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념과 방법

        오연주(Oh Youn-Ju)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9 동서사상 Vol.7 No.-

        1. 잘 알려져 있다시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입문은 수학과 논리학에 대한 관심에 따른 러셀과의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곧 비트겐슈타인의 주된 관심은 ‘철학에의 해명’으로 이행한다. 철학사의 여타 철학자들과 비교해 보면,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가장 큰 특징은 그가 이전의 다른 철학자들의 이론을 토대로 한 철학적 탐색의 길을 가기를 거부하고 스스로의 문제의식과 고민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철학적 방법과 이념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이 새로운 철학 방법은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후기 비트겐슈타인으로 구분하여 이해될 만큼 그 방법에 있어 완전히 독창적인 서로 다른 방법으로 이후 현대 철학사의 방법론을 결정지을 만큼 영향력 깊은 철학 방법이었다. 이 새롭고 독보적인 철학 방법은 이후 현대 철학의 주제를 언어에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렇기에 이 두 방법에 대한 연구가 비트겐슈타인 연구의 중심이 되어 버린 것이 결코 놀라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주된 관심인 ‘철학’의 본성에 관한 ‘철학적 문제’와 ‘삶의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관심)는 다소 소외된 경향이었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분석(비판)이라는 철학 방법을 통해 그가 ‘철학’이라는 주제를 해명하는 방법과 그 이념의 실현 방법, 그리고 결과를 통관할 것이다. 아울러 전 후기를 가르는 판이한 방법에도 불구하고 그의 철학 ‘주제’와 이념은 일관되어 있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다. 2. 기존 철학의 문제점이 언어 의미에의 서로 다른 사용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 비트겐슈타인은 정확성과 엄밀성을 갖춘 완벽한 논리적 체계로서의 언어를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전통 철학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라 인식했다. 즉 전통 철학의 문제란 언어의 논리를 올바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나아가 문법의 혼동에서 비롯된 사이비 문제이다. 그리하여 철학의 문제는 실제의 연구를 통해서 ‘해결’할 것이 아니라 ‘해소’해야 할 일종의 정신병이다. 3. 비트겐슈타인은 『논고』에서 철학의 목표는 생각의 논리적 명료화라고 밝힌다. 그러므로 철학의 결과는 철학적 명제들이 아니라, 세계를 묘사하는 명제들이 명료하게 되는 것이다. 철학적 문제들에 관해 씌어졌던 대부분의 명제들이나 물음들은 거짓된 것이 아니라, 비의미적(nonsensical)인 것이었다. 전통적 철학자들의 명제들이나 물음들의 대부분은 언어의 논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생겨난 것이므로 이제 철학은 언어 비판으로 역할을 변모하게 된다. 3.1 『논고』에서 시작된 이 비판 작업은 소위 그림이론으로 이해되는 논리적 이상언어 구축 작업이다. 언어의 본질적 기능은 세계를 모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세계의(언어) 근본 토대는 언어(세계)의 논리적 형식에서 비롯된다. 세계의 선천적 조건을 의미 가능성의 조건으로 제공하는 논리학은 세계의 내용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나는 언어를 통하여 세계와 조우하고 나의 언어가 나의 세계인 한 나는 나의 언어 조건의 한계에 놓이게 된다. 나의 세계의 한계는 나의 언어의 한계이다. 이것이 세계와 언어의 공통적인 선천 적ㆍ논리적 조건이다. 4. 『탐구』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정확성과 엄밀성을 갖춘 완벽한 체계로서의 언어에 대한 환상을 버리고 언어의 실제 사용을 탐구한다. 그는 이 탐구를 기술적 탐구와 문법적 탐구라 부른다.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문제는 경험적 문제가 아니라 언어의 실제 사용에 대한 오해 때문에 발생하는 언어적 문제라는 점에서 자신의 탐구는 언어 이론을 구성하는 과학적 탐구가 아니라 기술적 탐구라 한다. 그리고 언어의 실제 사용에 대한 기술을 통해 언어사용에 대한 오해를 제거함으로써 문제에 빛을 던져주는 탐구가 문법적 탐구이다. 이것이 철학적 물음에 답할 수 있는 종류의 방식이다. 4.1 언어(말)는 실제에 있어 놀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언어와 그것이 얽혀 있는 행위들로 구성된 것 전체가 말놀이이다. 그리하여 인간의 삶의 형식은 자연적 사실로서 주어진 것이다. 언어가 지니는 일상성은 세계의 일상성을 통하여 삶의 세계로 전환하여 생생한 삶의 현장 모습이 된다. 더 이상 우리 삶은 논리적 형식 속의 기호일 수 없으며 삶의 현장에서 체험하는 생생함으로 존재하고 있다. 그것은 그 때 그 때 우리가 만나는 다양한 언어세계 속에서 확인된다. 언어가 세계를 표상한다는 것은 이제 언어가 실재와 더불어 논리적 형식을 공유하기 때문이 아니라 삶의 한 부분으로 언어가 바로 삶의 표현으로 함께하기 때문이다. 비트겐슈타인에 있어 ‘삶의 양식’(form of life)은 우선적으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우리의 언어가 작동하기 위한 전제이자 토대이며, 삶의 흐름이다. 5.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작업의 목표는 “언어의 본질 탐색을 통해 철학의 역할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기실 비트겐슈타인 자신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제는 철학의 역할, 철학의 목표, 철학의 과제 등 철학의 임무와 본성에 대한 연구였으며, 궁극적으로 삶의 문제의 해결이었다. 논고 작업 이후 철학이 끝났음을 선언했었으나 그러나 곧 철학의 작업이란 삶의 내재적 문제이기에 하나의 퍼즐이 풀려지듯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한다. 계속이라는 삶의 속성은 우리 삶에 단일한 일회적인 문제와 해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와 해답의 본성이 제대로 이해하게 될 때 문제도 해답이 동시에 의미 있게 해소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비트겐슈타인은 새로운 전망과 방법을 우리 앞에 제시했다. 그는 우리에게 철학의 임무를 다시 재고하게 하며, 개념적 혼란을 제거하고 올바른 논리적 관점을 위한 문법의 명료한 설명 방법을 보여 주었다. Wittgenstein may be unique in the history of in having produced two Fundamentally different and self-contained outlooks. Both the Tractatus and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re among the few highlights of analytic philosophical prose. The Tractatus combines formal logic with mysticism.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s discursive by comparison. But its style is aphoristic and ironic. According to the Tractatus a picture mus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what it pictures. This common thing is the picture's “form of representation.” The picture theory of propositions is at the same time an account of the nature of thought. Wittgenstein said: “A thought is a sentence with a sense”. This implies that thinking is impossible without language. A consequence of these views is that the form of representation of propositions (the form of reality, logical form), which cannot be stated, also cannot be thought. Language shows us something we cannot think. A function of philosophy is to indicate what cannot be said by presenting clearly what can be said. Obviously the Tractatus is a thoroughly metaphysical work. But Wittgenstein did not reject the metaphysical; rather, he rejected the possibility of stating the metaphysical. Wittgenstein believed that the Investigations could be better understood if one saw i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Tractatus. The Investigations emphatically rejects the idea that each proposition carries with it the whole of language. A sentence does presuppose a “language game,” but a language game will be only a small segment of the whole of language. According to the Tractatus every form of proposition can be anticipated because a new form of proposition would represent a new combination of simple objects in logical space. It would be a different arrangement of what you already have. But in Wittgenstein's later philosophy a new language game would embody a new “form of life,” and this would not merely be a rearrangement of what was there before. Wittgenstein wrote in his notes, “My work has extended from the foundations of logic to the nature of the world.” In his preface to the Tractatus he expressed the opinion that he had obtained the final solution of the problems treated in the book, but he added that one value of his work is that “it shows how little is achieved when these problems are solved.” On Wittgenstein, Philosophical main theme is solution of problems of life. Finally, he achieved them successfully.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은 새로운 회의주의자인가?-비트겐슈타인의 회의적 역설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과 피론주의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박규철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In this paper, I will consider whether Wittgenstein is a sceptic or not. Most of the Wittgenstein interpreters had largely considered him not to be a sceptic. But philosophers like Pogelin have seen him as a sceptic. In particular, Kripke's position on the paradox of Wittgenstein is a new form of philosophical scepticism, and many scholars have been critical of his view.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omestic scholars' position on the interpretation of Kripke, which includes the Wittgenstein as a sceptic's domain, and discovers that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 derives from a misinterpretation. Are there not sceptical elements for Wittgenstein? I will try to find that in his view that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 was wrong, Wittgenstein was not a sceptic, and also how Wittgenstein's philosophy and attitude have sceptic elements or tendencies by comparing Wittgenstein with the ancient skepticism (Pyrrhonian scepticism). In order to do this, I will consider 1)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s “our paradox” in PI §201, Wittgenstein' not being sceptic based on the criticism of domestic scholars about this interpretation, and 2)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Wittgenstein and the ancient Pyrrhonian scepticism, as a domestic scholar, Nam Ki-chang, comparing the scepticism of ancient Pyrrhonism with that of Wittgenstein. In this regard I think that 3) Wittgenstein also has elements of scepticism, especially of Pyrrhonian scepticism in that the name of a new philosophical scepticism of Wittgenstein, irrespective of Kripke's misreading of Wittgenstein, can be meaningful, and there is a close approximation to the sceptic's attitude in the way he philosophizes in a more aggressive sense rather than the similarity of Pyrrhonian scepticism with Wittgenstein suggested by Nam Ki-chang,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therapy of Wittgenstein and scepticism, which reveals the meaning of scepticism as a paradoxical reinterpretation of the sceptic's doubt in therapeutic stance. 비트겐슈타인은 회의주의자인가 아닌가? 이 문제에 대해, 비트겐슈타인 해석자들 대부분은 그가 회의주의자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것이 학계의 주된 의견이기도 하다. 하지만, R. Fogelin과 S. A. Kripke는 다른 의견을 제시한다. R. 포겔린은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로 간주하고 있으며, S. A. 크립키 또한 비트겐슈타인의 역설을 언급하면서 그의 이론을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회의주의(new form of philosophical scepticism)”로 소개하고 있다. 물론, 많은 학자들은 포겔린과 크립키의 이러한 해석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하지만, 과연 그러한가? 본 논문에서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의 영역에 포함시키는 크립키의 해석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을 고찰하면서, 비트겐슈타인에게 나타나는 회의주의적 요소들을 천착하였다. 특히,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이 지닌 한계와는 별도로, 비트겐슈타인을 고대 피론주의 회의주의자들과 비교분석하면서, 그의 철학 안에 내재된 회의주의적 태도와 요소들을 고찰하면서, 그가 회의주의자임을 논증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 3가지 문제를 주로 다루었다. (1)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은 유의미한가? 그리고, 크립키의 해석에 대한 비판은 정당한가? (2) 비트겐슈타인과 고대 피론주의 회의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비트겐슈타인은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회의주의자인가? 그리고 치유로서의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과 회의주의 철학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가?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필자는 비트겐슈타인 철학 안에는 회의주의적 사유와 태도가 존재하며, 그가 회의주의자임을 밝혔다.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과 힐베르트 프로그램

        박정일 ( Jeong 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2 論理硏究 Vol.15 No.1

        힐베르트의 프로그램에 관한 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의 발전 과정에는 뭔가 중요한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1929년 비트겐슈타인이 철학에 복귀하는 과정에서 빈 학파의 슐리크와 바이즈만을 만나 함께 토론한 내용을 정리한 『비트겐슈타인과 빈 학파』, 또 그 과정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쓴 『철학적 고찰』과 『철학적 문법』에서의 비트겐슈타인의 주요주장은 1939년에 행한 『수학의 기초에 관한 강의』, 또 이 강의를 전후해서 비트겐슈타인이 쓴 『수학의 기초에 관한 고찰』에서의 비트겐슈타인의 생각과 중요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그 차이가 무엇인지를 보이기 위해서 먼저 힐베르트의 프로그램과 형식주의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나는 비트겐슈타인이 힐베르트의 형식주의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비판했는지를 조명할 것이다. 또한 나는 힐베르트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중기 비트겐슈타인이 어떻게 비판했는지를 조명하고자 한다. 우리는 중비트겐슈타인이 힐베르트 프로그램에 대해서 칸토어의 집합론에 대해 했던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주장만큼이나 과격한 주장을 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더 이상 그러한 과격한 주장을 하지 않는데, 나는 중기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직접 비판함으로써, 또 비트겐슈타인 자신이 스스로 어떤 비판을 했을지를 논의하면서, 후기 비트겐슈타인이 왜 더 이상 그러한 주장을 하지 않는지 그 이유를 조명하고자 한다. As far as Hilbert`s Program is concerned, there seems to be important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Wittgenstein`s thoughts. Wittgenstein`s main claims on this theme in his middle period writings, such as Wittgenstein and the Vienna Circle, Philosophical Remarks and Philosophical Grammar seem to be different from the later writings such as Wittgenstein`s Lecture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Cambridge 1939) and Remark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To show that differences, I will first briefly survey Hilbert`s program and his philosophy of mathematics, that is to say, formalism. Next, I will illuminate in what respects Wittgenstein was influenced by and criticized Hilbert`s formalism. Surprisingly enough, Wittgenstein claims in his middle period that there is neither metamathematics nor proof of consistency. But later, he withdraws his such radical claims. Furthermore, we cannot find out any evidences, I think, that he maintained his formerly claims. I will illuminate why Wittgenstein does not raise such claims any more.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읽기

        신상형(SHIN, Sang-Hyong)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본 연구는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를 쓴 철학적 의도를 음미해 보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비트겐슈타인은 『논고』의 집필에서 시도한 새로운 철학에 대해 총책임을 졌던 러셀조차도 그의 사상을 오해했다고 실망했다. 필자는 언표를 둘러 싼 주장들에 관해 러셀과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해 봄으로써 비트겐슈타인의 고유한 사고가 무엇이었을까를 간접추리해 보기로 한다. 러셀과 비트겐슈타인 양자는 기존철학의 문제점을 논리적 분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출발점은 같았다. 그러나 『논고』의 해결방식은 여러 가지 점에서 러셀과 달랐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러셀은 일상적 표현들의 논리적 분석을 통해 애매성과 모호성을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공언어의 수립을 주창하였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은 이런 새로운 모델 언어의 수립을 지양하고 현존하는 언어의 해명을 통해 문제가 되는 언어를 구축함으로써 문제를 해소하는 일에 집중하였다. 일상언어란 사고를 숨기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힘들고,(4.112, 4.002) 실제로는 논리적인 질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5.5563) 논리적 엄정성을 위해 기호를 도입하여 난제를 해결하는 일에서는 양자가 동일했으나, 러셀은 ‘함수’, ‘집합’ 등을 도입하면서 동시에 그 개념들조차도 사실과 동일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또 다른 오류를 파생시켰다. 이에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그것들을 유사개념대상 pseudo-concept object라고 규정하고 그것의 수용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4.1272) 비트겐슈타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상언어에서 간과되고 있는 오류인 기호와 상징의 혼동을 구분한다. 기호는 의미의 지시체에 해당하고 상징은 의미체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러셀은 여기에 이르지 못했다. 본문에서 다루지는 않았으나 러셀은 논리적 원자를 개별자, 속성, 관계, 사실의 네 가지로 본 데 반해, 비트겐슈타인은 대상, 배열 내의 대상의 두 가지로 보았다. 관계에 대해 비트겐슈타인은 이것을 배열 가운데 포함시키는데, 배열은 언표불가능하며 단지 보여줄 수 있는 것이지 진술하거나 이름 붙일 수 없다고 했다. 그래서 그는 이 관계를 명제 내의 배열에서 보여주고 있다. 러셀은 존재물로 취급, 시각적 관계만을 강조한데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다양한 공간과 그 재현방식을 생각했다. 사실의 구조에 대해서는 양자는 거의 일치하나 부정(否定)사실의 설명에 있어서 양자는 완전히 다르다. 전자는 하나의 존재로 보는데 반해 후자는 그것을 비존재로 보기 때문이다. 러셀은 명제와 사실은 관념과 실존의 차이가 아니라 명제도 사실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부정명제를 사실에 대비시켜 대응사실이 없는 ‘not’를 소거할 수 있다고 본 데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부정사실은 원자사실의 비존재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2.06) 긍정과 부정의 두 사실이 그림에서는 두 존재인데, 하나는 요소가 대상과 상관하자마자 재현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비존재라는 Anscombe의 설명은 비트겐슈타인의 부정사실의 그 역할에 대해 명백한 해명을 제공해 준다. 이상과 같이 동일하게 출발한 철학의 주제는 양자 사이에서 다르게 모색되었다. 러셀은 실질적 논리적 분석 및 구성을 통한 세계기술로, 비트겐슈타인은 세계의 구조를 반영한 철저한 이론상의 논리적 분석 및 구성활동으로 진로를 달리했다. The purpose of paper is to show how Bertrand Russell misread Wittgenstein’ Tractatus when he had just written his introduction to the Tractatus. The way the writer of paper seeks to make is an indirect inference as reductio ad absurdum by which he compares with both scholars’ claims and debates concerning what can be said of language usages. Russell and Wittgenstein shared the starting point with each other which was logical analysis, but their methods and processes were different. Russell suggested a new alternative language of ‘artificial language’ which contains rigid logical and mathematical forms and meanings, while Wittgenstein made us look at the unnecessary usage of jargons and meandingless expressions. The latter believed that ordinary language hides their perfect working grammars. For logical rigidness Russell accepted pseudo-concept objects such as function, class, etc., which made another fallacies, while Wittgenstein rejected them as irrational but divided between symbol and sign which that did not even understand at all. Russell thought that logical atoms are particular, property, relation and fact, while Wittgenstein regarded only object and the object in row as logical ones. The former made emphasis on visual relations; the latter did on various methods of spatial and representational places. Concerning the structures of facs Wittgenstein and Russell almost agreed with each other but they did disagree about negative facts; Russell regarded them as existent while Wittgenstein rejected them as non-existent. In pictures, Wittgenstein pinpoint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facts are quite different facts, but in reality both facts contains only one state of affairs. Thus philosophical issues had been dealt with by Russell and Wittgenstein in different ways though they began with them in the same way. Russell put forward the description of the world by logical analysis and construction; but Wittgenstein did it by looking into the real construction of the world. They looked like one way but tried differently in the way.

      • KCI등재

        에토스와 삶의 형식: 비트겐슈타인 하우스에 대한 연구

        정은영 ( Eunyoung Ju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7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9 No.-

        비트겐슈타인 하우스(Haus Wittgenstein)는 분석철학자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이 누이인 마르가레테 스톤보로우-비트겐슈타인(Margarethe Stonborough-Wittgenstein)을 위해 1926-28년 비엔나에 지은 개인 저택이다. 수학적 비례와 기능적 명료성을 강조한 비트겐슈타인 하우스는 논리실증주의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그의 전기 철학, 특히 『논리-철학 논고』의 논리적 엄정성이 그대로 구현된 것으로 이해되곤 한다. 또한 일체의 장식을 배제한 간결한 입방체들을 비대칭적으로 결합한 건물의 구조와 철근, 유리, 콘크리트 등 현대적인 건축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20세기 초의 전형적인 모더니즘 건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 하우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각 층의 기능이 비엔나 부르주아의 전통적인 팔레 건축을 따르고 있고 특히 문화, 예술의 향유에 중점을 둔메인 플로어의 중요성을 그대로 계승했다는 점을 주목한다면, 그의 건축이 합스부르크 비엔나의 역사적 상황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트겐슈타인이 저택을 완성한 직후 긴 철학적 공백기를 끝내고 곧바로 철학 탐구로 되돌아갔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그의 건축 작업이 자신의 전기 철학을 단순히 반영하거나 확인하는 과정 이상의 중요한 의미를 지녔을 것이라 추측해 볼수 있다. 이에 본고는 비트겐슈타인 하우스를 세기말 비엔나의 문화사적 맥락과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사상사적 맥락에 재위치시켜 고찰하되, 전자에서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모더니티의 모순과 부르주아 정체성의 위기를 보여 주는 링슈트라세(Ringstrasse) 건축 및 아돌프 로스(Adolf Loos)의 장식 비판을 중심으로, 후자에서는 논리적 명제의 명료화 작업으로부터 일상 언어의 사용과 실제적인 삶의 형식에 대한 탐구로 나아가는 철학적 이행을 중심으로 비트겐슈타인 하우스의 의미를 탐색한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사유의 핵심에는 윤리적인(ethical) 삶의 형식에 대한 고민이 깔려 있었다. 전기와 후기를 관통하는 윤리적 삶에 대한 고민은 `집을 짓는` 건축의 실천을 통해 더욱 분명하고 절실하게 다가왔을 것이다. `인간이 세계에 존재하는 거주의 방식`을 뜻하는 `에토스(ethos)`는 건축과 철학에 공통적으로 함축되어 있는바, 비트겐슈타인에게 집을 짓는 작업은 자신을 포함한 비엔나 부르주아의 삶을 윤리적 삶의 형식의 차원에서 다시금 깊게 숙고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이 후기 사상의 대표작인 『철학적 탐구』(1953)에서 진정성 있는 `삶의 형식`에 궁극적인 중요성을 부여한 것도 거주의 방식을 구축하는 건축 경험에 힘입은 것이라 볼 수 있다. The Wittgenstein House is a mansion that the philosopher Ludwig Wittgenstein (1889-1951) built for his sister Margarethe Stonborough-Wittgenstein in Vienna between 1926 and 1928. Due to its mathematical proportions and functional clarity, the house has often been understood 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er`s early thoughts, especially the crystalline clarity of logical propositions in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1922). Because of its asymmetrical shape composed of simple cubic masses and the use of such materials as steel, glass, and concrete, it has also been seen as an example of typical modern architecture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onsidering, however, that the overall plan of the Wittgenstein House follows the traditional Viennese palais architecture and that it inherited the importance of the main floor,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bourgeois life of culture and art, the house should be understood as part of larger historical situation of the Habsburg Empire, rather than as a decontextualized modernist building. Also, as Wittgenstein returned to philosophy immediately completing the house, putting an end to his long absence from the professional field of philosophy, it is most pertinent to think that his architectural practice performed an active role in his later philosophical development. As such, recasting the Wittgenstein House in the historical frames, this paper explores its rich and complex meanings within the two interrelated contexts. On the one hand, within the cultural context of fin-de-siecle Vienna where the paradox of modernity and the crisis of liberal bourgeoisie were increasingly intensified, the house positioned itself against the historical eclecticism of the Ringstrasse architecture and rendered a cultural critique on deceitful ornament by pushing the rule of Adolf Loos to the extreme degree. On the other, within the biographical context of Wittgenstein`s later philosophical development, the actual practice of architecture seems to have led Wittgenstein to discover the importance of the use-meaning of ordinary languag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ral and ethical life lived through, yet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At the core of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quiry was the quest for ethical life, and he seems to have discovered profound ethical implications in his practice of building a house. As `ethos` means the way human beings exist in the world, that is, a genuine way of dwelling, the architectural practice of building a dwelling place is essentially an ethical project. Thus, the practice of architecture must have provided Wittgenstein with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form of life of the fin-de-siecle Viennese bourgeoisie, including himself and the Wittgenstein family. The `form of life` that Wittgenstein explored as a key concept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1953) was much indebted to his architectural practice. For Wittgenstein, the task of architecture and philosophy consisted in posing ethical questions on how one should dwell in the world.

      • KCI등재

        과학적 철학의 꿈 ― Wittgenstein 오독의 유산

        황희숙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7 No.-

        현대 철학에서 과학주의 scientism의 미몽은 순전히 어떤 철학적 오류나 특정 조류의 유산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철학에만 국한된 태도라 보이지도 않기 때문이다. 과학의 신화화, 과학만능주의는 17세기 이후의 시대적 배경, 또 과학화되는 현대문화, 그리고 과학의 도구적인, 기술적 성공에 힘입은 바 크다. 오늘날 우리의 삶은 과학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현대인들은 오직 과학만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궁극적 진리를 준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철학 내부에서 과학주의의 대두가 순전히 외적 영향 요소 즉 과학의 성공에 대한 최면 때문이었다고 할 수는 없다. 분석철학에서 과학주의적인 강력한 철학적 입장은 그 생명의 물줄기를 철학의 대가들에게서 공급받고 있었다. 그 중 하나가 비트겐슈타인 L. Witt- genstein, 아니 (해석된) ‘비트겐슈타인’으로부터 감화 받은 논리 실증주의였기에, 과학주의는 그로부터의 유산이라 말할 수 있다. 1930년대 시작된 분석철학의 역사는, 비트겐슈타인의 논고 Tractatus에 대한 한 가지 해석에서 시작했다.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특정한 해석이 빈 학단의 과학통합 운동을 낳았으며, 분석철학의 엔진이라 불리는 빈 학단의 신실증주의자들은 ‘과학으로서의 철학’을 꿈꿨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의 논고는 빈 학단을 대변하는 카르납 R. Carnap의 해석이나 주장과는 중대한 상이점들이 있다고 보인다. 검증가능성, 과학과 철학의 관계, ‘말할 수 있는 것’과 ‘보여질 수 있는 것’의 구분 등이 갖는 의의에 대해 오독이 있었다. 명백하게 과학주의를 내세운 빈 학단이 쇠퇴한 이후에도 ‘과학적 철학’으로의 항해는 계속되었다. 빈 학단의 거친 기본교리를 비판하는 대표적인 탈실증주의자인 콰인 W.O. Quine 역시 과학과 철학의 연속성을 주장함으로써 그들과 과학주의를 공유함이 드러난다. 다른 대안적 입장, 즉 역사주의자나 무정부주의자들 역시 정치학과 인류학에 편향된 모습을 보인다는 의미에서, 또 다른 계통의 과학주의에 발을 담그고 있다. 아마도 과학적 철학의 환상에서 벗어나 철학을 쇄신하기 위해서는, 과학주의라는 유산의 원천이었던 바 ‘비트겐슈타인’에 대해 재해석하는 것, 또는 가장 ‘비트겐슈타인적인 철학’으로의 귀환이 하나의 길이 되리라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케이벨 S. Cavell은 과학주의 편향을 보인 분석철학 내에서, 과학 아닌 철학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그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넓은 의미의 ‘회의론 물음’이라는 구도 상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인간의 유한성과 관련된 넓은 담론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철학을 인문학에서 빼어내서 과학의 속으로 넣으려 했던 라이헨바하 H. Reichenbach와 그 외의 많은 과학주의자들의 시도를 생각해본다면, 케이벨의 작업이야말로 비트겐슈타인의 맨 처음 그리고 일관된 정신에 부합된다. We must refrain from hastily assuming that the illusion of scientism is merely the consequence of a philosophical trend, mainly because it is hard to see scientism as influenced solely by philosophy. The mystification of science, or scientism, has emerged from the success of modern science started around the 17th century and from the more recent scientific/technological advancements. Today, our life depends greatly on science, and people in the modern era tend to believe that science is the only way to bring about meaningful changes/advancements in the world. Nevertheless, it should not be assumed that the admiration of scientific success is the sole contributor that has advanced the conception of scientism. In fact, the steadfast position of scientific philosophy has its roots in the great minds of early analytic philosophy. Among them were the logical positivists, who have falsely attributed their position to Wittgenstein. The origin of analytic philosophy lies in one of the interpretations of Wittgenstein’s Tractatus in 1930's. The interpretation gave birth to the movements of unifying sciences initiated by Vienna Circle, so called the engine of analytic philosophy, where its neo-positivists dreamed of philosophy becoming a sort of exact science. However, notable differences can be found between Wittgenstein’s Tractatus and the claims made by R. Carnap ― representing the Vienna Circle ― due to their conflicting views of the following conceptions: principle of verification,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philosophy, difference between 'saying' and 'showing'. Even after the fall of the Vienna Circle that embraced scientism, the voyage towards scientific philosophy continued. W.V. Quine, albeit being one of the leading post-positivists who harshly criticized the main tenets of the Vienna Circle, argued for the continuity of science and philosophy, sharing his beliefs of scientism with the logical positivists. Other recent philosophers, such as proponents of historicism and anarchism, were biased towards politics and anthropology, consequently revealing that they also advocated a sort of scientism. Perhaps, in order to renew philosophy and shatter the illusions of scientific philosophy, we need to either stop considering Wittgenstein as the initiator of scientism, or return to the Wittgensteinian philosophy. S. Cavell has demonstrated one way of doing so, even he is one of the figures of the analytical philosophy that geared towards scientism. Cavell has situated Wittgensteinian philosophy within the frame of the “question of skepticism” leading us to a new set of discourses on the mortality of men. In comparison to the misguided efforts of myriads proponents ― including Reichenbach ― of scientism, all of whom have attempted to pull philosophy out of humanities and into science, Cavell’s work seems to be a genuine reflection of the spirit of Wittgenstein.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체’에 관하여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서 중요한 수수께끼 중 하나는 ‘의미체’(Bedeutungskorper)가 무엇이냐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나는 다음을 보이고자 한다. 『탐구』에서 단 한 번 언급된 ‘의미체’는 바로 『논고』에서 거론되는, 특히 논리적 상항의 ‘의미’이다. 이를 위하여 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는 먼저 비트겐슈타인이 실제로 ‘의미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언급은 ?비트겐슈타인의 음성들에서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는데, 우리는 이 언급에서 제시된 것을 ‘의미체 비유’라고 부를 수 있다. 둘째, ‘의미체 비유’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것이 과연 『논고』에 실제로 있는지 우리는 확인해야 한다. 여기에서 먼저 선행해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는 ‘∼’과 같은 논리적 상항이 의미(Bedeutung)를 갖는지 여부이다. 셋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전기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이제 그의 의미이론이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이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는 것이 요구된다.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힐베르트와 바일의 형식주의라는 새로운 시각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프레게의 생각을 수용한 결과 형성된) 의미체와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극복하였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넷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실제로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논고』의 형성 과정에서 그러한 생각들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의미체’ 문제가 비트겐슈타인에게는 『논고』의 집필을 포기하게 할 수 있었던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였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One of the important puzzles concerning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is this: What is his “Bedeutungskorper” (meaning?body)? With regard to this problem, I will show in this paper that “meaning?body,” which is mentioned just once in the Investigations, is the “meaning” (Bedeutung) of the Tractatus, in particular, that of a logical constant. For this I will discuss in the sequence as follows. Firstly, we must take a look at the remarks that Wittgenstein adduced concretely. Those remarks are expressively given in The Voices of Wittgenstein, which we can call the “meaning?body simile.” Secondly, we must confirm that what Wittgenstein adduced in the “meaning?body simile” is embodied in the Tractatus. The problem which should be solved in advance is whether logical constants such as ‘∼’ have meanings (Bedeutungen). Thirdly, if the thoughts related with the “meaning?body” belong to early Wittgenstein, then we need to explicate how the early Wittgenstein’s theory of meaning is connected with the later Wittgenstein’s. We will confirm that Wittgenstein overcame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which were the results that he had accepted the important basic idea of Frege’s theory of meaning) by partly accepting the new point of view of Hilbert’s formalism. Fourthly, if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are Wittgenstein’s, we must be able to confirm those thoughts in the prior development of the Tractatus. We will confirm that the “meaning?body” problem w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for the early Wittgenstein that could lead to his abandoning the writing of the Tractatus.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은 중립적 일원론자인가?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1 No.2

        John W. Cook argues that from 1916 until his death, Wittgenstein had embraced ‘neutral monism’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William James. To investigate whether this ascription of ‘neutral monism’ to Wittgenstein is valid, I will draw a comparison between James’ and Wittgenstein’s views on consciousness, focusing on James’ later essays, which present his mature view on consciousness by adopting ‘neutral monism’.Other authors who have tried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have totally ignored this approach. Amo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excavate some significant features shared by the two philosopher’s positions, which make us conclude that it is highly possible to hypothesize that the later works of James may hav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Wittgenstein’s view on consciousness. Although this evidence shows that Wittgenstein shares with James some very important ideas which serve to constitute James’ neutral monist views, it does not confirm that Wittgenstein was a supporter of neutral monism. Cook explicitly interprets Wittgenstein’s position in the Tractatus as Neutral monism, mis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olipsism’ and that of ‘simple objects’ in the tractarian sense. However, both terms are supposed to be understood as Wittgenstein’s logico-linguistic commitments. In the case of the post-tractarian period, Cook argues that Wittgenstein does not think that ‘a sense-datum is a different kind of object from a physical object’ (BB p. 64). However, what Wittgenstein means by this assertion is not to dismiss the physical object of dualistic view, which is something over and above sense-data, as Cook insists, but rather to simply warn against the objectification of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is grammatical research for the words ‘I’ and ‘sense-datum’. Consequently, there is no reason to conclude that Wittgenstein maintains a neutral monist view, ontologically reducing physical objects to sense-data, as Cook insists. 쿡(John W. Cook)은 비트겐슈타인이 1916년부터 그의 생애까지 마지막까지 윌리엄 제임스가 발전시킨 ‘중립적 일원론’을 수용했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이러한 쿡의 주장이 과연 정당한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 목표를 위해 지금까지 두 철학자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려 시도했던 저자들이 완전히 간과했던 제임스의 후기 논문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의식에 관한 제임스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을 비교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들로부터, 필자는 의식에 관한 제임스의 후기 입장이 비트겐슈타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게 하는 두 철학자들이 서로 공유하는 중요한 국면들을 밝힐 것이다. 비록 이 증거들이 제임스의 중립적 일원론을 형성하는 주요 아이디어들을 비트겐슈타인이 공유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지만, 그렇다고 비트겐슈타인 역시 중립적 일원론자였음을 확인시켜주지는 못한다. 쿡은 『논고』 안에 나타난 ‘유아론’과 ‘단순 대상’ 개념의 의미를 오해하면서 비트겐슈타인이 입장을 중립적 일원론으로 해석하고 있지만, 이 두 개념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언어적 기획에 따라서 이해되어야 한다. 『논고』 이후의 경우, 쿡은 비트겐슈타인이 “‘감각자료’가 ‘물리적 대상’과 다른 종류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BB p. 64)는 것을 근거로 그가 중립적 일원론자임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 언명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이 뜻한 바는, 쿡의 주장처럼, 감각자료에 너머의 어떤 것으로서의 이원론적 관점의 물리적 대상을 기각하려는 것이 아니라, ‘나’, ‘감각자료’, ‘물리적 대상’과 같은 낱말에 대한 문법적 탐구를 통해 의식의 대상화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쿡의 주장처럼, 비트겐슈타인이 존재론적으로 물리적 대상을 감각자료로 환원하는 중립적 일원론을 견지했다고 결론내릴 어떠한 근거도 없다.

      • 비트겐슈타인의 의미결정의 기준

        박정식(Park Jeong-Si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9 No.-

        이 논문의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전?후기 철학에서의 의미결정의 기준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비트겐슈타인이 직접 자신의 사상에 영향을 끼쳤다고 말한 프레게와 러셀의 의미결정의 기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결정의 기준과 이러한 전기 의미론에 비판을 가하면서 등장하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론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전기 비트겐슈타인에서 언어의 의미결정의 기준은 세계와의 일치여부이다. 그러나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이러한 언어에 대한 의미론이 언어의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무시한데서 비롯되었음을 지적한 후, 언어의 의미는 그 사용에 있다는 의미사용이론을 주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비트겐슈타인의 전?후기 의미론에서 언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기준의 변화가 언어의 다양성에 대한 통찰에 의해 발생하였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throw light on the criterion of meanings in Wittgenstein’s philosophy. I begin with talk of the criterion of meanings in Frege and Russell. Then, I look into the criterion of meanings in earlier and later Wittgenstein. In earlier Wittgenstein, the key issue is to see whether language corresponds to the world. For, he claims that our language is a picture to mirror the world. However, later Wittgenstein criticizes that his own earlier theory of meaning in that the earlier ignores the various sorts and functions of languages. Thus, later Wittgenstein asserts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depends on its use in the language. Therefore, I will assert that the change of Wittgenstein’s the criterion of meanings of language comes out of the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the earlier and later periods.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윌리엄 제임스 비판에 대한 재해석

        김이균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5 No.4

        Wittgenstein’s high regard for William James has been reported by some writers and by Wittgenstein himself, not only for his thoughts, but also for his human character. However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about James and these remarks are mostly the object of strong criticism. Why does Wittgenstein criticize James, whom he really admires, and how can we explain the contrasting reports about Wittgenstein’s attitude towards James? Is Wittgenstein’s explicit criticism of James really plausible or sufficient to evaluate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This work aims to answer these questions, exclusively focusing on consciousness. Th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will not merely focus on where Wittgenstein explicitly mentions James because these explicit citations are not necessarily fair indicators or, at least, could be insufficient to establish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Wittgenstein and James. Instead, James’ important texts on consciousness in his early period, especially the chapter ‘Stream of Thought’ in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which Wittgenstein read, are examined in order to elucidate James’ relevant ideas regarding the topic and to identify some comparable point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and finally, to correctly evaluate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mostly criticisms) of James. Using the fruits of this process I will show that Jam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Wittgenstein regarding consciousness and also that the main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stems from his inattentive reading of James’ basic contention. 비트겐슈타인이 윌리엄 제임스를 그의 사상뿐 아니라 인격적인 측면에서 높이 평가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제임스를 강한 비판의 대상으로 자주 언급한다. 왜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이 진심으로 경애하는 제임스를 비판했고, 이런 대조적인 그의 태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리고 표면적으로 드러난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과연 두 철학자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평가하는데 타당하거나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을까? 이 연구 목표는 ‘의식’이라는 주제에 한정해서 이 질문들에 답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이 제임스를 명시적으로 언급한 텍스트들이 두 철학자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설정하기 위한 공정한 지표가 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자는 제임스가 의식에 관해 집필한 초기 저작들, 특별히 비트겐슈타인이 읽은 것으로 알려진 『심리학의 원리』의 제 9장 ‘사고의 흐름’(the Stream of Thought)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제임스의 주요 사상을 파악하고 두 철학자 사이의 비교 점을 찾아낸 뒤,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결실을 통해 필자는 ‘의식’과 관련하여 제임스는 비트겐슈타인에게 중요하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과, 이와는 대조적으로 보이는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제임스의 주요 주장을 비트겐슈타인이 부주의하게 읽어낸 결과임을 입증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