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아시아 학술교류의 회고와 전망

        장백위 ( Bo Wei Chang ) 우리한문학회 2012 漢文學報 Vol.26 No.-

        동아시아 학술 교류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을 살펴보려면, 먼저 동아시아학술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회고와 반성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의 현대 학술은 서양 학술 관념의 충격과 계발 하에 형성되었으며, 19세기 이래 범세계적 범위에서의 漢學연구는, 漢學(Sinology)에서 中國學(China Studies)으로의 변환이 있었다 하더라고, 결국에는 모두 서양학술 구조의 일부분이었다. 구미의 漢學연구 학계에서 漢學家들이 기꺼이 인정하는 중국학자들의 작업 가치는, 주로 문헌의 정리나 고증 상에만 체현되며, 이론과 방법론적측면에 대해서는 그들 나름대로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전통 이외의 것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이에 대해 우리는 냉정하게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혹시 연구 작업 과정에서 문헌 수집과 정리만을 중시하고 문제제기나 분석은 소홀히 하지 않았는가? 만약 우리의 연구 작업에서, 과제선택·이론가설·사고체계·주제의 의의 및 가치 등이 모두 구미 漢學에서 빌려온 것이라면, 어떻게 과분하게 그들의 주목을 바랄 수 있겠는가? 이런 점에서 ‘방법으로서의 중국’을 주장한 일본의 미조구치 유조와 한국의 백낙청, 대만의 陳光興선생의 주장은 경청할 만하다. 이들은 여영시선생의 주장처럼 중국이나 아시아를 주체로 삼아 다시 다양한 내재적 실마리를 바탕으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일본의靜永健선생이 지적한 것처럼 ‘같은 시기 동일문화권 내 주변지역의 문화정치의 連動’에 대해서도 주의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나는 중국 이외의 자료에서 중국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域外漢籍硏究’를 제안한다. 域外漢籍은 풍부하고 방대한 학술 자원으로, 우리에게 무수하고 신선한 학술 화제를 제시해주며 새로운 학술방법과 학술이념을 마련해준다. 그러한 까닭에 역외한적은 이미 고전학문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빠져서는 안 될 자료이며, 그 자체 또한 고전학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新資料이든 新觀念이든간에 그것들은 舊資料·舊觀念과 서로 맞물려 호응하고 參證하는 관계이지, 서로 대립하고 공격하거나 대체되는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자료는 관념의 통솔을 받으며, 방법은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에 의해 결정된다. 동아시아 지식인은 서양문명에 대한 대응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의식적·무의식적으로 동아시아 문명 간의 대화를 홀대하였다. 문학 방면에 있어서도, 동아시아 문학을 제쳐두고 멀리있는 문학에만 관심을 가졌다. 동아시아 지식인이 동아시아내의 교류와 대화는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 삼국 교류의 미래는 이러한 시야와 시각에서 관찰되고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To examine new possibilities of future of academic interchange in East Asia, one should first conduct retrospect and reflection about the problem the East Asia scholarship is facing with. The modern academia in East Asia has been created under impact and development of Western scholastic notion, and studies on Sinology in a global scope since the 19th century have been, although there was once a change from Sinology to China Studies, parts of Western academic structures. In the academic circle of Sinology in Europe and US, the value of task of Chinese scholars Sinologists are willing to acknowledge is mostly embodied in arrangement of literatures or historical research and equipped with their ow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never giving a look at things other than their traditions. We need to realistically reflect on it. Isn`t it by any chance that we only focused on collecting and arranging literatures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neglected raising issues and analysis? If selection of project, hypothesizing theory, process of thinking, and significance and values of subjects are all borrowed from Sinology in Europe and US, how can we unduly expect their attention? In this sense, Mizoguchi Yujo from Japan who has insisted ``China as a method,`` and the assertions of Baek Nak-cheong from Korea as well as Professor Kuan-Hsing Chen(陳光興) from Taiwan are worthy of our attentive listening. Their contention is that, as what Yeo Young-si` argues, having China or Asia as the main subject, we must proceed in-depth study again based on various immanent clues. Along with that, as Takeshi Shizunaga(靜永健) from Japan pointed out, we must be careful of ‘interlocking of cultural politics neighboring regions within the same cultural area at the same period of time.’ In this respect, I suggest ``Overseas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Study,`` as a way to understand China with materials outside China. The overseas Chinese character literatures, affluent and vast academic resources, propose numerous and fresh academic issues to us, providing new academic methods and philosophy. That`s why overseas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is the material which cannot be excluded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classical studies, and the literature itself should be an object of study of the classics. Of course, however they are new materials or new concepts, they are in the relations that are engaged in the new materials and concepts to respond and prove; they do not oppose, attack or replace each other. Materials are directed by concepts, and methods are determined by objects and purposes of studies. East Asian intellectuals focus on the correspondence to Western civilization, mistreating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the conversation between East Asian civilizations. In even literary field, they were only interested in literature in distance, disregarding East Asian literatures. It`s necessary to strengthen interchange and conversation of intellectuals within East Asia. The future of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should be observed and explained in such vision and point of view.

      • KCI등재

        中國本對東亞圖書形制影響淺論-以書院本為中心

        羅琴 ( Luo Qin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서원본(書院本)은 중국 각본(刻本)의 축소판 가운데 하나로서, 일찍이 중국과 동아시아 각국 간의 서적 교류의 일환이었다. 중국의 사부(四部)에 해당하는 각 도서는 동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었고, 사상, 문화, 제도 차원에서 동아시아 각국에 일련의 영향을 미쳤다. 예컨대 동아시아 각국의 번각(翻刻), 중편(重編) 작업에 저본을 제공하였으며, 첨삭, 주석 작업에 있어서도 저본이 되었다. 특히 일본, 한국, 베트남을 대표로 하는 동아시아 각국 도서의 형성과 구조에 깊은 영향을 끼쳤는데, 조인(雕印) 기술, 판편(版片), 장정(裝幀), 단면 인쇄, 내봉(內封), 판의 크기, 판식(板式), 글씨체, 복각(覆刻), 도상장(圖像章) 등이 그러한 예이다. As one of the microcosm of Chinese block-printing, the academy edition once played a role in the book exchange between China and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Vietnam. Chinese books were distributed to east Asian countries. In terms of ideology, culture and Institution, it has exerted a certain influence on east Asian countries. For east Asian countries to copy, recompile, add, delete Chinese books to provide the original. It has profoundly influenced the book form system of East Asian countries represented by Japan, South Korea and Vietnam, such as engraving printing technology, format, binding, single-side brush printing, inner cover, folio, book size, font, overprint, image seal and so on.

      • KCI등재

        한국 소장 중국 간본(刊本) 통속소설에 대한 술론(述論)

        潘建國 ( Pan Jian-gu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현존하는 여러 서목을 통계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 소장하고 있는 중국 통속소설 간본은 많으나 주로 청나라 중후반의 坊刻本, 청나라 말기 민국시기의 활자본과 石印本이 주를 이루며, 학술적 문헌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명 刻本과 청 초기 간본은 소장 량에 있어 한계가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유일본이나 선본이 적지 않다. 『型世言』, 『莽男兒』와 같이 중국에는 없는 소설 작품뿐만 아니라『皇明英烈傳』, 『百家公案』, 『廉明公案』, 『醒世姻緣傳』, 『引鳳簫』 등 명청 소설 초기의 중요한 판본도 소장하고 있어 충분한 학술적 가치가 있다. 조선 왕실 및 연행 사절은 중국 통속소설을 한반도에 유입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비록 儒學이 한반도의 사회와 문화에서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중국 통속소설은 전반적으로 여전히 최고의 경지에 이르기 힘들었다. 하지만, 한자 문화라는 특수한 힘에 의해 알게 모르게 대대로 조선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everal existing bibliographies, the amount of Chinese printed popular fictions collected in South Korea is considerable, but the main is bookshop printed editions in mid and late Qing and stereotype or lithographic editions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 The amount of Ming and early Qing editions which have higher academic and documentation value is limited, but there are still some rare and the only existing editions, not only some lost fictions in China such as Xingshiyan, Mangnaner, but also some early important editions in Ming and Qing dynasty, such as Huangmingyingliezhuan, Baijiagongan, Lianminggongan, Xingshiyinyuanzhuan, Yinfengxiao, which can help academic work.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Chinese popular fictions to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royal family and Yanxingshi played an important role. Although Chinese fictions didn't get enough atten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ere Confucianism dominated, they still influenced generations of Koreans, directly or indirectly, using the special power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