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어기조사(語氣助詞) 연구(硏究)

        정순영 ( Soon Young J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7 漢文古典硏究 Vol.15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史書 가운데 『三國遺事』를 대상으로 하여 『三國遺事』에 나타나는 모든 語氣助詞에 대한 定量分析의 방법을 통해, 단위문장 내의 통사·형태상에서 語氣助詞가 어떠한 문법기능을 수행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의 語氣助詞에 대한 연구는 통시적으로 많은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나, 공시적인 연구와 연관해서 어기조사를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해당 어기조사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도 훈고적 해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위문장 안에서 어기조사가 갖는 기능을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몇몇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할 뿐, 통사적 체계 안에서 갖는 구체적 기능에 대한 분석은 매우 소홀히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시적 시각에서 기존의 연구방법을 보완하고 語氣助詞가 단위 문장 내에서 체계적으로 나타내는 문법기능을 분석·검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중국의 제가들의 助詞에 대한 정의와 분류기준과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 3장에서는 語氣助詞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서, 『三國遺事』에 출현한 語氣助詞로는 者·夫·惟·蓋·也·其·耶·乎·矣·焉·爾·耳·而已·歟·斯·哉·也歟·也哉·矣哉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조사를 發語語氣, 提示·停頓語氣, 陳述語氣, 疑問語氣, 反語語氣, 推測語氣, 限定語氣, 感歎語氣, 命令語氣로 나누어 단위문장내의 통사·형태론적 기능과 함께 화자가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구체적 의미기능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三國遺事』에 출현한 어기조사에 대한 정량분석 결과를 비교 검토한 결과 『三國遺事』에 나타난 어기조사의 사용 분포는 중국의 『史記』에 비하여 상용화된 어기조사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三國遺事』는 『三國史記』와 함께 공시적으로 고려시대 한문문장의 표현방식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며, 고려시대의 어법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고려시대의 한문구성의 특징과 수준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특징은 통시적으로 중국의 先秦, 漢代의 한문 표현방식에서 변화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시적 문법체계 연구로서 『三國遺事』에 나타난 단위문장 구성에 있어서 어기조사의 역할과 기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Grammar functions of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syntactical, morphological in the unit sentence wrer studied in this thesis using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for all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appeared in Samkukyusa(『三國遺事』) which is one of the historical books of Korea.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man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iachronically. But those suudies failed to examine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cosely in connection with synchronic study. Besides, in the explanation about relevan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also, the case which was made centering around exegetic explanation was most. And, in the case to explain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have in the unit sentence also, explanation only about some functions is made, but the analysis about concrete function to have in syntactical system is being handled negligently. Thus, this study was supplemented existing study method with synchronic view point and analyzed and examined the grammar function tha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show on unit sentence systematically. To arrange by chapters is as follows: In the second chapter, analyzed definition and level of classifications for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which appeared Samkukyusa(『三國遺事』). In the third chapter, it was clarified that, as for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which appeared Samkukyusa(『三國遺事』),``者`` ``夫`` ``惟`` ``蓋`` ``也`` ``其`` ``耶`` ``乎`` ``矣`` ``焉`` ``爾`` ``耳`` ``而已`` ``歟`` ``斯`` ``哉`` ``也歟`` ``也哉`` ``矣哉``etc. wree appeared and anayzed these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The structure particle was anayzed syntactical, morphological function in unit sentence and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語氣助詞) was analyzed the concrete meaning function that narrators try to transmit to listeners with syntactical, morphological function in unit sentence by classifying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 into original linguistic spirit, suggestion, linguistic spirit of arrangement, linguistic spirit of statement, linguistic spirit of doubt, linguistic spirit of irony, linguistic spirit of guess, linguistic spirit of limit, linguistic spirit of exclamation, and linguistic spirit of command again about the linguistic spirit particles. In the conclusion, Samkukyusa shows synchronically the feature abd level of Chinese sentence in Koryo(高麗) period as Samkuksaki. This feature shows that the expression form Koryo was changed diachronically from of Sunjin(先秦) and Han(漢) period China. The pus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role and function of linguistic spirit particles are being made in the composition of unit sentence which appeared in Samkukyusa through synchronic grammar system.

      • KCI등재

        佛敎 考古學과 美術史에서 『三國遺事』의 활용과 과제

        엄기표(Eom, Gipyo)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9

        고려시대 일연이 편찬한 『三國遺事』는 한국고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바이블과 같은 史書이다. 『三國遺事』에는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내용이 실려 있다. 그리고 불교사, 불교사상, 고고학, 미술사학, 건축사학, 문헌사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인용되고 있으며, 불교와 관련된 기록이 많아 우리나라 佛敎考古學과 美術史 연구에 지침이 되고 있다. 먼저 『三國遺事』를 편찬한 然의 佛敎美術史觀을 개략해보고, 塔像篇의 저술 의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불교고고학과 미술사에서 『三國遺事』가 사료로서 어떻게 활용되어 왔으며,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검토했다. 또한 『三國遺事』의 기록이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으며, 그것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三國遺事』는 然이 승려였기 때문에 불교적인 관점이 바탕을 이루고 있으며, 불교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사의 전개 과정이 기술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영험하고 신이한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塔像篇은 불교 신앙을 권장하고 대중들을 깨닫게 하려고 구성된 부분인데, 오늘날 불교고고학과 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三國遺事』는 『三國史記』와 함께 한국의 고대사를 연구하는데 더없이 중요한 사료인데, 지금까지는 평면적이고 각 분야별로 개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三國遺事』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사료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여러 분야가 함께하는 입체적인 해석과 공동 연구 풍토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성과가 도출되었을 때 불교고고학과 미술사뿐만 아니라 『三國遺事』를 통한 연구 분야와 내용이 업그레이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amgukyusa with heritage and records are historical sources on the three kingdoms. It had been compiled by monk Ilyeon when the Korea period.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ancient Korean history, such as a Bible. It associated with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other various information for the ancient Korean history is proceeding. It is used in several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Buddhist history, Buddhist thinking, Buddhist archaeology, History of architecture, Art history. In particular, it is underlined in the Buddhist archaeology and art history. My thesis is consider about the historical view on Buddhist Art, the written intentions of Tabsangvolume, the effective utilization value, the projects, and so on. The Samgukyusa were organized by a Buddhist point of view is on the history and Buddhism of Three Kingdoms, because he was a monk. The volume of Tabsang was composed the intensive spiritual faith story and incredible story. Buddhism is recommended. Awake to the public. Today, Buddhist archaeology and art history research and provide a valuable input. The Samgukyusa furnish valuable materials to study ancient Korean history, with the Samguksagi. So far, so twodimensionally and so individually in each fiel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uture, Samgukyusa for the overall understanding and historical sources as maximizing the value the moment it is needed. Therefore, many disciplines to be together a various interpretation of will should be made in the practices and joint research. When the such performance result in a Buddhist archaeology and art history, research and other content through the Samgukyusa will be upgraded.

      •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편"의 저술의도와 고구려 인식

        차광호 ( Kwang Ho Cha ) 단국사학회 2009 史學志 Vol.41 No.-

        삼국유사는 한국사에 있어 중요한 사서중 하나이지만 저자, 저술목적, 저술시기 등 그 서지정보가 모호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여러 문제 중 `저술목적` 에 관심을 두었고, 그러한 측면에서 삼국유사가 그 구성에 있어 기이편을 강조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유사는 9개의 편목 중에서 기이편을 그 시작으로 하고 있고, 둘째, 기이 편의 분량이 전체 편목 중에서 가장 많고, 셋째, 전체 서문이 없는 삼국유사에서 유독 기이편에만 서문에 해당하는 서(敍)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 글은 삼국유사 기이편의 `서(敍)` 에 저자의 저술의 도가 담겨 있다고 보았으며, `서(敍)` 를 분석한 결과, 삼국의 시조가 대업을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성징표, 그리고 출생에 있어서의 나타나는 신이함을 강조하고 하는 저자의 저술의도가 담겨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저술의도를 갖고 삼국유사 기이편의 `삼국의 시조` 관련 조목들을 분석하였는데, 그 중에서 저자의 저술의도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고구려` 조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저자는 복선과 서스팬스적 서사기법을 사용하며, `고조선`,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로 이어지는 조목을 편성하였는데, 그러한 문장적 기교 역시 `고구려` 조목을 부각시키기 위한 저자의 의도가 투영된 것 이었다. 결국 삼국유사 기이 편에서 저자는 `삼국의 시조` 중에서도 `고구려의 시조`를 강조하고자 하였고, 그러한 역사관을 글에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문장적 기교를 활용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삼국유사 기이편에 이러한 고구려 인식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신라사ㆍ불교사 중심적으로만 이해하고 있는 삼국유사의 저술배경에 있어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took interest in the literary design. Especially, I examined the literary design for Chapter Kiyi(紀異) of 『Samgukyusa(三國遺事) 』 among 9 chapters. I found that only article about Koguryo(高句麗), satisfies author s literary design. Especially, the author used underplot and suspensive description to emphasize on the article about Koguryo(高句麗) .In this point, I realized that the author s intention was reflected largely on Chapter Kiyi(紀異) of 『Samgukyusa(三國遺事)』

      • KCI등재

        『삼국유사』의 사료선정과 채록방식으로 본 일연 불교사관의 한 측면 - 「기이」편 및 「흥법」 이하 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석길암 ( Seok¸ Gil-ah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본 논문은 『삼국유사(三國遺事)』와 관련한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는 『삼국유사』의 내용이 가지는 다양성, 많은 분야에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종합성 외에, 『삼국유사』만의 흡인력과 재생산력의 원천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다. 둘째는 『삼국유사』의 독특한 사료 선정과 채록방식을 통해서 일연스님이 의도한 것은 무엇일까 하는 점이다. 첫째 문제와 관련하여, 논자는 『삼국유사』의 사료선정과 채록방식이 대승 경전의 구성기법과 유사한 부분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삼국유사』는 사료와 사료를 병렬적 혹은 중층적으로 배치하고, 혹은 주요 사료를 중심으로 주요 사료의 사실성을 확인하는 사료를 병렬적 혹은 중층적으로 조직한다. 그리고 각각의 항목들이 다시 다른 항목들과 때로는 편목을 넘어서 사실성을 확인하는 코드로 작동하도록 사료를 재구성하여 채록하는 것이다. 이것은 앞서 대승경전이 스스로 불설로서의 정통성과 권위를 획득해가는 방식과 대단히 유사하다. 둘째 문제와 관련하여, 논자는 『삼국유사』의 ‘유사(遺事)’라는 명칭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유사(遺事)’는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한다는 의미에서 ‘빠뜨린 이야기’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유사(遺事)’는 ‘빠뜨린 이야기’가 아니라 ‘남겨야 할 이야기’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일연의 독특한 사료선정과 채록방식은 ‘남겨서 보여주어야 할 이야기’를 구성하는 대승경전의 구성방식과 대단히 유사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dealt with two issues related to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First, in addition to the diversity of the contents of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ir comprehensiveness that makes it accessible in many academic fields, an important question is where does the source of the attraction and reproductive power of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ome from? Second, what is the intention of Il-yeon through the unique style of selecting and recording of historical sources of this work. Regarding the first problem, the author tried to clarify that the style of selecting and recording of the sources of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similar to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Mahayana Sutras. The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rranges historical sources and historical materials in parallel to each other or in multiple layers, or organizes historical sources that confirm the truth of major historical sources in such a structure. And each item is reconstructed and recorded so that each item may work as a code that checks the truth of other items and sometimes beyond the catalogued items. This is very similar to the way Mahayana Sutras acquire its legitimacy and authority as Buddhist scriptures. Regarding the second problem, the writer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name “Memorabilia (遺事)” in the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In general, “Memorabilia (遺事)” tends to be interpreted as “missing stories” in the sense of supplementing the missing part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However, the word “Memorabilia (遺事)” was arguably used to mean ‘stories to be left behind’ rather than ‘stories that were left out’. This is because Ilyeon's unique selecting and recording style is very similar to the style in the construction of Mahayana Sutras that comprise the 'stories to be left behind'.

      • KCI등재

        일반논문 : 최남선의 『삼국유사해제(三國遺事解題)』에 나타난 기억(記憶)의 문화적 욕망과 신화의 정치적 전략 연구

        표정옥 ( Jung Ok Py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본고는 최남선의 『삼국유사해제』를 이해하기 위해 원천 텍스트인 일연의 『三國遺事』와의 연계성을 고려해 문화적 기억과 신화의 정치적 욕망을 읽어가는 작업이다. 본고는 근대 심상공간에 투사된 신화적 상상력과 지식의 형성과정을 재정립하기 위해 최남선의 『삼국유사해제』를 중심으로 한 근대 공간의 신화성에 대한 논의를 세 가지 측면에서 논하고자 했다. 첫째, 지금까지 최남선이 『三國遺事』에 관심을 가지게 된 문화적 배경과 의의가 적극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건너간 『三國遺事』를 최남선이 세상에 소개했다고 하는 논의는 간헐적으로 언급이 되어왔으나 전기적인 측면에서 왜 하필이면 『三國遺事』를 근대 초창기에 문화담론의 중심에 두었는지 규명하지 못했다. 둘째, 최남선은 『三國遺事』 중에서도 특히 고조선의 ‘단군’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 최남선의 단군 연구는 일본 학자들의 단군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바로잡기 위해 시작된 논의였다. 특히, 일본 학자의 <단군고>는 단군의 역사와 실체를 부정하기 위해 작성된 논문이었다. 최남선은 단군에 대한 기억 구축과 신화화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문화민족을 열망하였다. 단군에 대한 문화적이고 신화적인 공동 환상을 어떻게 만들어 가는지 살펴볼 것이다. 셋째, 최남선에게 있어서 신화를 기억하는 것은 문화의 정치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삼국유사해제>의 문화의 정치화 전략을 통해서 신화의 정치적 전략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 세 가지의 문제의식을 『三國遺事』와 <삼국유사해제>의 비교연구를 통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into the cultural desire of the memory and the political strategy of the myth in Ilyeon`s Samgukyusa and Choi Nam-sun`s Samgukyusaheje <The interpretation of Samgukyusa>. To build up the mythical imagination in the modern mental space, Choi published Samgukyusaheje with Samgukyusa. Choi already published in such magazines as Sonyeon(Boys) and Chengchoon(Youth), after he had returned from Japan. This article compares Ilyeon`s Samgukyusa with Choi`s Samgukyusaheje in three points of view. The first, this article researches into the cultural backgrounds of writing Samgukyusa and Samhgukyusaheje. In 1592, Chosun was deprived of Ilyeon`s Samgukyusa to Japan. For 400 years, Samgukyusa was read in Japanese kingdom. Choi published this book with interpretation in 1927. The second, Choi thought the Dangun most importantly. His research into Dangun was a political struggle against Japanese scholars. He wanted the cultural nationality through the Dangun. The Third, Choi`s methods of studying the myth was not only to obtain the cultural modernity and the political modernity. Memorizing the myth was the sign to express his strong will. Through three points, this article researches into Choi`s cultural mythicality.

      • KCI등재

        『삼국유사』를 통한 한국문화 콘텐츠 개발 시론

        정진원(CHUNG, JINW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0 No.-

        이 글의 주제는 ‘한국학 콘텐츠 개발로서의 고전읽기- 『삼국유사』를 중심으로-’라는 한국연구재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구성된 ‘삼국유사 콘텐츠 개발’ 시론이다. 『삼국유사』라는 고전 텍스트를 새롭게 읽고, 실질적인 문화 콘텐츠로 기획하고 실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삼국유사』중 ‘효선’ 편을 해외 한국학과 접목하여 차세대 모티브가 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우리 고전 텍스트를 잘 가공하면 한국문화 나아가 한류문화를 업그레이드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론에서는 『삼국유사』이야기와 관련된 세계문화유산을 스토리텔링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론에서는 콘텐츠 활용 대상으로 일연선사가 거처하며 『삼국유사』를 집필했다는 ‘운문사’, 그리고 세계문화유산 중에서 ‘경주 역사지구의 양동마을’과 ‘불국사, 석굴암’을 선택하여 『삼국유사』‘효선’ 편 중 두 가지 이야기와 접목시켰다. 곧 ‘양동 마을’이 그 하나인데 두 씨족으로 이루어진 마을 중 하나가 ‘효선’ 편 「손순매아」의 후손인 손씨의 씨족마을이다. ‘불국사와 석굴암’ 역시 효선편의 김대성 이야기 「대성효이세부모」의 유적이라는 점을 관련시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삼국유사』속 스토리텔링으로 이상의 콘텐츠를 1차 대상으로 삼고, 2차 콘텐츠 개발 가능성도 시도하였다. 곧 운문사는 일연이 머물며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이기도 하지만 ‘원광법사 이야기’와 ‘보양스님과 이목이야기’도 같은 운문사를 무대로 한 내용이라 다른 콘텐츠로 확장시킬 수 있다. 「손순매아」에 나오는 ‘손순’의 경우 ‘손순의 유허지’가 남아있어 답사 프로그램으로 개발해 나갈 여지가 있다. ‘불국사, 석굴암’을 지은 ‘김대성 이야기’에서는 두 사찰의 특징과 유적들을 신라의 불교 사상과 불교 건축이야기로 확장하는 등 무궁무진한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다. 곧 『삼국유사』 ‘효선’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한국 불교와 전통문화 콘텐츠’로 뻗어나갈 수 있는 콘텐츠들인 것이다. 이와 같이 『삼국유사』는 발굴하면 할수록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국학 문화콘텐츠로 탈바꿈할 원석으로 가득 차 있는 콘텐츠의 보물창고라 할 수 있다. 결론에서는 프로그램 콘텐츠와 그 실행 내용을 중심으로 앞으로의 고전 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 시도를 바탕으로 해외 한국학 관련 학과와 차세대 한류 콘텐츠를 원하는 한류 문화 수용자들에게 다양하고 업그레이드된 한류 문화 체험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부록으로 이러한 시론의 소재와 계획의 바탕이 된 『삼국유사』관련 문화유산 콘텐츠 답사 과정을 사진과 함께 첨부하였다. 대상은 Bonn대학 한국학과-세종학당 학생들이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Classic new reading as Content Development in Korean Studies ?focused on SamgukYusa-’. This paper is a result of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SamgukYusa. The SamgukYusa is a new and future essential contents. We confirmed that SamgukYusa w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next generation of contents. In the introduction we focused on SamgukYusa storytelling related to World Heritage. We selected three places. 1) The place where SamgukYusa was written Unmunsa Contents: Unmunsa Temple Stay & Study, 2) The world cultural heritage Yangdong Village, 3) The world cultural heritage Bulguksa and Seokgulam. Yangdong Village is a ancestral village of SamgukYusa ‘Sonsun Maeah’. Seokgulam and Bulguksa are also ruins of Kim Daesung’s storytelling. In Conclusion, I proposed to take advantage of the classical content based on lecture and fieldwork in 2012 and 2013. This paper’s purpose is to develop content t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to overseas Korean Studies departments. I intend to expand Hallyu(Korean Wave) contents to include the classical content of SamgukYusa. The experimental learning consist of 26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Bonn-Sejonghakdang. They visited Korea in 2012 and freely explored the World Heritage, Gyeongju Historic District and Unmunsa temple stay, the birthplace of SamgukYusa. The following year, I visited the University of Bonn and lectured about their experience at the temple stay and the World Heritage related to SamgukYusa. I discovered that the University of Bonn students, whether or not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 Cultural experience, expressed interest in SamgukYusa. They also wanted to buy and learn more about SamgukYusa. This Field work report and photos with University of Bonn students can be found in appendix.

      • KCI등재

        1920년대 『三國遺事』에 대한 인식 : 丹齋와 六堂을 중심으로

        유영옥(Yu Young-O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古典은 방대한 시공간을 함축한 문화의 바다다. 그것은 시대에 따라 가치가 재규정되는 잠재적 역동성을 내포한다. 1920년대 최남선의 「三國遺事解題」에서부터 한국 上代의 最高 기록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삼국유사』가 바로 그러한 고전이다. 그 동안 불변의 古典이자 고대사 正典이었던 『三國史記』가 한말일제시기 ‘사대주의’의 굴레에 갇혀 史書로서의 가치를 일시 상실하자,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의 대안 내지 그 너머에서 上代의 유일무이한 原形 자료로 각광받게 되었다. 『삼국사기』를 가장 신랄히 비판했던 신채호는 『유사』가 그 대안이 된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으나, 최남선은 유교와 支那의 한문으로 윤색된 『삼국사기』와는 달리, 풍부한 신화ㆍ설화ㆍ민담 및 향가를 수록한 『삼국유사』를 고대 문화의 原形 그 자체로 보고, 1927년 「해제」를 지어 『삼국사기』에 맞먹는 고대사의 拱璧으로 승격시켰다. 이와 같이 「삼국유사해제」는 고전 『삼국사기』의 흔들리는 위상 속에서 잉태되었기에, 육당은 『사기』에 결여된 『유사』만의 매력을 각별히 탐닉하여, 시종일관 고대의 原相을 그대로 복원할 최대 관건으로 언급하였다. 이는 인류학, 민속학, 종교학, 언어학, 고고학 등으로 ‘朝鮮學’을 제창한 그의 역사연구 방법론과도 상통한다. 또한 「삼국유사해제」는 일제 조선사편수회의 단군부정론을 타파하기 위한 순수한 분투에서 출발한 저술이기도 하다. 僧徒妄談說로 일견 요약되는 日人의 단군부정론은 『유사』에 인용된 『古記』와 『魏書』가 허구이기 때문에 『유사』는 승려의 날조이며 단군 기록도 만들어진 신화라고 주장하였다. 積年 단군을 考究한 육당은 이를 타파하기 위해 ‘’과 ‘당굴’로 단군의 보편성을 확보하여 그 존재를 증명하는 한편, 『古記』와 『魏書』의 실재를 규명하고 ‘檀君’이 아닌 ‘壇君’으로의 표기를 주장하는 등 단군부정론을 조목조목 비판하면서 『유사』 기록의 사실성을 다각도로 증언하였다. 결론적으로 최남선은 「해제」를 통해 韓민족의 집단 표상인 단군에 관한 기록, 곳곳에 배치한 각종 신화와 설화의 사회적 함의를 대중에게 각인시켜, 『삼국유사』를 생명력 넘치는 史書와 문학의 寶庫로 재탄생시켰다. 이로써 『삼국유사』는 고대 문화의 원형을 간직한 最古 最大의 문헌이라는 확고한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In the period of Joseon, 『Samgukyusa』 was just treated as an unauthorized historic literature and even considered as auxiliary to an authorized history book, 『Samgukyusa』. But interestingly, 『Samgukyusa』 rose to the rank of historic classic as the modern times began in this country. Much attention began to be paid in earnest to 『Samgukyusa』 since 1927 when Yukdang Choi Nam Seon wrote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to the history book, or 「Samgukyusa Haeje」. As the modern times arrived in this country, claims against 'flunkeyism' made 『Samgukyusa』 lose its value as a historic literature, even though temporarily. In contrast, 『Samgukyusa』 became even higher reputed as an ancient history book that could be alternative to 『Samgukyusa』or even surpass it. Sin Chae Ho didn't thought that 『Samgukyusa』 could be alternative to 『Samgukyusa』, even though he criticized the latter historic literature most severely. While, Choi Nam Seon regarded 『Samgukyusa』 as the very archtype of ancient culture itself because it contained lots of myths and narratives. He also wrote 「Samgukyusa Haeje」 in which he defined 『Samgukyusa』 as the best historic literature which were comparable to 『Samgukyusa』. 「Samgukyusa Haej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refuting claims for the denial of Dangun. The claims were made by Joseonsa Pyeonsuhoe, a Korean history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Japanese scholars claimed that records about Dangun, which was contained in 『Samgukyusa』, was merely a false myth because the historic literature was what was forfeited by a Buddhist monk. Criticizing such claims one by one, Yukdang evidenced in many ways that records of 『Samgukyusa』 were generally true. Now,『Samgukyusa』 has become a historic classic loved by all people who are recognizing it as the very treasure house of historic and literal writings.

      • KCI등재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 나타난 언어의 시대적 특징 고찰

        박용식(Park Yongsik)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4 No.-

        이 글은 학계의 묵은 고민거리 가운데 하나였던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의 언어가 반영하는 시대적 특징의 한 부분을 고찰한 논문이다. 향가에 나타난 언어 사실에 대한 연구가 종래에는 그 작품의 창작 연대를 참작하여 그 당시의 언어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막연히 추측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기에 대한 반성이 있었으나 지금까지는 뚜렷한 검토 작업이 없었다. 그러나 근래에 이두 자료는 물론 특히 석독구결 자료에 대한 연구가 심화됨에 따라 향가 자료를 이두 자료, 석독구결 자료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현존 향가 자료가 창작 당시의 언어 사실을 어느 정도까지 반영하고 있는가를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等’과 ‘尸等隱/尸等焉’의 문법화 정도, ‘腸’의 한자음 변화, ‘爲, 白’의 분포 등의 검토를 통해『삼국유사』향찰에 반영된 언어의 시대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두 자료에 나타나는 ‘(?)等’은 13세기 이전 자료에는 모두 통사적 구성인 [[[-ㄹ]#@]+-ㄴ]만 나타나며, 문법화되어 ‘조건’의 뜻을 나타내는 어말어미인‘(?)等’은 13세기 이후의 자료에만 나타난다. 반면, 7~9세기에는 ‘(?)等’의 문법화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창작된 것을 수록한 『삼국유사』향찰의 ‘(尸)等’은 모두 문법화가 완성된 것만 나타났다. 그리고 존경의 선어말어미 ‘賜[시]’가 1031년에 간행된『약목정두사석탑조성형지기』까지만 나타나며, 그 후대 자료에는 ‘敎’가 나타나는데,『삼국유사』 소재 향찰에는 존경의 선어말 어미로 ‘賜’뿐만 아니라 ‘敎’도 나타난다. 이는『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는 창작 당시의 언어적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한자어에 통합하여 접미사 구실을 하는 ‘爲’는 8세기 이후의 이두 자료나『균여전』에 수록된 향가에는 나타나지만『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선어말어미 구실을 하는 ‘白’이 역시『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 나타나지 않는 점은,『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는 9세기 이전에 창작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문법형태소는 후대에 창작된 『균여전』에 수록된 향가가 오히려 앞선 시대 언어를 반영한 반면 어휘면에서는『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가 창작 당시의 언어를 의고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features of linguistic age of Hyangchal(鄕札),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It has been a common tendency that the features of linguistic age of Hyangchal show the period of Hyangga(鄕歌)'s writing. We know that it is open to question in accordance with research works of Idu(吏讀) and Kugyol for translation. By Now there were not any definite studies to verify it. We examined the features of linguistic age of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by investigation of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等’ and ‘尸等隱/尸等焉’, the change of sound of ‘賜’ and the distribution of ‘爲, 白’. Investigating Idu data, all ‘(乙)等’ shows syntactic construction before 13th countrey, but it become a ending that means [con-dition] after 13th century. The other hand, ‘(乙)等’ is a ending that means [condition]. And pre-ending ‘賜’ does not show after early year of 11th century, but ‘敎’ that roles same as ‘賜’ appear from the middle year of 11th century. The features of it mean that grammar of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is affected by the grammar of 13th century. By the way ‘爲’ that is suffix appears after 8th century, but it does not appears in the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And it is same case of ‘白’ that is pre-ending. Because Hyangchal, that is contained in the Samgukyusa is made before 9th century, the features of it is caused.

      • KCI등재

        史書로서의 『삼국유사』와 『古記』 연구의 흐름

        박광연 진단학회 2018 진단학보 Vol.- No.130

        This research focused on two characteristics of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First of all, the quotes and evaluation on the Samguk Yusa,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today, are organize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and where the contents of the Old Record (古記),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Mysterious’ tales in the Samguk Yusa, were composed. With this, it was found that the historiography and emphasis points with the Samguk Yusa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and they were related to the understandings on ‘Wondrous’ tales from the Old Recor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various kinds of the Old Record, for example, the Old Record of Samhan, Haedong and Baekje, etc. were transcribed and distributed and the Samguk Yusa quoted contents from them. Accounts in the Old Record might have been collected after the stories descended from the previous periods were modified such as Tales of the Extraordinary (殊異傳) by Inryang Park and Tales of Times Now Past (今昔物語集). Thus, how the contents in the Samguk Yusa were created, modified and recorded should be paid atten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text of these changes, the understandings on the period and Buddhist culture in East Asia reflected in each account are necessary. If the process of modifications is figured out, forgotten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early Goryeo and Buddhist culture would be better described.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三國遺事』의 인용 및 평가를 정리해보았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를 통한 역사 서술 및 강조점이 입장에 따라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실록』에서 『삼국유사』의 지리 고증, 단군, 불교 수용에 관한 내용을 인용하였다. 특히 지리 고증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17~18세기의 유교 지식인들은 대부분 『삼국유사』를 ‘허탄하다’고 비판하면서 철저한 고증 하에 단군 등 고대사의 복원에 활용하였다. 한편 이 시기 불교계에서는 정통성에 대한 관심 속에 『寺誌』 등의 편찬이 유행하는데, 이때 『삼국유사』의 기록을 비판 없이 그대로 사실로 수용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일본 학자들의 ‘단군 부정론’ ‘『삼국유사』 비판론’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삼국유사』의 위상이 ‘조선 고대사의 최고 원천’으로 부상하게 되었고, 불교계에서도 여전히 『삼국유사』를 중시하였다. 근대 학문에서의 『삼국유사』 연구는 기본적으로 20세기 전반의 연구 풍토를 배경으로 하여 ‘신이한 이야기들’에 역사적 사실 또는 진실이 내포되어 있다고 인정하였다. 『삼국유사』는 삼국시대의 역사가 아니라 고려후기 역사의 反映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신이한 이야기들’의 典據인 『古記』 등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면, 『삼국유사』에서 ‘역사적 사실’을 추출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고려전기에 『삼한고기』․『해동고기』․『백제고기』 등의 제목을 단 『고기』들이 필사되어 유통되고 있었다고 하는데, 이 『고기』들에 수록된 이야기들은 박인량의 『殊異傳』이나 일본의 『今昔物語集』처럼, 이전 시대에 만들어진 이야기들이 몇 단계의 변형을 거쳤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야기의 창작, 변형 과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삼국유사』에 의거한 역사 서술은 이야기가 어떠한 역사․문화를 배경으로 창작되었고, 변형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삼국유사』의 후고구려 인식

        홍창우 ( Chang Woo H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이 글은 13세기의 사서인 『삼국유사』가 후고구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논의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기록을 다른 사서와 비교하여, 이 조목의 작성에 어떠한 자료계통이 쓰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천사옥대조(기이)와 황룡사구층탑조(탑상)의 신라 삼보 관련 이야기 가운데 ‘후고려왕’의 용례가 확인되는 바, 그실체를 밝히고 이 대목이 어느 시대에 해당하는지 점검하였다. 이러한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유사』 편찬자들의 후고구려 인식을 가늠하였다. 후고려궁예조의 검토를 통해 이 조목의 작성에 『삼국사기』가 전거로서 기여한 바가 적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궁예가 辛亥년(901)에 ‘고려’를 일컬었다고 기술한 점, 후고구려의 도읍 변천을 철원 → 송악 → 철원으로 설정한점, 궁예정권의 국호와 연호가 매우 불충분하게 작성된 점 등을 주목하였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삼국사기』에서 보이는 후고구려나 궁예에 대한 인식을 따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한편, 『삼국유사』 내에는‘고려’가 전ㆍ후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서 보이는 ‘후고려왕’은 궁예로 보는 것이 옳음을 언급하였다. 불교적 기물인 삼보의 존재만으로 궁예가 침략 모의를 중단했다는 것은, 그러므로 지극히 신라 중심적인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의 궁예 관련 기록들은 김부식의 이른바 ‘태조정통론’에 대한 배려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작성에 이 기록들이 선택되지 않았다는 것은 『삼국유사』 편수자들이 정통론과는 무관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국호 태봉은 의도적으로 기록하지 않았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그들이 궁예의 태봉시기를 부정적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 삼보 관련 이야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황룡사구층탑조의 작성자는 신라의 삼보를 중국의 구정에 견주었다. 구정의 설화에 의하면 초 장왕은 주를 침범하려 했다가 주에 구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서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는 후고려왕 궁예가 신라를 침략하려다가 신라에 삼보가 있다는 것을 듣고 그 모의를 중단했다고 하는 『삼국유사』의 삼보 관련 기사와 흡사하다. 물론 이 일화들은 구정이나 삼보의 호국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것에 그 본의가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주와 신라를 정복하려 했던 장왕과 궁예의 야욕을 폭로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서술자들이 후고구려와 궁예를 우호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듯이 일연은 일생의 대부분을 경상도 지역에서 보냈다. 이는 『삼국유사』가 신라 중심의 기록을 수록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며, 전반적으로 신라에 편향적인 기술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탑상편이 신라의 불교사가 지극히 오랜 옛날부터 시작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는점을 고려한다면, 결국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로부터 시작된 오래된 불교가 고려를 통해 계승되었음을 말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삼국유사』가 편찬된 13세기의 고려 사회는 이민족의 침략으로 시련을 겪고 있었다. 당시 일연은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외압으로 인한 참상을 직접 목도했거니와, 그에 대해 『삼국유사』 곳곳에 기록하였다. 아마도 일연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이 몽고군의 침략으로 인해 끊기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지녔던 듯하다. 그런 점에서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의 영험함이 깃든 불교적 기물을 파괴하는 궁예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을 파괴하는 몽고를 동일시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궁예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토대로서 작용하였을 것이다. 요컨대, 『삼국유사』 편찬자들은 후고구려를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다만, 그것은 소위 ‘태조정통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신라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This essay studied how the historiography, Samguk-yusa of the 13th century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e discussion proceeded with three major stages. First, the study compared records of the Later Goguryeo i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Wangryok with those in other history books, and then explored what kind of materials had been used for the article. Next, as the use of the term ‘Hugoryeo Wang’ can be found in stories related to Silla’s Sambo in ‘Cheonsaokdae’ from Kiyi and ‘Hwangryongsa-gucheungtop’ from Topsang records, it was able to check which period of history was reflected in those chapters. Based on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compilers of Samgukyusa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rough the review o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t was proved that Samguk-sagi was little contributed to drawing up the article as a source, which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not likely to follow the perception of the Later Goguryeo or Gung-ye shown in Samguk-sagi. Especially, the study paid attention to a few descriptions such as Gung-ye established ‘Goryeo’ in 901, the capital change of the Later Goguryeo was set from Cheol-won to Song-ak and Cheol-won again, and few descriptions of the name of Gung-ye reign and its era name. While, Samguk-yusa described ‘Goryeo’ as Former-Later Goryeo. Based on the reference, it would be right to see ‘Hugoryeowang’ shown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as Gungye. Thus, the passage that Gung-ye suspended his invasion plot jus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Sambo which is Buddhistic objects implied an extremely Silla-centered view.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 in Samguk-sagi were mainly based on Kim Bu-sik’s consideration of, so called, ‘Taejo Legitimacy’. Thus, the reason that the records were not selected for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n Wangryok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had nothing to do with the ‘Taejo Legitimacy’. But, it would be intentional not to record the country name, Taebong because they judged Taebong as the period of Gung-ye’s government negativ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act they contained the story related to Sambo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Especially, the compiler who drew up the Article of ‘Hwangryongsagucheungtop’ compared Silla’s Sambo(Three Treasure) to Chinese Gujeong. According to the tale of Gujeong, King Zhuang of Cho tried to invade Ju Dynasty, but returned back home to see that Ju Dynasty had Gujeong. The tale is quite similar to the story that Gung-ye, King of the Later Goguryeo tried to invade Silla, but finally gave it up to see there was Sambo in Silla as described in Samguk-yusa. Of course, the original purpose of these tales is to emphasize the patriotic aspect of Gujeong of Sambo,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King Zhuang and Gung-ye’s ambition to conquer Ju and Silla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did not see the Later Goguryeo and Gung-ye in an amicable way. As is known, Il-yeon spent most of his life in Gyeonsang-do region. This is the reason why Samguk-yusa has Silla-centered records, and generally Silla-biased descriptions were made. Especially, if the fact that Topsang chapt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mphasizing the rich history of Buddhism in Silla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tells us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wanted to say Buddhism from Silla was succeeded by Goryeo. Goryeo in the 13th century when Samguk-yusa was drawn up was suffered from invasions from foreign dynasties. Il-yeon looked around a lot of districts and witnessed devastation caused by foreign invasions, and often left the fact in Samguk-yusa. Il-yeon might feel a strong hostility toward the fact that the long Buddhist tradition of Silla which he tried to emphasize was disconnected by the Mongolian army’s invasion. Thus,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in with a shout of identifying Mongolia that tried invading Goryeo with the Later Goguryeo that tried invading Silla. That is, they perceived Gung-ye as a hostile force that tried destroying the miraculous Buddhist objects. In short, the authors of Samguk-yusa identified the Later Goguryeo as strongly negative. That was originated from their perception of historical status of Silla and their realistic situation, not from, so called, ‘Taejo legitim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