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도 조직검사 후 발생하고 내시경 고무 결찰술로 악화된 식도 벽내혈종 1예

        양재남,임윤정,강지훈,강현우,이준규,이용석,최종순,이진호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2

        Esophageal intramural hematoma (EIH) is an uncommon clinical entity among the acute esophageal injuries, and EIH predominantly occurs in middle-aged women. The pathogenesis of EIH has not been clarified, yet this. Seems to occur within the submucosal layer of the esophagus after dissection of the mucosa. EIH may occur spontaneously or secondary to trauma. Patients usually complain of a sudden onset of severe retrosternal chest pain, hematemesis, back pain or dysphagia. Most EIHs show improvement through conservative management, including fasting and intravenous hydration, and this usually completely recovers within a period of 2∼3 weeks. We report here on a case that EIH occurred after endoscopic pinch biopsy and endoscopic band ligation and this EIH was exacerbated in a patient who was taking long-term aspirin medication. 식도 벽내혈종은 급성 식도 손상에서 드물게 발생하며 주로 중년 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식도 벽내혈종은 하부식도의 점막하층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덮고 있는 점막층은 유지된 채 광범위의 점막하층을 박리시킴으로써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발생원인으로는 자발성과 이차적 손상으로 나눌 수 있다. 흉골 후방 통증이 흔하며 허리 통증, 혈액 구토, 연하통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식도 벽내혈종은 대부분 금식, 수액 요법 등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며 2∼3주 안에 완전히 회복된다. 저자들은 aspirin을 장기간 복용한 환자에서 상부위장관내시경 조직검사 후 발생한 식도 벽내혈종의 조절 목적으로 시행한 내시경 고무 결찰술 후 벽내혈종의 악화를 경험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증례 : 대동맥 벽내혈종에서 발생한 국소 대동맥 박리증 치료를 위한 Stent-graft 삽입 1예

        이명준 ( Myung Zoon Yi ),안정민 ( Jung Min An ),한송이 ( Song Yi Han ),강덕현 ( Duk Hyun Kang ),윤현기 ( Hyun Gi Yun ),송재관 ( Jae Kwan Song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2

        Aortic intramural hematoma, a variant form of classic aortic dissection, has been accepted as an increasingly recognized and potentially fatal entity of acute aortic syndrome. Although favorable clinical course and resorption of hematoma has been reported with medical treatment, it can progress to development of typical aortic dissection in a localized aortic segment. The standard treatment option for this lesion has not been established. We report a case of a 50 year-old male who developed localized aortic dissection during medical treatment for distal aortic intramural hematoma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 stent-graft.(Korean J Med 71:203-207, 200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