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대학생의 코로나19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불안통제감의 조절효과

        박영순(Park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불안감과 건강불안감의 코로나19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불안통제감이 그 영향을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인식, 불안통제감,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동의한 224명의 설문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대학생의 코로나19불안은 불안통제감과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진로준비행동과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코로나19불안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불안감과 건강불안감은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불안통제감이 코로나19인식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갖는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불안통제감의 고저에 따라 코로나19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의미한다. 결론 일반적 불안과는 달리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불안감 및 건강불안감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은 불안통제감의 수준에 따라 유의미하게 달랐다. 이러한 결과는 재난상황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불안이 야기되는 경우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은 그들의 불안통제감 증진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social anxiety and health anxie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check whether their perceived anxiety control moderates the effect. Methods A questionnaire on COVID-19 awareness, anxiety contro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ducted online for college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224 survey data agreed to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this data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COVID-19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control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COVID-19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anxiety and health anxiety had an effect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ext, the moderating effect of anxiety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ware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influence of COVID-19 percep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ffers depending on the high and low sense of anxiety control. Conclusions Unlike general anxiety, social anxiety and health anxiety caused by COVID-19 strengthen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anxiety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their anxiety control when anxiety is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disaster situations.

      • KCI등재

        현대인의 마음 문제로서 불안의 진단과 치유에 관한 소고(小考)

        최정화(Choi, Jeong-Hwa)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4 No.-

        현대인들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심리이지만, 상황이 심각해지면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개인의 삶을 파괴시킬 수 있는 마음의 문제가 바로 불안이다. 불안은 우리 시대가 직면한 마음의 문제 중 가장 흔한 것이지만, 동시에 가장 심각한 종류의 것이다. 본고는 불안을 진단하고 치유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선행 단계로서 불안에 대해서 철학적, 심리학적 그리고 사회학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우선, 불안의 일반적 정의와 더불어 철학적, 심리적인 설명을 통해서 불안의 인식적이고 심리적 근거를 알아본다. 인간이 가지는 다양한 불안의 근원적인 형태를 네 종류로 설명한 심리분석가 프리츠 리만의 유형화를 통해서 인간의 보편적인 성향과 불안의 유형을 탐구한다. 그 다음으로 현대인들이 겪는 사회적인 불안에 대해서 진단한 후, 특히 한국인들의 특징적인 불안감을 그 원인과 현상에 초점을 두어서 접근한다. 불안을 병리학적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서, 불안이라는 심리가 각 개인에게 주는 메시지를 독해하면서 불안에 새롭게 다가갈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그리하여 불안을 통해서 인간이 존재론적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작은 자아의 편협함을 탈피하여 타인과 소통할 것이 심리 치유적으로 권장된다. 같은 맥락에서, 고대의 현인 세네카의 행복 담론에서 마음의 평정과 불안을 다스리는 법을 배운다. 평화롭게 평정심을 유지하는 마음의 상태를 가지면서, 동시에 우리 내면에 도사린 불안으로부터 나와서 전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열린시각으로 우리 자신을 세계에 개방할 것이 권유된다. Angst is a universal psychological problem among modern human beings, but while it is so common, in extreme cases it can have a truly devastating effect. And although it is such a widely distributed problem in our times, it is one which is especially difficult to deal with.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how angst can be understood and by which means it can be remedied. Approached from a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angst is first to be defined and understood and second it is to be offered a possible solution. First, the cognitive and psychic basis of angst is being introduced as an object of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Then the four basic forms of fear (Grundformen der Angst) will be analysed by reference to the work of the psychoanalyst Fritz Riemann, whereby the most fundamental types of human character are being brought into connection with basic types of angst. This is being followed by an attempt to diagnose what the typical social anxiety of modern humanity actually consists of. Against this background the specific anxiety in modern Korean society will be interpreted by looking at the typical character qualities that can be found among Koreans. I will go beyond a merely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angst, trying to comprehend what anxiety may give or teach us or, in other words, what the mind wants to tell us through feelings of anxiety. I assume that humans can reach a higher level of self-awareness by understanding their angst and that we can go beyond the confines of our own narrow self, this being a healing method in itself. In this same context the roman philosopher Seneca’s discourse on anxiety and tranquilitas will be introduced. According to him we should free ourselves from our shackled state bound by fear and we should open ourselves to the world. While maintaining our inner balance and tranquility we should at the same time break free from what keeps us away from relating freely to our environment.

      • KCI등재

        범불안장애극복을 위한 ‘상반행동강화’의 기독교상담적 적용

        전요섭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이 연구는 범불안장애를 완화, 감소 및 극복을 위해 기독교상담적인 입장에서 ‘상반행동강화’의 적용을 모색한 것이다. 불안은 현대인들이 겪는 가장 심각한 심리정서적 문제이다. 불안상태가 질병화된 것이 범불안장애인데 이는 기본적으로 불안의 정의와 개념을 기초로 하여, 그것이 (1) 일상화되고, (2) 과도해지고, (3) 미래적 또는 재앙화적이고, (4) 통제가 안 되고, (5) 신체화 증상의 발현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범불안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기독교상담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이 연구는 상반행동원리의 응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상반행동원리는 행동주의심리학 또는 인지심리학에서 행동수정 기법의 하나로 다루어지는 내용이지만 기독교상담에서 응용 및 적용 가능성 있으며, 불안증상을 완화, 감소 및 극복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상반행동원리를 기독교상담적으로 응용 및 적용함에 있어서 성경의 원리를 모색해 볼 때 성경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범불안장애의 이해(범불안장애의 정의와 개념, 범불안장애의 원인 분석, 범불안장애의 폐해), 범불안장애극복을 위한 행동주의 접근방법(상반행동강화 방법, 상반행동강화로서 이완 및 심상), 상반행동강화를 통한 범불안장애 극복방안 및 기독교상담적 적용 가능성(상반행동강화의 성경적 기초, 기독교상담적 상반행동강화)을 다루었다. This is to clarify the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for overcom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Christian counseling. This study sought to apply 'incompatible reinforcement in Christian counseling for palliative, reducing and coping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xiety is the most ser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of modern people. Disease state of anxiety i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basically based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nxiety. Additionally, characteristic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the (1) generalized, (2) excessive, (3) futuristic or catastrophical, (4) uncontrolled, and (5) manifestation of somatization symptoms.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to Christian counseling for those suffering from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principle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is one of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in behavioral psychology or cognitive psychology. There is, however,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Christian counseling. It can be an effective way to alleviate, reduce and overcome anxiety symptoms in Christian counseling. The principle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is a technique to be supported of the Bible. This research dealt with general understanding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definitions and concepts, cause analysis, and damage of anxiety), behavioral approach to cope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method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relaxation and imagery as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overcoming anxiety disorders through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and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Christian counseling(biblical basis of incompatible behavior reinforcement)

      • KCI등재

        불안(신경증)에 관한 치유상담적 고찰 - 정신의학 및 정신분석적 관점 -

        안석,권정아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오늘날 한국인 가운데 강박증과 같은 불안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거기에는 그리스도인도 예외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정신적 삶속에서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는 공황장애, 공황장애의 과거력이 없는 광장공포증, 특정 공포증, 사회공포증, 강박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그리고 물질로 유발된 불안장애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불안한 자들에 대한 기독교적 돌봄으로서, 제2장에서는 불안에 대한 정신의학적 및 정신분석적 임상의 함의를 살펴볼 것이다. 이어지는 제3장에서는 불안에 대한 성서적․신학적 이해를 살펴볼 것이다. 그 후에 제4장에서는 불안한 자들을 위한 기독교 치유상담적 접근과 실제를 살펴 볼 것이다. 불안에 대한 정신의학·정신분석적 통찰과 성서·신학적 이해는 불안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기독교 치유상담의 이론적 및 임상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obsessions such as, in particular, anxiety neurosis. And there is no exception for Christians in this matter. Anxiety disorders usually reveal in human mental life in the forms of panic disorder, agoraphobia with history of panic disorder, specific phobia, social phobia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ute stress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xiety disorder due to a general medical condition, and substance-induced anxiety disorder. In this paper, the author scrutinizes anxiety neurosis from psychiatric and psychoanalytic perspectives, and theologically reflects on these perspectives to suggest its possible applications in Christian healing counseling for the care of souls. In the first section, the author explores clinical implications of psychiatry and psychoanalysis regarding anxiety neurosis. Then the author in the second section analyzes bibl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anxiety. In the final section, the author considers the approach of Christian healing counseling and its reality for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anxiety neurosis. In overall, psychoanalytical discernment and biblical/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anxiety may provide theories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and their implications in order to help Christians who are struggling with anxiety these days.

      • KCI등재

        사회불안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

        노승혜,조현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2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depression depends on the situation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strategy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50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Gyeongbuk area and their answers to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AMOS 22.0.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tress tolerance mediated not only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avoidance coping but also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voidance coping. Also, avoidance coping significantly effect on the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r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을 수행 불안과 상호작용 불안으로 세분화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수행 불안, 상호작용 불안, 우울, 고통 감내력, 회피대처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 불안 및 상호작용 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행 불안, 상호작용 불안, 회피 대처 및 우울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고통 감내력은 나머지 측정변인들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고통 감내력은 수행 및 상호작용 불안과 회피대처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를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 불안은 우울에 대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의 실제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불안의 인식 구조 -하이데거의 불안 개념과 유식의 사분설을 중심으로-

        안희정 ( Hui Jeong A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이 글은 불안의 인식 구조를 하이데거의 불안(Angst) 개념과 유식의 사분설(四分說)을 통해 정립하고자 한다. 불안은 무화작용(das Nichten)으로 존재를 드러내는 현상적 토대이다. 이러한 근본기분은 세계 곁에서 머무르던 존재자를 세계 내에서 존재할 수 있도록 밝혀준다. 유식은 ‘대상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란 물음 하에 식의 전체적인 구조를 드러낸다. 그것은 집착과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유식 불교의 반성적 대답이다. 이러한 두 이론은, ‘존재론적’ 측면에서 전체 현상을 밝혀내기 위한 구조적인 분석이다. 본론에서는 단계, 과정, 토대로 나누어 불안의 인식 구조를 살펴본다. 첫째, 불안을 지각하는 단계로 유식의 사분설 인식작용을 도입해본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이라는 기분(상분相分)→불안하다고 생각하는 나(견분見分)→불안의 이유를 묻는 나(자증분自證分)→질문하는 나를 지각하는 나(존재자에게 불안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는 존재의 영역을 자증분에게 가리킨다), (증자증분證自證分)> 둘째, 불안한 기분을 경험하는 비본래적인 존재자의 양상을 살펴보고 무화작용에서 드러나는 일상의 무의미성과 망상을 알아본다. 이러한 무의미와 망상을 통해 불안의 인식 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비본래적인 과정을 밝혀본다. 셋째, 인식 방향을 바꾸어 대상을 지각하는 인식 작용이 아닌 심층의식에서 불안을 형성해가는 작용을 살펴본다.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and establish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gst through Heidegger`s concept of angst and the Buddhist Vijnapti-matra concept of Four Aspects of Theory of Cognition. Angst is a fundamental phenomenon that arises from nihilism (das Nichten). This fundamental feeling reveals to the being that he exists not only next to but also within the world in which he lives. Buddhism manifests the overall structure through raising questions such as “Is the subject perceived objectively?” This is the Buddhist Vijnapti-matra`s reflection on its perception of obsession and pain. In an ontological aspect, these two theories are the structural analysis that attempt to reveal the overall phenomenon. First of all, the Buddhist Vijnapti-matra concept of Four Aspects of Theory of Cognition is applied as the initial stage in which angst is perceived by the being. The conclusion drawn is as follows: the feeling of angst (mental phenomena) a perceiving oneself to be anxious (discrimina- ting such phenomena)a questioning why one is feeling angst (the power that discriminates) a perceiving oneself that is questioning the why (the proof or assurance of that power). Second, the paper examines the condition of the inauthentic being that experiences angst and investigates the meaninglessness of the routines of everyday life that emerges from nihilism. Through such exploration of futile delusions, the paper strives to reveal the inauthentic process that occurs within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of angst. Third, the paper examines th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ngst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method of perception from cognition to in-depth awareness.

      • KCI등재후보

        불안에 관한 이해와 치유 및 성경적 극복 방안

        조형운(HyoungWoon Cho)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2 동서정신과학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으로 인해 여러 가지 장애와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불안을 탐색하고, 불안 치유와 극복을위한 방법과 성경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불안의 치유과정과 성경적인 이해로 신앙적 성숙을 이루고자 한다. 특히 성경의 언약과 구원 역사에 관한 고찰을 통해 불안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신앙적 성숙을 적용시키기 위한 성경적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하여 불안에 대한 일반적, 철학적, 심리학적인 개념과 신학적 배경과 관점을 논술하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불안의 문제를 어떻게 치유하고 극복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 더해 불안의 치유와 극복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성경적 근거를 통해 신앙적인 성숙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불안에 관한 생물학적 접근 방법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활동에 내재해 있는 신경작용의 과정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철학적으로는 불안을 인간이 실존적 존재라는 사실을 통하여 이해하려고 한다.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불안은 인간이 자신을 유한한 존재로 인식하는 자기앎이고, 유한성처럼 존재론적인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하이데거는 인간에 관한 존재의 물음과 관련지어서 불안의 현상을 분석하였다. 그는 인간이 죽음을 향해 서 있는 자신의 존재를 불안을 통해서 인지하게 되기 때문에, 불안을 통하여 가장 자기다운 가능성을 찾아내게 된다고 하였다. 불안에 관한 심리학적 이해를 살펴보면, 프로이트는 불안은 자아에 의한 위험 신호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았다. 호나이는 불안에 관한 문화적 이해와 함께 기본적 불안과 현실적 불안을 구분하였다. 프랭클은불안을 존재론적으로 보았다. 그는 사람들이 인간 본연의 유한성에 기인한 불안을 극복하고 새로운 존재가 되기 위한 시도를도모한다고 하였다. 메이는 불안은 인간 존재 자체에 뿌리를 두는 존재론적 성격을 갖고 있다는 말로 불안의 존재론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얄롬은 실존적인 불안의 내용을 죽음과 자유 그리고 소외와 무의미로 설명하였다. 불안에 관한 신학적인 관점으로, 틸리히는 불안을 인간이 자기 자신에게 있을 수 있는 비존재를 인식하는 상태라고 하였다. 그는 불안은 살아있는 존재라면 누구나 느끼는 비존재의 위협일 뿐만 아니라, 유한성을 가진 인간으로서 존재의 유한함에 대한 자기 자각이라고 하였다. 니버는 불안을 자유의지에 영원히 수반하게 되는 창조성의 근원이자 죄로의 유혹이라고 하였다. 성경은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와 인간이 경험하는 것들에 대하여 실존적으로나 존재론적 혹은 구조적인 현상으로 보지 않고 하나님과의 관계로 설명한다. 대표적인 성경으로 하박국서는 인간이 최대로 겪게 되는 절망과 불안의 상황에서도 기쁨으로 노래할 수 있음을기록하고 있다. 또한,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부정적 정서, 특히 불안에 관해 궁극적으로 극복할 수 있음을 보이는다수의 기록이 있다. 사례에서 내담자는 어머니의 불안을 내재화 하였고, 아버지의 반복적인 사업 실패는 그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신앙적으로도 하나님이 실제로 도움을 줄 것 같지 않은 느낌을 갖게 되었다. 내담자의 치료를 위해 먼저 충분히 공감하고, 그 다음에 내담자의 강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치료의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성경의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시켰고,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성경은 인간 존재와 인간이 경험하는 것들에 대하여 실존적으로나 존재론적 혹은 구조적인 현상으로 보지 않고 하나님과 관계로 설명한다. 본 연구를 통해 성경에 근거하여 내담자들이단지 심리적으로 치료된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신앙적‧성경적으로 성숙을 이루는데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nxiety of people who suffer from various difficulties and mental disorders and to present biblical methods to heal and cope with anxiety. In so doing, it intends to help people’s spiritual growth and maturity. This study aims at renewing the understanding of anxiety from a biblical perspective by investigating the concepts of covenant and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presenting a biblical understanding of anxiety for treating people with anxiet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anxiety and investigates how to overcome anxiety illustrated through case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not to remain in a state of healing and overcoming anxiety, but to suggest ways for religious maturity through biblical grounds. From a b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ural processes inherent in human behavior and mental activities.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examines human beings as existential beings. The philosopher Kierkegaard regarded anxiety as a self-knowledge in which humans perceive themselves as finite beings which is ontological. Heidegger also analyzed the phenomenon of anxiet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existence about human beings. He claimed that as human beings perceive their existence standing toward death through anxiety, they discover their potential through anxiety.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s, Freud viewed anxiety as a signal for danger by the ego, and Horney distinguished basic anxiety from realistic anxiety based on a cultural understanding of anxiety. Frankl viewed anxiety as ontological and argued that people try to overcome the anxiety caused by human finiteness and become new beings. May explained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xiety by explaining that anxiety has an ontological character that is rooted in human existence. Yalom has explained the contents of anxiety in terms of death, freedom, alienation, and meaninglessness.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illich understood anxiety as a state of recognition of human beings as a possibility of nonexistence. He said that anxiety is not only a threat of the possibility of nonexistence but also self-awareness of the finiteness as a human being. Niebuhr said that anxiety was the source of creativity and temptation to sin. In contrast, the Holy Scripture explains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ir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rather than as existential, ontological, or structural phenomena. Especially in Habakkuk, it is written that humans can still sing with joy even in extremen situatons of despair and aneixty. In addition, numerous biblical texts testify that humans can ultimately overcome various negative emotions, especially anxiety. In the vignette of this study, a client internalized his mother's anxiety and his father's repeated business failures added to anxiety of the client. The client felt that even God would not help him. For the treatment of the client, the therapist first fully empathized with him, and then confirmed the client’s strength. The client internalized biblical messages. He was able to live with a new perspective. The Bible explains human existence and experie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not seeing it as an existential, ontological, or structural phenomen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clients will not remain psychologically treated, but will be used as data to help them achieve religious and biblical maturity based on the Bible.

      • KCI등재

        불안과 연극성이 표현된 회화 연구

        정미정(Jung, Mi-Jung),조기주(Cho, Khee-Joo)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8 No.8

        본 연구는 불안이 일상의 구조와 연관되어 있음으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불안에 대한 문제의식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불안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막연한 망상, 허상과 같은 공포증이 아니라 일상의 현실로부터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의 상황은 위기에 빠져있는 연극하는 자아를 작품을 통해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는 하이데거가 일상의 평균성 안에서 불안을 감지하는 것이 곧, 본래적 자기를 찾을 수 있는 최적의 상태-빠져있음의 상황으로 언급한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또한 사르트르의 관점에서 불안이나 부끄러움은 타자의 시선속에서 발견되는데, 나의 세계를 훔쳐가는 존재인 타자의 등장과 함께 불안을 감지하며, 이것이 나를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의 성격을 토대로 회화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는지와 불안과 연극성의 상관성을 연구했다. 이와 같은 특성과 함께 본 연구는 적극적인 현실 개입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의 존재를 잃지 않으면서 적극적으로 현실 안에 개입하거나 현실을 생성시키고 있는 작가 중 호크니의 작품세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데이비드 호크니는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한 불안을 작품으로 분석하듯이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과 회화는 연극이라 언급하며 현실에 연출을 더하는 재현 방식과 함께 회화를 연극의 무대처럼 인식하는 구조를 제공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안, 연극성과 호크니의 작품세계 연구는 현실의 결핍이나 불안이 작가에게 현실을 분석하고자하는 태도를 부여하며, 이는 이미지의 서사성이나 구상성으로 표현된다는 관련성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은 타자와 공존하는 일상에서 존재기분으로서 불안이 어떠한 예술적 표현방식으로 드러나는지 보여주었다. 이는 기분이나 감정에 대한 표현 방식에 관해 새로운 지향점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존재론적 불안, 즉 감정표현의 더 다양한 표현 방식의 연구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arts from a hypothesis that anxiety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daily life. I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issue related to anxiety is not from fear caused by delusional thoughts or illusion that would not happen, but from daily life and the relation with others. Such state of anxiety could go back to normal through an artwork as it could be the momentum. This goes hand in hand with Heidegger"s argument that sensing anxiety in daily life is the perfect condition to a search for one"s self. Furthermore, in Sartre"s view, anxiety and shame are discovered through others" eyes; the very presence of others, who takes away one"s own world, leads to the state of anxiety. This gives one a chance to reflect oneself and provides momentum to go back to the non-anxiety state.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of anxiety, this research looks at how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histrionics is expressed in paintings. In relation to the matter of intervention of reality, David Hockney"s paintings are chosen for the research for they actively involve in reality or create one without losing identity. He illustrates reality as if he is analyzing his anxiety related to his identity. His comments that paintings are like theater are well depicted in his pieces where he adds dramatic aspects along with structure as if the frame of the painting is the performing stage. The study on anxiety and histrionics in Hockney"s paintings enables to find a connection between deficiency and anxiety in reality; that anxiety inspired the painter to analyze the reality, which in turn made him express images in narrativity and concreteness. The study also shows that how anxiety as one of the emotions of daily life could be expressed artistically. Overall, the study suggests the new directional point in terms of expressing emotions or feelings in the perspective of art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diversified expressive methods of emotions, such as existential anxiety.

      • KCI등재

        불안의 실존론적 구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

        권순홍(Kwon, Soon-Ho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8 No.4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의 제40절에서 불안이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함께 제시한다고 말한다. 불안이 주변 세계의 적소 전체성을 무너뜨림으로서 현존재를 개별화한다는 점에서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퇴락에서 벗어난 현존재에게 다시 불안이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은 불안의 개별화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불안의 실존론적 구성과 그 기능을 풀이하되, 불안이 본래성의 가능성에 더해서 비본래성의 가능성마저 현존재에게 제시하는 까닭을 아울러 밝히고자 한다. 그 까닭을 밝게 드러내기 위해서는 불안의 구조계기와 그 실존론적 기능을 살펴야 한다. 우선 불안은 그것 앞에서 그것 때문에 불안해한다. 요컨대 불안은 불안거리, 불안의 까닭 및 불안해함 등 세 가지 구조계기로 구성된다. 불안거리는 불안의 기분을 현존재에게 가능하게 하는 선천적 조건을 뜻한다. 바로 피투된 세계-내-존재의 현사실적 존재가 불안거리이다. 불안의 까닭은 홀로 개별화된 현존재의 본래적 존재가능의 가능성이다. 현존재에게 본래적 자기기투의 도약대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불안의 까닭이다. 불안해함은 현존재가 불안의 실존론적 유정성을 어떻게 실존적으로 경험하는가를 말한다. 현존재는 무시무시함이나 안절부절못함의 기분에서 불안의 유정성을 실존적으로 경험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불안이 무시무시한 기분으로써 현존재를 어서 본래적 자기기투의 도약대에 올라서도록 위협한다는 점이다. 불안의 위협에 순응할 때, 현존재는 본래성의 가능성으로 그 자신을 기투한다. 그러나 불안의 위협 앞에서 도피할 때, 현존재는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후퇴한다. 다름 아니라 현존재가 비본래성의 가능성에 봉착하는 것은 바로 무시무시함 앞에서, 곧 불안의 위협 앞에서 세인의 일상적 공공성으로 도피할 때이다. 불안이 본래성의 가능성에 더해서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마저 현존재에게 제시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한편 불안은 현존재의 근본 유정성답게 가장 폭넓고 가장 근원적인 개시성으로 활약한다. 요컨대 불안의 근본 유정성에서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두 가능성이 함께 개시된다는 말이다. 실로 불안의 개시성이 가장 폭넓은 것은 현존재의 실존을 그 두 가능성에서 개시하기 때문이다. 불안의 개시성이 가장 근원적인 것은 현존재를 고유한 자기로 개별화함으로써 그의 실존을 본래성의 가능성에서 개시하되, 피투된 본래적 세계-내-존재-가능으로 개시하기 때문이다. 피투성, 기투 및 퇴락성 사이의 구조 통일성에서 현존재의 존재를 염려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불안의 가장 폭넓은 근원전 개시성에서이다. The anxiety present the two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o There-being. It is natural that it h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to him by individualizing himself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context of Being-destined(Bewandtnis) within the familiar public world of the one(das Man). But it seems to be contrary to the individualization of anxiety that it presents even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o him. This treatise aims at analyzing the existential constitution and function of the anxiety, and elucidating the reason why even the inauthentic possibility can be disclosed in the disposedness(Befindlichkeit) of anxiety as well. It is necessary that the three structural moments of anxiety and their respective existential functions must be analyzed in detail. The anxiety is anxious for something as well as about something. The phenomenon of anxiety is composed of the three moments of the anxiety-about, the anxiety-for and being-anxious. The anxiety-about means a priori condition making the anxiety possible in There-being. It is nothing but the thrownness into There(Da) or an open world. The anxiety-for means the possibility of the authentic ability-to-be(Seinkonnen) of individualized There-being. It functions as a springboard of the authentic project(Entwurf) of individualized There-being. Being-anxious indicates how There-being undergoes the existential disposedness of anxiety in the existentiell moods of uncanniness and homelessnes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uncanny mood of anxiety threatens There-being so that he can throw himself onto the authentic ability-to-be. When he adapts himself to the threat of anxiety, he can throw himself on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But when he flees from its threat, he must retreat to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At last, when he flees from the threat of anxiety to the everday publicness of the one, he has to be faced with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he anxiety can present even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to There-being because it plays an active part as the broadest disclosedness(Erschlossenheit) in his existence. The broadest disclosedness of anxiety means the existential power to disclose There-being’s existence in both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he most original disclosedness of anxiety indicates that it discloses There-being’s existence only in his authentic thrownness and project. It is in the broadest, most original disclesedness of anxiety that There-being’s existence can be determined as the concern(Sorge) in the structural unity of its three moments called thrownness, project and falling respectively.

      • KCI등재

        사회불안의 이해와 치료

        박기환(Kee Hwan Par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사회불안은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현상으로, 다른 사람들의 평가를 의식하며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많은 연구들은 사회불안이 높을 때 주의 편향과 해석 편향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편향이 심해진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사회적 상황에서 과도하게 자신의 불안상태에 주의를 기울이고, 타인의 부정적 반응 단서를 과민하게 지각하며, 자신의 행동과 타인의 반응을 부정적으로 해석할 뿐만 아니라 그 상황에서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측면을 보지 못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불안 상황이 지나간 후에도 부정적으로 반추하는 사후처리과정 및 어떻게 하든 불안을 감추려고 하는 안전행동과 더불어 사회불안을 영속화시키는 주요 기제로 이해되고 있다. 진화심리학적으로 볼 때 사회불안은 타인과의 경쟁에서 느끼는 열등감과 낮은 자존감으로부터 나타나는 불안이자 복종행동이라고 여겨지며, 지배자가 아닌 종속자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정상적이고 적응적인 과정일 수 있지만, 특정 맥락에서 부적응적으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사회불안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지행동치료는 사회불안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해석을 교정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그러나 사회불안의 주요 특징으로서 부정적 자기개념과 낮은 자존감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편향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긍정적인 편향을 강화해주면서 좀 더 수용적이고 자비로운 눈으로 자신의 한 부분으로서의 사회불안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Social anxiety is a phenomenon experienced in social situations, and is characteriz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 people. Many studies consistently show that information processing biases, including attention bias and interpretation bias, increased when social anxiety was high. In other words, social anxiety is characterized by one overly attending to their anxiety symptoms, and perceiving the negative cues of others’ behaviors, as well as not only negatively interpreting their response and others’ responses but also ignoring neutral or positive aspects in social situations. These characteristics are known to be major mechanisms for perpetuating social anxiety, along with post-event processing and safety behaviors. In evolutionary psychology, social anxiety may be a form of competitive anxiety and submissive behavior from a lower social rank. Therefore, when one is in a subordinate position, these may be normal and adaptive behaviors that come to function maladaptively in certain contexts. Until now, cognitive behavior therapy is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treat social anxie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aims to correct the interpretations associated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owever, for treating negative self-concept and low self-esteem (core features of social anxiety), it is necessary to help socially anxious persons increase positive biases and accept their anxiety with a compassionate mind, in addition to decreasing negative bi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