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신성한 공간 -苑과 苑池-

        윤재운(Yun, Jaewoon)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1 No.-

        본고는 발해 상경성의 苑과 苑池의 성격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현재 한국 · 일본 · 중국에서는 庭苑 · 庭園 · 園林 등의 개념이 혼재되어 쓰이고 있다. 여러 사례를 참고하여 본고에서는 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園林이나 庭園이라는 용어는 현재 중국과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일반명사이지만, 발해 시기의 사료에는 苑이라는 용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경성의 苑을 소재지에 따라 크게 도성 밖에 있는 것과 도성 안에 있는 것으로 나누어 보았다. 도성 밖에 있는 것은 北苑과 西苑, 도성 안에 있는 것은 北內苑, 東內苑, 西內苑이다. 상경성 밖 북부의 北苑은 ‘和干苑’이라 불리는데, 상경성 가까운 교외에서 가장 큰 苑池였다. 상경성 안의 苑 가운데 유구가 명확한 것은 東內苑 뿐인데, 御花苑이라고도 불렸다. 상경성 苑의 특징은 東內苑 유구를 통해 그 실상을 어느 정도 알 수가 있었다. 상경성 苑의 구조적 특징으로는 假山의 축조와 自然石의 배치 그리고 연못 조성의 세 가지 모두 발해의 고구려 계승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경성 苑의 기능으로는 軍事攻防의 거점, 王權儀禮의 무대, 狩獵 · 娛樂, 宴會, 그리고 音樂 · 文學의 場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軍事攻防과 狩獵 · 娛樂의 기능은 五胡十六國시기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궁성과 직접 연결된 지점에 대규모의 苑인 ‘後苑’을 두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상경성 和干苑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王權儀禮, 宴會, 音樂 · 文學의 기능은 상경성 안의 東內苑을 비롯한 도성 안의 苑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국 상경성 苑의 구조적인 특징은 五胡十六國 · 北朝 시기부터 유행한 城苑통합체계를 따르면서도, 그 내부에 假山의 축조와 自然石의 배치 그리고 연못 조성을 통해 보았을 때 고구려 계승도 엿볼 수 있다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organ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Won and the Pond of Palace in Balhae’s Sanggyeongseong(上京城).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three different concepts of garden is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with reference to various cases, the term Won (苑) was the most commonly us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Balhae period whereas the term Wonlim(園林) or Jeongwon(庭園) is a general noun mainly used in China and Japan. In addition, the Won(苑)s of Sanggyeongseong was largely divided into those outside the city castle and those inside the city castle, depending on their location. The ones outside the city are Bukwon(北苑, Northern Garden) and Seowon(西苑, West Garden) while the ones inside the city are Buknaewon(北內苑, Garden in the north), Dongnaewon(東內苑, Garden in the east) and Seonaewon(西內苑, Garden in the west). The Bukwon outside of Sanggyeonseong, which is called Hwaganwon(和干苑), was the largest in the suburbs near Sanggyeongseong. Among the Wons in Sanggyeongseong, the only Won with distinct remains is Dongnaewon, which was also called Eohwawon(御花苑). The characteristics of Sanggyeongseong’s Won were known to some extent through the remains of Dongnaew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anggyeongseong’ Won are significant in ways that it can give a glimpse into the succession of Koguryeo in Balhae through all three of the constructions of Gasan(假山), the arrangement of the Natural stone, and the creation of the p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s of Sanggyeongseong’s Won were the base of military affairs, the stage of royal ceremonies, a place for hunting and entertainment, and a space of Banquet, music, and literature. Among them, it was inferred that the functions of military affairs and hunting and entertainment originated from the period of the Wu-Hu-Shi-Liu-Guo(五胡十六國), was characterized by a large-scale Back Garden(後苑) at the point directly connected to the palace, and that it was done in Sanggyeongseong. It was understood that the functions of royal rites, associations, and literature were perform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city, including Dongnaewon. In the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Sanggyeongseong’s Won is the succession of Koguryeo that can be seen from the construction of Gasan, the layout of Natural stone, and the creation of ponds, while following the Combination system of castle and Won that prevailed since the period of since Wu-Hu-Shi-Liu-Guo.

      • KCI등재

        발해 도성의 구조와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김진광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2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lhae's capital system(都城制度) is a step-by-step marker of the completion of the state's governing system(支配體制).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is Shanggyeongsheng(上京城). That's because Shanggyeongsheng(上京城) with a threefold-castle structure(三重 城) of royal palace(宮城)-internal castle(內城)-external castle(外城) in the side-to-side checkerboard type symmetrical structure has the most paradigmatic castle structure not only in Balhae but also in East Asia. Despite the fact that such structure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a lot of similarities in the typ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in Chungwon, scholars were skeptical that it had the same structur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at the time when transferring the capital. If we review the result of excavation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and the findings of the senior scholars, it can be understood that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not only the structure of Sudangchangansheng(上京城) but also accepte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projected in 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on the theory of step-by-step construction(段階別築造??) which was claimed based on the point that the construction like today's construction was impossible with the level of national power at that time in that the layers whose difference in construction time between the place No. 2, the central point of the royal palace, and the palaces No. 3~5 could be found were not identified, in that the whole Shanggyeongsheng(上京城) was planned by the same standard scale and finally in that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accepting Samjoje(三朝制). The Shanggyeongsheng(上京城) i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conducted by careful planning from the beginning, and with its close relation with the King Mun's(文王) policy of civilian government(文治), it shows that the governing system of the state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造營原理) projected in it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hungwon culture(中原文化) was being understood to a considerable level, and this means that the view of the world(天下觀) that he wanted to implement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Balhae. 바둑판식 좌우대칭구조로서 궁성 - 황성 - 외성의 3중성 구조를 지닌 상경성은 발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가장 전범적 인 도성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발해 도성제도의 변천과정은 발해 중앙행정체제의 완비로 발해정체제도 보편화과정의 단 계적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대상은 상경성으로, 그 구조는 중원의 隋唐長安城과 그 형식면에서 많은 유사점 을 지니고 있음에도, 상경천도 당시 수당장안성과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었을까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상경성 발굴 결과와 선학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해 보면, 상경성은 수당장안성의 외적 구조만이 아니라 그 내면에 투영되어 있는 조영원리도 수용했음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당시 발해의 국력수준에서 현재와 같은 조영이 불가능함을 주장했던 단계별축조설은 궁성의 중심점인 2호 궁전과 3~5호 궁전 사이에서 조영시기의 차이를 발견할 만한 층위가 확인되지 않은 점, 상경성 전체가 동일한 영조척에 의해서 계획되었다는 점, 그리고 3조제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한 점 등의 측면에서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결국 상경성 조영은 치밀한 계획에 의한 문왕 치세 당시 국가의 운영원리가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상 경성의 조영과 그 원리는 초축 당시 상당한 정도로 중원문화를 이해하고 있었음을 전제하는 것이며, 상경성이 지니는 위상과 구체적인 의미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더 나아가 이것은 국가의 통치체제가 마련되고 사회전반으로 투영되었으며, 그가 구상하는 天下觀이 발해국 전체로 확대되어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공간 구조적 특징에 대한 고찰

        김은옥(金?玉)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0 No.-

        발해(698-926년)의 상경성은 발해의 여러 천도 과정 중 도성으로 가장 긴 시간 동안 사용된 곳이다. 장기간에 걸친 상경성지에 대한 발굴 조사로 현재 주요 궁전지, 성문지, 도로, 리방(里坊) 등에 대한 대략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국적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발해 연구는 연구자들 간의 다양한 각도와 이해 등의 차이로 현재까지도 이견이 많은 연구 대상이다. 또한 발해 고고학 가운데 가장 많이 연구된 대상 중 하나가 바로 이 상경성이다. 한 나라의 대표적인 수도이자 도성으로 천도와 재천도(환도)를 거치는 기간 동안 이 곳은 발해의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중심지였을 것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상경성지의 형태적인 특징이나 출토 유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그 가운데 상경성 내 공간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상경성은 고대 도성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인 남북 중축선을 기반으로 좌우 대칭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그 중축선 상에 외ㆍ내성의 주요 문지를 비롯하여 주요 궁전지, 성내 가장 큰 도로(제1호 도로)가 배치되어 있다. 상경성은 굉장히 큰 규모의 성이기 때문에 외성안 공간은 다시 내성-황성-궁성 등 여러 공간으로 구분되고, 각 성 역시 담장이나 격벽(隔壁) 등의 시설로 더 작은 규모의 공간들로 세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①규칙적이고 정연화 된 공간 배치가 이루어졌다는 점, ②남북 중축선을 기반으로 좌우 대칭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 ③도로와 리방 등 외성내, 내성밖 구역 역시 정연하게 구조되었다는 점, ④소수의 문지와 출입 시설 등의 설치로 방어기능이 강화된 폐쇄적 공간 구조를 형성하며 출입을 통제할 수 있었다는 점, ⑤왕의 공간이자 정치적 공간이라고 볼 수 있는 궁성 중에서도 주요 궁전지가 배치된 궁성의 중심구역을 삼중의 성벽과 해자 등으로 철저히 보호하려고 한 점 등을 근거로 당시 발해국 안에서 통치자의 권위와 위상이 대단히 강했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상경성은 발해의 도성 중 현주와 동경의 치소로 비정되는 서고성과 팔련성 간의 구조적 유사점도 확인할 수 있다. 두 성 역시 상경성과 마찬가지로 남북 중축선을 기반으로 주요 건축지(궁전지) 및 성문 등을 배치하고 있으며, 주요 궁전이 위치한 내성 공간을 이중으로 보호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는 일부 공간 구역이 설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渤海 上京城의 建築 造營과 形式

        李秉建(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비교의 대상이 아닌 독자적인 시각으로 발해가 인식되어야 한다는 당위성 아래, 발해의 수도였던 상경성의 조영 당시 모습이 어떠했으며, 여기에 반영된 건축 형식은 어떠했는지를 추정하여 발해건축의 진정한 모습을 찾아보고자 했다. 제Ⅱ장에서는 상경성의 건축 조영 당시 모습을 발굴결과를 기초로 재현해 보았으며, 제Ⅲ장에서는 상경성의 건축 형식에 대한 고찰을 모양새에 해당되는 배치와 평면, 짜임새에 해당되는 구조(기초·기단, 주춧돌, 바닥, 기둥, 벽, 공포, 지붕), 꾸밈새에 해당되는 장식, 기술, 의장 등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상경성은 외성과 내성의 두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외성, 황성, 궁성의 세 영역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외성은 동서로 긴 장방형인 반면 내성은 남북으로 긴 장방형이다. 궁성에는 남문을 시작으로 전각들이 제1궁전부터 제5궁전까지 중축선상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었다. 상경성에 채택된 건축 구조적 특징을 보면 기둥에서 조절하는 안쏠림을 주춧돌부터 안쪽으로 미리 기울여 놓았고, 모서리 기둥 보다 가운데 있는 주춧돌을 안쪽으로 약간씩 들여놓는 안허리 기법을 적용하여 건물의 네 모서리가 예각이 되어 보다 날렵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발해 상경성에는 건물의 의장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건축 자재들이 많이 활용되었는데, 보상화무늬나 인동무늬의 아름다운 전돌(벽돌)이 바닥에 깔리거나 쌓였으며, 화려한 공포가 벽과 지붕 사이를 장식했으며, 1m에 달하는 치미가 용마루 끝을 장식하였으며, 추녀마루에 입체적인 용두를 장식해 건물의 격식을 드높였다. 또한 기둥밑치레라는 발해만의 독특한 기둥 밑 장식재를 씀으로써 발해건축의 독자성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find out what was the architectural form and construction of Balhae(Bohai, 渤海) Sang-gyeong castle(上京城). Merely, Balhaekook(渤海國) sets identity as a assumption. In the second chapter, it was seen the shape of Sang-gyeong castle at that time by the result of relics excavation. In the third chapter, it was studied architectural form such as site and planning and construction such as footing·stylobate, foundation stone, floor, wooden column, wall, bracket system, roof shape, decoration, techniqu eand design sense.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Balhae had gener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cultural ones as seen in many of its cultural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the Balhae architecture is to understand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the Balhae’s point of view. The East Asian states tend to interpret their histories from self-centered perspectives. In conclusion, we need to consider history as shared heritage rather than a property of individual states.

      • KCI등재

        한반도 성곽유적에서 추정해 본 발해 상경성 성곽시설 여장의 복원적 고찰

        이병건(Lee Byeonggun)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본 연구는 발해 상경성 외성 성벽 위에 남아있는 흔적을 근거로 발해시기 성벽에서의 여장존재와 그 모습을 추론해 보고자 했다. 연구의 진행 순서로 제Ⅱ장에서는 여장의 개념과 조영기술 발전을 조선시대 수원화성과 남한산성을 본보기로 정리해 보았다. 여장의 조영방법을고찰해 봄으로써 그 이전시기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발전된 기술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파악해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고구려와 고려시기 성곽 가운데 여장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유적을 정리하여 발해와 비교하는 기준틀을 설정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상경성 외성의 규모와구조방법을 기존 문헌을 통해 파악하고, 이어 연구자가 확인한 여장 흔적을 소개하였다. 제Ⅴ 장에서는 각 시기별로 확인된 여장의 모습을 통해 발해 상경성 외성 성벽 위에는 어떻게생긴 여장이 존재했을까를 추론하여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 발해 상경성 외성 성벽 위에는 폭 1m 내외, 높이 1.3m 정도의 여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장 길이는 타와 타구로 구별된 선진화된 여장이아니라 고구려나 고려의 경우와 같이 일정 거리를 연속적으로 유지하였을 것이다. 또한 재료가벽돌이 아닌 석재로 여장을 쌓았으므로 사혈과 같은 구멍을 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발해 상경성의 외성 성벽은 지금의 모습과 높이가 성벽의 마지막이 아니라 체성벽 위에 여장까지 군사적 방어력을 충분히 갖춘 성곽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ought to infer the existence and appearance of fortress wall in the Balhae period based on the castle remaining on the Sanggyeongseong castle. In the order of the research, chapter II summarized the concept of fortress wall and the development of contrast technology as an example of Suwon Hwaseong and Namhansanseong fort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contrast method of fortress wall, we identified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period and the advanced technology. Chapter III established a framework for comparing the traces of fortress wall with Balhae by organizing the remaining of Goguryeo and Goryeo fortress wall. Chapter Ⅳ identified the size and structure method of the Sanggyeongseong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followed by the traces of fortress wall confirmed by the researcher. Chapter Ⅴ deduced from the appearance of the fortress wall identified at each time to see what the fortress wall looked like on the outer wall of Sanggyeongseo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 fortress wall about 1m wide and 1.3m high on the outer wall of Balhae Sanggyeongseong castle.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세계유산 등재 전망 및 제언

        신미아(SHIN Mi-a)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5 No.-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세계유산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이 향후 발해 상경성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한다면 등재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기존 유사 사례에 비추어 전망해보았다. 그 결과 상경성 유적은 발해의 대표 유적으로서 높은 가치가 있고, 중국 정부가 보존 관리에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일부 유적의 진정성 논란이 있겠지만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경성 및 발해 유적은 중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아직 들어 있지 않지만 중국이 최근 소수민족 관련 유산을 세계유산에 등재하는 경향을 강화하고 있어 향후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중국이 최근 상경성에 대한 대규모 발굴을 마치고 유적정비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주요 발해 유적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이미 잠정목록에 등재된 다른 유산이 다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유산 등재를 서두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상경성을 세계유산으로 신청한다면 고구려 유적 사례와 마찬가지로 다시 한 번 관련국간 역사외교갈등이 재현될 것이다. 중국이 발해를 중국내 고대 소수민족 지방정권으로 규정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계유산 제도 자체를 보완해 갈등의 빌미가 되지 않도록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유네스코 신탁기금 등을 통해 한국과 역사인식을 공유하고 있는 북한의 발해 유적 발굴과 연구를 지원해야 한다. 아울러 무엇보다 관련국들이 세계유산 등재를 두고 감정적으로 대립하기보다는 세계유산 사업의 취지에 입각해 서로 다른 관점을 인정하고, 다양한 학자들이 참여하는 동북아 고대사 논의의 틀을 마련하는 한편 발해 유적에 대한 학술 교류와 보존 협력의 계기로 발전시키려는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World Heritage of China and to prospect the possibility of inscription of the Balhae Sang-gyeong cast lreelics in China on the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List. Given the value of the Sang-gyeong castle, it is highly possible that it will be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Balhae relics, including the Sang-gyeong castle site, are not on the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 of China for now. However, given the fact that China has strengthened the inscription of the heritage relating to minor ethnic groups in China. it is possible that China will nominate Balhae relics to the World Heritage List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It is particularly concerning that China has recently been carrying out the overall restoration work of the Sang-gyeong castle after completing a large scale excavation of the site. However, since China has the most Balhae relics of any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it seems unlikely that China will hurry the nomination of Sang-gyeong castle rcesli on the List. Historical and diplomatic conflict is foreseen among countries concerned if China submits the nomination of Sang-gyeong castle for the World Heritage List. In order to cope with this, the revision of the current World Heritage system should be carried out. Assistance for excavation and research of Balhae of North Korea could also be considered. A joint network for discussion and research on historical issues of East Asia, comprised scholars from various continents, is necessary. Moreover, it is important to be reminded that the fundamental goal of World Heritage programme is to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the property rather than cause emotional confrontation and disputes over the inscriptions.

      • KCI등재

        渤海 宮闕構造의 系譜에 대한 檢討 : 上京城과 西古城의 宮殿址을 중심으로

        양정석(Yang Jeong-Seok) 호서사학회 2010 역사와 담론 Vol.0 No.56

        The publication of the reports on Sanggyeongseong Castle[上京城] and Seogo Castle[西古城]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level of studying a step higher on the basis of existing excavation fruits in Old Japan times. Especially, a lot of points of view presented in the reports will be a milestone to understanding the traits of Balhae[渤海] royal palaces. But the recognition revealed here on Balhae royal castles, especially on the genealogy of palaces, have to be examin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tudies. It is because discusses on reports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bout excavation, but it’s not far from the existing recognition, at the point of view after examination. They said that the structure of Sanggyeongseong Castle found now is the latest shape, but the structure of the past was the same as that of Seogoseong Castle. From an aspect it seems to be reasonable. But, basically that opinion is set out that the palace1 and palace2 of Sanggyeongseong Castle can not be built without the affection of Tang[唐]. This thesis and the another one written by myself found out that there were more parts that could be compared with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Goguryeo[高句麗] Palaces than the parts that could be compared with the arrangement of Tang directly. This thesis could establish a direct genealogy from a central palace building division. That report intended to restore the expansion courses of Sanggyeongseong Castle through the recognition on soil layer sections of Sanggyeongseong Castle No.3 palace site. But, compared with restoration height of Seogoseong Palace No.1, object of comparison, it has something to considered on. In addition, the control works for setting main sticks and foundations on the upper parts in the course of piling up soils and stones are found from the other archaeological sites such as miruk temple site of Baekje. So, it is necessary to think of the issue in the other aspects. In the end, referring to the palace sites of Sanggyeongseong Palace No.4 and the palace sites of Seogoseong Palace No.2, this thesis looked into the fact that there were a lot of parts to think of due to something more than only the king’s bedroom[寢殿]. It is because an Assembly hall[講堂] sites of Neungsanri[陵山里] temple Sites[寺址] at Baekje[百濟] periods are found,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ites of the palace sites. Now, a lot of discussions are on the progress, in relation to Neungsanrisa Site halls. So, the roles of Sanggyeongseong Castle and Seogoseong Castle have to be discussed on again. It has to be considered on, together with the structure arrangements of vice-palace and structure and palace sites in the right and left. This thesis presented the points of view,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eports, about some parts. There are some possibilities for developed new culture of Tang to be mixed and imported to the building courses of Sanggyeongseong Castle, as time went by . But, it has to be considered on that a lot of parts that Goguryeo’s culture had are found in Sanggyeongseong Castle. It is because the facts are important hints for understanding position and genealogy that Balhae palace has, viewed from the East Asia Castle styles.

      • KCI등재

        발해 상경성 내 제1절터의 건축적 성격

        김왕직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In Sanggyeong Fortress, Balhae, 9 Buddhist temple sites have been excavated so far. The first temple site has the characteristic having layout that the annexes of a building were built both sides of Geumdang, the main building, and connect the main building and the annexes with the corridor. In addition,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out of plan-types of the Geumdang, the main building is the double-walled room having alcova at four directions. The structure that connect the main building and the annexes with the corridor can be referred to as ‘penthouse style’ and this case is very rare. For the Buddhist temple currently existed, there is Houou-Do at Byodoin in Japa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Pure Land Buddhism in Japan during 11th century. In China, there is no Guibang style Buddhist temple currently existed but various cases appear in the painting of Amitadang at Dunhuang mural. In Shilla, the Guibang style layout has not been found yet. For the usage of annex, the dominating opinion considers it as the bell tower or sutra tower but since there is the cases that the annex is the auxiliary Buddhist temple like Beopseong Temple, Japan and Shan Hua Si, China, it cannot be concluded easily. Although Guibang-style structure, which the main building and the annexes are composed as integrated type, is the rare case enough to appear only in the first temple in Sanggyeong Fortress. Considering the similar cases in the similar period in China and Japan and the relics discovered in Sanggyeong Fortress, the nature of first temple site can be estimated as the sukhavati temple. The scholars from North Korea claimed that the double-walled floor plan that the main building is composed of the inner room and the outer room is the characteristic of Balhae only. However, considering that there are various cases such as Manijeon(摩尼殿) at Yungheungsa(隆興寺) and Seokatap at Bulgungsa(佛 宮寺釋迦塔) during Song Daynasty, Geumdang(金堂) at Sacheonwangsa(四天王寺), Junggeumdang(中金堂) at Hwangryongsa(黃龍寺) during Shilla, etc. it could be the general type of Buddhist temple plan that was popular during 6~ 10 century. 발해 상경성(上京城)에서는 지금까지 9개의 사찰지가 발굴되었다. 제1절터는 본채인 금당 양쪽에 곁채를 두고 본채와 곁채 사이를 복도로 연결한 구성이 특징이다. 또 본채는 금당의 평면형식 중에서 사방에 퇴가 있는 겹실형이라는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본채와 곁채를 복도각으로 연결한 일체형구성은 그 사례가 매우 드물다. 현존하는 사찰로는 일본의 뵤도잉(平等院) 호오도(鳳凰堂)을 들 수 있는데 뵤도잉은 11세기 일본 아미타신앙의 대표적인 사원이다. 중국은 현존하는 본채와 곁채 일체형 사원은 없으며 돈황벽화의 아미타당 그림에 다수 그 사례가 나타난다. 신라에서는 일체형 배치를 아직까지 찾아 볼 수 없다. 곁채의 용도는 종루와 경루로 보는 견해가 압도적이지만 일본 호죠지(法成寺) 및 중국 샨화쓰(善化寺)의 경우는 곁채가 부속불전인 사례가 있으므로 단정할 수 없다. 본채와 곁채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방식은 상경성에서도 제1사찰에서만 나타나는 드문 사례지만 중국 및 일본의 유사한 시기 사례와 상경성에서 발견된 아미타소조불 등의 유물로 미루어 제1절터의 성격을 정토사원으로 비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채가 속칸과 겉칸으로 구성된 겹실형 평면을 북한학자들은 발해만의 특징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고대 인도의 석굴이나 중국 당대 포꽝쓰(佛光寺) 대전을 비롯한 송대(宋代) 롱씽쓰(隆興寺) 모니띠엔(摩尼殿), 포공쓰쉬지아타(佛宮寺釋迦塔), 신라의 사천왕사(四天王寺) 금당(金堂), 황룡사(黃龍寺) 중금당(中金堂) 등 다수의 사례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6~10세기 정도에 유행하였던 불전 평면의 보편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발굴 및 고고연구 현황

        김은옥(KIM Eun-ok)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5 No.-

        발해고고학의 시작은 상경성의 발견과 함께 시작되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상경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발해 안에서의 그 위치와 가치, 그리고 상징적인 측면에 있어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경성은 일찍부터 국내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과 주제로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상경성지에 대한 발굴조사는 1930년대부터 지금까지 약 80년의 긴 시간동안 여러 차례 크고 작은 규모로 진행되어 왔다. 그 중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대규모의 정밀 발굴조사는 연구자들에게 다량의 1차적 자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상경성은 요나라 태종의 고의적인 파괴 이후에 청나라 초 유배인들에 의해서 일부 조사·기록되었지만, 당시의 사람들은 이곳이 발해 상경성지임을 인지하지는 못하였다. 이 후 19세기에 이르러서야 당시 ‘古代城’이라 불리던 이 성이 바로 발해 상경성지임을 확인하게 된다. 지금까지 진행된 상경성지에 대한 발굴조사는 크게 네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동성특구문화발전연구소에서 고찰대를 구성하여 진행하였던 조사(1931년)와 일본 동아고고학회 발굴단에 의한 발굴조사(1933~1934년)가 대표적인 제1시기, 중국과학원고고연구소와 북한의 사회과학원으로 이루어진 조중공동고고학발굴대에 의한 발굴조사(1963~1964년)가 대표적인 제2시기, 흑룡강성문물고고공작대·목단강지구문물관리참·영안현문물관리소로 구성된 연합발굴팀에 의한 발굴조사(1981~1985년)와 흑룡강성문물고고연구소가 발해상경유지박물관 건설(1985년)과 함께 진행하였던 발굴조사(1985~1991년)를 비롯하여 그 외 기타 소규모 조사들이 다수 이어졌던 제3시기, 마지막으로 중국 국가문물국의 지시에 따라 흑룡강성문물고고연구소를 중심으로 길림대학문학원고고계·중산대학인류학계·목단강시문물관리참·영안시발해유지박물관 등에 의해 보다 체계적인 발굴조사(1997~2007년)가 진행되었던 제4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사된 연도와 시기에 따라 발굴 현황 및 조사된 내용을 함께 정리함으로써 상경성지에 대한 그간의 각 시기 및 발굴대상별 조사 진행상황을 대략적으로 파악 해 볼 수 있다. Make an investigation into Balhae Sang-gyeong castle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in Balhae kingdom. So, that have been constantly studied until now by international scholars. And, in the past 80 years of Balhae Sang-gyeong castle’s archaeological works from 1930’s to 2000’s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Specially, the planned excavate investigation about Sang-gyeong castle is accomplished for 10 years from 1997 to 2007. And that offered a lot of basic research data to us about Balhae Sang-gyeong castle. In addition, it is meant to correct some one-time wrong realizations. In this paper deals with investigated process about Balhae Sang-gyeong castle so far. In other words, this study tells something about the four stages , new discoveries through archaeological works and its significant features in each period. Finally in future we need comparative studies Sang-gyeong castle with the others another Balhae castles.

      • KCI등재

        渤海 上京城 佛敎寺院址의 建立年代와 佛像 奉安의 復原

        양은경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지금까지 조사된 상경성 寺院址에 대해 소재지, 발굴과 시굴 년대, 조사기관, 조사대상, 구체적인 조사내용, 출토유물에 대해 종합정리하였다. 특히 1933ㆍ1934년 발굴된 제4, 5, 6사지와 1964년 발굴조사된 제1, 9사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조사내용을 언급하였다. 기존 학계에서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寺院址名, 소재지, 건물지 크기, 출토유물의 출토지점, 출토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종합정리하였다. 상경성 제5, 6사지에서처럼 방형의 불단이 불전 중앙에 설치된 것은 중국의 7세기 말∼8세기대 사찰 건축물, 석굴과 관련이 보이며 제1, 9사지의 ⩎형 불단이 설치된 예는 당나라 7세기대 궁전 건축물과 유사성이 확인된다. 더욱이 8세기 후반∼11세기 사찰 건축물, 석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보였다. 상경성 제4, 5사지에서 출토된 소형 소조상(전불)의 양식은 下代 新羅 혹은 唐末五代시기로 편년될 뿐만 아니라, 기타 상경성 사원지에서 발견된 금동불, 석불상의 조각양식 역시 羅末麗初나 唐末五代로 비정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상경성 발해 사원지는 상경성이 발해의 수도로 사용된 755∼785년, 794∼926년의 기간 중 마지막 수도로서 사용된 794∼926년에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음을 시사한다. 상경성 사원지 금당에서 불상의 봉안원형과 공간조성에 대해 동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복원안을 추정해 보았다. 제1, 9사지의 불단(안칸)에 마련된 벽면은 보조기둥과 외, 진흙을 바르고 회칠로 미장하여 벽체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안칸(불단) 벽체의 제작기법은 삼국시대 백제에서 예가 확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한대∼당대, 동시기 일본 사찰 건축물의 벽체에서도 보인다. 상경성 제1, 4, 5, 6, 9사지 불전에서 안칸, 바깥칸으로 구별되고 바깥칸을 비롯한 안칸에도 벽체가 설치된 것은 당대 불교사찰에서 유사한 예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제1, 9사지에서처럼 보조기둥, 외, 진흙으로 조성된 안칸 벽체는 동시기 기타 예에서 쉽게 찾기 힘들었고 더욱이 제4, 5, 9사지에서처럼 불단과 벽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된 점 혹은 제9사지와 같이 보조기둥ㆍ외ㆍ진흙의 벽체가 안칸의 네 면을 모두 둘러싼 예는 지금까지 비교대상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제1, 4, 5, 6, 9사지 불단 주위에서 출토된 대형, 중형의 소조상편들을 통해 불대석에 봉안된 주불상과 협시상은 소조상이라고 추정하였다. 또한 제4, 5사지에서 출토된 소형의 소조상(전불)들의 원래 봉안처에 대해서는 주불상 광배에 부착된 화불, 안칸 벽면에 꽂혀졌을 가능성, 안칸과 바깥칸 사이 혹은 안칸의 벽면과 불단 사이의 공간에 안치되었다는 세가지 추정안을 제시하였다.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두 번째, 세 번째 추정안이 설득력 있었고 세 번째 추정안, 즉 따로이 마련된 불단에 전불이 안치되었다는 내용이 더욱 原狀에 가깝다고 추론하였다. The mainstream of scholarly discussion on the investigation of the buddhist templ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on Sanggyeongcheng City of Balhae was carried out. In Chapter Ⅱ, I arrange synthetically about the location of the Sanggyeongcheng City buddhist temples that were excavated up to the present, the year of excavation and trial pits, research institutions, research objects, definite contents and excavated materials. Especially, I mention the specific substances about the 4ㆍ5ㆍ6 temple sites which were excavated in 1993ㆍ1994 and the 1ㆍ9 temple sites which were excavated in 1964. I also arrange collectively the names of the temple site, locations, the size of the buildings, the spots of excavated materials and the excavated circumstances to colligate things which were mixed through the academic world. In Chapter Ⅲ, I observe the Building history of Sanggyeongcheng City buddhist temples through Buddhist altars and shrines. Like the 5․6 temple sites, the Buddhist altar of square on the middle of the Buddhist shrine is similar to temple structures and stone caves of the late of 7C~8C in China. The Buddhist alter of ⩎style in the 1․9 temple sites is similar to palace structures of the 7C in Tang Dynasty, but they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temple sites and stone caves of the late of 8C ~ 11C. Furthermore in the 4․5 temple sites, the style of small modeling is in the latter period of Silla or the latter period of Dang and Five dynasty, and also the gilt bronze statue of the Buddha and the style of the stone statue of the Buddha which were excavated in other Sanggyeongcheng City temples ar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period. Namely, the temple site of Sanggyeongcheng City in Balhae was possiblly established during 794~926 during the period of the last capital. In Chapter Ⅳ, I present assumption proposals for the buddhist temples and restoration of Buddhist images enshrinement, and I assume some restoration proposals about prototype enshrinement and space form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China for the same period. The wall inside the Buddhist altar of the 1․9 temple sites is made with plaster composed of mud and lime, and supportive poles. Those techniques for plastering wall were confirmed in Baekje of the Three period kingdom, in Han and Dang dynasty of China, and also in Japanese temple sites. The ㆍ․4ㆍ5ㆍ6ㆍ9 temple sites are separated into interior and exterior partitions, and the structural walls are established in the both partitions, those are similar to the temple sites in Tang Dynas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similarities with the 1․9 temple sites which have structural walls that are composed with supportive pole, structural walls which were made by mud, furthermore it is also hard to find the comparative objects. Like the 4ㆍ5ㆍ9 temple sites, empty space between the buddhist altar and structural walls, and the 9 temple sites has specific composition of the interior partition which are covered on 4 sides with supportive pole․ structural walls which were made by mud. I assume that the main buddhist images and assistant buddhist images that were enshrined on pedestals are molded statues, this is confirmed by the pieces of large and middle size molded statue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buddhist altar around the 1ㆍ4ㆍ5ㆍ6ㆍ9 temple sites. Also I indicate three assumption proposals about the original enshrinement spots of small molding statues in the 4ㆍ5 temple sites - a Buddhist image which was sticking on halo of main buddhist images, the possibility to stick interior partition walls, and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partition or between wall of the interior partition and the buddhist altar. In comparison with chinese examples, the second and the third assumption proposals are persuasive, especially I inference the third one, namely the molding statues were enshrined on independent budd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