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상거래상 간이한 추심을 위한 EU소액소송절차(ESCP)

        김효정 국제거래법학회 2020 國際去來法硏究 Vol.29 No.1

        국제상거래상 소액청구사건은 간이⋅신속한 절차에 의하여 집행권원을 확보하고, 이를집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제상거래사건에서재판국에서 취득한 집행권원을 가지고 집행국에서 집행하기 위해서는 집행판결 내지 집행가능선언 등 집행허가를 요하는 별도의 중간절차가 필요한 경우에는 신속한 권리구제에 장애가 된다. 유럽연합(EU)의 경우 “민사 및 상사사건의 재판관할과 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관한 유럽연합 이사회규칙[Council Regulation No 1215/2012 of 12 December 2012 on Jurisdiction and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Judgments in Civil and Commercial Matters (Recast), 이하 ‘브뤼셀Ⅰ recast 규칙’이라고 한다)]”에 의하여 집행국에서의 집행가능선언제도(exequatur)를 원칙적으로 폐지하고 있으나 열거된 집행거부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집행을 거부할 수 있으므로, 회원국 내에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상호승인의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EU는 브뤼셀Ⅰ recast 규칙과는 별도로 특정한 사건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집행가능선언제도를 폐지하는 규칙들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EU절차법은 회원국의 절차법과 동등성과 효과성을 확보하면서, 회원국 절차법의 자주성을 보장한다. 특정한 절차적 사항에 대하여 EU법이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경우에는 EU법은회원국의 국내법에 대하여 우선의 원칙과 직접적용성이 적용된다. 유럽절차법 가운데 EU 내 섭외사건 가운데 소액사건에 관한 소송절차에 적용되는 규칙인 유럽소액소송규칙[European Small Claims Procedure (ESCP) Regulation], EU 내 섭외사건 가운에 다툼 없는사건에 관한 독촉절차에 적용되는 규칙인 유럽지급명령규칙[European Order for Payment (EOP) Regulation], EU 내 섭외사건 가운데 다툼 없는 사건의 집행권원에 대한 집행력을부여하는 절차에 적용되는 규칙인 유럽집행명령규칙[European Enforcement Order (EEO) Regulation], EU 내 집행권원의 취득 전후로 채무자의 금융기관의 계좌를 대상으로 하는 보전절차에 적용되는 유럽계좌보전명령규칙[European Account Preservation Order (EAPO) Regulation] 등은 기본적으로는 브뤼셀Ⅰ recast 규칙의 특별법적인 규칙들로서 모두 집행가능선언제도(exequatur)를 폐지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EU 규칙들 가운데 EU 최초로 소송절차에 적용되는 유럽통합법인유럽소액소송규칙(이하 ‘ESCP 규칙’이라고 한다)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조명을 하여, 유럽소액소송절차(이하 ‘ESCP’라고 한다)의 특징과 운영 실태, 그리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아직까지 법원과 일반 국민들의 인식의 부재로 ESCP 이용률이 저조한 편이기는 하나, EU는최근 ESCP 규칙을 개정하여 소액사건의 상한을 증액하고, 전자기술통신(ICT) 수단을 통한 법원수수료 납부, 전자송달, 영상회의 등의 적극적 시행을 촉구하고, 회원국이 이를 지원할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나아가 ESCP 규칙은 온라인분쟁해결제도(ODR) 등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의 적극적 활용을 도모하여 EU조정지침 등과의 연계를 통하여 효율적인 분쟁해결 체계를 구축하는 등 선진화된 재판제도로서의 모범이 되고 있다. ESCP가 지니는 제도적 장점 및 인센티브에 대하여 일부 회의적 시각도 없지 아니하나 ESCP 규칙이 시행된 지11년 남짓 되고, 개정 ESCP 규칙이 시행된 지는 3년에 이르지 못한 상황에서 완전한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 ... In dealing with the cross-border trade disputes, it is undoubtedly important to provide the effective and efficient resolution means for the disputants to acquire the enforcement title and to enforce it in a facilitated and simplified procedure,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small claims cases. Should the intermediate additional procedure for the recognition of foreign judgments in order to enable its enforcement be required in the subsequent phase initiated by the successful party, it works as an obstacle impeding the expedited implementation of the his or her rights. In the EU region the Brussel Ⅰ recast regulation basically abolishes the declaration of enforceability procedure (exequatur procedure), it has yet to reach the mutual recognition based on the mutual trust between the Member States as it still lists a number of grounds for refusal in the Member State of enforcement. EU on the other part establishes a couple of regulations separate from the Brussel Ⅰ recast regulation aiming at substantially abolishing the exequatur procedure (limiting the ground for refusal only to cases of irreconcilable judgments). EU procedural regulation ensures its equivalence and effectiveness while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procedural laws of the Member States. As a consequence EU procedural laws apply primarily and effectively to the Member State’s procedures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macy and the direct applicability of EU laws. Among the EU procedural laws, there are some procedural regulations abolishing the exequatur typically as follows, ① the European Small Claims Procedure Regulation (ESCP Regulation, Reg No 861/2007) applying in the cross-border small claims cases (the value of which not exceeding 5,000 Euro), ② the European Order for Payment Regulation (EOP Regulation, Reg No 1896/2006) applying in the cross-border uncontested cases to provide the title in an accelerated procedure, ③ the European Enforcement Order Regulation (EEO Regulation, Reg No 805/2004) applying in the cross-border uncontested cases giving enforceability title in the Member State of origin, ④ the European Account Preservation Order Regulation (EAPO Regulation, Reg No 655/2014) applying in the cross-border preventative measure cases for preserving the debtor’s bank accounts prior or subsequent to acquiring the title. This paper has sought to explore intensively on ESCP Regulation which is the first EU consolidated procedural law regulating the small claims on the cross-border civil or commercial disputes, further reviewing analytically the procedural features, operability and the problems as well. ESCP has shown its low availability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among the claimants, the practitioners, as well as the courts. However EU has tried to enhance the use of ESCP procedure by amending the regulation coming into force as of 2017, to the effect as follows, ① raising the threshold of amount in controversy, ② encouraging the dynamic use of ICT in the payment of court fees, the electronic service of documents and the videoconferencing etc, as well as establishing the Member States’ obligation to assist parties concerned to gain easy access to it, ③ making furtherance of the ADR, particularly ODR to reach the appropriate alternative resolutions to the disputes by connecting the EU Mediation Directives. Nevertheless there has some negative and skeptical views on the accessibility of the ESCP. ESCP is relatively young in light of 11 years from its implementation and 3 years from its amendment, requiring some more years to see the full-fledged utilization. Viewing Back to Korea, we need to take big steps for reaching the ultimate abolition of the exequatur aiming at the expedited and efficient enforcement of rights, exploring some avenues to establish uniform procedural regulations concerning the cross-border trade disputes of small values, at least applicable commonly to Korea, China and Japan, further widening to i...

      • KCI등재

        일반 논문 : 국제대출계약의 재판관할선택에 관한 연구

        박찬동 ( Chan Dong Park ),신창섭 ( Chang Sop Shin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7

        국제대출계약에서 영국법과 뉴욕주법은 준거법으로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영미의 준거법과 함께 통상적으로 영국 법원과 뉴욕주 법원이 법정지로 함께 지정된다. 영미의 법원은 국제대출계약의 준거법 선택과 역할에서 상당한 수준의 당사자자치를 인정한다. 그러나 국제재판관할의 문제는 이러한 준거법의 선택과는 차이가 있다. 준거법의 선택과 달리 영미의 법원은 당사자의 재판관할선택을 그대로 인정하지 아니 하고 자국의 국제사법 규칙에 따라 당사자자치를 제한적으로 인정한다. 이 논문은 이처럼 국제대출계약에서 통상적으로 법정지로 선택되는 영국과 뉴욕주의 국제재판관할 관련 규칙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대출계약 관련 국내 판례와 함께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도 함께 검토한다. 국제대출계약에서 계약당사자가 어느 국가의 법원에 재판관할을 선택 하였다고 하더라도 법정지 국제사법 규칙에 따라 법정지선택조항을 달리 취급한다. 우선 영국은 유럽연합체제에 가입하여 영국에서는 브뤼셀 I 규칙과 영국 고유의 국제사법 규칙이 함께 적용된다. 2015년 1월부터 개정된 브뤼셀 I 규칙이 시행됨에 따라 제소된 시점에 따라 개정 전·후의 브뤼셀 I 규칙이 적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브뤼셀 I 규칙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사안에는 영국 고유의 국제사법 규칙이 여전히 적용된다. 또한 미국은 연방법원과 주법원의 재판관할을 달리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국제재판관할합의의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법원이 과도하게 경직된 입장이라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개정 브뤼셀 I 규 칙은 비회원국 법원의 재판관할합의를 아무런 제한 없이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영국이나 미국 뉴욕주 법원도 계약당사자의 재판관할합의에 대하여 그대로 계약적 효력을 인정하여 국제재판관할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서에 반하거나 법정지와 합리적 관련성이 없는 경우에 법정지선택조항의 효력을 부인하는 우리나라 법원의 입장만을 비판하기는 어려워 보인다.앞으로 국제재판관할합의의 문제에 관하여 우리나라가 법정지선택합 의에 관한 헤이그협약과 같은 다자 조약에 가입하면 외국과 상호 신뢰와 조화로운 판결의 승인 및 집행을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처럼 우리나라 국제재판관할규칙을 국제규범과의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국제거래당사자의 예측가능성을 확보시켜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English law and New York law enjoy a dominant position as the governing law of international loan contracts. In conjunction with the governing law, English and New York courts have usually been chosen as a forum. On the one hand, English and New York courts have given validity of freedom of choice of the governing law. On the other hand, they treat a submission to the jurisdiction clause different from the choice of law clause. Unlike the choice of law clause, both English and New York courts recognize the effect of the jurisdiction clause in a few limited circumstances according to jurisdiction rules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This article studies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s of England and New York. Based on findings, it analyzes the related cases of Korea and suggests improving Korean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s. First of all, the civil jurisdiction of English courts depends on two exclusive regimes, residing respectively in the rules of national law and those provided by the Brussels regime. The Brussels I Regulation(recast) regulates proceedings instituted in England after 10 January 2015. Where the Brussels I Regulation(recast) is not applicable, the rules of English national law would be applicable. The American legal system includes both state courts and federal courts. State courts hear cases involving state law and federal laws. Federal courts may only hear cases where federal jurisdiction can be established. In the meantime, Korean courts are criticized for strictly applied ``reasonable relation`` requirement between the foreign court and the case. However, the Brussels I Regulation(recast) recognizes the jurisdiction clause in a few limited circumstances. Where there is a jurisdiction clause, English and New York courts would not recognize the full effect of the jurisdiction clause. Therefore, Korean courts`` stance is not inconsistent because they have required the compliance of the public policy of the forum as well as the reasonable connection between the case and the chosen foreign court. In the future, where Korea joins multilateral treaties such as the Hague Convention on Choice of Courts Agreement, there would be not only mutual trust but also congruent recognition and enforcement among contracting states. In addition, where Korean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s harmonize with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s, it would ensure the foreseeability of parti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 KCI등재

        국제가족법에 있어서의 당사자자치 원칙의 수용

        곽민희(Gwak, Minhui) 한국국제사법학회 2017 國際私法硏究 Vol.23 No.2

        가족법질서에 있어서는 개인에 의한 임의의 합의를 폭넓게 인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헌법상 약자보호의 원리나 제도보장의 이유로 부정적인 사고방식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어, 종래 당사자자치가 국제가족법질서의 원칙으로 수용되는 것에는 부정적인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부부재산제 또는 사자의 재산의 관리와 같은 재산 혹은 순수하게 금전적인 문제에 있어서조차, 입법자 및 법원은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만 당사자에 대해서 준거법을 선택하는 것을 인정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당사자자치와 관련된 범위에서, 재산법과 가족법분야의 엄격한 구별이라는 사고는 변화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전에 비해, 국제가족법 전 분야에 걸쳐 원칙적으로 당사자자치의 도입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들이 제시되고 있고 입법례 및 실무상으로도 수용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가족법 분야에서 당사자자치의 수용 또는 확대 현상의 근저에 존재하는 당사자자치의 인정 근거에 대해서 고찰하고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첫째, 당사자자치가 폭넓게 인정되고 있는 계약상의 인정 근거에 관해 간단히 검토한다. 둘째, 국제가족법, 특히 국제이혼과 관련해서 이러한 계약상의 인정근거가 타당할 것인지에 대해서 그 상위를 비교 · 검토한다. 셋째, 현행 우리 입법상 당사자자치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및 그 근거에 대해서 고찰한다. 이 경우, 우리법과 비교하여 외국의 입법례를 각 쟁점별로 비교 · 검토한다. 예컨대, 부부재산제에 대해서는 이미 제한적 당사자자치의 입장이 여러 나라의 국제사법에 도입되어 있고, 또한 상속에 대해서도 헤이그상속준거법조약에 의해서 선도되고, 주관적 연결을 본칙으로 하면서, 또한 객관적 연결을 보칙으로 하는 규칙이 여러 나라의 국내입법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 이외에도 네덜란드법이 이혼에 대해서 또한 스페인법이 이혼의 일반적 효력에 대해서 명문을 두고 제한적 당사자 자치의 입장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독일 국제사법 규정에서도 당사자자치의 새로운 경향을 엿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에 대해서 충분히 검토한다. 넷째, 최근 국제가족법 분야의 입법을 주도적으로 선도하고 있는 것은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각 협약이나 유럽연합의 다양한 형식의 제정입법들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관련 헤이그 협약 및 유럽연합의 로마III제안, 이혼 및 법적 별거에 관한 준거법의 영역에 있어서의 선행통합의 실시에 관한 이사회규칙(로마III규칙) 등은 주목 할 연구대상이다. 이는 국제가족법영역에 있어서의 당사자자치의 원칙의 의의와 적용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살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해서 독립된 장으로 상세한 연구를 행한다. 마지막으로, 당사자자치의 국제가족법에의 수용근거와 비교법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법에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Unlike the transaction regulations in traditional family law order, there is a tendency to look negatively on accepting wide personal settlements in order to follow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the weak or system of local autonomy within the Constitution. Therefore, in the area of family law order,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which is part of the rule for deciding the governing law is not being actively followed even within the scope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re is a positive change in which the Law of Property and the Law of Family Law is being strictly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hich such changes, there has been introduction of statutory underpinning in order to justify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through the specialized area of the International Family Law and a tendency to embrace such principle into legislation and execution.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apply such principle either explicitly or impliedly into interpretation in areas which has a strong property personality within our Private International Law such as in the matrimonial property system and inheritance. Such contents are regulated in Article 38, Article 49 Section 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search the expansion of acceptance of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within the International Family Law.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first discusses the grounds of the wide acknowledgment of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in contractual context. Secondly, I will compare and review the justification of the grounds of contractual acknowledgement of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within the International Family Law, especially the area of international divorce compared to Contract Law. Thirdly, I will examine the current legislative status of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in our current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comparison between our current legislations with foreign legislation cases and their state of debates. For example, I will examine the different attitude of countries towards the matrimonial property system, inheritance and divorce where the restricted principle of party autonomy has already been widely embraced within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Further, I will examine how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is being embraced in each treaties from the 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and variety of forms of international agreements in European Union. Based upon such examinations, I will conclude by deducting the implication in our Law and think about the direction of our future legislations.

      • KCI등재

        친권 관계 사건의 국제재판관할 ―2019년 브뤼셀 II ter 규칙에 대한 소개를 중심으로―

        현소혜 한국가족법학회 2021 가족법연구 Vol.35 No.2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s to adjudicate in parental responsibility matters in Korea, although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parties, for the welfare of their children and for the prevention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The draft amendment to the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which is currently pending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introduces a new provision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in parental responsibility matters, however it is not so satisfactory for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First, it can expose children to custody disputes repeatedly because the provision is designed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litigation concurrence. Second, it can make the appropriate hearing for children difficult because the courts having international jurisdiction over marital matters can also proceed with the related custody cases. In contrast, the EU Council Regulation 2019/1111 on Jurisdicti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Decisions in Matrimonial Matters and the Matters of Parental Responsibility and on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amended in 2019(Brussels II ter Regulation) repudiates the connection of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 for marital matters and for parental responsibility matters. This article is written for the introduction to the main amendments of Brussels II ter Regulation in this area and for the suggestion of the new international jurisdiction rules to adjudicate in parental responsibility matters in the viewpoint for the best interest of children.

      • KCI등재

        연구 논문(硏究 論文) : 로테르담 규칙상 재판관할합의와 소송의 이송에 관한 해석론적 비교 고찰

        양석완 ( Seok Wan Yang ) 한국해법학회 2012 韓國海法學會誌 Vol.34 No.1

        대운송인과 송하인 사이에서는 당사자의 대등한 교섭력(bargaining power)이 바탕이 된 경우에만 전속적 합의관할을 인정할 것인지, 아니면 여전히 운송인이 일방적으로 작성하여 송하인 등 하주 측에 강요하는 부합계약으로 놓아 둘 것인지에 대한 다툼이 최근의 해상운송 관련 국제협약인 로테르담 규칙을 계기로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이에 관한 논의는 관할합의 유형에 대한 해석에서부터 비롯하여 전속적 관할합의의 유효요건과 관할합의의 방식, 그리고 합의의 효력이 특별한 승계절차 또는 개별적인 합의 없이 당연히 수하인 기타 제3자에게 미친다고 할 것인지, 아니면 특별한 요건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어뢰소송(torpedo litigation) 내지 선제타격형 소송은 특허침해소송의 잠재적 피고가 그 소송에 대하여 소송지연 전략이나 자기에게 유리한 판결을 선점하기 위해 악용되는 소송에 주어진 별칭이다. 이것이 크게 문제된 것은 유럽연합에서 채무자가 신속한 절차를 진행할 수 없는 이탈리아 또는 벨기에와 같은 국가의 법원에서 채권자에 앞서 소극적 확인의 소를 제기하는 경우의 폐해 때문이다. 이러한 어뢰소송 내지 선제타격형 소송은 다른 유형의 소송에서도 소송지연 또는 유리한 판결선점 전략으로 악용되므로 이에 대한 소송상 처리는 실무상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여기서는 국제재판관할과 관련된 위와 같은 해석론적 문제를 EU국가에서 통용되고 있는 브뤼셀Ⅰ규정과 국제사회에서 통용될 것으로 보이는 2005년 헤이그재판관할합의협약(Convention on Choice of Court Agreements) 등을 참작하고 로테르담 규칙을 바탕으로 하여 비교법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Freedom to choose which tribunal is to have jurisdiction to determine substantive disputes, is upheld in most commercial contracts. Neither the Hague nor the Hague-Visby Rules contain any provisions on jurisdiction in contrast to EC Jurisdiction Regulation, the 2005 Hague Convention on Choice of Court Agreements and the Rotterdam Rules. In the end, the Rotterdam Rules has provisions to regulate the exclusive jurisdiction agreement. In the Rotterdam Rules, The carrier may commence proceedings for a declaration of non-Liability where there is an exclusive jurisdiction clause in the contracting state chosen by the parties either under article 67 or 72, or the maritime performing party may do so where there is an exclusive jurisdiction agreement after the dispute arises under article 72. Further Article 67 recognizes it only in volume contract. The torpedo litigation was first identified by Mario Franzosi in the context of patent litigation. He noted that in several European countries it is possible to start an action for declaration of non-infringement of a patent, and that thus, a party fearing an action for patent infringement could pre-emptively commence proceedings in a jurisdiction other than that which the patent holder intended to seise. This loophole has since been exploited in the context of European litigation in areas other than patent litigation. In the Rotterdam Rules, article 71(2) seeks to prevent the carrier or maritime performing party from pursuing proceedings for a declaration of non-Liability or any other action that would deprive a person suing the carrier or the maritime performing party of its right to select the forum, pursuing to article 66 or 68 respectively. Thus if the defendant in that action so requests, the carrier or the maritime performing party must withdraw their action once the defendant has chosen a court designated pursuant to article 66 or 68 where the action may be recommenced.

      • KCI등재

        헤이그아동탈취법상 아동반환재판과 본안재판의 관계

        현소혜(Hyun, Sohye) 한국비교사법학회 2021 비교사법 Vol.28 No.3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 이행에 관한 법률」은 국제적 아동탈취 사건에서 아동의 신속한 반환을 확보하기 위해 아동 반환청구 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아동 반환사건과 친권ㆍ양육권에 관한 본안사건의 관계에 대해서는 매우 간략한 조문만을 두고 있을 뿐이어서 양자간의 관계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본 논문은 브뤼셀 II ter 규칙으로부터 시사를 받아 우리 법상 아동 반환사건과 본안사건 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첫째, 아동 반환사건의 국제재판관할은 아동 소재지국에 있으나, 본안사건의 국제재판관할은 아동의 종전 상거소국에 있음이 원칙이다. 국제적 아동탈취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둘째, ① 아동을 보호하는 자가 아동의 이동 또는 유치 당시에 이동 또는 유치에 동의하거나 추인한 경우, ② 탈취당한 부모가 아동의 소재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부터 1년이 지나도록 헤이그아동탈취법 제12조에 따른 아동 반환청구를 하지 않았거나, 반환청구를 취하한 후 새로운 반환청구를 하지 않았고, 아동이 이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경우, ③ 탈취당한 부모가 종전 상거소국에서 행해진 본안재판에서 패소하였고, 아동이 소재지국에 이미 1년 이상 거주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경우 및 ④ 아동 반환청구가 헤이그아동탈취법 제12조 제4항 제3호 또는 제4호 외의 사유를 이유로 기각된 경우로서 아동이 소재지국에 이미 1년 이상 거주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경우에는 아동 소재지국에서 본안사건에 대한 국제재판관할을 갖는다. 그것이 아동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종전 상거소국에 계속 국제재판관할을 인정할만한 법적 이익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종전 상거소국에서 선행 본안재판이 있었더라도 국제재판관할 있는 소재지국에서 후행 본안재판이 확정되었다면 선행 본안재판은 더 이상 소재지국에서 승인 내지 집행될 수 없다. 후행 본안재판이 현재 시점에서 아동 복리 실현에 더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넷째, 소재지국에서 아동 반환청구가 기각된 후 국제재판관할 있는 종전 상거소국에서 후행 본안재판이 확정되었다면 소재지국은 그 후행 본안재판의 승인 내지 집행을 최대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종전 상거소국의 후행 본안재판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아동 반환사건의 본안재판화를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The Ac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agu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has introduced proceedings for the return of children wrongfully removed or retained to secure the prompt return in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cases. However, there is only one brief artic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eding for the return of children and the proceedings in parental responsibility matter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grasp its comprehensive structure. Based on the ideas from the Brussels II ter Regulation, this thesis proposes to construct the whole litig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disputes as follows. First, the State has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to adjudicate in parental matters in which the child was habitually resident immediately before the removal or retention, which contributes to preventing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Second, the State in which the child currently resides has international jurisdiction to adjudicate in parental matters for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f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is met: (i) the person who has the parental responsibility over the child has acquiesced in the removal or retention, (ii) the child has resided in that State for a period at least one year after the person who has the parental responsibility over the child has had or should have had knowledge of the whereabouts of the child and the child is settled in his or her new environment and no application for return had been lodged within that period, (iii) the child has resided in that State for a period at least one year since the wrongful removal or retention and is settled in his or her new environment and a decision on rights of custody that does not entail the return of the child has been given by the courts of the State where the the child was habitually resident immediately before the removal or retention, (iv) the child has resided in that State for a period at least one year since the wrongful removal or retention and is settled in his or her new environment and an application for return lodged by the person who has the parental responsibility over the child was refused on the grounds other than Article 12 (4) point (c) or (d). Third, the former decision on parental responsibility matters of the State where the child was habitually resident immediately before the removal or retention cannot be approved or executed in the State where the child currently resides if that State overruled the former decision, because the latter decision is more fit to the welfare of the child at present. Fourth, the decision on parental responsibility matters of the State where the child was habitually resident immediately before the removal or retention should be approved and executed as much as possible if that decision is made after the petition for the return of the child is refused in the State where the child currently resides,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hild return cases from the misuse as a substitute of the parental responsibility cases.

      • KCI등재

        중재 합의에 관한 영국법상 몇 가지 쟁점

        이안의 ( Ahn-eui Lee ) 한국해법학회 2018 韓國海法學會誌 Vol.40 No.1

        중재 합의는 어떠한 절차로 분쟁을 해결할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중재와 소송 사이의 경계를 정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적법하고 유효한 중재합의’는 중재 판정부의 관할권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뿐만 아니라, 중재 절차에 위반하여 소송이 제기될 경우 이는 법원 관할권의 배제 사유가 되기도 한다. 중재 합의를 둘러싸고, 어떤 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유효성 내지 적법성을 판단할 것인지, 당해 분쟁도 당사자가 중재에 회부 하기로 합의한 분쟁의 범위에 포함 되는지, 당사자 일방이 중재 합의를 위반하여 소송을 제기한 경우 타방 당사자는 중재 합의를 보호하기 위하여 어떠한 구제 방법을 취할 수 있는지 등의 법적 쟁점이 제기된다. 영국에서는 계약서상 준거법과 중재 합의상 중재지가 서로 다른 국가의 것일 경우 중재 합의의 준거법은 어떠한 법을 따라야 하는지, 당사자 사이의 중재 합의의 범위를 어떠한 분쟁까지 확장할 수 있는지의 논의가 있다. 중재 합의를 위반한 소송 제기에 대하여 중재합의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국의 1996년 중재법은 소송중지결정(Stay Order) 및 소송중지명령(Anti-suit Injunction)의 제도를 두고 있다. 하지만, 영국 법원의 소송중지명령은 유럽연합 회원국 사이에 적용되는 회원국 판결의 상호 승인에 관한 브뤼셀 규칙의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하나의 예시 사례를 중심으로 위 각 쟁점에 대한 영국에서의 논의를 소개하고자 한다. An arbitration agreement is a critical issue to decide who has jurisdiction over a dispute between an arbitral tribunal or a court. An arbitral tribunal may be able to enjoy jurisdiction on the basis of a valid, effective and operative agreement which refers the dispute to the tribunal. By contrast, when an action is brought, in spite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before a court, the court’s jurisdiction would depend on the invalidity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Surrounding the arbitration agreement, such legal issues are controversial as which law is applicable to the agreement per se, whether the agreement covers that dispute, and how to protect the arbitration agreement when one party to the agreement commences a legal proceeding before a court. While Arbitration Act 1996 provides the court’s stay order and the anti-suit injunction for the protection, the English court’s anti-suit injunction against the court in other member state of European Union might be limited according to the Brussel Regulation as to the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the judgment between the member states of the EU. In this article, a scenario will be provided to introduce the law of England and Wales concerning the legal issues above with regard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