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크라우드소싱 배색 데이터 연구

        김은진(EunJin Kim),석현정(Hyeon-Jeong Su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좋은 배색을 탐구하였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일정한 배색의 규칙을 찾고, 이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정해진 규칙을 만족하는 배색을 조합하는 데에만 집중하여,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감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인지하는 감성과 트렌드를 반영한 배색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다수의 사용자가 직접 구성하고 평가한 크라우드소싱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 데이터를 분석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여러 개의 색이 어우러져 하나의 조합을 이루는 배색의 관계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다수의 배색테마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거시적인 발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에 Adobe Color CCⓒ에서 수집된 약 7천 여 개의 테마를 네트워크로 시각화하고, 근접중심성을 계산하여 전체 배색 네트워크에서 인기 있는 색상과 보편적인 색을 파악하였다. 또한 커뮤니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조화로운 배색을 제안하는 방법을, LIWC를 활용하여 테마명을 분석하여 감성과 상황에 맞는 배색을 제안하는 방법을 탐색하였으며,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studies on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have mainly identified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within a set of harmonious colors and approval of the relationship. However, such methods are not easily capable of creating a new color combination. Moreover, it hardly reflects the changes of trend. In this regard, we utilized the crowd-sourced data that the crowd created color combinations and assessed their preference for them. Approximately 7,000 color themes were collected from Adobe Color CCⓒ and utilized for a network analysis. The network analysis supports a quick and easy visualization of color data, and helps to quantify the universality of each color by a closeness centrality measure. We also applied a community detection and LIWC dictionary in order to explore a way of generating harmonious and affective schemes. The results shows that the crowd-sourced data might be a good source to suggest appropriate color schemes when combined with proper methods.

      • KCI등재

        꽃다발과 포장지 색채배색 분석

        강성순(Kang Sung-Soon),김정민(Kim Joung Min),왕경희(Wang Kyung-Hee)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2

        꽃다발 배색의 가장 큰 특징은 꽃을 묶어서 포장한 다음 꽃 상품으로 파는 디자인 과정의 색채계획 단계에서 식물이라는 자연소재의 특성으로 자유로운 배색의 한계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포장지를 비롯한 다양한 부자재 색채를 활용하고 있다. 꽃다발의 포장배색은 기능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차별화된 표현이며 소비자의 시각적이고 심미적인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플라워 상품 중 꽃다발의 포장지 색채배색연구를 위해 첫째, 플라워디자이너의 선호도가 높은 Flod지를 실험대상 포장지로 선정하였다. 둘째, 꽃다발에 적용할 형용사이미지언어 7개 (고급스러운, 우아한, 화려한, 낭만적인, 순수한, 환영하는)를 선정하고 이미지언어에 부합하는 꽃다발을 제작한 후, 전문가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미지 일치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꽃다발 포장지배색은 무채색 배색과 유채색 배색(동일·유사색상/색조) 두 가지로 나누어 비교했으며, 꽃다발은 주조색 영역, 포장지는 보조색 영역, 리본은 강조색 영역으로 배색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꽃다발포장 전?후 배색결과 7개의 꽃다발 형용사이미지언어를 각각 3개씩 자연줄기(A) 색채포장(B)무채색포장(C)21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꽃다발 포장지 색채분석 결과 보조색 영역으로 적용된 포장지배색은 대부분 동일?유사색상과 동일?유사색조로 주조색의 영역인 자연줄기 꽃다발 이미지에 맞춰 배색하였으며 강조영역인 리본은 유사?반대색상으로 배색하여 설문한 결과 자연줄기(A)와 무채색포장(C)배색보다 색채포장(B)배색 선호도 평균값이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꽃다발 형용사이미지효과는 포장을 하기 전 보다 포장을 하고나서의 이미지효과가 뛰어나도록 하는 것이 포장배색의 주된 목적으로 동일?유사색상, 동일?유사색조배색방법으로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는 배색 이미지를 일관되게 표현하였고, 이러한 꽃다발의 포장지색채배색의 이미지를 디자이너가 적극적으로 반영할 때 소비자의 선택폭이 넓어진다는 장점과 플라워 상품의 가치가 증대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for the hand tie bouquet design process that sells to flower commodities after characteristics of a nature material for problem to bump against at a limit of a color harmony to be free from color step of planning. so utilizing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color derived from wrapping paper in this solution ways in question. It is the sensible expression that it was discriminated visual of a consumer, and a wrapping color harmony of a bouquet plays a vital role to plans to be able to satisfy symbol. Flod, a kind of wrapping papers which is high in preference among flower designers in this study was chosen for color harmony of the wrapping papers which are used for the flower products. Seven adjective image words (Luxury, Elegant, Fresh, Gorgeous, Romantic, Pure, Welcoming) were chosen to apply bouquets, and images about bouquets In the wrapping papers" color harmony for the bouquets, the bouquets were wrapped with the color harmony of similar hue, the color harmony of similar tone and neutral color scheme. Also, the bouquets were matched with domain of dominant colors, domain of serve colors for wrapping papers, and domain of accent colors for ribb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the color harmony before and after wrapping the bouquets, the adjective image words for the 7 bouquets showed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21 bouquets-3 bouquets on each natural stem(A), colored wrapping(B), achromatic colored wrapping(C). As a result of the color analysis of the wrapping papers for bouquets, the color harmony used as a domain of serve color arranged with image of natural stem bouquets with most similar hues and tones in the domain of dominant color. As an accent domain, as a result of ribbons which arranged with similar and opponent colors, the average value of preference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the colored wrapping(B) than the natural stem(A) and achromatic colored wrapping(C).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of the color harmony for wrapping is to have excellent visual effect after wrapping. Accordingly, for the effect of the adjective images for the bouquets, the image of color harmony was neatly expressed with the way of color harmony for similar hue and similar tone. When designers actively reflect the image of wrapping color harmony for these flower products (bouquets), it is expected that consumers would have advantages to select from a wide range of products. Furthermore, the value of flower products would increase.

      • KCI등재

        원단종류에 따른 한복 전통배색의 이미지 차이 연구

        성지현(JiHyun Sung),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서구문물의 유입과 한복의 예복화로 인해 한복이 일상복으로 입혀지기 꺼려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한복 소재의 세탁 및 관리의 어려움이 대표적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서 면과 린넨 같은 현대 의복소재로 디자인한 한복패션이 유행함으로써, 한복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향이 제시되었다. 또한 한복의 매력적인 요소로 가장 많이 손꼽히는 전통배색을 이용한 현대의복소재를 사용해 한복의 기능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복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한복배색을 현대원단으로 제시하였을 때, 이를 전통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평가하고 현대화된 한복에 사용 가능한 현대원단과 전통배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한복배색과 한복에 사용되는 원단과 현대의복에 사용되는 원단 종류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이론적 연구를 진행한 후, 본 연구에 활용할 전통한복배색과 전통원단 및 현대원단들을 선정하였고, 이를 이용해 제작한 배색 샘플을 제시하여 배색에서 느껴지는 전통성과 감성이미지를 조사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후 연구결과를 배색종류별, 원단종류별, 원단표면특성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전통성과 감성이미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적배색, 황청배색, 백흑배색 순으로 전통적이라 느끼고, 갑사, 면과 같이 원단의 광택이 적고, 원사가 굵을수록 조화롭고, 자연적이고, 전통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녹적배색처럼 강한 대비가 특징인 전통배색들은 조화롭고, 수수하고, 단정할수록 전통성이 약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적 원단을 이용한 전통한복배색을 활용하여 한복의 전통성을 유지하며 현대화할 수 있는 방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ecause of western culture and formalization of Hanbok, the biggest problem is difficulty in washing and managing Hanbok material in this situation that Hanbok is less preferred to be worn as everyday dress. However, recently as Hanbok fashion designed with modern clothes materials as cotton and linen, etc. among 2030 generation, a direction to modernize Hanbok has been suggested. Also, there"s a necessity to improve the function of Hanbok by using modern clothes materials using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the attractive factor of Hanbok. Here, this research intended to evaluate the degree that people feel the traditionality of Hanbok when suggesting it in modern fabric with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and suggest modern fabric and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available for modernized Hanbok as a method to modernize Hanbok. For this, this research selected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traditional fabric, and modern fabric to utilize for this research after conducting theoretical research that investigated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 on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fabric used for Hanbok, and the kinds of fabric used in modern clothes, and conducted empirical study that researched traditionality and emotionality image in color arrangement by suggesting color arrangement sample produced by using this. Then,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each traditionality and emotionality image by classifying the research results into color arrangement type, fabric type, and fabric surface characteristic. As the result, traditionality was felt in order of green red arrangement, yellow blue arrangement, and white black arrangement, and harmonious and naturalness and traditionality were felt in order of the fabric with less gloss as cotton, and gapsa. However,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which has strong contrast as green red arrangement on characteristic, traditionality could be weakened when they are harmonious, simple, and nea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raditionality of Hanbok could be maintained and a direction to modernize it could be derived by utilizing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using modern fabric.

      • KCI등재

        성인남성의 내적특성과 의복배색선호의 상관관계

        임지영 ( Ji Young Lim ),김민채 ( Min Cha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남성복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성인 남성의 감성적 측면을 반영시키는 내적특성과 의복배색선호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다양하고 세분화된 남성패션시장에 객관적인 감성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자아이미지, 성격특성, 유행선도력, 의복배색선호로 구성되었고, 데이터 분석은 SPSS 1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자아이미지와 의복배색선호의 상관관계에서 평범하고 안전위주이고 한결같으며 군중속에 섞이고 생활스타일이 단순한 이미지인 남성은 톤 온 톤 배색과 유채-무채 배색을 선호하였다. 모든 자아이미지 변인에서는 톤 온 톤 배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격과 의복배색선호의 상관관계에서는 성격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마음이 굳은 편이며 실제적인 성격일수록 동일배색을 선호하였고, 지능이 우수하고 마음이 굳은 편이며 솔직한 성격 일수록 톤 온 톤 배색을, 내항적이고 소심하며 실제적인 성격일수록 톤 인 톤 배색을, 신뢰하고 실제적인 성격일수록 컨트라스트1 배색을, 소심하고 마음이 굳은 편이며 실제적이고 자신 있고 의존적인 성격일수록 유채-무채 배색을 선호하였다. 유행선도력과 의복 배색선호의 상관관계에서는 톤 온 톤, 톤 인 톤 배색을 선호하는 남성은 유행의사선도력과 의복의 자신감이 낮았고, 유채-무채 배색을 선호하는 남성 역시 유행의 사선도력이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objective emotional data to the diversified and subdivided men`s wear market by studying correlations among internal characteristics that reflect emotional aspects of adult men and preference to coloration of clothes as part of 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men`s wear market. Measuring tools of the study consist of self-image, personality, trend leading power and preference to coloration of clothes. SPSS 14.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data As for a correlation between self-image and preference to coloration of clothes,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ve common, safe-centered and consistent, mingling with a crowd and simple life style prefer the tone-on-tone coloration and chromatic color-achromatic coloration all self-image variables had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tone-in-tone coloration. In a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preference to coloration of clothes,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ve stable emotion, steady personality and practical mind prefer the same coloration those who have excellent intelligence, steady personality and honest prefer tone-in-tone coloration those who have reliable and practical mind prefer contrast1 coloration and those who have timidity, steady personality, practical mind, confidence and dependent mind prefer chromatic color-achromatic coloration. In a correlation between fashion leadership and preference to coloration of clothes,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ve low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confidence in their clothes prefer the tone-on-tone, tone-in-tone and also those who have low fashion opinion leadership prefer the chromatic color-achromatic coloration.

      • KCI등재

        사찰단청의 배색특성에 따른 공간 해석 연구 :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김리원,김주연,이종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3

        전통적 디자인의 해석은 한 나라의 문화를 가시적으로 표상하며 자국의 문화적인 정체성과 독창성을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위치하여 독창적이면서 자연스럽게 표출될 수 있는 진정한 우리 정서에대한 적극적 실험과 분석체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많은 학자들이 우리의 전통성과 정신성의 정서적 문화 연구를 위해 많이 거론하는 불교적 정서문화 중에서 사찰 배색체계의 고유적 가치특성을 배경으로 먼저 배색 추출을 위한 자연색체계(NCS)에 관한 이론과 배색분석을 위한 배색의 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7곳 사례의 현장답사를 통해 사찰건축을 구조별로 분류하였다. NCS Notation의 배색 평균화 과정을 정리하고 이를 외재적 배색 요소와 내재적 배색 요소 분석을 통해 조선사찰 배색체계의 통합적 특성을 찾고자 한다. 조선사찰의 외재적 특성은 엑센트적 조화, 색상중심의 흐름, 유희적 변화 등으로 나타내며, 내재적 특성은 투영적 확장성, 비경계적 볼륨성 등 공간언어로 해석되어 독창적 문화표상으로써 공간디자인의 상징적 역할을 기대 할 수 있다.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design represents a country's culture visually, its identity and creativity. It is necessary to have creative and active experiment and analysis system regarding our real emotion to express naturally to get the recognition internationally. Therefore, this research categorized building temples by a structure throughout the 7 site visits after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garding color scheme elements for theory and color scheme analysis on NCS to extract the color scheme with the background of innate value characteristics of temples coloration system among Buddhist emotional cultures. We organize the process of NCS Color scheme averaging and we will find an integral characteristic. The External characteristic of Joseon dynasty temple is accent harmony, hue gradation, hidden separation, enjoyable change. The internal characteristic of the temple is projected extensiveness, contiguous experience, eternity time. We can anticipate the role of implicit symbol of space design to show our identity and unique culture.

      • KCI등재

        노인의 색지각 특성에 따른 3색 배색 연구

        정현선 ( Chung Hyun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고령화 사회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실버산업은 소비 주체가 노인으로 바뀌어 가고, 사회 전체에 실버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실버용품 및 노인을 위한 디자인은 노인의 시지각적 특징이 반영된 감성적인 접근이 필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산업의 한 분야인 실버용품 및 노인의 시각으로 보는 3색배색에 대해 세부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3색 배색에서 색의 범위와 색조(tone), 배색기법이 어떻게 나타나지는지를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형용사별 3색 배색은 전체적으로 난색 계열 색상으로 배색하였고, 한색일 경우는 주로 선명한, 밝은 색조(tone)로 구성된 배색들이 많았다. 대부분의 색상배색은 유사색상배색과 반대색상배색으로 색상이나 톤 차이가 명확히 구분이 되는 배색들이 많았다. 둘째, 배색 이미지스케일에서 ‘맑은’ 이미지에서 파랑 색상을 선명하거나 밝은 톤으로 배색하였고, 주황, 노랑 색상은 선명하거나 밝은 톤의 배색으로 중명도/고채도의 난색과 한색을 함께 배색하였다. ‘은은한’, 이미지에서는 주황, 노랑, 초록의 색상으로 고명도/저채도의 밝은 톤과 엷은 톤으로 배색하였다. ‘고상한’이미지는 한색계통의 밝거나, 부드러운, 밝은 회색의 고명도/저채도의 톤으로 배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던한’ 이미지는 유사색상배색과 반대색상배색으로 중명도/고채도의 선명하고, 밝고, 진하고, 어두운 톤으로 배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공통점은 색상배색은 유사색상 배색과 반대색상배색으로 배색하였으며, 중명도/고채도가 많았으며 색조(tone)에서는 아주 어두운 톤보다는 대부분 선명한 톤의 배색과 밝은 톤 배색들이 많았다. 또한 3색 배색에서 가운데 부분은 색상차가 큰 배색들로 선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버산업 및 실버 용품으로 노인이 사용함에 주체가 되는 색채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추후 노인을 위한 색채 계획에 대한 기초적 자료로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Korea, where an aging society is spreading rapidly, the silver industry has been turned into an elderly consumer and the silver industry has been activated throughout society. Especially, the design for silver goods and the elderly is a field that needs an emotional approach that reflects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get a closer look at the three-color scheme of silverware, which is one of the fields of the silver industry, and the sight of the elderly. We analyzed the color range, tone, and color scheme in three color schemes for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using current surveys and 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 color scheme of the adjective was colored in the color of the overall warm color system. In the case of a single color, the color scheme consisted mainly of a vivid, light tone. Most of the color schemes have many colors that clearly distinguish the color or tone difference with the similar color scheme and the opposite color scheme. Second, in the color image scale, Blue color is vivid or light tone in “clear” image, and Yellow Red and Yellow colors are bluish/light in color with light/pale color with light or pale tone color. In the images, the colors are Yellow Red, Yellow, and Green, and the colors are light and pale with high brightness/low saturation. The ‘noble’ image was found to be colored with light, soft, light gray high definition/low saturation tones of a single color system. The ‘modern’ image was found to be vivid, brighter, darker, and darker tones of medium/high borders with similar color and opposite color. In general, the color scheme is the same as that of the similar color scheme and the opposite color scheme. In the case of tonality, most of the colors have a vivid color tone and a light tone color rather than a very dark tone. Also, in the three-color scheme, the middle portion was selected to have a large color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as a basic data for the color plan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by conducting the color research which is mainly used for the elderly as the silver industry and silverware.

      • KCI등재

        국내 남성복에 나타난 색채 및 배색특성에 대한 연구

        박상아(sangah Park),양수현(soohyun Yang),방민서(minseo Bang)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국내 남성복의 트렌디한 색채 특징을 분석하고 배색특징을 시즌별과 연도별, 아이템별로 살펴봄으로써 배색트렌드를 파악하여 남성복 색채기획의 기초가 되는 실증적인 대표 색채 정보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2011 S/S부터 2012 F/W까지 서울컬렉션에서 참가한 남성복 브랜드 15개로 한정하고 컬렉션 사진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의 선정기준으로 상의와 하의 구성의 2pcs, 상의와 하의, 아우터 3pcs의 아이템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남성복 컬렉션의 색채 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색상 분포의 특성은 무채색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다. 시즌별로는 S/S가 F/W보다 고명도의 색채의 비중이 높은 계절적인 특징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2012년도에 다른 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PB가 많이 활용되었다. 색조와 무채색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컬렉션의 색조 분포는 무채색과 회색조가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S/S보다 F/W에 저명도 색채 비중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2012년도에 무채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특징을 보였다. 국내 남성복 컬렉션을 색상 중심으로 배색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교적 고른 색상 분포를 나타냈다. 시즌별, 연도별에 차이가 있었으며, 아이템별로는 2pcs에서 대조색상 배색, 3pcs는 동일색상 배색의 경향을 보였다. 색조를 기준으로 한 배색을 분석한 결과, 유사색조 배색과 대조색조 배색이 높은 비율을 보여 국내 남성패션에서 이와 같은 배색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이템별로 2pcs는 대조색조 배색, 3pcs에서는 유사색조 배색 경향이 있었고, 시즌별, 연도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국내 디자이너 남성복의 경우 시즌별, 연도별, 아이템별로 모두 배색경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아이템별 특성은 아이템의 수가 적을수록 대조적인 색상과 색조 배색의 활용 빈도가 높았으며, 아이템의 수가 많아질수록 동일, 유사 색상과 색조 배색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endy colors of men"s wear in Korea and observe the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by season, year, and item to identify the color scheme trends and propose empirical and representative color information that can serve as the basis for color planning in men"s wear. The study limited the subject to 15 brands of men"s wear that were part of the Seoul Collection from 2011 S/S to 2012 F/W and gathered photo data of the collection. As the selection basis for analysis, it consisted of top and bottom 2pcs, top and bottom, and outer 3pcs items. Analysis results of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en"s wear collection are as follows. There was a higher ratio of achromatic colors for the overall color scheme. By season, there was a seasonal characteristic of higher proportion for brighter colors in S/S rather than F/W. By year, PB was used much more in 2012 in comparison to other yea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one and achromatic color distribution, the collection"s tone distribution showed a higher ratio of achromatic and greyish colors, while by season, F/W showed a characteristic of having higher proportion of less brighter colors than S/S. By year, 2012 showed characteristic of having higher proportion of achromatic colors in comparison.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focused on colors of domestic men"s wear collection, a fairly even color distribution was shown. Differences did exist by season and year, while for item, trends of contrast color schemes were seen in 2pcs and same color schemes in 3pcs.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color schemes based on tones, there was higher proportion of similar tone and contrast tone color schemes, which showed such color schemes were being widely used in domestic men"s wear fashion. By item, 2pcs showed trends of contrast tone color scheme while 3pcs showed trends of similar tone color schemes, a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y season and year. Thus, the results showed there were varying trends of color schemes by season, year, and item for domestic designer men"s wear. Characteristics by item, in particular, showed contrasting color and tone color schemes being used more often when there were in 2pcs items, while same and similar color and tone color schemes were being used more often when there were in 3pcs items.

      • KCI등재

        대조와 유사색 배색방법을 이용한 아이 쉐도우 색상자극의 뇌파와 감성반응

        김민경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8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6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color arrangement on faces using a color application method for eye shadow: the contrast and similar color arrangement. Methods: Three kinds of eye shadows were applied on 30 participants (women in their 20s) with no eye make-up eyes (Non), depending on the contrast and similar color arrangement, method respectivel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brain waves (CVBs) and corner frequencies (SEF50, 90)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ir brain waves as well as the scale values of eight pairs of emotional adjectives by introducing the average preference index (API). Statistical analysis of EEG and emo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followed by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test with Tukey's test at 95% confidence level. Results: Both concentration and awareness index, β, and γ wave, of the contrast color arrangement of eye shadows were entirely more activated than the similar color arrangement with an especially, high increase for the black/ white color arrangement. The activity was also stronger for the red-purple/blue color arrangement, among the similar color arrangement stimulation. The contrast color arrangement was commonly evaluated as hard, strong, and heavy, while the similar color arrangement was also commonly evaluated as soft, dynamic, feminine, brilliant, and bright. As the contrast of eye shadow and API reaction of similar color scheme were evaluated as positive (+), the degree of activity of β wave was small. Conclusion: The results of brain wav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e color arrangement of eye shadows supposedly played an assistive role in producing effective images and improved interface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quantitative DB of effects of eye shadow color arrangement. 목적: 색상 적용방법인 대조와 유사색 배색방법을 아이 쉐도우 색상에 적용하여 배색에 따른 얼굴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기본형의 아무런 색을 입히지 않은 눈(Non)에 아이 쉐도우를 대조와 유사색 배색 으로 각각 3 가지씩 제작하여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뇌파는 뇌파변동계수(CVBs)와 모서리주파수(SEF50, 90)로 분석하였고, 8 개의 감성 형용사 쌍의 척도 값을 평균 선호도 지수(API)로 감성평가 하였다. 뇌파와 감성평가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고, 95% 신뢰수준에서 Tukey's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하였다. 결과: 아이 쉐도우의 대조 배색은 유사색 배색보다 전반적으로 집중과 각성지표인 β파와 γ파가 활성 되었으며, 특히 B/W 배색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유사색 배색 자극 중 RP/B 배색에서 β파와 γ파의 활성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대조 배색에서 hard, strong, heavy로 평가되었고, 유사색 배색에서는soft, dynamic, feminine, brilliant, bright한 공통적인 반응을 보였다. 아이 쉐도우의 대조와 유사색 배색의 API는 β파와 반비례 관계였으며 API 반응이 양(+)으로 평가될수록 β파의 활성 정도가 작았다. API 반응결 과는 톤이나 색상 차이가 클 경우 negative로 평가되었고, 유사색 배색은 positive로 평가되었다. 결론: 아이 쉐도우의 배색 방법에 따른 뇌파와 감성반응 결과들은 아이 쉐도우 색상에 배색방법에 따라 얼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인 DB로 구축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이미지 연출과 인터페이스 개선에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패키지 디자인 배색에 따른 단맛 연상 연구

        박재령(JaeRyung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연구에서는 단맛 제품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 배색이 단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단맛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시 배색 적용에 관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KS 기본색 15색을 2색 배색한 샘플을 제작하여 이에 대한 패키지 디자인 배색의 단맛연상도를 알아보는 설문을 진행 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Pk, Y 배색의 경우 단맛을 연상시켰다. Pk 배색의 경우 가장 강하게 단맛이 연상되었고, Wh 또는 난색계열인 R, Y, YR와의 배색 시 강한 단맛의 연상을 보였다. 반면 BG, PB, Gy, Bk의 배색 경우 쓴맛이 연상되었다. Bk 경우 가장 강하게 쓴맛이 연상되었으며, Gy 또는 한색 계열인 BG, PB와 배색시 강한 쓴맛의 연상을 보였다. RP, YR, Wh, R, P, YG, Br, B, G 배색의 경우 단맛과 쓴맛을 제외한 그 외의 맛 혹은 맛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연상하였다. 실험분석 결과를 통해 2색배색시 특정 단색이 갖고 있는 단맛 연상도가 패키지 디자인 배색의 단맛 연상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단맛이 연상되는 단색 색상들의 배색시 단맛연상도가 높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가장 강한 단맛 연상이 일어난 패키지 배색은 Pk와 Wh의 배색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단맛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시 배색에 따른 단맛연상도를 고려하여 제품의 효과적인 이미지 전달에 기여할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복 유형에 따른 선호배색 비교연구

        김선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세부터 49세까지의 성인 남 · 여 360명을 대상으로 한복유형에 따른 한복색과 배색의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고자 설문지와 자극물을 이용한 조사연구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마와 저고리를 기본으로 구성되는 여자한복을 전통한복과 생활한복 유형으로 나누어 한복배색에 관한 전통성 인지도와 배색선호도에는 한복의 유형별로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PC+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분석방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 산술평균,t-test, ANOVA 및 사후검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느낌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한복색명에 대한 개념을 평가 결과 연령별, 성별 집단 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 다홍색과 색동이 가장 높은 전통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복의 색명에 대한 연령별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까지 색상(녹색, 옥색, 다홍색, 송화색, 남색, 자주색, 색동)에 대해 연령별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배색의 전통성 평가를 위해 자극물로 제작된 전통한복과 생활한복 두 유형에 적용된 14가지 배색물을 평가한 결과 녹색과 다홍색, 송화색과 남색, 옥색과 남색, 황색과 남색 배색에 대해 전 연령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 한복 유형에 따른 배색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14가지 배색 가운데 까지 배색(연분홍남색, 녹색-다홍, 황색-다홍, 옥색-남색, 옥색-자주, 옥색아청,색동2-다홍)에 대해 연령별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한복디자인의 배색 사용의 중요성과 소비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 및 마케팅 분야에 기초자료 제시함으로서 한국의 대중화와 한복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고 한복업체의 디자인전개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한복디자인과 한복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