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상경~장령부 구간 영주도 노선상의 24개돌유적 현황과 역참 가능성 탐구

        이병건(Lee Byeonggun)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0

        본 글은 상경용천부에서 장령부까지 영주도 노선상에 존재했던 발해유적 분포와 조영특징을 파악하여 영주도의 구체적인 동선을 재조명 해보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 가운데 24개돌유적 쓰임새와 관련하여 기존 중국학자들의 연구결과 “역참이었을 것이다.”라는 주장이 과연 설득력 있는 것일까를 추론해 보았다. 제Ⅱ장에서는 발해 교통로와 관련된 주요 노선과 유적분포를 정리해 보았고, 제Ⅲ장에서는 노선상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발해 24개돌유적 분포와 현황(구조)을 정리해 보았으며, 제Ⅳ장에서는 상경에서 장령부까지 분포되어 있는 6개소의 24개돌유적 용도 관련 기존 연구성과를 비판해 보고, 과연 역참일 가능성이 있는지를 쓰임새와 건축구조 방면에서 각각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24개돌유적은 영주도를 비롯한 발해 주요 교통로 선상에 있어 많은 중국 연구자들이 역참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쓰임새와 건축구조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교통로를 이용하던 발해인들이 공공 목적으로 관리하던 다락식 창고로 보는 것이 더 타당성 있는 추론이 될 것이다. 또한 유적은 발해시기에만 이용된 것이 아니라 그 이후인 요금시기에도 계속적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24-stones relics distribution and posthouse psssibility of Sanggyeong-Jangryeong youngju traffic road in Balhae.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Total 6 sites were verified for 24-stones relics. There were 2(Mangu, Gyeongpung) in Geongbak river, 4(Yojeonja, Haecheongbang, Gwanji, Gangdong) in Dunwha city area. Following common factors were founded in 6 24-stones relics. 1st, they were mostly located around main street. 2nd, they faced toward south or east direction. 3rd, they could be founded easily since they were located in high platform. 4th, original number of foot stone is 24 and their height is around 0.7~0.8m. 5th, they have tile roof-high quality architecture since roof tiles are found around relics. 6th, the scale of relics is considered similar. 7th, the materials of foot stone is all basalt. These common factors show that 24-stones relics are public upper rised architecture which is constructed based on standard drawings. Followings are the usage of 24-stones relics. ① they were a posthouse since it is located around street. ② they were temporary storage of Balhae royal family’s corpse. ③ they were Balhae architecture for memorial ceremony relating faith. ④ they were not a building but a religious object which people admired. ⑤ they were memorial building of royal family of Balhae. ⑥ they were drying house. ⑦ they were storage for crop. Most of Chinese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using of 24-stones relics is posthouse. But I don’t think that because they are upper-rising building style, difficulty distance each other and building structure. After proceeding study, Balhae has general arch-cultural characteristics in northeast area as well as special arch-cultural ones as seen in 24-stones relics. The right way of studying Balhae architecture is understanding arch-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bjectively from a Balhae point of view.

      • KCI등재

        발해 상경성 궁성 내 제5궁전지의 건물성격 추론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1 No.-

        본 연구에서는 발해 상경성 궁성 내 제5궁전이 앞의 궁전건물들과는 다르게 사방이 벽으로 둘러싸인 독립된 공간이고, 출입도 제4궁전과 궁성 북문 쪽에서만 가능했으며, 건물구조도 내부 기둥을 생략하지 않은 총주식임을 들어 과연 건물성격이 어떠했을까를 추론해 보았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제Ⅱ장에서는 제5궁전지의 발굴결과와 유구현황을 정리해 보았고, 제Ⅲ장에서는 먼저 건물성격에 대해 지금까지 제기되었던 기존 주장들을 소개하였고, 이어 수집된 자료를 활용, 분석하여 건물성격을 규명해 보았다. 지금까지 제기된 건물성격과 관련된 주장을 종합해 보면 “첫째, 궁성의 방어와 호위를 위한 방어용 건물이었다. 둘째, 발해왕이 신하를 접대하는 연회용 건물이었다. 셋째 발해 왕실의 창고용 건물이었다.”로 정리할 수 있다. 반면, 건물구조와 관련된 주장은 일관되게 아래층 총주식 기둥배열에 위층 감주식의 중층 누각건물로 추정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인 상경성 궁성 내 제5궁전지는 발해 왕실 소유의 창고였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추정하였다. 차후 더 진행되어야 내용은 제5궁전지가 어떠한 구조이었으며, 주변국들의 창고건물과의 비교를 통한 좀 더 명확한 규명으로 연구가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er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fth Palace relic of Sang-gyeong castle, Balhae. The Fifth Palace was in an independent area surrounded by walls in four directions. Access was only possible from the Fourth Palace in the south.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was also a building that did not omit the internal pillars. The order of progr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I summarizes the excavation results and remains of the Fifth Palace site. Chapter III first introduces the existing arguments that have been raised so far about the nature of the building. Next,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The argument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building raised so far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 defensive building for the defense and escort of the palace. Second, it was a banquet building where King entertained his servants. Third, it was a warehouse building managed by King. On the other hand, all claim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were estimated to be pavilion buildings with full pillars on the lower floor and omitted the pillar in the middle. The researcher argues that the Fifth Palace of Sang-gyeong castle is most likely to have been a warehouse directly managed by King. The remaining research task in the future is to investigate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Fifth Palace.

      • KCI등재

        한반도 성곽유적에서 추정해 본 발해 상경성 성곽시설 여장의 복원적 고찰

        이병건(Lee Byeonggun)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본 연구는 발해 상경성 외성 성벽 위에 남아있는 흔적을 근거로 발해시기 성벽에서의 여장존재와 그 모습을 추론해 보고자 했다. 연구의 진행 순서로 제Ⅱ장에서는 여장의 개념과 조영기술 발전을 조선시대 수원화성과 남한산성을 본보기로 정리해 보았다. 여장의 조영방법을고찰해 봄으로써 그 이전시기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발전된 기술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파악해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고구려와 고려시기 성곽 가운데 여장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유적을 정리하여 발해와 비교하는 기준틀을 설정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상경성 외성의 규모와구조방법을 기존 문헌을 통해 파악하고, 이어 연구자가 확인한 여장 흔적을 소개하였다. 제Ⅴ 장에서는 각 시기별로 확인된 여장의 모습을 통해 발해 상경성 외성 성벽 위에는 어떻게생긴 여장이 존재했을까를 추론하여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 발해 상경성 외성 성벽 위에는 폭 1m 내외, 높이 1.3m 정도의 여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장 길이는 타와 타구로 구별된 선진화된 여장이아니라 고구려나 고려의 경우와 같이 일정 거리를 연속적으로 유지하였을 것이다. 또한 재료가벽돌이 아닌 석재로 여장을 쌓았으므로 사혈과 같은 구멍을 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발해 상경성의 외성 성벽은 지금의 모습과 높이가 성벽의 마지막이 아니라 체성벽 위에 여장까지 군사적 방어력을 충분히 갖춘 성곽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ought to infer the existence and appearance of fortress wall in the Balhae period based on the castle remaining on the Sanggyeongseong castle. In the order of the research, chapter II summarized the concept of fortress wall and the development of contrast technology as an example of Suwon Hwaseong and Namhansanseong fort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contrast method of fortress wall, we identified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period and the advanced technology. Chapter III established a framework for comparing the traces of fortress wall with Balhae by organizing the remaining of Goguryeo and Goryeo fortress wall. Chapter Ⅳ identified the size and structure method of the Sanggyeongseong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followed by the traces of fortress wall confirmed by the researcher. Chapter Ⅴ deduced from the appearance of the fortress wall identified at each time to see what the fortress wall looked like on the outer wall of Sanggyeongseo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 fortress wall about 1m wide and 1.3m high on the outer wall of Balhae Sanggyeongseong castle.

      • KCI등재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 한국의 연구동향 (2012년 이후)

        이병건(Lee, Byeonggun)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4 No.-

        본 연구는 지난 2011년까지 발해유적에 대한 한국 학자들의 연구동향을 각 주제별로 분류, 분석하여 논문을 발표한 이후의 작업이다. 2012년부터 현재(2022년 11월)까지 건축사적 관점에서 발해유적을 대상으로 수행된 한국의 연구성과를 정리해 봄으로써, 우리가 못했거나 소홀히 해왔던 분야가 무엇이며, 앞으로 연구 및 집중되어야 할 분야가 무엇인지를 제시해 보았다. 글의 전개순서로 제Ⅱ장에서는 발해유적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동향을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도록집, 자료집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고 이를 분석해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연구동향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어떠한 분야에 부족한 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해당시기에 국내에서 발행된 발해의 건축, 고고, 역사지리 관련 학위논문은 총 18편이다. 16편이 석사, 2편이 박사 학위논문이다.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고분 2편, 토기 2편, 농공구 1편, 장식 3편, 기와 4편, 성곽 2편, 전탑 1편, 주거(구들) 2편, 역사지리 1편이다.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는 주제는 유물인 기와 관련 연구이었다. 건축사적 입장에서 보았을 때 발해건축 관련된 논문이 2편밖에 없어 아직 이 분야 연구는 미개척분야라 할 수 있다. 해당시기에 발해건축과 관련지을 수 있는 발해유적에 대한 학술지논문은 약 79편 이상이었다.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①연구동향(13편) ②유적분포ㆍ현황(4편) 및 교통로(10편) ③유적총론(0편) ④성곽(13편) ⑤도성ㆍ궁전(16편) ⑥사찰(2편) ⑦주거(1편) ⑧24개돌(1편) ⑨전탑(3편) ⑩유물(9편) ⑪기타(7편):세계유산(1편)ㆍ고분(2편)ㆍ역사지리(4편)로 나눌 수 있었다. 2011년 이전에는 발해유적 전반과 유적현황 관련 논문이 다수를 차지한 반면, 2012년 이후에는 성곽, 도성ㆍ궁궐, 유물, 연구동향, 교통로 등 성격이 명확한 주제로 변모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발해유적 관련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도록집, 자료집 등 다수가 국내에서 출판된 결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scholars on Balhae ruins from 2012 to 2022. From a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we identified what areas have been neglected and what areas will be studied in the future by organizing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II, the research trends conducted on Balhae rui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degree papers, academic journals, books, excavation survey reports, catalogues, and data collections. In Chapter III, research trends were classified by subjec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During this period, there are more than 79 academic papers related to Balhae architecture. Classified by subject, there are ① research trends, ② the status of ruins, ③ general theory of ruins, ④ fortresses, ⑤ capital cities and palaces, ⑥ temples, ⑦ residences, ⑧ 24-stones ruins, ⑨ brick pagoda, ⑩ relics, and ⑪ the others. Before 2011, there were many papers related to the general theory of ruins and the status of ruins. On the other hand, after 2012, it was changed by the fortresses, capital cities and palaces, relics, research trends, and transportation routes. The reason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the publication of many books, excavation survey reports, catalogues, and data books related to Balhae relics in Korea. However, research papers related to Balhae architecture are still insufficient. More archaeological excavations will have to progress. Among the various topics, residence-related papers are very insufficient. The paper in this field needs to be reinforc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