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우수 학생들의 과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발산적 사고과정에 대한 뇌영상 연구

        조선희,최유용,권대용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1

        Divergent thinking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thought processes linked to creativity. In this study, we us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o reveal the brain mechanisms associated with divergent thinking. There were ten student participants from a university gifted education center and a middle school. They have high school achievement in science. In the divergent thinking task,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n improbable scientific situation and were asked to imagine could all the potential scenarios that would occur if that given situation became true. In the convergent thinking task, participants were presented a problem which required only one answer. Divergent think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activation in the bilateral angular gyrus (AG) and adjacent temporal gyrus. The AG and adjacent temporal gyrus lie at a confluence of visual, spatial, somatosensory and auditory processing streams. AG and adjacent temporal gyrus activation regarded as reflecting the amount of semantic, episodic, and auto biological memory that can be successfully retrieved from a given input.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divergent thinking involves a more effective multimodal information retrieval compared to that of convergent thinking. 창의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발산적 사고과정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서 과학 내용에 대한 발산적 사고과제와 수렴적 사고과제를 수행할 때 뇌활동성을 분석하여 발산적 사고과정의 작동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재원생과 일반 중학교에서 과학 성적이 우수한 10명의 학생들이었다. 발산적 사고과제는 자연 현상에 대해서 가상의 상황을 제시하고 어떤 일들이 발생할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었으며 수렴적 사고과제는 하나의 답이 있는 과학 질문에 대해 답을 생각해 보는 것이었다. 분석결과 발산적 사고과제를 수행할 때에는 수렴적 사고과제를 수행할 때에 비해서 오른쪽과 왼쪽의 각이랑과 이에 인접한 측두엽의 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각이랑과 그 주변의 측두엽 영역은 시각, 공간지각, 청각, 체감각 등의 감각 정보의 흐름이 모이는 지점에 위치하며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는 데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점을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발산적 사고를 발휘할 때에는 수렴적 사고를 발휘할 때에 비해서 주어진 자극으로부터 다양한 차원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보다 활발히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일반화학실험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효과(제I보)

        방담이,박지은,송주연,강순희,Bang, Dam-I,Park, Ji-Eun,Song, Ju-Yeon,Kang, Soon-Hee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2

        발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 신장 모형을 만들고 난 후에 현행 과학 탐구 교수 전략에 함께 사용한 새로운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발산적 사고력이다. 그리고 과학과에서의 문제 해결력은 탐구 능력이며 수렴적 사고인 비판적 사고력이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의한 수업 전략을 사범 대학 학생들에게 1학기 동안 적용하여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인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를 인식하는 기능,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에 있어서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두 번째,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인 탐구 능력에서의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 결론을 도출하는 기능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비판적 사고력이 신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도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구체적으로 변인 통제 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탐구 능력에서 모두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유의미하게 신장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actical model on the enhancement of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inquiry instruction in science class. In this study, the creative thinking skill has been defined by divergent thinking skill as the narrow sense. In the science field, th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is just same as the inquiry thinking skill. Also, th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has been defined by convergent thinking skill as the critical thinking skill. This new instruction had been used for the college student in the class of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for the one semester. The first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divergent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skills of recognition of problems, the skills of making hypothesis, and the skills of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econd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convergent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skills of making hypothesis, the skills of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the skills of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hird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the creative and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rest of all skills exception the skill of control variables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 KCI등재

        기획주제:핵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 융복합시대 의사소통교육의 외연

        손동현 ( Dong Hyun Son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1

        의사소통교육의 원형은 ‘문해’(文解, Literacy) 교육이고, 문해교육은 교육의 근본이다. 그런데 이 문해교육의 핵심에는 사고교육이 깃들어 잇다. 문해능력을 토대로 의사소통하는 것 자체가 사고능력을 전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 우리가 의사소통이라고 일컫는 것의 고전적 원형인 “레토리케”(techne rhetorike) 안에도 합리적 사고(logos)가 핵심적인 것이었다. 언어적 의사소통 활동의 전제가 사고활동이라 할 수 있으니, 얼핏 보면 사고가 먼저고 언어는 그 사고의 결과를 담아내는 수단일 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는 침묵 속에서도 언제나 ‘말로써’ 생각을 한다. 언어가 모두 지워지고 나면 사고도 멈춘다. 언어가 없는 순수한 사고란 있을 수가 없다. 그러니, 사고가 언어의 가능조건이기도 하지만 언어가 사고의 가능조건이기도 하다. 이렇게 보면, 언어교육과 사고교육은 따로 떼어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의사소통교육이라면 흔히 글쓰기와 말하기를 염두에 둘 뿐 사고교육은 이와 별도로 생각하는데, 이는 잘못이다. 언어교육은 어문학 전공자가, 사고교육은 철학 내지 논리학 전공자가 담당하는 것이 온당하다는 생각도 실은 피상적인 단견이다. 사고교육과 언어교육은 하나로 통합돼야 한다. 오히려, 수렴적 사고에서 발산적 사고에 이르는 넓은 사고의 진폭을 고려하여, 수렴적 사고와 그에 기초한 의사소통교육을 한편에 두고 발산적 사고와 그에 기초한 의사소통교육을 다른 한편에 두는 방식으로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 오늘의 대학교육 현장에서 이들을 각각 철학적 전문성을 갖춘 분들과 어문학적 전문성을 갖춘 분들이 분담하게 되어, 의사소통교육 전반이 균형과 내실을 찾을 것이다. The basis of communication education is the literacy educ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of education in general. The core of the literacy consists of ``thinking``.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literacy premises therefore the thinking ability as its condition. In the ``techne rhetorike``, the original classic version of communication, ``logos`` was its core. It is very likely to believe that thinking comes first whereas language serves it as a vehicle to transport its product. But we think always with/through language even in silence. Where language disappears there ceases thinking, too. Pure thinking without language is not possible. Therefore language is the necessary condition of thinking as well as thinking that of language. Considering this fact, education of thinking and that of language cannot be separated. It is fault to take the education of thinking apart from that of communication, as often happens in college education in Korea. It is also superficial narrow view to distribute the former to the philosophers and the latter to the language teachers. Both must be integrated in one. All the more reasonable is to discern the convergent thinking from the divergent thinking and differentiate the areas of education respectively based on each of them. So settled, the philosophers and the language teachers can easily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education substantively.

      • 한국 대학생들의 발산적 영어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노승빈(Roh, Seungbi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17 영어교육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2년의 기간을 거쳐 한국 대학생 398명에게 창의적 사고기법 중의 하나인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학기 프로젝트 7개를 집중적으로 작성하도록 지도하고 개별활동지마다 점수와 피드백을 주었다. 이러한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행위를 촉진하도록 격려하였으며 학습자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영어로 과감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하였다. 일련의 발산적 영어활동들의 단계적 난이도를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발산적 사고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함양과 환경 조성을 제공하였다. 수강학생들은 대부분 대학교 1학년과 2학년들로 구성되어 있고 11개의 설문문항을 질문하였고 각 문항별로 응답유형(주관식, 자유형식)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발산적인 영어활동의 목표가 학생들의 자유로운 아이디어와 의견을 도출될 수 있도록 질문과 워크시트를 통해 유도하는 활동이므로 설문지 형식도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질문에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설문결과의 분석은 주로 학생들의 주관적인 설문 응답을 텍스트 분석하였기 때문에 문항 간 교차 분석하는 부분은 크게 의미가 없었다. 긍정적으로 답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일관성 있게 긍정적이고 모르겠다/아니다 라는 부정적인 답변을 한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과별/학년별/성별 차이에도 별다른 특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당부분의 발산적 영어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창의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 발산적인 영어 학습활동의 중요성을 인정하였으며 교실 현장에서의 수렴적 영어 학습활동과 더불어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통합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발전과 적용을 위해 학생들은 다양한 여러 가지 방법들과 제안을 하였으며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들이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려운 이유와 환경을 조목조목 설명하기도 했다. 설문 결과를 집계하면서 향후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교과과정과 정책의 변화, 평가방법의 다양성 등 해결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도 제안하며 7가지 고찰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sked 398 Korean college students to write down 5 or 7 worksheets as team work projects and homework regard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gave feedback on their responses per each semester. Through thes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learners themselves were encouraged to facilitate creative thinking behavior and guided to express their ideas and opinion in English. By applying the gradual degree of difficulty,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helped students think creatively and provided the environment they were able to freely express what they thought. The survey respondents mostly consisted of 1st and 2nd year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capital and two local areas. At the end of each semester after completing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open ended 11 questions. Since the purpose of the divergent English activity was to induce students free ideas and opinions via questions and worksheets, the style of the questionnaire was to describe their unconstrained ideas and opinions. Beca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ext analysis of the open-ended responses, there were no meaning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question. However, many survey respon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for the creative English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vergent and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To develop th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each student understandably suggested variable methods and strategies and sharply explained the difficult reasons to apply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riented the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s well as system of an college and company entrance examination. By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tres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regarding the change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the variability of evaluation and so on for introduc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서민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relation of the sub-domains of higher-order thinking. For the first part, I analyze Young-Jung Kim’s theory of critical thinking to specify its relation with the domain of creative thinking. In the second part, I review the theoretical outcomes made by creativity theorists or creative thinking educators, and then try to find its categorical relation with other thinking areas such as logical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As the result of this inquiry, I claim that critical thinking never excludes the 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especially its key aspect which is called ‘divergent thinking ’. Creative thinking cannot be conducted without the basic elements of logical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as well, if it is not restricted within its divergent part. Since, both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are substantiated on the thinking agency ’s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the problem-solving in the level of higher-order thinking is the emergent outcome of the critico-creative potentiality of the domain specificity. 본 논문은 고차적 사고의 측면에서 그 하위요소를 이루는 각 사고영역들의 관계성을 탐구하기 위한 시도로, 우선 메타-인지적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 개념과 범주를 확립하고자 시도했던 김영정의 이론을 선행 사례로 분석하여 그것이 창의적 사고라고 부를 수 있는 사고의 영역과 어떤 관계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교육 심리학자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창의성 또는 창의성 교육의 기존 성과들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의 개념규정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창의적 사고가 비판적 사고와 같은 고차적 사고의 다른 영역들과 맺는 범주관계를 탐색한다. 그 결과 본 논문은 고차적 사고의 하위영역으로 상정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가 창의적 사고의 요소들을 결코 배제할 수 없으며, 심지어 ‘발산적 사고’라고 일컫는 사고의 영역까지도 비판적 사고가 포괄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창의적 사고는, 그것이 발산적 사고라는 협의의 규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논리 또는 비판적 사고의 기본 요소들을 배제하고서는 성립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는 본질적으로 사고 주체의 문제해결 역량으로 실현되며, 고차적 사고의 차원에서 모든 문제해결은 영역 특수적 전문성이 비판적이면서 또한 창의적인 방식으로 발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창의력 교육의 위계적 개념화, 양파모형

        김영채 대한사고개발학회 2021 사고개발 Vol.17 No.3

        This study attempted to conceptualize the creativity education hierarchically and proposed the 'onion model' which had been designated analogically to specify its meaning and contents included better and more easily. The model employed the systems theory of creativity as a background rationale to deal its multi-faceted and complex nature and developed 4 levels of the onion model. They were Level (1): Creativity education in the ordinary educational environments, Level (2): Creativity education of the divergent thinking, Level (3) Creativity education of the creativity problem solving, and Level (4): Expansion of the thinking skills and immersion/integration of subject 'contents' and thinking 'processes'. Level (1) should refer to the creativity education in the ordinary teaching-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creativity skills and strategies are not be directly and intentionally taught. This level could not be called as the creativity education, at least formally, however they were successful in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potential. Level (2) would teach and learn the divergent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and Level (3)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strategies in conjunction with the divergent thinking and the convergent thinking skills. Level (4) should expand the scope and depth of the advanced thinking skills and immerse/integrate the subject 'contents' and thinking 'skills', thereby expect to learn the functional knowledge and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skills as well. This final level could be expected to be able to educate/develop the persons equipped to solve the professional and everyday problems creatively which should be the fundamental goal of the creativity education. Finally the study proposed several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lated discussions. 이 연구는 창의력 교육의 의미와 내용을 위계적으로 개념화 하면서 이를 비유적인 ‘양파모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준모형에 따라 창의력 교육을 일반적인 수준에서 본질적인 수준의 위계에 따라 각기가 포괄하는 내용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창의력의 체제이론에 기반하고 있으며 창의력의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성질을 보다 쉽게 접근하여 교육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제시하고 있는 양파모형에는 수준 (1)에서 수준 (4)에 이르는 4개의 수준이 있는데 이들은 ‘통상적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창의력 교육’, ‘발산적 사고의 창의력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창의력 교육’, 그리고 ‘사고의 확대와 내용-방법 통합의 창의력 교육’ 등이다. 수준 (1)의 통상적 학습 환경에서의 창의력 교육은 창의력을 직접적으로 수업하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형식적으로 이해하면, 창의력 교육이라 부르기가 어렵다. 수준 (2)에서는 발산적 사고를, 그리고 수준 (3)에서는 발산적-수렴적 사고와 이들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의 과정/단계를 교육한다. 수준 (4)는 교과독립적인 전통적인 창의력 교육의 한계를 넘어 사고기능의 내용과 범위를 확대하고 나아가 교과내용이나 과제의 ‘내용’과 사고의 ‘과정/방법’을 혼입하고 통합하여 쓸모 있는 기능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함께 창의적 사고의 기능과 전략을 향상/개발시킬 수 있기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를 위한 몇 가지의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예컨대 텍스트를 깊게, 비판적으로, 그리고 창의적으로 이해하여 분야의 전문가처럼 사고할 수 있는 창의적인 지식의 사람을 교수 학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하여 결론 겸 제안을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발산하기와 수렴하기를 강화한 탐구 교수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홍혜인,강순희,Hong, Hyein,Kang, Soonhee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산하기 모형, 수렴하기 모형을 탐구의 각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5월부터 12월까지 개발한 수업 전략을 실시한 후 이 수업 전략이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창의적 사고의 하위 범주인 유창성과 융통성, 독창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창의적 사고력과 그 하위 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대한 인지 수준, 성별, 학업 성취도는 교수 전략과의 상호 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력에 대해서는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해석 및 자료변환에서 유의미한 신장을 나타냈다. 또한 비판적 사고력에 대한 인지 수준, 성별, 학업 성취도는 교수 전략과 상호 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using pyramid model of divergent thinking, inverse pyramid model of convergent thinking and evaluate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 The teaching materials was implemented to 11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is 57, The control group is 53) in middle school for about 8 months (from May to Octobe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 especially in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bout creative thinking skills between the teaching strategy and cognitive level, achievement, gender of those students. Also the teaching materials contribut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especially in making hypothesi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bout critical thinking skills between the teaching strategy and cognitive level, achievement, gender of those students.

      • KCI등재후보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방담이,최선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alogy centered writing strategy on creative think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Analogy centered writing strategy which is intended to cultivate problem solving skills, integrated thinking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university entrant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eaching materials on creative thinking skills. We emphasize analogy in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because analogy has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new knowledge and improving creative thinking skills. The creative thinking skills is measured by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TTCT). The results of paired T-test indicate that creative thinking skills of the students is improved (p<.01). The sub categori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i.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re also improved(p<.01). In addition, the effects of teaching strategy are the same regardless of gender. 이 연구는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필자들은 대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융합적 사고능력, 창의적 사고능력의 함양을 위해 유추를 활용한글쓰기 수업 전략을 개발, 시행한 후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전략을 개발한 것은 유추가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이질적 영역 간의 융합을 통한 창의적 지식 생산에 기여해 왔으며, 창의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효과적인 데 주목한 것이다.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업 전후에 각각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지인 TTCT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이 수업 후에 유의미하게 신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범주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고르게 신장되었으며 (p<.01)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남녀 모두에게서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 수업 전략이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정미선,정세영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with two fold purpose: The first one investigate developmental trends in the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of age, and the second one aimed at explore how they were related to each other. Participants included 194 from 2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university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ity Thinking)and WKOPAY(What Kind of Person Are You?).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al trends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revealed curve-linear shape. First, creative thinking showed age-related changes. The curve of creative thinking is appeared one peak and two troughs. Second, creative personality was showed age-related changes, but they didn't show significance difference of age. There are acceptance of authority which was marked striking results. Third,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positive related. Expecially, acceptance of authority and awareness of other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Creative thinking and 3 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quisitiveness. But they had little correlations with self-confidence, disciplined imagin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discussed in reference to level of cognition development, affective process and culture. This study is describ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otential and performance and cut down their losses.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라서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이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알아보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2학년부터 대학생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창의적 사고력은 TTCT, 창의적 성격은 WKOPAY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 모두 학년에 따라 비연속적인 발달형태를 나타났다. 첫째, 창의적 사고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정점과 최하점이 되는 시점이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성격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권위의 수용에서 더욱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격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특히 권위의 수용과 타인에 대한 의식은 아이디어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 지수와 3가지 요인은 탐구심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나 자신감, 적극적 상상과는 거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가지고 인지발달수준과 문화, 사고의 태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성장에 따른 창의력의 잠재력과 수행을 예언하고 학습장면에서 창의적 수행의 손실을 줄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건축디자인 정보처리 모델에 관한 연구

        최두호 한국주거환경학회 2023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1 No.4

        Recently, there is a lot of discussion in the architectural world about the impa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generation models will have on architectural design. Artificial intelligence uses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o analyze and model human cognitive abilities. According to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rchitectural design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activity that establishes reasonable concepts to solve spatial problems and processes visual and conceptual information that corresponds to them. In this study, the fiv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es of Akin's (1986)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DIPS (desig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Information projec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and 'Regulation of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design thinking types, ‘convergent thinking’, ‘divergent thinking’, and ‘analogical thinking’ were examined. Through this, I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design-related artificial intelligence NLP, GAN, and DNN and proposed an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nking style that occurs in the proces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architectural design and to provid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goal is to propose a processing model. 최근 건축계에서는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모델이 건축디자인에 미칠 영향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인공지능은 정보처리이론을 사용하여 인간의 인지 능력을 분석하고 모형화 한다. 정보처리이론에 의하면 건축디자인은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그에 부합하는 시각적, 개념적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Akin(1986)의 정보처리모델인 DIPS(desig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의 다섯 가지 정보처리 과정 ‘정보획득’, ‘정보표현’, ‘정보투영’, ‘정보확인’, ‘정보통제’를 건축디자인 사고유형의 특성인 ‘수렴적 사고’, ‘발산적 사고’, ‘유추적 사고’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대표적인 디자인 관련 인공지능 NLP, GAN, DNN을 특성을 파악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건축디자인 정보처리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건축디자인 정보처리모델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방식의 특성을 인공지능과 비교하여 인공지능의 건축디자인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건축디자인 정보처리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