Taking into consideration such a situation, the South Korean tourism industry has to prepare some countermeasures in order for them to attract various tourists while avoiding focusing on single-country oriented tourism mark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ts, it is assumed that it must raise the values and quality levels of spatial tourism resources, and some strategic approaches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target customers smoothl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s, satisfaction levels of tourists, and their behavior intention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he perceived values, satisfaction levels of tourists, and their behavior intentions through an empirical survey. It is also necessary to verify whether some perceived values play some significant mediating roles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he satisfaction levels of tourists and their behavior intentions. Therefore, through such a process,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Chinese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with some basic materials required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ourism attractions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면세점 선택속성, 재방문 및 추천의도

        손일화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면세점 선택속성,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관광객의 면세점 선택속성을 파악하여 후속연구에 있어 선택속성과 관련한 척도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둘째, 중국인 관광객의 면세점 선택속성이 만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면세점 선택속성별 만족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셋째, 중국인관광객 면세점 만족 정도가 재방문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관광객 면세점 재방문이 추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면세점 선택속성에 대한 t검증 분석결과,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면세점선택속성은 ‘구매의 편리성’, ‘다양한 구매편익’, ‘선물 증정’ 등이, 면세점 선택속성(제품)은 ‘우수한 디스플레이’, ‘창조성’, ‘매력적인 디자인’ 등이, 면세점 선택속성(면세점시설)은 ‘적절한 조명’, ‘훌륭한 인테리어’, ‘적절한 고객동선’ 등이, 그리고 면세점 선택속성(인적 서비스)은 ‘상품에 대한 지식’과 ‘외국어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에 대한 열망과 상징에 대한 t검증 분석결과, 한국에 대한 열망에 대해서는 ‘한국인과 똑같이 살고 싶음’을 비롯한 모든 항목에서, 한국에 대한 상징에 대해서는 ‘드라마가 너무 좋음’을 비롯한 모든 항목에서 낮게 나타났다. 셋째, 면세점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대한 t검증 분석결과, ‘친구·지인들에게 추천할 것임’이 높게 나타났다.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test analysis of selected attributes of duty Chinese tourists visit, select the attributions of duty Chinese tourists visit the 'convenience of buying', 'various purchase benefits', 'gift', etc., duty select attribute(product) is like 'excellent display','creativity', 'attractive design', etc., duty select attribute(duty-free facility) is like 'adequate lighting', 'great interior', 'appropriate customer circulation', and select attribute duty(salesmen services), 'knowledge of the goods' and 'language skills' were higher. Secondly, t-test analysis of desire and a symbol of Korea results, for the desire for Korea was lower in all items, including 'live in the same way as Korean', for a symbol of Korea was lower in all categories, including 'the drama is good too'. Third, the duty-free re-visit and t-test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recommendation, 'I will recommend to friends" were higher.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농촌관광지 선택속성에 따른 선호도 비교 :

        김정헌(Kim Jung hun),손호기(Son Ho gi),김상범(Kim Song bum),조록환(Jo Lock hwa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7

        본 연구는 6차 산업화로 많은 농촌관광마을이 생겨남에 따라 도시민들은 본인의 요구에 맞으면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농촌관광마을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이에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선택속성들을 독립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민들은 방문할 농촌관광지를 결정할 때 선택속성들을 하나하나 독립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선택속성들을 복합적으로 함께 고려하기 때문에 선택속성을 독립적으로 접근했을 경우와 복합적으로 접근했을 경우 선호 농촌관광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더 효율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출발지 및 선택속성과 도시민들의 실제 방문지 간의 관계를 토대로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7년 도시민 농촌관광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속성들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사회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선택속성을 독립적으로 접근했을 경우와 복합적으로 접근했을 경우 선호 농촌관광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시민들은 방문의사결정시 다양한 선택속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함을 반영하여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는 선택속성들을 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임을 제시했다. 둘째, 출발지에 따라 실제방문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출발지의 도시민들의 방문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마케팅을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셋째, 선택속성에 따라 실제 방문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역의 특색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도시민들에게 결정적 속성을 제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As the 6th industrializat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many rural village tourism, there has been a wider choice of rural tourism that can meet the demands of the urban residents and satisfy their various needs. Studies on the selection attributes have been going on,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assessed the attributes independently. Since urban residents consider various selection attributes in a complex way, a more efficient approach has suggested in this study. It has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preferential rural tourism destination when the selection attributes are assessed independently or complex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parture places, the selection attributes and the actual visitors places of urban residents. In order for this, the data of Survey on actual condition of urban residents rural tourism in 2016 has been used, and the social network that can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has been analyzed.

      • KCI등재

        와인소비자의 유형에 따른 와인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음용횟수의 조절효과

        장서원,서정희,이종호 (사)한국조리학회 2019 한국조리학회지 Vol.25 No.5

        본 연구는 와인 소비자의 유형에 따른 와인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와인 소비자의 유형, 와인 선택속성, 재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와인소비자유형 모두 와인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인 외적속성, 내적속성요인에서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인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인 외적속성(β=0.102, p=.048), 내적속성(β=0.625, 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이는 와인을 재 구매하는데 있어 내적속성이 영향력이 외적속성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와인의 품질(질감, 맛, 색, 향)이 좋은 재품을 재구매한다는 것이다. 와인선택속성과 재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음용회수의 조절효과의 검정결과 음용횟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와인을 자주마시는 그룹과 그렇지 않는 그룹에 따라서 와인선택속성이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의미하고 있다. 본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표본을 추출하는 데 있어서 부산ㆍ울산지역의 와인 구매경험이 있는 집단과 와인전문가 집단을 표본을 선택하였다는 것과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 와의 관계만 검정하였다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 와인소비자 유형에 따른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와의 관계의 연구에서 본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후속연가가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존 선택 집합과 새로운 대안의 추가가 대안 매력도와 선택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진아,하영원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Through several researches which explained that consumers' decision making and preferences are influenced by comparison process during purchasing situation, preference could be varied in the given situations. Based on these prior researches, the researcher examines the difference of attractiveness, choice and post decision satisfaction of the prior choice set when a new alternative which changes the prior choice set's common and unique features was added in the choice set.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examine whether adding a new alternative which makes one of the prior choice set's unique features common features and has its own unique feature could change the prior choice set's attractiveness. Second, to eliminate the effect of separate evaluation, this study restricts the presentation way of choice set to only joint evaluation, se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preferenc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see whether adding a new alternative could make differences in post decision satisfaction, but also if the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way the satisfaction moves. So,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eparate the group into two part, one is unique good features' set, and the other is unique bad features' set. Also,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before and adding anew alternative, within subjects design was used. To accomplish there search goals, 2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ior researches usuall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unique good feature group and unique bad feature group, but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within groups also exists o it is possible to say that depending on which feature group a consumer faces could influence before and after choice. Second,asmentionedabove,thisstudyseparateuniquegoodfeature group and unique bad feature group. Through this study, when the prior choice set already has its own unique good or unique bad features adding a new alternative has impact on the attractiveness of the prior choice set's alternatives. Third, adding a new alternative influences not only on the attractiveness but also on choic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attractiveness and choice that decision makers feel and make during the process could be varied by the prior choice set's unique feature and a new alternative which changes the features' uniqueness. Last, the post decision satisfaction could also be influenced by the prior choice set's unique and common features and a new alternatives. 소비자들이 구매 과정 상황에서 겪는 대상간의 비교 과정이 대안에 대한 판단과 선호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는 기존의 연구를 통해, 선호가 과업이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택 집합과 기존 선택 집합 속성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대안이 추가 되었을 때, 기존 대안의 매력도와 대안 선택의 변화, 그리고 선택 후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 째, 기존 고려 대안군의 한 대안의 고유 속성을 공유하는 새로운 대안을 추가하여 기존 대안군의 매력도가 변화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대안의 제시 방식을 공동 평가(joint evaluation)방식으로 제한하여 분리 평가 (separate evaluation)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비교 방향성 효과를 제거하고, 기존 대안군의 속성 쌍과 새로운 대안의 추가로 선호의 변화가 일어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고려 대안군의 속성에 따라 선택 후 만족도가 대안이 추가되어 대안 속성의 고유성에 변화가 생긴 상황에서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선행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추가 대안으로 기존 대안의 고유 속성이 추가 대안의 속성과 공통으로 묶였을 때, 만족도가 변화하는지 여부와 변화한다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안 속성 쌍에 따라 새로운 대안의 추가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고유의 좋은 속성과 공통의 나쁜 속성을 가진 대안군 집단과 공통의 좋은 속성과 고유의 나쁜 속성을 가진 대안군 집단으로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설정된 가설들을 실험한 결과,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된 점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고유의 좋은 속성 쌍 집합과 고유의 나쁜 속성 쌍 집합의 집단 간 비교 (between-subjects comparisons)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집단 내 비교(within-subjects comparisons)를 하였기 때문에 각 속성 집합 내에서의 변화를 더욱 명확히 볼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대안의 속성 쌍은 고유의 좋은 속성 쌍과 고유의 나쁜 속성 쌍 두 가지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대안들이 이미 고유의 속성과 공통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기존 대안의 고유한 속성을 공유하는 새로운 대안이 추가되면 기존 대안의 매력도가 변화하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새로운 대안의 추가로 기존 대안의 매력도의 차이뿐 만 아니라 선택의 변화 정도 역시 달라졌는데, 이는 기존 대안의 고유 속성이 의사 결정자가 대안에 대해 느끼는 매력도나 선택 과업에서 미치는 영향이 새로운 대안이 추가되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기존의 연구들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기존 대안 집합의 속성 쌍에 따라 새로운 대안의 추가가 만족도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공유오피스 선택속성의 품질 분류 및 선택속성이 신뢰, 장기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Kano 모델을 중심으로

        최정원,박진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As the value of consumers and manner of consumption have shifted from "ownership" to "sharing" around the world, the sharing economy is gradually spreading, the shared office business in Korea is also growing rapidly. In the case of a shared office, it also has the character of place marketing tha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a place. In this study, the attributes of the shared office are classified into various quality dimensions by the non-simple approach of the Kano model, and the quality typ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re compar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n the intention of long-term use (intention of reuse and recommendation) was to be identified. The attributes of the shared office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rental condition, site location, space condition, service quality, brand reputation. These factors were categorized again into 18 sub-factors. They are adopted as the antecedent of trust, the intention of long-term use. To collect the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users of 144 offices from 76 companies in Seoul, Gyeonggi, Busan, Incheon, Daegu, and Gwangju. A total of 250 valid samples we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In the method, first, the attributes of the shared office qualit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odel presented by Kan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mpact of attributes of the shared office such as rental condition, site location, space condition, service quality, brand reputation on trust, intention to renew, and intention to recommend. In the result, the attributes of the shared office were classified in various quality dimensions by the application of the Kano model and showed the difference categorizing in quality types according to gender. The attributes of the shared office have been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new the contract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it. In the mediating test, the independent variable rental condition only had direct effects, the space condition was partially mediated with direct and mediated effects, and the service attribute was identified as fully mediated with only indirect effects.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가 인식하는 가치와 소비의 방식(패러다임)이 ‘소유’에서 ‘대여(렌털)’와 ‘공유’로 전환되며 렌털/공유경제가 점점 확산되며, 국내의 공유오피스를 비롯한 공유경제 비즈니스(sharing economy business) 또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그 가운데 공유오피스의 경우 장소발전을 촉진하는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의 성격 또한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오피스의 선택속성을 Kano 모델의 이원적 접근법에 의해 다양한 품질차원으로 분류하고, 이용자들의 특성에 따라 지각하는 품질의 차이를 비교하는 한편, 선택속성이 신뢰, 장기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공유오피스의 선택속성을 임대속성, 입지속성, 공간속성, 서비스속성, 브랜드속성 등 5개의 상위속성과 18개의 하위요인으로 선정하고 신뢰, 장기이용의도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설정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대구, 광주의 공유오피스 76개 업체, 144개점의 현재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으며, 총250개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했다.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Kano가 제시한 이원적 측정모델을 이용하여 선택속성의 지각 품질을 분류했으며, 다음으로 선택속성인 임대, 입지, 공간, 서비스, 브랜드가 신뢰와 장기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공유오피스의 선택속성은 Kano 모델 적용에 의해 다양한 품질차원으로 분류되었으며 성별에 따라 품질 지각 차이를 보였다. 또 선택속성은 장기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속성이 신뢰를 매개로 장기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독립변수인 임대속성은 직접효과만 존재했고, 공간속성은 직접효과와 매개효과가 있는 부분매개 되었으며, 서비스속성은 간접효과만 존재하는 완전매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오토캠핑참여자의 선택속성과 추구편익의 관계 연구

        김준석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오토캠핑 참여자의 정확한 선택속성을 파악하여 캠핑문화를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 적이고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고, 오토캠핑장을 준비하는 지자체나 관리자에게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 는 혜택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이 있다. 2020년 현재 강원도 H지역, S지역에서 2월에서 7월까지 5개월 동안 오토캠핑장을 방문한 성인참여자들 총 297부의 설문자료가 사용되었으며, SPSS 24.0을 사용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로 얻은 결론으로써 첫째, 선택 속성의 하위요인과 추 구하는 편익의 교육적인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청결성, 주변 환경, 선택 속성의 접근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 속성의 하위 요소와 추구하는 유익성의 물리적 요인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변 환경과 선택 속성의 청결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 속성의 하위요인과 추구하는 편익의 사회 적인 요인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청결성, 주변 환경, 선택 속성의 접근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택 속성의 하위요인과 추구하는 편익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선택 속성 하위요인인 주변 환경과 청결성 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act selective attributes of auto camping participants, propose specific and improved methods to establish and promote camping cultur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benefits of seeking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local governments or managers preparing for auto camping sites. As of 2020, a total of 297 surveys were used by adult participants who visited auto camping sites in the H and S areas of Gangwon-do for five months from February to July,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tur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s a result of these research procedures,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n the educational factors of the selected attributes and the benefits sought showed that cleanlines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selected properties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an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physical factors of the benefits pursued and the sub-factor of the selection property showed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cleanliness of the selection property had a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n the social factors of the selected property and the benefits sought showed that cleanlines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chosen property had significant effects.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selected property and the benefits sought showed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leanliness, the selected property sub-factor, had a significant impact.

      • KCI등재

        한국․중국 녹차소비자의 구매동기와 선택속성의 관계

        이청천,고재윤 한국외식경영학회 2015 외식경영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녹차 음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적에 따라 녹차 소비자의 구매동기에 따른 선택속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 변수인 의 요인들의 구체적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녹차 시장을 활성화 하여 기업의 브랜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녹차 생산기업이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기업 실무적인 마케팅전략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한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결과 녹차 소비자의 구매동기는 3가지 요인(사회적 구매동기, 효용 구매동기, 학습 구매동기)으로 구분 되었으며 선택속성은 4가지 요인(제조 선택속성, 제품특성 선택속성, 정보 선택속성, 가치 선택속성)으로 구분되었다. 두 가설은 모두채택되었으며, 한국 녹차 선택속성요인의 제조 선택속성요인은 녹차 구매동기 요인의 사회적 구매동기, 효용 구매동기, 학습 구매동기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중국 녹차 구매동기의 효용 구매동기요인은 녹차 선택속성요인의 제조 선택속성과 가치 선택속성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본 연구를 통해 국내 및 중국 차 시장 간의 관계를 도출해 국가 간 비교를 통한각 국가별 맞춤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또는 추후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의 차 관련 기업들에게 주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green tea consumers, and attemp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green tea consumers on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 between Korea and China.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in the area of Shanghai and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From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ree purchase motivation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which were sociality, health benefit and learning. Four factors of selection attributes were identified as manufacture,feature of product, information and value. The results of the Korea green tea consumers'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ociality, health benefit,learning of purchase motivations and manufacture of selection attributes were highly correlated. The results of the China green tea consumers'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health benefit of purchase motivations and manufacture, value of selection attributes were highly correlated. Moreover the value of selection attributes and health benefit of purchase motivat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results.

      • 관광객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특수목적관광지 선택속성 연구

        영기 ( Young Ki Choi ),홍영호 ( Young Ho Hong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1 社會科學論叢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특수목적관광객의 구매행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 목적지선택속성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 및 목적지선택속성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더 나아가 정교화 된 특수목적관광객의 행동과정 모델개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향력 검증을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 목적지선택속성에 관한 개념적 틀을 완성하는데 관광학에서 논의 되었던 문헌고찰이 도움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특수목적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선호유형, 목적지선택속성의 측정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상호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전통추구형, 위락추구형, 건강추구형, 사회추구형, 여가추구형으로 도출되었고,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은 문화관광, 스포츠관광, 환경관광, 기타 SIT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특수목적관광(SIT) 목적지선택속성으로는 자연적속성, 문화적속성, 사회적속성, 관광시설속성으로 도출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형과 세부활동유형을 도출하였는데, 활동유형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향후 유형별 개념과 특성 그리고 특징을 잘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정확한 분류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모집단의 표본 설계에 있어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할당표본추출방법을 통하여 특수목적관광(SIT) 유형별 모집단을 선정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특수목적관광(SIT)의 유형이 매우 다양하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확률표본추출방법 중 단순무작위표본 추출방법을 통하여 SIT 유형별 많은 모집단을 선정하고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확대 실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o seek very expansive and active tourism visiting destinations related to special interests and themes, modern tourists gradually prefer Special Interest Tourism(SI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xact conceptual theory of SIT and to develop the measuring scale of variables such as lifestyles of tourists with special interest, preference types and selected properties of destinations of SIT, information source and to verify the relations of these variables based on this. To study them, 5 lifestyle types such as tradition pursuit type, entertainment pursuit type, health pursuit type, society pursuit type, leisure pursuit type, etc were sampled for the tourists with special interest based on the theory studies and the preceding studies, 4 factors such as Culture, Sports, Environment, others SIT, etc were done for the preference type of SIT and 4 ones such as nature, society, culture, tourism facilities, etc were done for the selected attributes of destinations of SIT. And 4 information sources such as internal information ones (experience information source) and external information ones (individual information source, commerce information source, neutral information source) were derived. As for the analytical method, I executed frequency, confidence, factor, and correlation analyses using SPSS12.0 and used AMOS 6.0 to verify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ifestyle type has an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type of SIT. Second, It has found that the lifestyle type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properties of SIT destinations. Third, the preference type of S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attributes of destinations. Fourth, the preference type of S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l information source. Fifth, the preference type of S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information source. Sixth, the selected attributes of SIT destinations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al information resource. Seventh, the selected properties of SIT destinations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external information resource. Eighth, the internal information source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external information source.

      • KCI등재

        커피 전문점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서비스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홍장은 ( Chang Eun Ho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2

        커피전문점에 대하여 대중적이면서도 이용도가 높아지면서 커피전문점 선택에 대하여 과거대비 매우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피 전문점간의 경쟁심화 및 소비자의 선택이 다양해 사용시간 및 이용횟수도 증가 추세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대학생을 중심으로 선택속성이 커피전문점에서 고객만족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커피전문점 운영에 있어 경쟁력 있는 마케팅 수립과 운영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선택속성이 서비스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이 서비스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채택, 선택속성이 서비스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도 부분채택, 고객만족이 서비스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채택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커피 전문점 선택속성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선택속성 중 커피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선택속성 중 커피품질과 서비스는 애호도에 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커피의 품질은 고객만족과 서비스 애호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커피전문점을 운영하는 경영자는 이러한 결과를 반영한다면 경쟁력 향상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시사점으로 지역적 한계와 추후 일반인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선택속성의 다양성을 비교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As coffee shops become more popular and accessible, customers have more diverse types of coffee shop selections are now given than before. With more heated competition among coffee shops and a diversity of consumers`` selections, they are more frequently us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o coffee shop among college students to provide marketing implications for coffee shops. The results show that selection attributes only partially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while custom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service loyalty. More specifically, among selection attributes, employee, brand, and service significantly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while the quality of coffe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H1-1, H1-3, and H1-4 were supported while H1-2 was not supported. Also, employees and brand significantly influenced service loyalty, while the quality of coffee and servic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 service loyalty. Therefore H2-1 and H2-3 were supported while H2-2 and H2-4 were not supported. These findings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ffee shops to improve competitiveness. Better implications will be offered if larger and wider sample is examined in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