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법원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현황과 과제

        이혜영 ( Hyeyoung Lee ) 사법정책연구원 2020 연구보고서 Vol.2020 No.1

        대한민국은 7대 핵심 국제인권조약인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규약, 인종차별철폐협약, 여성차별철폐협약, 고문방지협약, 아동권리협약, 장애인 권리협약에 비준·가입함으로써, 해당 조약상의 인권을 보호하고 신장시킬 국제법적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6조 제1항은 헌법에 의해 체결·공포된 조약은 별도의 입법조치 없이 바로 국내법적 효력을 가진다고 정하고 있으므로 위 국제인권조약은 법원쟁송에서 직접 적용되는 재판규범이 된다. 그런데 위 국제인권조약의 내용이 국내적으로 실질적으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국내 법원에서 해당 국제인권조약상 권리가 침 해당했다고 주장하는 피해자에 대한 구제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사법적 판단에 바탕을 두지 않는 법해석학론은 현실분석에 바탕을 두지 않은 잠정적 판단이나 가상적 논리 전개에 불과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실현의 현주소에 대한 이해는 법원의 판결에 관한 실증연구에 바탕을 두어야 할 것이다. 국제인권조약의 적용이 문제가 되는 사건은 국내 법원에서 일상적으로 자주 다루는 유형의 사건은 아니지만, 지난 30여 년에 걸쳐 법원의 판결에서 국제인권조약이 원용되는 빈도가 급증해 왔으며, 최근 들어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지위, 해석원칙에 대해서 비교적 구체적으로 설시한 판결이 등장하고 있어서 국내 재판에서 국제인권조약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법원이 국제법적으로 타당한 해석기준에 입각하여 국제인권조약을 성실하게 해석하여 적용한 사례가 드물고 사법부가 전반적으로 국제인권조약을 생소해 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에 이 연구는 법원에서의 국제인권조약의 적용 현황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여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에 충실한 사법구제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데 실제로 한계로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진단하여 적절한 사법 지원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은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재판에서 국제인권조약을 해석·적용하는 법관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해석자료와 해석원칙을 소개한다. 국내 법원에서 국제인권조약을 해석·적용할 때 맞닥뜨릴 수 있는 문제의식과 어려움은 국제적으로 많은 학자와 실무가에 의해 사유되었으며, 법관의 판단을 돕기 위한 다양한 해석자료 및 법원칙이 발달되어 있기에 이에 대한 우선적 검토가 요구된다. 즉, 국제인권조약의 감독기구가 제공하는 조약에 대한 해석자료와 국제법상 발전해 온 국제인권조약의 해석원칙을 검토하고,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지위에 관한 헌법적 근거 및 내용에 대한 기존의 담론과 국제조약과 국내법이 저촉될 때 고려할 수 있는 규범조화적 해석기법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법원에서의 국제인권조약 적용의 양적·질적 현황을 분석한다. 이 중 양적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법원에서 선고되고 전산으로 확인 가능한 판결 중 대한민국이 가입·비준한 7대 주요 국제인권조약이 적용된 모든 판결을 전수조사하여 조약별, 시기별, 소송유형별로 선고된 판결문 현황을 소개하고, 국제인권조약에 근거한 주장이 인정·불인정된 비율의 통계를 소개한다. 또한 질적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법원의 판결에서 국제인권조약에 근거한 주장 취지가 인정·불인정된 각 경우의 주요 논거를 유형화하여 판단단계 별로 분석하고,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데 실제 한계로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판결문에 대한 이러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는 주요한 시사점으로, 국제법이 생소하고 국내 법리에 익숙한 국내 법관의 상당수가 국내법리에 경도된 해석, 즉 조약을 해석하면서 유사한 헌법 규정에 대한 법원의 기존 주류적 해석에 귀속시켜 해석을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조약에 관한 국제적 해석기준이 국내에서 수용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는 문제의식을 확인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법원에서 국제인권조약에 충실한 사법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사법 지원의 방안을 제언한다. 특히 국제인권조약에 대한 교육기회의 부족, 조약 및 해석자료에 대한 접근성 및 언어적 한계, 법원 내 국제인권조약 관련 실무서 및 주석서 등 자료의 빈약함과 접근성의 제약을 고려할 때, 법관의 국제인권조약에 대한 친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확충할 수 있도록 사법 지원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한다. 구체적으로, 종합법률정보에서 조약의 원문을 제공할 것을 권고하고, 법원 내에 국제인권조약에 대한 해석자료를 확충하는 방안, 국제인권법에 관한 실무제요 제작 권고, 국제인권조약의 적용에 관한 법관연수 프로그램 확대·강화 방안 및 기타 사법지원 방안을 제언한다. 국제인권조약에 조화되도록 법률을 해석·적용하는 것은 보편적 인권의 관점에서 사법부가 지켜야 할 책무이다. 이 연구보고서가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에 조화되도록 법률을 해석할 책무를 성실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Republic of Korea has signed and ratified the seven cor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onvention against Tortur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se treaties, Korea is obligated to give effect to its treaty obligations. Since article 6(1)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adopts the monist approach to the implementation of treaties that regards international law and national law as two parts of a single system, the treaties to which Korea has become a party are automatically incorporated into Korean national law. Consequently, domestic courts shall be required to apply the treaties just like they apply any national law. The Korean domestic courts shall ultimately answer the question of which law prevails and how to interpret national law in a way compatible with treaty obligations when there are inevitable clashes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national law.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xamine the courts’ judgments that applied human rights treatie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normative status of these treaties and interpretiv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ir domestic implementation in Korea.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ay not be a day-to-day task for domestic judges in Korea. Statistics have, however, shown that it has become more frequent occurrence in recent days. Additionally, judgments providing concrete reasoning of domestic effect, statu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interpretive principles of them have begun to appear. Nevertheless, many commentators have argued that such recent practices have not yet been sufficient to dispel concerns over the legal culture in Korea in which most of judges are unfamiliar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oreover, the provisions of these treaties are not sufficiently effective in application in Korean courts. With these concerns in mind,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judgments that applied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Korean courts. This research also seeks to offer policy suggestions for expanding court resources to increase judges’ familiarity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to support judges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m. For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proceeds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provides an overview of important interpretive principles, jurisprudences and resources available in both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gal arena, which would help domestic judges get a better (and basic) understanding of what issues and challenges they would face in apply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domestic courts and of what rules and principles they could make use in order to arrive at the proper outcome. In particular, it introduces relevant interpretive sources published by major human rights treaty bodies, and sets forth general rules of international law on the interpretation of treaties codified in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as well as the existing specialized rules for human rights treaty interpretation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e jurisprudence of the major human rights supervisory bodies and international court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constitutional grounds for incorporating international law into domestic law and the hierarchical normative status of international law in the domestic legal system in Korea. Furthermore, it introduces developed interpretive approaches in resolving inevitable clashes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national law to improve reciprocal engagements between the two legal systems. Next,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ate of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Korean courts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of judgments rendered in Korean court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 complete enumeration-based survey through an internal data search system on judgments that applied the seven cor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shows variations in the number of judgments that applied the seven core treaties by each treaty, year, and litigation type.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statistics on the acceptance/rejection rates of claims involving violations of the core seven treaties in judgments. Using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this research divides judgments into two groups and examines the reasoning adopted and steps taken by judges to arrive at different conclusions―judgments in support of or in denial of the claims involv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By applying such analytical methods, this research shows that Korean courts tend to avoid making determinations upon international law in dealing with cases involving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stead, Korean courts tend to base their decisions on more familiar, national laws. This tendency effectively prevents the development of jurisprudenc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from being incorporated domestically. The research on judgments in Korean courts affirms the unfamiliarity of most Korean judges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which ha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empirical research on judgments rendered from Korean courts, this research offers suggestions to increase judges’ familiarity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to assist judges in engaging with those human rights treaties. In this regard, it is taken into account that the lack of both opportunities in getting trainings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interpretive resources have negatively contributed to the unfamiliarity of judges with human rights treaties. It is, therefore, suggested to incorporate the original text of the seven cor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relevant interpretive sources published by major human rights treaty bodies into the data search system in Korean courts and make them accessible and available to judges. Moreover, it is also recommended that courts expand and reinforce opportunities for judges of training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its application in domestic courts. By offering these recommendations, this research aims to help the Korean Judiciary to fulfill its obligation and accountability to interpret national law in a way compatible with treaty obligations in order to protect and promote universal human rights.

      • KCI등재

        지각된 사회적 지위와 상황의 상호작용이 웃음 이모티콘(^^) 의미 판단에 미치는 효과

        이국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3

        본 연구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웃음 이모티콘(^^)의 의미 판단에 있어 문자 수신자가 평소 지각하는 사 회적 지위와 문자 수신 상황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실험 1은 설문문항 을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위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한 후, 성취와 같은 긍정적 상황에서 웃음 이모티콘이 포함된 문자를 받았을 때 혹은 실패와 같은 부정적 상황에서 웃음 이모티콘이 포함된 문자를 받았을 때 문자에 포함된 웃음 이모티콘이 긍정적 의미인지(미소)아니면 부정적 의미인지(조소) 판단하게 하였다. 이어지는 실험 2는 실험 1에서 관찰한 결과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집단(자신보다 사 회적 지위가 월등히 높은 사람 상상)과 높은 집단(자신보다 사회적 지위가 매우 낮은 사람 상상)을 실험실에서 조 작한 후, 실험 1과 동일하게 웃음 이모티콘 의미 판단 과제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웃음 이모티콘의 의미를 부정적으로(조소와 조롱) 판단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실험 1과 실험 2). 또한 지각된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긍정적 상황(성취)에서 받은 웃음 이모티콘도 다 소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반면, 지각된 사회적 지위가 높은 잡단은 부정적 상황(실패)에서 받은 웃음 이모티콘도 다소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실험 1과 실험 2). 본 연구는 불특정 다수에게 이모티콘이 포함된 온라인 메시지를 보내는 상황 및 낮은 사회적 지위의 사람을 상담하거나 지도하는 사람들에게 시사점을 줄 것으 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the social status that the instant message recipient usually perceives and the message reception situation affect the meaning of the smiley emoticon(^^) included in the instant message. Experiment 1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a group with a low perceived social status and a group with a high perceived social status through questionnaires. Then, the participants imagined when they were given an instant message with a smiley emoticon in a positive situation, such as achievement, or when they received the same message, in a negative situation, such as failure. Shortly thereafte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smiley emoticon included in the instant message had a positive meaning(smile) or a negative meaning(taunt). Accordingly, in Experiment 2, a group with low social status(imagine a person with a significantly higher social status than oneself) and a group with a high social status(imagine a person with a very low social status than oneself) were operated in the laboratory. Except for this, the rest of the procedure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 1.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group with low perceived social status tended to judge the meaning of smiley emoticon negatively (with ridicule and taunt) compared to the group with high perceived social status (Expt. 1 and Expt. 2).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group with low perceived social status judged smiley emoticon received in positive situations somewhat negatively, while those with high perceived social status judged smiley emoticon received in negative situations somewhat positively(Expt. 1 and Expt. 2).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situations in which online messages containing emoticons are sent to unspecified people and those who counsel or guide people of low social status.

      • KCI등재후보

        지방준정부조직 확산의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

        권영주 대한지방자치학회 201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지방준정부조직의 확산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 방준정부조직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방공단을 대상으로 어떤 원인에 의해 설립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방준정부조직 설립원인을 효율성에 집중하는 경제적·합리적 접근과 대응성을 중시하는 사회적·과학적 접근, 뚜렷한 목표 없이 유행 이나 복사에 의해 준정부조직이 생성된다는 해석적·사회구성학적 접근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준정부조직은 효율성이나 대응성과 같은 목표를 추구하기 위하여 생성될 뿐만 아니라, 유행이나 복사와 같은 비실체적인 것에 의해 확산되는 경향도 강하다는 것 을 알 수 있었으며, 단체장의 정치적 유인과 관료의 내부성과 같은 이기적 동기의 영향 도 무시할 수 없었다.

      •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의 전향적 달성 의무와 즉각적 실현의무의 내용과 효력 및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과의 관계

        이은우 ( Lee Eun Woo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장애인복지연구 Vol.2 No.1

        우리나라에서 장애인권리협약과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이하 ‘장차법’)이 동시에 시행되고 있는데,장애인권리협약은 국제인권조약이기 때문에 헌법 규범의 해석 기준이고, 사회권에 대한 해석의 기준이 된다. 그런데 장애인권리협약에서보장하고 있는 권리들 중 현재 장차법에서 충분히 보장되지 않거나, 장애인권리협약과 모순되는 것들이 많다. 이 경우장애인권리협약에 모순되는 장차법 규정들은 상위법 우선의 원칙에 의해 무효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장차법의 규정들을 장애인 권리협약에 맞도록 개정하거나,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장애인권리협약 제4조 제2항에 따라 국가의 의무인 ‘진적 성취’의 의무 즉, ‘가용자원의 최대한을 활용하여 권리를 완전하게 성취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였는지’ 여부를 위헌성 판단의 기준으로 보고,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은 위헌으로 보아야 한다. 그런데 그 동안 우리 헌법재판소는 ‘가용자원의 최대한을활용하는 조치를 취했는지’를 위헌성 심사의 기준으로 삼는 대신, 국가가 현저한 일탈이나 부작위를 하지 않았다면 합헌으로 보는 견해를 고수해 왔다. 이는국제인권규약에 대하여 헌법규범의 해석기준으로 지위를 인정하는 태도와 모순되는 것이다. 장애인권리협약의 ‘가용자원의 최대한을활용했는지’를 헌법해석의 기준으로 삼아서 법률을 해석하는 것이 그 동안 조약과 국제인권 조약의 국내법으로서의 효력을 인정해 온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태도에 부합한다.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서 장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and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of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APDDPR’) are both in effect in Korea. But as a human rights convention, CRPD is a superior norm to APDDPR. So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perior norms suppress inferior norms’, the clauses contradictory to CRPD are invalid. According to CRPD 4 (2) state should take measures to the maximum of its available resources with a view to achieving progressively the full realization of these rights. But in numerous cases Korean Constitution Court (KCC) didn’t take into account the criteria of progressive realization when deciding the 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ons regard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e KCC's standard of constitutionality is not the maximum level of its available resources but the minimum. It is contradictory to KCC's position on the legal status of Convention. APDDPR should be revised to comply with CRPD Art 4 (2).

      • KCI등재

        조선조 토지제도와 인식을 통해 본 보길도 윤선도 원림 조영 배경 연구

        이태겸,김한배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2

        Based on the land system of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perception of land,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 Yun seon-do entered Bogildo Island and a characteristic of Buyong-dong garden.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is study interpreted the purpose that Yun seon-do had built Buyong-dong garden at a socio-economic perspective. The land such as Sarlimchontack(山林川澤) is recognized as a commonland in the Joseon Dynasty. Except the reserved area(禁山), however, actions to make commonland private through Ib-an(立案) and protecting graves was frequent. Bogildo Island was a place difficult to build a private garden because the island had been appointed a reserved forest to protect pine trees. Right after Byungjahoran, Yun seon-do entered the island on the pretext of protecting forests, and built Buyong-dong garden. The island was easy to move to manage private farms as well as possessed abundant forest resources and resources that have economic value such as fish and salt. It indicates that, unlike his pretext, economic benefits have also been considered. 본 연구는 조선시대 토지제도 및 그 시대 사람들의 토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산 윤선도의 보길도 입도 배경 및 부용동원림의 조성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부용동 원림의 조영의도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조선시대 토지제도와 인식을 살펴보면, 산림천택(山林川澤)의 토지는 공유지였다. 그러나 금산(禁山)을 제외한 지역은 입안(立案)과분묘의 금양 등을 통해 공유지를 사점하려는 행위가 활발했다. 조선시대 보길도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금산으로 지정되어 있었기때문에 민가정원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직후, 산림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금산이었던 보길도에입도하고 부용동 원림을 조성하였다. 보길도는 가문의 전장 관리를 위해 주변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지역이며, 산림 자원이 풍부하고, 어염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도 확보할 수 있는 섬이다. 이처럼 윤선도는 금산 보호라는 공적인 명분으로 보길도에 입도하였으나산림 및 어염자원을 획득할 수 있고 가문의 전장 확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경제적 이점도 고려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 KCI등재

        문화경관으로서의 섬문화유산 해석을 위한 시론적 연구 - 보길도 윤선도 원림 및 관련 해남윤씨가 유산을 중심으로

        이태겸,박성현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9 島嶼文化 Vol.0 No.53

        Island heritage is seen as cultural landscape globally. And this value is gradually understood and preserved. Island heritage is a living one that has been closely linked to nature, society, culture, and human activities of the islan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s an preliminary study searching for the world heritage value of the island heritag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of the world heritage and related discussions. As a case study, Yun seon-do’s Garden heritage in Buyong-dong, Bogil-do was interpreted as a cultural landscape arou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rea.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on cultural landscape that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the partial and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heritage. By interpreting the island heritage from a cultural and landscape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stereoscopic value of island heritage that is distributed apart but is organically linked. This study interprets island heritage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for registering world heritage of island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