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발터 벤야민과 루이스 칸의 문지방Threshold

        우영선 ( Young Sun Wo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1 도시인문학연구 Vol.3 No.1

        루이스 칸과 발터 벤야민은 동화의 세계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공통된 사유의 맥락을 제시했다. 이러한 공통점을 넘어 루이스 칸과 벤야민은 미메시스적 사유와 문지방에 대한 사유에서 큰 유사점을 갖는다. 발터 벤야민은 여러 저작을 통해 문지방을 거론하고, 이 요소를 자신의 철학적 사유가 응축된 곳으로 이해한다. 벤야민은 정문이나 입구, 거리를 이러한 문지방의 사례로 지적한다. 건축 요소로서의 입구와 거리 개념의 중정은 루이스 칸 건축 작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동일한 건축 요소들을 강조하는 이러한 맥락에 따라 루이스 칸의 입구와 중정 개념의 거리를 하나의 문지방 요소로 볼 수 있다. 루이스 칸의 어록에서 문지방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등장한다. 그 하나는 문이 열렸을 때 빛이 지나가는 외부와 내부 사이의 전이적 공간이라는 구체적인 건축 요소이며, 다른 하나는 루이스 칸의 건축적 사유 주제였던 ``침묵과 빛``의 이행 과정을 지칭하는 건축적 사유 주제다. 루이스 칸의 다이어그램과 시는 사물과 언어가 닮아있는 동화의 세계와 유사하며, 이 다이어그램과 시적인 함축적인 글을 통해 루이스 칸은 빛과 침묵, 그리고 빛에서 침묵으로, 침묵에서 빛으로의 이행지점에 해당하는 문지방 사유를 강조한다. 문지방을 영감과 아우라의 장소로 인식하고, 문지방을 신성한 곳으로 여기는 벤야민의 사유는 영감의 장소인 칸의 문지방 개념과 유사하다. 이러한 경험의 가능성은 입구-계단/회랑-중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공간에서 얻는 촉각적 경험과 ``걷기(walk)``이다. The relation of architecture and a building lies in the world of Mimesis. The thought of expression was important to Kahn and it is another word of this Mimesis. This study starts at the concept of Mimesis in the thought of Walter Benjamin who felt the aura of threshold is implied by the element of threshold. Walter Benjamin consistently uttered on the element of threshold and understanded it as a condensing thing of his philosophical thought. He regarded a main entrance and street as this element of threshold. Therefore, an entrance and court as street in architecture of Louis I Kan can be this element. The word of threshold has a two kind of meaning in the writing of Kahn. One of this is a real architectural element as a transitional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upon which light is throw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other is the subject of thought as an ambience or aura of Silence to Light, Light to Silence. Walter Benjamin said that the space of threshold might give to a real experience of aura which has been impossible in the mechanic world of modern civilization. And in the lecture and writings Kahn regarded the essence of threshold as a place and aura. The experience of this auratic place of threshold might be possible in the ``activity of walking`` through entrance court to stair, to central court. The Architecture of Louis Kahn which is an field of expression of the element and thought of Threshold has a role of fairy tale`s redemptional purpose. And his architectural works gives a feeling or touch of ruins as a tradition.

      • KCI등재

        루이스 칸의 스케치와 프리핸드 디자인 드로잉과의 상관성 분석

        최장순,김진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3

        루이스 칸의 스케치 작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드로잉 과정에 의한 디자인 사고의 전환 내지는 변형 방법에 주목할 수 있다. 다른 유사한 논문들이 디자인 방법이나 기법에 중점을 둔 반면 이 논문은 개념적 차원에서 스케치 작업과 디자인 드로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디자인을 어떻게 하는가보다 왜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디자이너와 건축가들이 독특한 드로잉, 드로잉 양식, 그리고 드로잉의 이용이 어떻게 창조력을 만들어내고 전개되어 형태적 사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성을 밝혀보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루이스 칸의 건축 계획안을 위한 임시작업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스케치 작업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프리핸드 드로잉에 역점을 두었으며, 그가 건축디자인의 개념과 형태를 해결하고 연구하기 위해 이용한 스케치 드로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의 스케치 작업이 현재 환경이나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든 아니면 시각적 사고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든 간에 그의 스케치 작업은 계획과 표현, 디자인의 가상세계로 유도하므로 그의 스케치작업과 디자인드로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로마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6

        본 논문은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로마에서의 건축적 경험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벽돌과 콘크리트의 두터움과 외부형태에서 보이는 매스감은 칸은 건축을 고전적인 인상의 건축으로 각인시키고 있다. 칸 건축의 평가에 있어 역사와 기술간의 조화를 도모하였다는 평가는 칸의 건축에 역사적 건축의 흔적이 내재하고 있으며, 고전 건축이 칸 건축의 기본적 근간이 되고 있음을 말한다. 칸이 유럽으로의 여행을 통해 고대건축의 유적이 보여주는 특징을 자신의 건축에서 재해석하여 표현하였고, 칸이 로마의 여행이 단순히 건축적 답사가 아니라 자신의 건축적 사고 형성의 배경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내용은 칸의 건축적 개념 및 건축작품에서 보이는 특징과 로마 건축의 인상의 관계를 해석하는 것은 내용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막연하게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고전적인 인상의 배경을 추적함으로써 칸 건축에 대한 건축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at the architecture of Louis Kahn is inspired by his architectural experiences in Rome. The thickness and external mass through brick and concrete in the architecture of Kahn gave many people the classical image. Kahn has included the historical trace of architecture into his architecture, and has valuated to harmonize both the history and technology. It means that the classic architecture is the fundamentals of Kahn’s architecture. Kahn re-interpreted the features of the classic architecture remained as ruins through Europe travel, and shows them to his architecture. Kahn’s trips throughout Europe were not exploration, but they provided inspiration for his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interprets the relation between the architectural concept and features of Kahn and the impression of Roman architectur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more extensive potential of the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for Kahn’s architecture as tracing the backdrop of the ambiguous classical impression in the architecture of Kahn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룸의 의미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드러나는 룸의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루이스 칸은 건축을 ‘공간의 사려깊은 창조’로 인식함으로써, 공간이 건축의 중요한 본질적 가치임을 표출하고 있다. 칸의 건축에서 빛과 공간을 상호 연결시켜 감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칸 건축이 보여주는 깊은 묘미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는 것도 칸의 건축에서 공간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칸이 자신의 건축을 설명하기 위해 룸이라는 특정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내용은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건축에 대한 그의 사고, 룸의 공간적 모습의 특징, 그리고 칸이 룸 개념을 통해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던 의미를 고찰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건축적 인상이 그의 공간적 개념과 연관되어 있음을 추적함으로써 칸 건축에 대한 건축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room revealed in the architectures of Louis Kahn. Kahn expresses a space as an important essential value of architecture by recognizing the architecture as ‘thoughtful making of spaces’ . The impressive atmosphere by interconnecting light and space in Kahn’s architecture is appreciated as a subtlety of his work and this also implies that space is important in his work. Kahn uses a certain concept of room to explain his architecture. In this sense, this study inquires Kahn’s thinking about architecture in the aspect of space, the room’s spatial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and the meaning in the concept of room which Kahn ultimately tries to express. As a result, this study is to provide a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orizon of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in Kahn’s works by tracing that the architectural impression in his architecture is linked to his spatial concept.

      • KCI등재

        CIAM 11을 통해 드러난 알도 반 아이크와 루이스 칸의 건축적 사상의 유사성에 대한 연구

        신상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알도 반 아이크(Aldo van Eyck)는 전후 근대건축의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네덜란드의 건축가로서 근대건축국제회의(CIAM)를 종식시킨 젊은 건축가 그룹 팀 텐(Team Ten)의 창립 멤버이다. 그는 당시 근대건축에 만연한‘기능주의(functionalism)’와 대량생산 체제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 인본주의적 건축가로서 20세기 건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루이스 칸(Louis I. Kahn)은 미국의 대표적인 건축가로서 20세기 후반 건축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고, 또한 지금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그의 작업은 포스트 모더니즘에 영향을 주었고, 케네스 프램톤(K. Frampton)은 “미묘함, 스토아 철학적, 시적인 유의미함은 우리가 무엇을 잃었는지에 대한 날카롭게 상기시킨”다고 평했다. 20세기 건축의 두 중요한 인물의 CIAM 11 회의에서의 만남은 서로에게 충격적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루이스 칸은 작고하기 얼마 전인 1974년 인터뷰에서 ‘알도 반 아이크는 내가 건축가로서 친밀감을 느낀 몇 안 되는 사람’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건축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두 건축가의 건축 사상이나, 건축 작품의 비교 분석에 대한 것은 일부 문헌으로 파편적으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세기 건축의 중요한 두 인물의 건축 사상을 비교하여 그들의 건축적 유사성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1959년에 개최된 CIAM 11 회의는 공식적으로 두 건축가의 교류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 회의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 시기의 만남에 집중하여 당시 두 건축가의 건축사상과 작품을 비교하였고, 회의 당시의 발표 전문과 발표 작품의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알도 반 아이크와 루이스 칸의 발표문 분석을 통해 다음의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두 건축가는 모두 변하지 않는 건축적 본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근대 건축이 더 이상 동시대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질적 가치의 회복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둘째, 두 건축가는 동시대의 건축가들보다 예술가들이 사물의 본질에 근접해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들과의 교류를 통해 각자의 건축 사상을 발전시켰다. 셋째, 이들은 역사적 장소와 다른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을 토대로 공간 및 형태를 탐구하였다. 알도 반 아이크는 대칭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조합, 일상에서의 비대칭적이며 다핵적 숙소 등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암스테르담 놀이터 계획에도 적용되었다. 루이스 칸의 경우, 역사적 기념비들의 탐구를 통해 경량 구조에서 매스, 콘크리트, 석조를 다루는 건축적 언어를 완성할 수 있었다. 넷째, 이들은 도시와 건축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유사한 사상을 전개하였다. 둘 다 ‘집과 도시, 도시와 집’, ‘나무와 잎사귀’등의 비유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서의 도시 공간을 인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CIAM 11 당시 알도 반 아이크와 루이스 칸이 교류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두 건축가의 건축적 사상과 작품 세계에서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는 두 건축가가 평생을 통해 발전시켜온 각자의 건축적 사상과 작품 세계 중 1959년 전후의 국한된 시기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추후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두 건축 ...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시원성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는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시원성의 표현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루이스 칸의 건축은 시간과 지역의 차이를 넘어선 건축의 본질을 보여주며, 칸은 건축의 근원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 건축가로 인식되고 있다. 칸은 건축개념을 설명하면서 beginning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는 우리를 표현하기 위해 산다”라고 말함으로써 그의 건축이 특정한 건축적 사고의 표현물임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칸이 본질에 대한 관심을 자신의 건축개념인 시원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가 시원이라는 단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 의미와 건축적 표현을 기하학과 폐허 이미지와 연관하여 고찰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건축적 개념이 그의 건축적 표현과 연관되어 있음을 추적함으로써 칸 건축에 대한 건축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in Louis Kahn’s architecture works. Kahn's architecture is revealed an essential of architecture beyond region and time, so he is recognized as an architect, who asked questions about the orgin of architecture. Kahn used the word ‘beginning’ to explain the concept of his architecture. He said "We live to express ourselves", this suggests that an architecture is implied an expression of architectural thinking. In the sense that Khan talks about the essence of beginning in terms of his architectural concept, so this paper research the meaning and architectural expression revealed his architectural concept word - ‘beginning’, in relation to geometry and images of ruins. As a result,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orizon of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in Kahn’s works by tracing that his architectural concept is related to his architectural expression.

      • KCI등재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나타난 벽의 개념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본 논문은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벽의 개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칸의 건축은 단순히 기술적이고 합리적인 결과물이 아니라, 정신적이며 형이상학적 의미를 가진 철학적 개념의 건축으로 이해되고 있다. 루이스 칸은 건축의 근원성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고 했던 건축가이며, 빈센트 스컬리는 칸을 ‘낭만적 고전주의자’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가 사용하는 단어 ‘폼과 디자인’, ‘측정 불가능한 것과 측정 가능한 것’, ‘침묵과 빛’ 등의 개념적 대립어에는 관념적 개념과 실재적 개념이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칸은 건축적 존재감은 재료와 구축방법 및 과정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내용은 칸의 기록과 작품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사고의 개념과 그와 관련된 벽의 개념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건축요소로써의 벽이 칸의 건축에서 어떤 생각을 바탕으로 구축되었는지를 밝히며, 결과적으로 벽에 대한 개념을 토대로 칸의 건축에 대한 철학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wall which is reflected in the architecture of Louis I Kahn's Architecture. Kahn's comprehensive work is understood not as a mere technical and rational result of a certain architectural idea but the thing of psychological and metaphysical implications. Louis I, Kahn was an architect striving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architectural originality. In particular, according to Vincent Scully valuated Kahn as ‘a romantic classicist.’ The conceptually opposing terms that he often used including ‘Form and Design’, ‘Measurable and Unmeasurable’, ‘Silence and Light’, etc., demonstrate inevitable association of the ideological concept with the physical one, as he believed that the architecture has existence in it presence through the materials and process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tectural idea and the notion of wall which is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that idea, appearing in the documentations and works of Kahn’s works. The wall as an architectural element is deconstructed to reveal on what ground or thought it was established in his architectural practice, hoping to b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possibility for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Kahn’s architecture.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중정의 의미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는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드러나는 중정의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루이스 칸은 중정을 물리적으로 만나는 장소이자 마음이 만나는 장소로 인식하고 있다. 루이스칸의 건축에서 중정은 본질적인 구성요소로 Hurva Synagogue, Phillip exeter library, Dhaka Assembly 등 그의 주요한 건축에서 등장하는 공간이다. 중정은 주변의 작은 실들로 둘러싸여 있는 중심공간이다. 중정에 계획되어 있는 천장은 초월적인 공간분위기를 연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칸의 건축에서 룸은 독립된 구조와 빛을 갖는 공간으로 정의되는데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중정을 룸의 구체적인 실체로써 초월적 경험이 가능한 공간이라는 점을 그의 건축적 사고와 작품을 통해 고찰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건축적 공간이 그의 건축적 개념과 연관되어 있음을 추적함으로써 칸 건축에 대한 건축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ourtyard planed in Louis Kahn’s works. Kahn recognizes courtyard as a physical meeting place and a meeting place of mind. In his architecture, the courtyard is an essential component, revealing in important architectural works such as the Hurva Synagogue, the Phillip exeter library, and the Dhaka Assembly. The court yard is a central space surrounded by small rooms around it. And the top light planned in the court yard is an important element to create a transcendental spatial atmosphere. In Khan 's architecture, room is defined as a space with an independent structure and light. In this sense, this paper research that the courtyard is a place as a reality of the room for transcendental experience. For this, this paper examine documents and records left by Kahn,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and the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of Kahn 's thoughts and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orizon of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in Kahn’s works by seeing that the architectural space in his architecture is related to his architectural 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