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뮤니티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방법론 연구

        이호상(Lee, Ho Sa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범죄피해는 필연적으로 인간적 손상을 수반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범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대부분 범죄 발생 이후의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지출된다. 이러한 현상을 지양하여 최근 범죄 발생 자체를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범죄예방환경설계(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CPTED)는 범죄행위를 촉발시키는 취약한 공간 환경을 건축학과 범죄심리를 연관시킨 별도의 설계에 의해 적극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말한다. CPTED의 주요 관점은 지역주민들의 범죄피해에 대한 심리적 공포심 감소와 범죄예방 활동에 자발적 참여 유도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시의 2012 범죄예방디자인프로젝트는 재래식 주거환경을 대상으로 처음 시도되었다. 뉴타운 지역 등 대규모 재개발 지역이 아닌 기존 지역에 도입한 첫 사례이다. 대상지역인 마포구 염리동과 공진중학교 사례에서 CPTED는 환경의 물리적 조성 외에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커뮤니티디자인 도입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강화시켜 자연스럽게 범죄발생 감시기능 등을 촉진시키며 지역민 상호간의 소통과 연계 등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과 범죄예방 의지를 함양시키는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 문화 예술을 매개로하는 도시재생 전략 범위 내에서 CPTED가 실질적인 방법론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기능적인 개념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CPTED와 커뮤니티디자인의 관련성 및 서울시가 2012년부터 디자인으로 사회적 문제를 치유하고자 추진하고 있는 범죄예방디자인프로젝트의 사례지 2곳을 분석 검토하여 보다 현실적인 접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연구의 배경 및 범위에 관한 기술로 문헌조사와 대상지 현장답사 등을 기초로 현재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둘째, 커뮤니티디자인과 CPTED의 이론적 개념에 관해 기술하였다. 셋째, 첫 대상지 염리동과 공진중학교 사례를 분석하였다. CPTED의 효과적 접근방법으로 서울시공무원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의 협업과 지역민들의 커뮤니티 사례를 통해 도시재생과 연관된 공공디자인이 접목된 커뮤니티디자인의 기초연구로써 효과적 활용 방안 및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As every crime is inevitably accompanied with damage to human,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for active crime prevention. In Korea, most of the social cost by crimes is concentrated on the processes after crimes occur. There have been researches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rimes.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s to actively improve vulnerable spatial environment triggering criminal acts through additional design connecting architecture to criminal psychology. The main standpoint of CPTED is to reduce local residents" psychological fear of crime damage, and also to induce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i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Seoul Root out Crime by Design 2012 was initially tried out for conventional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is the first case introduced to the existing area, not the large-size redevelopment areas such as new town area. In the case of its target areas like Yeomri-dong Mapo-gu and Gongjin Middle School,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is newly receiving atten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design, in the aspect of software besides the physical construction of environment. It has shown outcomes in which crime watch functions were naturally promoted by strengthening community network,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rime prevention will were cultivated through vitalization of community like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idents. Since CPTED demonstrates its possibility as an actual methodology, it is expected to become a very functional conceptual base within the range of urban restoration strategy through the medium of culture and arts. Thus this study aims to seek for more realistic approach measures by analyzing / reviewing the relation between CPTED and community design, and also two cases of Root out Crime by Design which has been conducted by Seoul-si to heal social problems by design since 2012.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first, as a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nd range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based on literature study and in-site survey. Second, the theoretical concept of community design and CPTED was described. Third, the cases of Yeomri-dong and Gongjin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 of residents" community and cooperation between experts in various areas such as Seoul-si government workers, as a basic study of community design combined with public design associated with urban restoration, it aims to seek for effective application measures and measures of policies based on the effective approach methods of CPTED.

      • KCI등재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을 위한 연구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복(Lee Hyung Bok),김혜란(Kim Hye Ran)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2

        2003년 이후 우리나라 범죄 발생이 한해 200만 건을 넘어서는 등 범죄가줄어들지 않는 실정 속에서 한정된 경찰력에 의존한 범죄예방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한정적인 경찰력에 의한 단속, 범죄자의 처벌과 교육 등 공공의 역할만으로는 범죄가 해소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여 범죄예방 환경디자인(CPTED)을 범죄예방 방안으로 수용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강남역 화장실 묻지마 살인사건 이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에서 추진한 국내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사례를 검토하여, 사업추진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과 경찰의 범죄예방진단팀이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에 대해 어떠한 인식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사업의 시사점과 사업 주체의 인식 차이 고찰을 통해 범죄예방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자체는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조직구조 및 필요 인력을 확보하고, 충분한 사업예산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사업의 모든 단계에 지자체와 경찰이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하여야 한다. 셋째.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의 협업체계를 구축하면서, 참여 주체의 역할 및 책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의 추진성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이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의 효과성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은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이라는 관점에서 필수적인개념으로 모든 사업에 접목되어야 하며, 종합적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끝으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역시 시민참여가 필수이지만, 양적인 부분 치중보다는 시민참여를 위한 자연스러운 유도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은 짧은 시간에 단편적인 만족도를 끌어낼 순 있으나, 지역 특성을 무시한 채 모든 대상지에 일괄적으로 적용된다면 실효성이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가져야 한다. 지역 정체성을 반영하는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은 성공도가 높아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지역관광사업과 유연한 연계가 있으면 성공 가능성이 높다. 참여와 협업을 통해 견고하게 완성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은 도시만들기에 있어서 또 하나의 마중물로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2003, crimes in Korea has exceeded 2 million cases a year, and crime prevention, which has relied on limited police force, has revealed its limitation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limit to resolving crimes only through the public role, such as crackdowns by limited police forces, punishment and education of criminals. The project was promoted by accepting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as a crime prevention plan.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project promotion by reviewing the domestic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business cases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fter the wanton murder case of Gangnam Station.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examine how the crime prevention diagnosis teams of public officials and police in charge of the crime show different perceptions about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project and the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the business entities, we would like to propose an effective business promotion plan for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project, which is actively being introduced at the crime prevention level. First, local governments should secur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necessary manpower necessary to carry out the project, and secure a sufficient project budget. Seco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olice must exchange information and cooperate at every stage of the pro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articipants while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system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urth, by actively promoting the results of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local residents should b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Fifth,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is an essential concept in terms of creating a safe urban environment and should be applied to all projects and promoted as a comprehensive project. Lastly,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is also essential for citizen participation, but it should focus on natural induction for citizen participation rather than quantitative emphasis.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can bring out partial satisfac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it is necessary to question whether the effectiveness can be sustained if it is applied collectively to all target areas, igno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that reflects regional identity is highly successful, and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Also, if there is a flexible connection with the regional tourism business, the chances of success will be high. It is expected that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which has been solidly completed through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will have a positive ripple effect in creating cities.

      • KCI등재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요소 연구

        최우철 ( Woochul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성범죄를 비롯해 각종 강력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범죄 위험에 불안을 느끼는 시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의 골목 거리는 시민들이 매일같이 거닐고 활동하는 곳이나, 범죄의 두려움·불안감과 불필요한 오인·오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지자체별 CPTED 관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CPTED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하고 물리적 개선작업만 수행되어 시민들의 방범 개선 체감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여 실질적 개선사업 수행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거리/가로/공공공간 범죄예방연구, 거리 디자인요소 개발 연구, 다세대·다가구 주택 연구 등의 관련연구와 CPTED 구성원리 및 관련 법규 등의 이론적 고찰, CPTED 사업 사례지를 종합 분석하여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요소를 제시한다. 실질적인 실증사업 적용을 위해 건축물 및 거주자 비용발생요소는 배제하고, 지침 역할로써 시각적요소, 건축적요소, 사회적요소로 구분하여 거리개선 디자인요소를 제시한다. (결과) 선행연구, 가이드라인/지침/법규, 사례 등을 통해 주거지역가로 범죄예방디자인 요소를 크게 시각적요소, 건축적요소, 사회적요소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자연적 감시, 영역성 강화, 접근 통제, 명료성 강화, 활동 활성화, 유지관리 등 CPTED 구성원리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CPTED 실증사업을 고려하여 세부요소별 디자인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인 범죄예방 시설물 설치 위주의 시각적 요소(도로, 조경, 안내, 조명), 건축물 이격공간 활용 및 필로티형 주차공간 개선 등을 위한 건축적 요소(건축물, 주차장), 안전지킴이집, 쓰레기 적치시설, 커뮤니티시설 등 지역유대 및 이웃신뢰도 향상을 위한 사회적요소(공용시설, 용도 및 배치)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범죄에 취약한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를 대상으로 CPTED 실증사업이 고려된 범죄예방 디자인요소를 제시하였다. 해당 디자인 요소를 기반으로 범죄예방이 필요한 지역의 체크리스트를 설정한 후 지자체별 자체 점검 및 개선사업을 진행하면 그 효과가 크고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보안스크린, 비상전화부스 등 ICT기술을 접목시킨 면목동 범죄예방디자인 사례와 같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지능형 방범 연구사업 등과 연계하여 기초조사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리적 유해환경 지도(시각자료)를 제작하는 등의 범죄예방을 위한 방범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CPTED 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방안, 추진체계 등 정책적 대안 연구과 복합적이며 상호관계성을 갖는 도시공간 구조를 고려한 복합적 유형화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범죄예방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Violent crimes such as sex crimes and random street assaults, have been on the rise of late. So citizens who fell uneasy about crime risk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streets of multiple-household areas caused fear, anxiety and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of crime. Although CPTED-related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pproach to CPTED, and only a physical improvement work is carried out. So citizens' feelings are very lo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of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and lay the basis of practical improvement project. (Method) This study set the CPTED street improvement design element using crime prevention research(street, public space, etc.), CPTED theoretic consideration (composition principle, related laws, etc.), analysis case.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it excludes the element of building and resident cost. As a guiding role, we derive distance improvement design elements by dividing into visual elements, architectur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Results) In this study, the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in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were set into visual elements, architectur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through prior research, guidelines, laws, and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CPTED street improvement element applying to CPTED composition principle such as Natural surveillance, Territoriality, Natural access control, Legibility, Activity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As a result, in view of the CPTED demonstration project, this study was analyzed as the visual elements of physical crime prevention facilities installation(roads, landscaping, guidance, lighting), architectural elements(architecture, parking lot) for the utilization of space apart from the building and improvement of the parking space of the pilotty type, social elements(public facilities, use and disposi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local ties and neighborhoods such as safety guard houses, garbage compartment facilities, and community facilities. (Conclusion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ractical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of the streets of multi-family housing areas considering the CPTED demonstration project.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will be large and efficient if the self-inspec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are carried out by the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levant design elem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urity service to produce safety map based on the data acquired through the basic investigation i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crime prevention research projects which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as with case study in Myunmok-dong(ICT technology, including security screens and emergency phone booths). I expect that future research related to policy alternative research such as financial measures/organization system and to complex typification study considering interrelated urban spatial structure will be conducted, and efforts to prevent crime will continue.

      • KCI등재

        중국 공동주택의 범죄 예방을 위한 디자인과 소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콩더신,이동훈,박해림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4 서비스연구 Vol.14 No.1

        공동주택은 사람들이 생활하고 거주하는 중요한 장소이자 소통 공간으로서 그 주거 환경의 좋고 나쁨이 주민의 행복감과 안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기반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CPTED)이 필요하다. 하지만, 중국의 범죄 관련 데이터를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어 중국의 학자들은 정확한 범죄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범죄예방 측면에서 범죄예방디자인의 이론 구축과 적용이 늦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각 요소의 중요도,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개선 방안 등 세 가지 측면을 연구하여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 원칙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공공의 안전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주택 소비자의 범죄예방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연구 보고서와 선행문헌을 통해 중국 범죄예방디자인의 현황 및 개발 동향을 조사했다. 또한, 중국 소비자의 공동주택에 대한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과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각 요소의 중요도 와 인식개선 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에 기반한 설문 조사와 통계 패키지인 SPSS의 신뢰도 분석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의 인지 상황, 각 요소의 중요도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실제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연구에서는 범죄예방디자인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안전 솔루션을 도입하고 주민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교육과 정보 확산을 통해 지역사회의 안전을 촉진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인식도와 각 요소의 중요도 및 개선 방안은 향후 중국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Multi-family housing plays a crucial role as a living and experiencing space, and its environment has a direct impact on the well-being and stability of its residents. Therefore,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for multi-family housing is of utmost importance. However, crime-related data in China is not disclosed to the public because of its specificity, making it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conduct further in-depth studies based on accurate crime data. As a result,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CPTED theory in terms of crime prevention is limited and delay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ree aspects of CPTED in multi-family housing as perceived by home-buying consumers. It investigated consumer perception of the CPTED,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and ways to increase awareness of CPTED in multifamily housing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multifamily crime prevention design principles and further enhance public safet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trends of CPTED in China by analyzing relevant research reports and literature, aiming to gain insights into the crime prevention awareness of Chinese homeowner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consumers to unravel the importance of CPTED and increase awareness of its various elements in multifamily-family. This study used a Likert scale and SPSS reliability analysis to determine the cognitive status of multi-family CPTED,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and proposed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As this study was limited by the difficulty of implementation and the lack of validation of its practical effectiveness,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designs and produce more practical results. Furthermore, it is crucial to utilize this study to inform the implementation of security solutions that are tailor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o offer guidance on how to enhance community safety by increasing residents' awareness of security through education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The author hopes that the representative multi-family CPTED awareness,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and plans for improvement shall be summarized from this study,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PTED based on the Chinese region.

      • KCI등재

        상황적 범죄 감소를 위한 도시공원 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 서울시 도시공원 설치 시설물 중심으로

        남궁윤재 ( Yoon Jae Namkoong ),황성걸 ( Sung Gul Hwa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2

        서울시 도시공원현황자료(2015)에 의하면 도시공원의 수는 2006년에 비해 2014년 기준으로 44%가 늘었으며, 공원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박나현, 2015). 하지만 늘어나는 공원의 수와 함께 공원 내에서 일어나는 범죄률도 같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공원 내에 발생하는 범죄는 계획범죄보다 상황범죄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의 범죄예방 안전기준 마련을 주요 내용으로 한 국토교통부령 제54호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이 공포(권전오, 2016) 되었으나 방범시설 설치, 규정 및 지침은 마련되지 않았다. 그리고 공원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규정 및 지침이 없이 '5.도시공원의 설치 운영 시 안전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디자인과 자재를 선정. 사용할 것.'이라고 공포되어 범죄예방디자인이 적용된 법률이라 볼 수 없다. 따라서 방범시설에 대한 법적 규제가 필요하고 이에 따른 공공시설물 디자인규정 및 지침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범죄예방디자인이 적용된 근린공원 시설물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방법과 해외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범죄예방디자인과 국내외 사례를 이론적 배경으로 알아본 후 상황적 범죄의 개념과 예방을 바탕으로 한 공원시설물 디자인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범죄예방디자인의 개념을 산업디자인(공공환경시설물디자인)과 접목시켰다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City Park creation has recently been planned positively as one of the urban policies. In particular, neighborhood parks, which play multiple roles of promoti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for citizens and increasing the rate of green areas in cities, serve as crucial elements in urban zones of life. The number of neighborhood parks in Seoul increased as of 2015, 44% up from 2006, and is on the continuous increase. The neighborhood park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ccessibility for citizens, are used as sites for various crimes, including juvenile delinquency and violent crim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keep neighborhood parks safe for citizens using them due to the increase of accidental crimes, such as violent offending with unspecified motivation toward strangers. Although Item 54 of the decree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gulations relative to the application of a law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c.', has been proclaimed, it cannot say that CPTED is applied because it provides that 'proper design and materials should be selected and used to maintain a safe environment in installing and operating urban parks,' without regulations or guidelines concerning design of park facilities or establishment of crime prevention equipment.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legal regulations concerning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develop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designing public facilities. On such a temporal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lans for designing facilities, focusing on natural surveillance, which is one of the basic principles of CPTED.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PTED and relevant overseas cas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n, the plans for designing park facilities wer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and prevention of accidental crim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nected the concept of CPTED to industrial design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more comprehensive public facility designs.

      • KCI등재

        범죄예방디자인 원리를 이용한 노후 된 주거지역의 공간계획 연구 - 홍성군을 중심으로 -

        류혜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의 삶을 위협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구도심과 기반시설이 열악한 곳에서 다양한 강력범죄와 외국인 범죄 발생 빈도 비율도 높게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후 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범죄예방디자인을 적용한 공간계획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며, 노후 된 주거지역에 적합한 범죄예방디자인 기법과 실제 디자인 계획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에서 범죄예방디자인의 원리, 노후 된 주거지역의 범죄예방디자인 선행 연구와 적용 전략 특성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지 현황을 분석하고, 범죄예방디자인 전략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 계획을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남산마을 일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첫째, 공간구성은 주거공간, 보행공간, 공동공간, 공공시설물로 나누어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대상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범죄예방디자인의 다섯 가지 원리인 자연적 감시, 활동성 강화,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유지관리를 토대로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셋째, 주거공간은 자연적 감시, 영역성 강화, 접근통제, 유지관리 전략에 따라 낡은 담장 도색, 이격공간 투시형 펜스 설치, 안심지킴이집, CCTV, 안심벨 설치하였다. 넷째, 보행공간은 자연적 감시와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전략에 따라 지하차도 벽면 도색, 조명등, 안심벨 설치, 가로등과 보안등, LED 벽등 설치, 노후 펜스 투시형 펜스로 교체, 반사경과 로고젝터를 설치하였다. 다섯째, 공동공간은 자연적 감시와 활동성 강화, 유지관리 전략에 따라 주민쉼터를 다양하게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변경, 무인택배 보관함, 쓰레기 집하장을 설치하였다. 여섯째, 공공시설물은 자연적 감시와 접근통제 전략에 따라 낡은 가로등 교체, CCTV와 한글과 외국어로 작성한 안내표지판, LED 보안등을 추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노후 된 주거지역에 적용 가능한 범죄예방디자인 원리와 세부 내용을 제시하였고, 장기적으로 노후 된 주거지역의 범죄예방디자인을 적용한 물리적 환경 요소들에 대한 새로운 개선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범죄예방디자인의 효율적인 모델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Crimes that threaten our lives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and the rate of occurrence of various violent crimes and crimes against foreigners has also been high, mainly in old downtown areas and places with poor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spatial planning method in crime prevention design for aged residential area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riving crime prevention design techniques and actual design planning strategies suitable for such areas. (Method) The principles of crime prevention design, prior research on crime prevention design in old residential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 strategies were identified in existing literature. Subsequently, the current status of the target site was analyzed, and a spatial design plan that applied the crime prevention design strategy was segmented and presented. The area of this study was Namsan Village, Hongseong-eup,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Results) First, a design plan was proposed by dividing the space composition into residential space, pedestrian space, communal space, and public facilities. Second, a spatial plan was proposed based on the five principles of crime prevention design–natural monitoring, access control, activity reinforcement, territorial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Third, in the residential space, based on natural monitoring, access control, territoriality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strategy, the old fence was painted, a see-through fence was installed in the separation space, and a security guard house, CCTV, and safety bell were installed. Fourth,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y of natural monitoring, access control, and territoriality reinforcement in the pedestrian space, underpass wall painting, lighting, safety bell installation, street lamp, security lamp, LED wall lamp installation, replacement of old fence with see-through-type fence, reflector and logo projector were installed. Fifth, the common space was transformed into a community space where residents could communicate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natural monitoring, activity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strategies, and an unmanned delivery box and a garbage dump were installed. Sixth, according to the natural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strategy for public facilities, old street lamps were replaced, and CCTVs, information signs written i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and LED security lights were added.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principles and details of crime prevention design applicable to aging residential areas and suggests an improved method implementing crime prevention design in long-term aged residential areas taking into account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for developing an efficient crime prevention design model.

      • KCI등재

        도시 특성에 따른 범죄예방(CPTED) 개발 연구 - 남양주시 금곡동을 중심으로 -

        안진근 ( Ahn Jink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심 속 가로공간에서의 보행환경과 안정성 확보는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자 필수 조건이다. 최근 들어서는 신도시들의 경우 도시설계에 있어 기본적으로 CPTED 개념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범죄로부터 어느 정도 예방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있던 오래된 도시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외되거나 노후된 지역들은 범죄로부터 노출이 되어있는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PTED가 꼭 필요한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을 중심으로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로 진행 하였으며 범죄예방 환경디자인(CPTED) 사업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환경설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공간적인 범위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주막마을이며 연구의 방법은 먼저 최근 실행된 범죄예방 디자인 선행사례들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문헌 및 보고서를 통해 범죄 발생원인과 예방법에 대한 주요 이론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대상지 내 범죄 현황 및 통계자료를 통해 범죄특성에 따른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여 원인을 제거하고 보완하여 효율적으로 CPTED 요소들을 적용한 디자인 전략을 구상 및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결과) 범죄예방 디자인 전략은 골목별 공간 특성에 맞춘 가로환경 개선에‘CPTED 기본요소(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동성 강화, 유지관리)’의 5가지 요소를 접목한 방향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청소년 범죄 및 각종 경·범죄의 주요 발생원인 중 하나인 시야가 좁은 폐쇄적인 공간에 대하여 투시성을 증대시키고 환경개선을 통한 유동인구를 늘려 자연적 감시가 이루어져 범죄 발생률이 낮아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둘째, 무분별한 불법 주차와 쓰레기 투기, 노후 경관 등 도시를 낙후된 이미지로 연출시키는 요소들에 대한 적합한 시설물 배치와 가로 환경 개선을 통해 주민들에게 공간의 책임의식을 부여하고 적절한 이용을 유도 시켜 활동성 및 영역성을 강화 키고자 한다. 셋째, 대상지 내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사각지대에는 비상벨과 결합 된 CCTV를 배치하여 범법자로부터 접근을 통제한다. 넷째, 기존 범죄예방 가로환경 설계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사후 관리를 고려하여 파손에 취약한 시설물 설치나 건축물 또는 담장(벽면)에 페인팅하는 기법은 최소화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LED 조명 및 경질의 재질을 활용한 공공시설물, 내구성이 강한 포장재를 활용한 보도 정비를 통해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안전한 생활환경을 유지한다. (결론) 범죄예방은 무조건적 방어적 디자인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먼저 환경이 개선되고 쾌적한 도시환경이 제공되면 주민들이 안전함을 느끼면서 질 높은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CPTED 디자인은 노후 된 중·소 도시들도 도시 경관개선 및 안전한 환경으로의 변화를 불러옴으로써 도시의 브랜드를 한층 높여줄 수 있는 요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ecur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stability in the street space in the city is an important factor and essential condi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Recently, the CPTED concept was applied in new towns and it shows that some degree of prevention had an effect on crime. However, relatively alienated or ramshackle areas remain exposed to crime in the old town.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s, street environment creation,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projects applying CPTED. But post-management and aesthetics were problems due to thoughtless installing.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presenting a plan for efficient and sustainable environmental design. (Method) Method of the study, we examine the recent precedent cases of crime prevention design and their effects and the main theories through related documents and reports. Next,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via the crime characteristics from the crime status and statistical data in the target site, the cause is removed and supplemented, and a design strategy that effectively applies the CPTED factors is devised and an execution plan is established. (Results) The crime prevention design strategy is composed of five elements of “CPTED basic elements (natural monitoring, access control, territorial reinforcement, activity reinforcement, maintenance)” to improve street environments tailor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alley. First, in the closed space with a narrow view, one of the major causes of juvenile crimes and various misdemeanor crimes, it increases the visibility and the floating population through induce natural monitoring to reduce the incidence of crime. Second, it aims to strengthen activities and territoriality by giving resident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pace and inducing proper use by deploying suitable facilities and improving the street environment. Third, in the blind spot, CCTVs combined with emergency bells are arranged to control access from criminals. As CPTED-related technologies have recently developed, we plan to use CCTV and lighting, which incorporate technologies. Fourth, considering the post-management, which i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the existing, installation of facilities that are vulnerable to damage or the technique of painting on buildings or walls (fences) are minimized and semi-permanent LED lighting and rigid space and facility plans are organized. (Conclusions) Crime prevention cannot be solved with only a defensive design. First of all, if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is provided, the residents feel safe and lead a high-quality life. Therefore, the CPTED desig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ablish itself as an element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brand of cities by improving the urban landscape and changing to a safe environment even in old small and medium-sized towns.

      • KCI등재

        범죄예방 포스터에 나타난 이미지의 특성과 시각적 수사 접근 연구 - 아동학대 예방 포스터를 중심으로 -

        변현진 ( Byun Hyunjin Trina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저출산 시대 아동 보호 및 아동의 양질의 성장 발달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사회적 디자인 관점에서 범죄예방 디자인이최근 주목 받고 있다. 본고는 아동학대 범죄예방 포스터를 64종 수집하여 분석한 것이다. 국내와 해외 아동학대 예방 포스터를 크리에이티비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포스터 크리에이티비티 분석은 크게 이미지의 표현 유형 특성 및 시각적 수사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크리에이티비티 중요한 요소 중 이미지 전략은 사실적 표현과 허구적 표현, 타이포그래피, 사진 실사, 일러스트·그래픽·캐릭터 이미지를 기준으로 표현 형식과 활용 빈도를 분석하였다. 시각적 수사 접근은 디자인 수사법과 언어 수사학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핵심적인 것을 추려 분석하였다. 아동 상대 범죄통계 분석결과 특히 여자 아동은 성폭력 부분, 남자 아동은 폭력 관련 범죄예방 포스터가 우선 필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국내 아동학대 범죄예방 포스터로는 폭행 및 상해 예방 내용이 5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정서적 학대 예방 내용이 22.7%로 그 뒤를 이었다. 해외아동학대 범죄예방 포스터로는 정서적 학대 예방 내용이 54.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성적 학대 예방 내용이 28.6%로그 뒤를 이었다. 또한 인식개선 관련하여, 정서적 학대도 심각한 학대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관련 예방 포스터 홍보 및 교육, 나아가 예방 및 근절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차후 표현의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 무엇보다 국내 범죄예방 디자인의 크리에이티브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논의와 시도가 더 많아 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field of design, crime prevention design, which promotes public safety and happiness, attracts attention. In this study, 64 kinds of child abuse crime prevention post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Poster creativity analysis was largely analyzed by approaching with image expression type characteristics and visual rhetoric. First, I looked at the prevention poster for domestic and overseas child abuse focusing on creativity. Among the important factors of creativity, image strategy analyzed the expression form and frequency of use based on realistic expression, fictional expression, typography, photographic photograph, illustration, graphic, and character image. The visual rhetorical approach looked at design rhetoric and language rhetoric in general and analyzed the key things.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design, crime prevention design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research. There is also a growing interest in child protection in the age of low fertility and high-quality growth of children. Therefore, research on crime prevention design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expanded.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rime against children, the sexual violence part in the female child and the poster for the prevention of violence-related crime in the male child are necessary parts. As a poster to prevent child abuse crime in Korea, violence and injury prevention contents were the most followed by 59%, followed by emotional abuse prevention contents by 22.7%. 54.7% of the cases were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crime prevention in foreign countries, followed by 28.6% for sexual abuse prevention. Also,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and educate related prevention posters, and further prevent and eradicate strategies so that emotional abuse can be recognized as a serious abuse.

      • KCI등재

        범죄예방디자인 기반의 융복합 제품개발 연구

        김홍규(Kim, Hong Gyu)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2

        본 연구는 특수형광 페이스트 식별기술을 활용한 범죄예방 제품을 개발하여 시민들의 범죄에 대한 공포와 주거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공익적인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형광페이스트를 활용한 식별기기와 추적프로세스를 개발하여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고 제품개발을 통하여 안전한 주거환경을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방법은 특수형광 페이스트 운용기술과 식별기술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디자인 요구분석과 디자인사례를 연구하여 프로토타입(prototype)제품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범죄예방 디자인 제품(스프레이, 스마트형 UV라이트, 추적App, 모듈형 디바이스)은 범죄 예방이 가능하고 범죄발생시 검거율을 높일 수 있는 제품이다. 캡스톤 디자인을 통하여 개발된 제품은 범죄에 취약한 거주지에 특수형광 페이스트 추적시스템인 맞춤형 리딩과 식별기술 적용이 가능하여 범죄예방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운용기술과 제품을 활용한 방범설계 실시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융복합 가능한 혁신적인 기술적 가치를 찾을 수 있었으며, 범죄예방디자인 개발은 안전한 사회를 추구하는 범죄예방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public interest research to resolved the fear and anxiety of general public in residential areas against crimes by developing crime prevention product through utilization of special fluorescent paste identifica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to create society that is safe from crimes by developing identification device and tracking system and to realize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product development by utilizing fluorescent paste. Therefore, special fluorescent paste operation technology and identification technology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as the research method. Moreover, study was conducted with prototype of the aforementioned products by means of design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case study. Crime prevention design products developed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pray, smart UV light, tracking App and module type device) are capable of preventing crime and increasing arrest rat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crimes. It was possible to execute crime prevention design by utilizing operational technology and products that can be used as crime prevention system since the products developed through capstone design can be applied to residential areas vulnerable to crime with its customized reading and identification technology, which are part of the special fluorescent paste tracking system. On the basis of such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find innovative technological value that can be converged and it is anticipated that crime prevention design development will impart influence on the overall aspects of crime prevention industry striving to achieve safer society.

      • KCI등재

        범죄예방디자인 기본 원리와 설계 전략에 따른 범죄예방디자인 적용 사례 연구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유성호 ( Yu,Sung-h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최근 국내 지자체를 중심으로 범죄예방디자인 사업을 추진 중이며 지자체별 조례와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시범사업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한 직접적인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범죄 예방 디자인 관련 이론과 디자인원리·설계를 기반으로 국내외 주요 사례를 연구·분석하여 현재 국내범죄예방디자인의 현황 및 문제점, 개선 점 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범죄예방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의 융합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어 가이드라인 적용 시 이를 반영해야한다. 둘째, 무분별한 조명이나 경보음 사용을 자제하고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 조도와 소음에 대한 방안을 만들어야한다. 셋째, 부분별, 지역별 디자인을 지양하고 전체적인 큰 맥락에서 하나의 통일성을 가진 디자인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그 지역의 특성과 도시와 어울리는 컬러와 조형물의 설치가 고려되어야한다는 것이다. Recently, the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mainly by the domestic local governments and various attempts are being implemented by establishing local regulations and guidelines.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ending up with the pilot project and the direct effect seems to be trivia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cases of crime prevention design and sought to develop future directions and improvements. As a result, first of all, crime prevention design is considered to need convergence in various fields and should be reflected when applying guideline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using indiscriminate lighting or alarm sound, and to make a plan for the illumination and noise that do not cause harm to the surroundings Third, design with partiality and regional design should be avoided and a uniform design was evaluated necessary in overall context. Finally, the installation of color and sculpture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e city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