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代의 百戱雜技와 舞樂

        전덕재(Jeon, Deog-jae)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5

        본 논고는 한국 古代의 百戱雜技와 舞樂의 종류 및 내용, 傳承過程, 사회적 기능을 검토한 것이다.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다양한 百戱雜技와 舞樂이 전하고, 이밖에 고대의 백희로서 弄珠, 伎樂, 馬技, 蹴鞠, 角抵와 手搏, 水石戰, 舟戱 등이 있었다. 그리고 舞樂으로 胡旋舞와 歌芝栖, 신라의 여러 鄕樂과 鄕樂雜詠에 전하는 가무, 御舞詳審과 玉刀鈐, 處容舞와 無?戱, 踏鎚 등이 있었다. 고대의 무악 가운데 무애무, 처용무, 황창랑무등이 내용이 약간씩 바뀌면서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전승되었고, 고대사회에서 백희와 무악은 정치지배자나 국가가 정치적 통합력을 강화하거나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화교류와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복을 부르고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기 위하여 백희잡기와 무악을 자주 공연하기도 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kind and contents, transmission process, social function of the Entertainment and Dances in Korean Ancient times. A various Entertainment and Dances were painted on the Goguryeo tomb murals, and there were Nongju(Playing with ball), Kiak Dance, Playing games on horseback, Football, Wrestling, Old taekwondo, War withWater and Stone, Playing games on a ship as an Entertainment and techniques, Dramatic plays in Ancient times. And as a Dances, the Hoseon Dance, Kajiseo Dance, various native Silla"s Music, Songs and Dances which included in Hyangakjabyeong, Eomusangsim Dance, Okdogeom Dance, Cheoyong Dance, Muae Dance, Dabchu Dance were existed in this times. Muae and Cheoyong, Hwangchangrang Dance among the ancient dances, which had been changed it"s contents a bit, handed down in the Goryeo and Chosun Dynasty. The Entertainment and Dance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to strengthen political integration by political leader and state, and to relieve people stress. In addition, these wer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ultural exchange and development. Also in order to keep away evil spirits and seek blessings an ancient people frequently performed Entertainment and Dances.

      • KCI등재

        백희가무를 통해 본 고려시대 팔관회의 실상 : 팔관회는 불교의례인가?

        한흥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民族文化硏究 Vol.47 No.-

        고려시대 팔관회는 다른 어떤 국가의례보다도 가장 성대하고 엄격하게 거행된 고려를 상징하는 국가제전 (國家祭典)이다. 따라서 팔관회의 실상을 올바로 규명한다는 것은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공연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고려문화의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기 위한 매우 필수적이며 중차대한 작업이다. 그동안 팔관회의 실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어 왔다. 그 가운데는 팔관회를 명백한 불교의례로 규정하는 견해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려시기의 불교신앙을 토속신앙의 상위개념으로 볼 수는 있으나, 팔관회에서 백희가무를 통해 "하늘의 신령과 오악, 명산, 대천, 용신" 등 토속신령에게 복을 구하는 것까지 불교의례의 일환으로 간주하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이다. 그리고 그런 오류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백희가무의 참모습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한데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논자는 그 실상을 세 가지 측면을 통해 즉 백희가무가 팔관회의 핵심의례라는 점, 백희가무가 신라의 유풍인 선풍에 따른 것이라는 점, 백희가무가 성종 대에 잡기라 간주되어 팔관회 자체가 폐지된 점 등을 통해 논증 하였다. 나아가 팔관회는 백희가무의 핵심인 사선악부 공연에 의해 국선 이 "벽사진경" 의 무가적 성격이나 또는 화랑들의 정신이념이었던 풍류도적 특성과 관련된 가무를 통해 국가와 왕실의 영원한 안녕을 위해 토속신령들에게 복을 비는 의례로 규정하였다. 그러니 이를 어찌 불교의례라 할 수 있겠는가! Palgwan-Hwae Ceremony of Koryeo Dynasty is the magnificent religious celebration which is performed very strictly and regularly rather than any other nation's ones. Palgwan-Hwae is symbol and representative of Koryeo so it is essential and important to research of Palgwan-Hwae to identify and understand Koryeo's culture. Among the various thoughts of Palgwane-Hwae, some people clarify that it is one of ceremonies of Buddhism since it is priority to local custom ceremony. However, as Baekhee-Gamoo which is part of the performances of Palgwane-Hwae shows that people pray blessing to gods of mountain, river, sea, it is a superficial knowledge if we think Palgwan-Hwae is connected to Buddhism.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ses half-learned thoughts is we do not understand a right concept of Baekhee-Gamoo well. The writer proves Baekhee-Gamoo's a real concept with thee aspects. Firstly, Baekhee-Gamoo is a main rite of Palgwan-Hwae and secondly, it is based upon Shilla's Sun-Poong. Lastly, it was prohibited by Sung King as it is regarded as miscellaneous arts. Also, Sasun-Akboo, a core performance of Baekhee-Gamoo, plays ceremony to pray nation's well-being to gods through song and dances that are related to feature of Poong-Ryu-Do which is spirit of people who is called Hwa-Rang. Can you still say it is Buddhist Ceremony?

      • 신라(新羅) 기악백희(伎樂百戱)의 종류(種類)와 전승(傳承) -구나무(驅儺舞)를 중심으로-

        전덕재 ( Jeon Deog-jae ) 단국사학회 2017 史學志 Vol.55 No.-

        본 논고는 신라 伎樂百戱의 종류 및 전승과 변용과정 등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신라 기악백희에는 통일 이전에 제작된 憂息樂과 會蘇曲, 新羅五伎(金丸, 束毒, 月顚, 大面, ?猊), 蘇志摩利와 納蘇利, 處容舞와 無得戱등이 있었다. 이 가운데 處容舞, 大面과 ?猊, 高麗樂의 樂曲인 納蘇利와 蘇志摩利등이 驅儺舞의 성격을 지녔다. 9세기 후반에 신라는 당나라의 驅儺儀禮를 수용하여서 섣달 그믐날에 驅儺儀式을 거행하였고, 이때 大面과 ?猊등의 驅儺舞를 공연하였을 뿐만 아니라 金丸과 束毒, 月顚등의 다양한 백희잡기를 함께 공연하였다. 신라의 전통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處容舞는 驅儺舞의 성격을 지닌 大面이라는 舞樂에 處容의 일화를 결합하여 만든 歌舞로서 고려시대에 구나의례에서 공연되었을 뿐만 아니라 연등회와 팔관회 행사 등에서도 공연되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types and transmission of Silla Entertainment and Dances, its transformation process etc. There was Usikak and Hoisogok which was produced before unification, Geumhwan and Sokdok, Woljeon, Daemyeon, Sanye, Sosimari, Nasori, Cheoyongmu, Muaehee at Silla Entertainment and Dances. Among them, Daemyeon and Sanye, Sosimari, Nasori had characteristics of Gunamu(Dancing chasing a ghost). In the latter part of the 9th century, Silla hosted the ritual to chase ghosts of Tang and performed it on New Year's Eve, at this time, not only the performance of the dancing chasing a ghost such as the Daemyeon and the Sanye, but also the Geumhwan and Sokdok, Woljeon, the various Entertainment and Dances techniques together. The Silla tradition was inherited as it wa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era. Cheoyongmu was not only performed as a ritual to chase ghosts in the Goryeo period as a singing dance created by combining anecdotes of Cheoyong with the Daemyeon with the character of Gunamu, but also performed at the Yeondeonghoe and Palgwanhoe association event.

      • KCI등재

        기획주제: 소통 부재의 시대, 한문학에서 길을 찾다 : 동아시아 악무(樂舞)의 국가(國家) 간(間) 소통양상(疏通樣相)

        이민홍 ( Min Hong Lee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5

        樂舞는 역대 중원 왕조가 자국의 「六代樂舞」를 근간으로 소위 四夷諸國의 「百戱歌舞」를 수용하여 정립했다. 七部樂에서 九部樂으로 확충했다가 「十部樂」으로 완성했다. 십부악 중 燕樂과 淸商樂을 제외한 八部樂은 모두 四夷의 악무이다. 중원 정권의 國朝樂舞였던 육대악무는 유명무실해진 반면, 「散樂」으로 개칭된 백희가무는 지금도 중원과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그 일부가 살아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사자춤과 각종 탈춤 역시 동아시아 공유의 악무이고, 최치원의 「鄕樂雜詠」에 묘사된 「新邏五伎」도 백희가무의 하나이다. 宗廟祭禮와 文廟에 연희되고 있는 「文舞」와 「武舞」 및 「八佾舞」 역시 동아시아 국가 간에 소통으로 전래된 악무이다. 중국이 동아시아 악무를 포용하여 이를 공연하고 나아가 각국으로 전파한 이유는, 中華帝國主義의 일환인 樂舞帝國主義的 인식에 말미암은 것이다. 동아시아를 諸侯國으로 묶어두려는 전략이었다. 백희가무는 동아시아 제국의 朝野上下를 막론하고 열광적으로 수용되어, 지금까지 도처에 잡희와 무용이 남아 백성들이 즐기고 있다. 악무는 동아시아의 소통 문물 제반 분야 가운데 가장 활발한 콘텐츠였다. 반면 중국은 60여년의 사회주의체제 시기에, 그들이 역대에 걸쳐 야심적으로 정립한 십부악과 산악은 거의 소멸했다. 중세 악무 소통으로 말미암아 전수된 廟樂과 散樂은 우리나라가 비교적 많이 향유하고 있는 편이다. 이는 우리민족이 통시적으로 악무를 애호한 결과이다. East Asian music and dance was established by accepting 「Baekheegamu」 of several countries based on 「yukdaeakmu」 of historic central districtdynasty. It was expanded into Gubuak from Chilbuak and was completed as 「Sipbuak」. Palbuak except for Yeonak and Cheongsanak among sipbuak are the music and dance of Sayi. Yukdaeakmu which was the gukjoakmu of the central district authority became nominal, some of the Baekheegamu renamed as 「Sanak」 remain in the central district and East Asian countries. Korean lion dance and all kinds of mask dances are the East Asian inherent music and dance, and 「Sinlaogi」 described in 「Hyangakjapyeong」 by Choi Chiwon is one of the Baekheegamu. 「Munmu」, 「Mumu」, and 「Palilmu」 played at Jongmyojerye and Munmyo are the dance/music that come d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among East Asian countries. The reason that China embraced East Asian music/dance and performed it and spread to each country is attributed to the music/dance imperialism awareness, a part of Chinese imperialism. It was a strategy to bind East Asia as feudal domain country. Baekheegamu was passionately accepted regardless of the hierarchy of East Asian empire and Japhee and dance remain everywhere until now so people are enjoying them. Music/dance was the most active contents among the communication culture fields of East Asia. On the other hand, Sipbuak and Sanak Chinese ambitiouslyestablished throughout the history during socialism system for about 60 years almost went out of existence. Myoak and Sanak that were handed down through the medieval music/dance communication were usually enjoyed by Koreans. It is a result that Korean people loved the music and dance diachronically.

      • KCI등재

        백희잡기를 통해 살펴 본 고대의 축제

        김경화(Kim, Kyoung-hwa) 한국역사연구회 2013 역사와 현실 Vol.- No.87

        "Baek"hi Jab"gi,"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ll kinds of miscellaneous forms of entertainment," was first originated as a holy form of recreative talents display staged to project religious authority or Shaman-oriented purposes. But later, as the society continued to grow and become diverse, they evolved into a form of entertainment. In dynastic rituals, these entertainment rounds served as a tension breaker, as they followed strict and stressful(to the organizers) dynastic services, and magnified the services" meaning as a dynastic event that should be observed and celebrated at the same time. Entertainment rounds staged after the Buddhist events were used as a platform to spread Buddhist beliefs, and entertainment rounds which followed the welcoming ceremony of foreign emissaries served as a pure form of pleasure. Even in funerals, they appeared, and served as a method to console the spirit of the dead, and also the people who were left behind as well, who would have to return to their ordinary lives. There are several reasons behind the nature of Baek"hi Jab"gi being amplified as a form of entertainment. First, the people"s view of value changed. In a society where politics and relig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king must earn its own legitimacy not by its religious authority but by its political capability. The introduction of a new religion with a human-based thinking brought changes to the traditional Shaman value system. Second, foreign talent experts newly came to the country. They were from low social classes, and were summoned to play and entertain the guests at banquets. They displayed various forms of Baek"hi Jab"gi. And third, the Baek"hi Jab"gi entertainment earned quite a popularity. The ruling class used this form of entertainment to enlighten and control the public.

      • KCI등재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전덕재(Jeon Deok-Jae) 부산경남사학회 2006 역사와 경계 Vol.58 No.-

        Since the Chinese Han(漢) dynasty period, dramatic plays(曲藝) from the Western regions(西域) have been being introduced to China, and such addition of foreign plays made the existing traditional entertainment and techniques(百戱雜技) more layered and more versatile. Those cultural aspects of China were also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were used or played at various parties and banquets.<br/> Along all kinds of entertainment and techniques, the songs and dances of the Western regions were also introduced to the Koreans. The examples include the Somakcha(蘇莫遮), which was passed on to the Goguryeo and Shilla dynasties, and also Sokdok(束毒), Weoljeon(月顚) and Daemyeon(大面), of which the names can be found from Choi Chi Weon's 「Hyangak Jabyeong(鄕樂雜詠:Local Music and Lyrics)」.<br/> The 5-string Bipa instruments and Pilryul flutes originated in the Western regions were relayed to China and then to the Goguryeo dynasty in mid-5th century, and after that used by the Shilla and Baekje people, and then even by the Japanese for musical accompaniments.<br/> Shilla people called the songs and dances from the Western regions ‘Hyangak(鄕樂: local music)', and viewed them as a different sort of music from the Chinese Dangak(唐樂) music. The title of ‘Hyangak' reveals that the Shilla people embraced and absorbed the Western regions' music and dances into their own culture and turned them into a unique version of songs and dances of their own.

      • KCI등재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의 얽힘

        탁정화(Jeong-Hwa Tak),박수연(Su-Yeon Park)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고는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을 바탕으로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특성과 인간 너머 세계와의 얽힘을 살펴보았다. 「이상한 엄마」, 「이상한 손님」, 「알사탕」, 「나는 개다」라는 4권의 그림책에 대한 회절 분석(diffractive analysis)방법을 적용하였다.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신물질론 얽힘은 첫째, 글-그림 텍스트가 다양식적으로 얽혀 있으며, 물질들의 아상블라주를 이룬 배경은 물질의 행위성으로 관계하며 끊임없이 현상을 생성하고 있었다. 둘째, 생동하며 관계하는 물질(세)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항 대립을 넘어 경계를 허무는 횡단적-존재인 이상한 혼종체와 삶을 수행고 있었다. 셋째, 일상적 삶에서의 다채로운 감정을 품고 있으며, 비인간 존재들과의 응답-능력으로 돌봄의 관계와 윤리가 들어있다. 포스트휴먼 신물질론이라는 담론에서 그림책의 세계와 함께(with) 얽혀 물질(화) 되어갔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얽힘은 그림책을 바라보는 또 다른 연구로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posthuman new materialism,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aek Hee-na or picture books and the entanglement between humans and more-than-human’ world. After selecting four picture books: “Strange Mom,” “A Strange Guest ,” “Magic Candies” and “I'm a Dog,”, diffrac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ek Hee-na picture book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olystyled entanglement of text-picture texts, the lively and related material (world) system, and various emotions in daily life. Next, Baek Hee-na's picture books were intertwined with post-human new materialism, first with 'acting background: assemblage relationship among all', second with 'cross-existence breaking boundaries: strange hybrid', and third with 'response to non-human beings: ability: relationship and ethics of care'. The discourse on posthuman new materialism became materialized with the world of picture books. This paper’s proposition may broaden the academy to discuss the theoretical picture books foundations and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 KCI등재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탐색

        이영경,김은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milies shown in eight picture books by Baek Hee-na. It was found that families shown in these picture books are characterized as supporting children’s independent life, recognizing their nature based on parental’s belief, featuring families in which brothers and sisters practice love and grandparents that use their wisdom to embrace their famil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is a space in which a child lives as an independent being and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of a child are exposed. Second, a family is an affectionate community in which its members create and practice the meaning of love. Third, a family is the best and oldest place in which its members begin meeting others. Fourth, the family connects generations based on traditional wisdom.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s in today’s society facing the breakup of families through picture books, which reflects phases in times and social needs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freshly examine famili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의 특성을 분석해보고 가족의 의미를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백희나 그림책 중 가족을 모티브로 한 8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백희나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은 아이의 주체적인 삶을 지지하는 가족, 부모의 믿음으로 아이의 본성을 인정하는 가족, 형제자매의 관계로부터 사랑을 실천하는 가족, 조부모의 삶의 지혜로 품어주는 가족이라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이라는 것은 아이의 존재 특성이 드러나고 아이가 주체적 존재자로 살아가는 공간이며, 사랑의 의미를 생성해내고 사랑을 실천해나가는 친애(親愛)공동체이다. 또한 가족은 타자와의 만남이 시작되는 최선(最先)의 장이자 최고(最古)의 장이며, 전통의 지혜로 세대를 이어주는 사이(思利)존재이다. 본 연구는 시대상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문학작품을 매개로 가족의 의미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하여 공동체적 가치를 실현하며 가족과 함께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 삶을 살아가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남지역의 삼회향

        최헌(Choi, Heo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8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2 No.-

        靈山齋와 같은 불교 사찰의 큰 의식 끝에 흔히 ‘三廻向’ 속칭 ‘땅설법’이라 이르는 의식이 있었다. 이는 재의 끝에 의식에 참가한 스님들과 불자들이 어울려 일종의 여흥 비슷하게 잡가도 부르고 놀이도 하는 의식이다. 齋에 참여한 모든 대중들이 회향의식을 벌이는 것을 삼회향이라 하며, 그 내용은 회향의식의 게송과 함께 매우 흥이나는 재담, 민요, 춤, 놀이 등이 포함된다. 최정여는 삼회향을 소개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고, 이에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이보형이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최정여의 삼회향 소개는 開城에 있는 고려왕실의 願堂이었던 演福寺에서 陳設하던 雜戲를 1963年 8月初 서울특별市 西大門區 仁旺寺住持 鄭淳政和尙이 그 스님 張某和尙(당시 70고령으로 김포에 있었음)을 개성 연복사에서 모시고 있을때 전수한 것을 녹음해 두었다가 정리하여 발표한 것이다. 최정여가 소개한 삼회향에 대하여 이보형은 그 공연적 특성을 음악부문에 대하여는 “축원덕담소리, 액풀이, 허튼염불, 팔도소리, 사홍서원 게송으로 무용반주 음악은 제외하면 5종의 성악곡”, 연극부문의 “재담부분과 잡희부분으로 2종”, 무용부문은 “3종인데 법고춤, 바라춤 2종은 재에서 연행 되는 작법이며 1종은 잡희에서 추는 허튼춤”으로 정리하면서 그 특성을 언급하였다. 또 그 공연집단의 성격과 기능에 대하여도 공연집단의 성격과 의식적 기능에 대하여 정리하여으나, 이들은 모두 최정여 교수가 연행 내용의 일부 사설 중심으로만 기록하고 있어 대부분 이보형의 추정을 제시한 것이다. 충청북도 단양군 천태종 구인사의 삼회향놀이는 2012년 5월 11일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된 불교 의식 놀이다. 구인사의 삼회향놀이는 범종 5타로 시작하여 법고무, 땅설법(법주 스님과 바라지 스님의 대화), 범패, 작법(나비무, 바라무), 화청, 그리고 지게놀음, 줄타기 등의 백희잡기로 구성된다. 끝으로 법주 스님과 바라지 스님들의 장엄염불과 법주스님의 회향 법문으로 삼회향 놀이를 마무리 한다. 단양 구인사의 삼회향놀이는 그 내용에 있어서 조금씨 차이가 있기도 하지만, 전체의 내용이 두 중의 대사(재담: 땅설법)와 범패, 작법, 그리고 일반 대중들의 잡희 등이 공연된다는 점에서 그 성격이 유사하다. 그런데 구인사의 삼회향놀이는 영산재 등 齋의식의 뒤풀이로 한정하고 있고, 큰 행사를 준비하고 치룬 관계자들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한 것으로서 ‘놀이’로서의 기능에 의미를 두고 있는 듯 설명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영남지방의 고승인 무등에 의하면 “과거 경남지방 사찰에서 봉행해오던 삼회향놀이는 사찰에서 행해져오던 수륙재, 예수재, 영산대재, 시왕각배재, 상주권공재 등을 보통 밤재를 봉행했으므로 새벽에 시식, 배송 (소대의식)을 마친후 대중스님들은 법고를 대웅전 앞마당에 갖다놓고 삼회향을 봉행해왔다. 또 불교 사대명절(부처님탄신일, 우란분절, 성도절, 열반절)이 있는데 사대명절중 성도절, 열반절, 우란분절 때는 대중스님들과 사부대중이 함께 법요식 및 정근, 독경, 좌선 등을 주로하고 부처님탄신일에는(사월초파일) 본사를 제외한 각 말사, 산내암자에서 사시불공을 마친후 저녁시간에 등불점화후 밤을 새워야하므로 그때 사부대중이 다함께 삼회향놀이를 봉행했다. 또 봄이되면 각 말사에서 우순풍조를 기원하는 용왕재를 대부분 봉행했으며 이때도 삼회향 놀이를 해 왔었다. 그후 1970년대 이후로는 물좋고 경치좋은 곳을 찿아다니며 용왕재 및 방생법회를 많이 하게됨에 따라 점차 말사에서 행해지던 용왕재가 사라지므로 삼회향놀이도 침체되었다. 그러나 예전에는 통영 용화사를 위주로한 말사, 고성 안정사, 창원 성주사,김해 장유사를 중심으로 경남 지방 개사에서 큰행사만 있으면 꼭 삼회향놀이를 해왔다”고 한다. 김창숙은 삼회향 놀이의 연원을 고려때 팔관회 연등회와 같이 연행된 백희잡기로 보았고 이어서 이는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등 고대 국가들의 국중대회에서 기원된 것으로 주장하였다. 이는 憑依 상태에서 신을 맞이하는 무속제의로서의 고대 국중대회에서 춤과 노래를 중시했던 성격과 연계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조금씩 성격은 변했지만 우리 민족의 토착신앙인 巫俗祭儀로서 고대국가들의 제천의식에 필요했던 飮酒歌舞는 불교가 전래되면서 불교와 융합되면서 팔관회 연등회 등의 불교의 큰 의식과 함께 연행되는 백희잡기로 변모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성격은 민족적 단합을 이끌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본 것이다. 삼회향은 단순히 놀이판을 벌여 큰 행사를 치루느라 고생한 여러 사람들을 위로하는 것이 본래의 성격이 아니라 고대에는 본래 무속의 빙의를 위한 수단으로 행했던 음주가무가 그 기원이고, 이는 우리 민족의 토착신앙이 불교와 융합하면서 팔관회 연등회 등의 백희잡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그리고 불교가 억압되던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수륙재 등 불교의 큰 의례 뒤에 삼회향이라는 이름으로 놀이판을 벌이는 것으로 변화된 것이라 추정된다. 따라서 큰 행사 뒤에 벌이는 ‘뒤풀이’는 수고한 사람들을 위로하고 참여한 사람들의 단결을 도모하는 것 뿐 아니라 이런 행위를 빌어 종교적 기원을 담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Buddhist ritual, Hoehyang(廻向 Pariman) means giving my Buddhist merit to others. Samhoehyang(3 hoehyang) are Jungsaeng(衆生) Hoehyang, Bori(菩提 Bodhi) Hoehyang, Silje(實際 Bhūtakoti) Hoehyang. But the other means, Samhoehyang, the other word Ddangseolbeop(땅설법 Ground Buddhist sermon), is an entertainment after ceremony like a Yeongsanjae(靈山齋). The Samhoehyang playing after a Buddhist ceremony,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No.25, in Northern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playing have being re-created in the Yeongnam Changwon province by the monk Seokbong. On the one hand, professor Choi Jeong-yeo have introduced an other Samhoehyang playing the temple Yeonboksa in Gaeseong. It means that the Samhoehyang playing had been played at many places in Korea. According to the monk Seokbong, the Samhoehyang had played not only the end of Yeongsanjae but also some large ceremonies like the Buddhist Uranbunjae, Seongdojeol, etc., for an entertaiment, Duipuli. The Samhoehyang playing was assumed to be originated from the Buddhist painting, Gamrotae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Gamubaekhee, hundreads of amusments, from Gorueo dynasty, and the harvest ceremony from ancient country of Korea, like the Yeonggo of Buyeo, Dongmaeng of Goguryeo, the October harvest ceremony from Samhan.

      • KCI등재

        고려 팔관회의 종교적 성격과 의미

        이원태(李沅泰) 한국도교문화학회 2009 道敎文化硏究 Vol.30 No.-

        겉으로 나타난 고려 팔관회의 의례만을 들여다보면, 왕권의 과시 내지 강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례로만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팔관회의 종교적 성격에 대해 민족고유의 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제천의식으로 보거나 불교 행사로 보는 두 견해가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교의 비본질적인 요소를 가지고 고려 팔관회를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한다. 고려 팔관회의 종교적 성격에서 불교의 비본질적인 요소를 걷어냈다고 하여 일련의 주장처럼 고려 팔관회가 곧바로 전통적인 祭天행사일 수는 없다. 본 연구는 고려 팔관회가 과연 제천행사였는가? 라는 질문을 다시 하고, 그에 실질적인 답을 하고자 한다. 고대 神敎의 제사는 迎神 ? 娛神 ? 神意 청취의 세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이 세단계의 과정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왕이 天神의 대리자임을 확인하고, 主祭者로서 지녀야 할 王의 神性을 담보하였다. 또 제사의 대상과 祭場이 갖춰졌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고려 팔관회가 祭天儀式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팔관회는 고려의 주체성과 자주성을 대표하는 국가행사이며, 그 팔관회를 팔관회답게 하는 것은 바로 百戱歌舞에 있다. 고려의 팔관회는 한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는 固有의 祭天儀式인 것이며, 그 정통성의 주요근거는 가무에 있다고 보았다. 가무를 통한 팔관회 의식의 극치는 저 하늘로부터 만물에 이르기까지 和氣가 두루 통하여, 저마다 喜悅의 충만함에 이르는데 있다. 고려 팔관회는 왕조의 시작과 함께 쇠퇴를 맞이할 때까지 유지하였던 국가행사였다. 불교가 신앙되고 중국도교가 행해지며 유학의 사상이 자리잡던 시대에 고려 팔관회는 고려의 중심을 지탱하던 것이었다. 그 중심에 神敎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