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 O. Pang의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론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5 No.1

        배려 중심 접근법은 교육에 있어서 사람 중심적이고 문화 중심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Pang은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원리는 홀리스틱 관점을 취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에서 교수 활동은 전인(whole person)을 길러내는 것인 동시에 교수 활동은 분리된 기능의 합이 아니라 하나의 종합적인 과정이다. 배려에 중심을 둔 다문화교육 패러다임은 기존의 다문화교육과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① 배려 패러다임은 공동체와 자아를 위한 배려를 사회ㆍ경제적 정의와 변화를 위한 토대로 설정한다. ② 배려 패러다임은 초점을 교사에서 학습자로 이동시킨다. ③ 배려 패러다임은 문화가 상이한 현실(예: 앎의 양식)을 어떻게 대변하는지를 설명한다. ④ 배려 패러다임은 학습자와 교사의 상호연관성에 기반을 둔다. ⑤ 교수ㆍ학습은 사회적 과정이다. ⑥ 교사와 학생 모두 학습에 대한 책임을 갖고 있다.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의 실천은 여섯 가지 차원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배려 윤리를 이해하는 것, 편견과 차별을 조사하여 제거하는 것, 문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수 활동을 활용하는 것, 배려와 정의를 교수 활동 및 학교교육에 통합하는 것, 교실 및 학교 변화를 계획ㆍ실행하는 것이다. The best educational practices are those that acknowledge and nurture every aspect of a student's being-the physical, emotional, social, cognitive, ethical, and spiritual. If this assumption is righ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also be holistic. Based on this assupmtion, this study tried to delve into Pang's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books and papers that deal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fundamentally have great emphasis on the sociopolitical nature of multicultural issues. Unlike most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is built upon the importance of building trusting relationships and understand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learning. In this regard, a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is holistic. Accoring to Pang, the key principles of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is its holistic perspective. Not only is teaching seen withi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person, but also teaching is seen as a comprehensive process.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encourages teachers to address student individual needs within community and cultural contexts. It is not a style of teaching or a specific personality type, but is a philosophical orientation that focuses on relationship build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context. It values students and sees learning occurring with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a teacher has made an ethical commitment to her/himself to create strong lines of communication with her/his students and to affirm the cultural background of students.

      • KCI등재

        배려윤리의 초등 도덕과교육에의 적용방안

        박병춘(Park Byung-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배려윤리는 기존의 인지도덕발달이론의 성적편견과 이론적 편협성을 비판하면서 등장하였다. 배려윤리는 정의와 권리, 독립성과 자율성과 같은 합리적 도덕성을 중시한 인지 도덕발달이론과는 반대로 배려와 책임, 상호의존성, 관계성과 같은 도덕성의 감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배려윤리학자라 할 수 있는 길리간과 나딩스는 두 도덕성을 배타적이라기보다는 상호보완을 필요로 하는 불완전한 이론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은 두 도덕성을 통합적으로 함께 발달시킨 사람을 양성하는 것을 도덕교육의 목표로 설정할 것과 남녀모두에게 배려윤리에 관한 내용을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배려 윤리학자들의 주장을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해 보는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길리간과 나딩스의 배려윤리를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배려윤리를 도덕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배려윤리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상적인 도덕적 인간상을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배려와 정의 도덕성의 내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교과내용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효율적인 도덕과 교육을 위하여 배려윤리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도덕교육에 적극 도입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lluminate the implications of care ethics in terms of moral education and to apply it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was focused on Carol Gilligan and Nel Noddings's care ethics, finding out some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care ethics. Moral education should set up a educational goal of producing moral persons balancing justice and care in their morality in the form of integration and constitute the contents of enlarging care ethical perspective, introduce an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are ethics into present moral education for effective mo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배려 중심의 홀리스틱 교육과정과 수업 방법

        송민영(Song, Min You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3 No.1

        이 논문에서는 현 사회적인 상황과 함께 그 의미가 한층 중요시되고 있는 배려교육론과 그의 실천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먼저 Noddings의 배려교육론에 대해 '배려 실천으로서의 교육, 배려 윤리와 교사의 역할, 배려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홀리스틱 교육 구조와 배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홀리스틱 교육과 교수-학습 방법, 배려와 홀리스틱 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홀리스틱 배려의 특징으로 '전심, 동기부여의 전이, 배려 받는 측에서의 응답'에 대해 제시하고, 배려하는 교사의 조건으로 '포용'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즉 홀리스틱 교육에서 제시하는 세 가지 키워드, ‘관계성(connection)’ '조화(balance)'와 '포용․통합성(inclusiveness)'을 갖고 홀리스틱 교육과 배려가 추구하는 교육의 방향의 유사성을 설명하였다. 셋째, 배려 중심의 홀리스틱 수업방법으로 Noddings가 배려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모델링(modeling)과 대화(dialogue)의 기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NLP(신경언어프로그래밍: Neuro-Linguistic Programming) 기법을 활용한 모델링 수업 및 홀리스틱 임상교육(臨床敎育)'을 활용한 실천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Caring is raised by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holistic education by one of the most basic time with a recovery of continuing and spirit. The North American philosophy in education person taking charge of an edit commissioner on “Holistic Education Review(To change to Encounter from 1998.)” paper by the 1st person of ‘Caring pedagogy’, too proposes correcting scholastic in general and an educational existence system fundamentally by the point of view by which Nel Noddings calls you Caring and reorganizing education as practice of Caring. By writing, present, Caring where its meaning is esteemed further as well as the social situation, I searched to educational theory and his practice casting plan. Its meaning as well as the present social situation searched more this manuscripts to esteemed caring educational theory and the practice casting plan. First, it was checked to curriculum of education as caring practice, caring ethics, the role of the teacher and the caring center to caring educational theory of Nel Noddings. The second was analyzed to holistic educ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caring, the condition(inclusion) of the teacher who makes professor learning method, the condition of the caring as relationship and the caring(devotion, move of motive giving and reply on the side where care is received) and the care holistic education. Thirdly, the practice method for which NLP technique, image work and holistic clinical education' were utilized to holistic class way and a case in the caring center where a modeling and a dialogue were utilized.

      • KCI등재

        Valerie O. Pang의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론

        추병완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5 No.1

        배려 중심 접근법은 교육에 있어서 사람 중심적이고 문화 중심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Pang은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원리는 홀리스틱 관점을 취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에서 교수 활동은 전인(whole person)을 길러내는 것인 동시에 교수 활동은 분리된 기능의 합이 아니라 하나의 종합적인 과정이다. 배려에 중심을 둔 다문화교육 패러다임은 기존의 다문화교육과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① 배려 패러다임은 공동체와 자아를 위한 배려를 사회ㆍ경제적 정의와 변화를 위한 토대로 설정한다. ② 배려 패러다임은 초점을 교사에서 학습자로 이동시킨다. ③ 배려 패러다임은 문화가 상이한 현실(예: 앎의 양식)을 어떻게 대변하는지를 설명한다. ④ 배려 패러다임은 학습자와 교사의 상호연관성에 기반을 둔다. ⑤ 교수ㆍ학습은 사회적 과정이다. ⑥ 교사와 학생 모두 학습에 대한 책임을 갖고 있다.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의 실천은 여섯 가지 차원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배려 윤리를 이해하는 것, 편견과 차별을 조사하여 제거하는 것, 문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수 활동을 활용하는 것, 배려와 정의를 교수 활동 및 학교교육에 통합하는 것, 교실 및 학교 변화를 계획ㆍ실행하는 것이다. The best educational practices are those that acknowledge and nurture every aspect of a student’s being-the physical, emotional, social, cognitive, ethical, and spiritual. If this assumption is righ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also be holistic. Based on this assupmtion, this study tried to delve into Pang’s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books and papers that deal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fundamentally have great emphasis on the sociopolitical nature of multicultural issues. Unlike most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is built upon the importance of building trusting relationships and understand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learning. In this regard, a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is holistic. Accoring to Pang, the key principles of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is its holistic perspective. Not only is teaching seen withi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person, but also teaching is seen as a comprehensive process.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encourages teachers to address student individual needs within community and cultural contexts. It is not a style of teaching or a specific personality type, but is a philosophical orientation that focuses on relationship build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context. It values students and sees learning occurring with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a teacher has made an ethical commitment to her/himself to create strong lines of communication with her/his students and to affirm the cultural background of students.

      • KCI등재후보

        홀리스틱 교육에서 배려의 적용 가능성

        김수동(Kim Soo Do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8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2 No.2

          이 논문은 홀리스틱 교육에서 배려를 적용하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검토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배려와 홀리스틱 교육과의 관계를 먼저 이해했고, 다음은 홀리스틱 교육에서 배려 실천을 논의했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배려는 학교현장에서 여성적 관점과 남성적 관점의 조화ㆍ균형을 이루게 하며, 상대방의 필요와 바람을 중시하는 치유의 패러다임을 촉진한다. 홀리스틱 교육을 실천함에 있어서 양성평등의 리더십인 배려는 개인과 조직이 원하는 비전과 목표를 실현시키고 변화를 일으키는 힘으로 기능한다. 배려는 홀리스틱 교육의 목적인 행복을 창출하는 데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배려에 따른 종교?예술?문학 등의 경험적 활동들은 관계성을 증진한다. 또한 건강ㆍ여가ㆍ봉사 등을 학습, 실천하며 매력ㆍ영성 등을 증진하는 배려 활동들은 홀리스틱 교육의 효과성을 높여 준다. 그리고 지식을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지원하며 유연하게 조직의 재구조화를 지향하는 일은 홀리스틱 교육에서 배려를 정립하고 확산하는 적절한 방법이다. 홀리스틱 교육에서의 배려는 학교를 가정처럼 행복한 곳으로 만드는 데 한층 기여하는 적절한 과정과 방법이라는 점이다.   The emphasis of caring can make to promote the paradigm of healing considered the needs and wants of members in holistic education. And Caring as feminine leadership with moderation that is the gentle power to change the world can actualize effectively the vision and purpose that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expect in the practice of holistic education. Also it is anticipated that caring will raise the synergy’s effect in order to make the happiness that is the aim of schooling. I think every member of holistic schools to go toward and apply caring prefer joy and fun that are factors of happiness to rule and duty. I believe caring promotes collaboration than competition, active than passive, fusion than segregation, concretion than abstraction in holistic education. I propose that holistic education of future is connected with the spread of caring above all. The capacity of caring is acquired by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ve activity to improve the grace and the spirituality connected with religion, art, literature, service, leisure, health. And to share the knowledge, to support networking, and to reconstruct the system flexibly is the proper method to maintain and diffuse the caring in holistic school. In short, especially by the application of the caring we can form and create the school as the happy place of joy and fun like home in holist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나딩스의 배려이론이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갖는 함의

        문경희 ( Kyeong Hee Moon ),남영숙 ( Young Sook Nam ),김기대 ( Kee Dae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이 학습자로 하여금 환경적으로 건전한 가치를 함양하게 하고 환경과의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나딩스의 배려이론의 문헌 고찰을 통하여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적용할수 있는 세 가지 교육적 원리를 도출하고 각각의 원리가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갖는 함의를 탐구하여 배려이론을 토대로 하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의 함의을 모색하였다. 나딩스의 배려이론에서 도출한 첫 번째 교육적 원리는 포함이다. 포함은 모든 교육활동에 기초가 되는 교사와 학생과의 배려 관계 형성을 위한 원리로, 포항의 원리는 환경가치교육자로 하여금 학생을 전적으로 수용하여 배려 관계를 깊게 할 것과 학생이 현재 환경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교육의 출발점요로 삼을 것을 요청한다. 두 번째 원리는 상호성이다. 상호성은 깊은 배려 관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지속하기 위한 원리로 상호성의 원리는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피배려자이나 환경과의 관계에서는 배려자인 학습자로 하여금 교사의 배려에 반응하여 배려 관계 유지에 기여할 것과 환경감수성을 개발하여 환경의 배려자료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것을 요청한다. 세 번째 원리는 관계적 자아의 개발이다. 관계적 자아는 배려 관계를 열망하는 자아에 대한 비전으로,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관계적 자아는 자신과 깊은 배려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교사의 영향을 받아 형성 발전한다. 따라서 과ㅏ 는 환경의 배려자가 되어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관계적 자아의 개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가치교육자이자 학생의 배려자인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일차적인 피배려자이자 환경을 위한 궁극적인 배려자인 학생의 위치에 대한 이해를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의 방향을 교사와 학생과의 배려 관계 기초한 학생과 환경과의 배려 관계 형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이 학습자의 인격적인 성장을 통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행위자를 육성하게 한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ree educational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literature reviews on Noddings` care theory, to research implications of each principle in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esent its directions based on the care theory. The first principle induced from Noddings` care theory is "inclusion" a principle to form ca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at is the basis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The second principle is "reciprocity" a principle that maintains and retains the completed caring relationship. The third principle is "the development of a relational self", which is a vision for self aspiring caring relationship, formed and developed by effects of teacher``s attitude who completes caring relationship with students.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the carer of environment to become a role model positivel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a relational self by a learner on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teachers as the carer of students and the givers of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and the position of students as the primary cared-for and the ultimate carer on environment, and sought th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s formation of car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environment based on ca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sters environmentally sound doers by personal growth of leaners.

      • KCI등재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배려윤리 요소 반영 방안

        김혜진(Kim, Hye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는 배려윤리의 의미와 구성요소를 재정의하고,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배려윤리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배려윤리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기존 도덕과 배려윤리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까지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및 평가,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배려윤리 요소 반영을 위해 ① 성격·목표·내용 체계와 관련하여 ‘배려’개념 재정의와 범위 설정의 확대, ② ‘배려적 사고하기’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제시 필요, ③ ‘배려윤리’를 실천할 수 있는 내러티브 수업방식 및 5C 배려활동과 같은 구체적인 수업 방법 안내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데 있어 ‘배려윤리’와 관련한 체계적인 내용 요소 및 교육 방법을 구성하는데 기초 연구로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thics of care education in the new ethics education curriculum by redefining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the ethics of care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thics of care education in the existing ethics education curriculu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thics of care education in the existing ethics education curriculum, the nature, goals, content system, and teaching/learning, evaluation,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teaching of ethics education curriculums from the period of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separately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s such, in order to reflect the elements of the ethics of care in the new ethics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d ① Re-defining the concept of ‘care’ and expanding the scope setting in relation to the nature, goals, and content system, ② The necessity to present a concrete method of ‘caring thinking", ③ Guidance for narrative teaching methods that can practice the ‘ethics of care" and concrete teaching methods such as 5C care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ethics of care’-related systematic content elements and educational methods when revising the ethics education curriculum hereafter as a basic study.

      • KCI등재

        여성주의적 배려윤리의 도덕교육적 의미와 가능성

        박미랑 ( Mee Rang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사회 집단 간에 다름의 문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전통적 도덕교육이론인 정의윤리에 근거한 도덕교육이론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는 배려윤리 중 여성주의적 배려윤리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방향과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의윤리적 도덕교육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한 후 여성적 배려윤리와 여성주의적 배려윤리로 구분되는 배려윤리의 도덕교육의 특성들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정의윤리, 여성적 배려윤리, 여성주의적 배려윤리에 근거한 도덕교육이론들이 다름과 공통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조화시키고자 하는지를 분석하고, 교육적 관계와 교육적 의사소통은 어떠한 형태를 지지하는가를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여성주의적 배려윤리를 기반으로 하는 도덕교육이 다름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관계 및 교육적 의사소통을 위한 역량과 태도를 개발하는 데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과 배려가 사적 영역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공적 영역에까지 확장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ustice ethics, feminine care ethics and feminist care ethics of mor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h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feminist care ethics of moral educ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feminine care ethics and feminist care ethics in moral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and provided by each theory has been discussed. Feminist care ethics of mroal education suggests to understand differences and commonality, educati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The body of this paper is outlined as follows: Justice ethics of moral education are examined with differences and commonality, educational realtions and communication. Feminine care ethics of moral education are examined with differences and commonality, educational realtions and communication. The ethical practices of care ethics of moral education is criticized through feminist care ethics with differences and commonality, educati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The research concludes with some of the implications that feminist care ethics can offer to the moral education in understanding difference, educati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For instance, feminist care ethics of moral education argues for the universalizability of balances between differences and commonality. This perspective has implications to respect individual differences and unify specific differences in applications moral education theories and practices. Furthermore, feminist care ethics of moral education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shoud be reciprocal in the context of balancing care and reason. Feminist care ethics of moral education also suggests that the communication attitudes toward differences should include openness, negativity, and reflection in the context of balancing care and reasoning. Additionally, it increases the universalizability of agreement in different convers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intends to demonstrate how feminist care ethics can offer us a powerful way to reconceive the paradigmatic shift in current moral educational theroy and to allow us to move towards a more justice and caring society.

      • 통합예술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박경주,최경숙,권이정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전인적 인간의 형성을 위해 과학적 이성 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감각과 감수성이 요구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교육이 사물에 대한 탐색과정에서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다른 아이들과 상호작용하고 협동하는 경험을 통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는 통합예술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로 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N시에 위치한 N 유치원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 51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배려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Lipman(200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 유형 및 특성을 기초로 이춘희(2007)가 구안한 교사용 유아의 배려적 사고 관찰척도를 적용하였다. 검사 실시 방법은 배려적 사고 영역의 각문항에 대하여 각 반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평소 생활 모습 중에 배려적 사고가 언어적 표현과 행동을 나타낸 것을 관찰하여 제시된 기준에 따라 평정하도록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는 2017년 6월 5일부터 2017년 7월 28일 까지 매주 2회 총 8주간 진행되었다. 실험기간동안 실험집단은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 제에 따른 단위활동으로 신체표현, 음악, 미술 활동이 이루어졌다.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유아의 배려적 사고 검사도구를 통하여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대한 동질성을 확인 한 후 실험처치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 실시 하였다. 사용된 검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료분 석은 SPSS 18K를 통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예술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통합예술교육을 실시한 결과 사전 검사에서 배려적 사고 점수가 유사하던 수준은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점은 통합예술교육을 통해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가치 부여적 사고, 규범적 사고, 정서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 행동적 사고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즉유아들은 자신들의 표현에 대한 감상 및 평가를 하면서 활동한 결과물을 소중히 여기며 가치를 부여하는 가치부여적 사고, 일정한 틀 속에서 친구들과 함께 예술표현을 하면서 친구들과의 관계형성에 필요한 규범적 사고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함께하는 활동 속에서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정서적 사고가 성숙하게 되었으며, 고려하기. 성원하기.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기 등 감정이입적 사고와 끝으로 어려움에 처한 유아를 돕고자 하는 행동적 사고가 향상되었다.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통합예술교육을 실시하면서 유아들 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과 협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의 통합 예술교육은 유아들이 직접 상호작용하며 도움을 주고받는 경험을 통한 인성교육에 효과적 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launched in that artistic sense and sensitivity as well as scie ntific reason were demanded to nurture and educated the whole-person suitabl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was to examine how integrated arts program affects the caring thinking of young children by stimulating the ar tistic sense and sensibility of human beings through creative expressions and en hancing the ability of interaction and cooperating. According to the purport of this study, a leading research question was summar ized as follows: How integrated arts program affects the caring thinking of youn g children?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as fifty one infants of two five year old classes of N preschool located in N city of Chungcheongnam-do (twenty five children for an experiment group and twenty six children for a control group). In order to m easure the caring thinking of infants, the standard to observe caring thinking of infants for teachers proposed by Lee, Choon-Hee was used. This standard was set up based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 of caring thinking proposed by Lipm an (2003). As a testing method, the homeroom teacher of each class observed h ow the caring thinking of infants were expressed through language and behavior s in their daily lives and rated them according to standards and questions sugge sted. The testing was conducted from June 5 th of 2017 to July 28 th of 2017, twice pe r every week for eight weeks. During the testing period, the integrated art prog 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physical expressions, m usic and art activities as unit activity according to their life theme. were given t o the control group. Before implementing the integrated arts program, the equivalence of the caring t houghts of infants was verified through testing tools and then the program was appli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r the credibility verificati on of the testing tools and t-test for the two independent samples were conduct 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8.0K. The finding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s belows; The integrated arts program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caring thinking of infants. While a preliminary test showed a similar level of caring thi nking among the group, post-test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ere implemented showed a significant result statistically. It had definitely effects on the sub-facto rs of caring thinking including value attaching thinking, normative thinking, emo tional thinking, empathetic thinking and behavioral thinking. The appreciation an d evaluation of the expressions of infants using creative expressions led infants to build value attaching thinking among them, and their artistic expressions mad e with friends in a certain form enhanced their normative thinking which was d emanded for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Furthermore, while they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activities, they developed emotional thinking to build intimate rel ations, empathetic thinking to accept others including considering, supporting, an d caring as well as behavioral thinking to help other children with difficulti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rough the integrated arts program natural interactio n and cooperation arisen among the infants had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caring thinking. It implied that the integrated arts program let children to interac t one another and help each other, which was effective in personality education.

      • 제4장 나딩스(Nel Noddings)의 배려교육론 -유아교육과 교사교육 중심으로-

        이명신 ( Myung Sin Lee ),권충훈 ( Choong Hoon Kwon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현대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나딩스(Nel Noddings)의 ``배려교육론``을 연구함으로써 교육에서 배려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려교육의 실제적 적용 가능성을 유아교육과 교사교육의 차원에서 탐색하였다. 나딩스는 길리건(Gilligan)의 배려윤리를 더욱 발전시켜 배려윤리가 정의윤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나딩스가 주장하는 배려윤리는 관계의 윤리이고 상호성의 윤리이다. 배려는 행복과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갖는다. 사람들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은 보편적 현상이기 때문에 좋은 교육은 개인과 집단의 행복에 기여해야 하고, 이는 배려의 확장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배려교육론의 관점에서는 합리성의 추구보다는 배려의 유지 및 강화를 도덕교육의 목적으로 강조한다. 나딩스가 주장한 배려의 연속성과 이타적 성향의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배려교육은 유아 교육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기의 배려교육에서는 부모가 타인에게 배려하는 것을 모범적으로 보여주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한편, 교사 양성과정에서 배려는 학생에 대한 지식, 협동학습,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 개인차 중시, 학생과의 관계를 나-너의 관계로 유지함 등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다. 교사는 자연적 배려에서 윤리적 배려로의 승화라는 윤리적 이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배려를 실천해야 하며 이와 같은 배려는 연속성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의 초점을 배려에 두고 학생들을 수단이 아닌 목적 그 자체로 대우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부족한 현대교육에서 ``배려``의 의미를 재검토하고, 자신과 타인이 배려를 받을 수 있는 교육의 중요성을 논구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gnize the value of care in education, and to build theoretical bases needed for practice by examining Noddings` care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care education was investigated by dimensions of infancy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Noddings` care education is adapted from Gilligan`s ethics of care. She asserted the ethics of care to alternative ethics of justice. Noddings intends to imply in her ethics of care the ethics of relation and reciprocity. Caring can be analyzed as the concept of tendency toward happiness. Because it is a universal situation to want to be happy, good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a private individual and group. This is realized by the extension of care. From a view of care continuity and cultivation of altruistic disposition, caring education should start from infancy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infancy caring education, parents themselves should take equal care of their children and show them their caring for others. A teacher should practice ethical ideals which sublimate natural caring in ethical caring. Moreover, care should be maintained. The educational purpose here should be directed to the realization of ethical ideals. Students themselves should be treated as a purpose not a means of education. It is designed from the philosophical view to review the meaning of ``care`` in modern education, which is believed to have insufficient levels of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