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 뉘앙스첨사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성지혜 ( Sung Jihy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9 독일어문학 Vol.86 No.-

        첨사는 독일어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도 화용론적 기능이 가장 잘 드러나는 뉘앙스첨사는 구어체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적 수단이다. 뉘앙스첨사는 독일어 내에서도 다른 단어로 대체가 불가능하며 느낌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은 뉘앙스첨사의 의미와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은 겪는다. 따라서 독일어 교수·학습 과정에서 뉘앙스첨사가 명시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뉘앙스첨사의 기능과 유형, 현행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에서 뉘앙스첨사의 제시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과정 지도안 작성과 대화문의 우리말 번역을 통해서 뉘앙스첨사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다. 뉘앙스첨사는 문장 내용에 대한 화자의 입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발화수반, 담화조정, 텍스트연결 등 의사소통상황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현행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는 뉘앙스첨사를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으며, denn, doch, mal, ja와 같이 제한된 수의 뉘앙스첨사를 대화문의 일부로 제시하고 있는 수준이다. 예비교사들은 어휘 수준에서 뉘앙스첨사의 의미를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지만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과정 지도안에 뉘앙스첨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내용을 반영한 것은 아니었다. Partikeln zählen zu den hervorstehenden Merkmalen des Deutschen. Vor allem Abtönungspartikeln sind unverzichtbar fur die Naturlichkeit der Kommunikation in der gesprochenen Sprache. Fur Deutschlernende stellen Partikeln oft eine große Hurde dar, weil ihre Bedeutung komplex ausgesprochen ist und sich nicht einfach durch ein Wort ubersetzen lässt. Deutschlerher/innen brauchen folglich sowohl didaktisches als auch linguitisches Expertenwissen, um garantieren zu können, dass Patikeln zielspachlich gelernt werden. Die vorliegende Studie analysierte, wie koreanische Schulbucher fur das Fach Deutsch die Abtönungspartikeln behandeln. Außerdem wurde mit Hilfe von Befragungen sowie einer Durchsicht von Unterrichtsplänen das entsprechende Wissen der koreanischen Deutschlehrer/innen ermittelt. Die Ergebnisse lassen sich wie folgt zusammenfassen: Abtönungspartikeln drucken bekanntlich etwas uber die Stellung des Sprechers zum Satzinhalt aus und sie haben textverknupfende sowie expressive Funktionen. Die koreanischen Schulbucher versäumen es, diese Charakteristik explizit zu machen. Daruber hinaus beschränken sie sich auf ein relativ kleines Inventar von Abtönungspartikeln. Was die Lehrenden betrifft, so lässt sich festhalten, dass diese typischerweise uber das notwendige linguisische Wissen verfugen. Allerdings spiegelt sich das in den Unterrichtsplänen kaum wider, wo Abtönungspartikeln höchstens oberflächlich eine Rolle spielen.

      • KCI등재

        ‘단 하나의 공간’에서 몸으로 매개되는 연극적 특유성

        권경희 ( Kwon Kyoung Hee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9

        공간을 범주적으로 분류해보니 자의적 잣대에 따라서 무수히 열거될 수 있는 것이 공간의 개념들이다. 현상학적 사유에 기대어 몸에 대한 인식에 접근하면서 몸이야말로 근원적 공간성의 중심체임을 확인하게 된다. 작은 부분이고 커다란 전체이며, 사물이고 관념인 유한 속 무한을 사는 몸이야말로 궁극에는 특유한 연극성의 건강한 태반이자, 현전의 절대적 강렬도(intensity)를 견인하는 가능성의 모태인 것이다. 감각하고 경험하고 생산하는 몸을 통해 공간은 생생한 의미로 일깨워진다. 특히나 인간이 외부세계에 ‘감기는’ 경험은 무엇보다도 감각을 통해 이루어진다. 몸은 가시적 외적 공간과 비가시적 내재적 공간을 역동적으로 포획한다. 몸적 공간과 연극적 공간의 물리적 융합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작용은 의미심장하다. 그것은 결국 연극을 위한 공간엔 어떤 특이한 성질이 전제 혹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묻게 만든다. 몸은 운동으로서 반복과 차이를 발생시킨다. 섬세하고 긴밀히 연결된 몸의 기관과 조직들이 복잡하게 작동됨으로써 몸이 특별한 표현적 의미를 발산하는 것이 몸짓이다. 몸짓은 본능적이고 반사적이고 가시적인 행위이면서 동시에 상징적 표징으로서의 움직임으로, 주어진 공간 속에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즉, 그 몸으로부터 (비)물질적 파동인 에너지가 생성되고, 거기엔 에너지 고유의 주기적 율동이라 할 수 있는 리듬이 동반되는 것이다. 세 요소들 즉, 몸, 에너지, 리듬은 특유의 몸짓을 개성적으로 살려내는 살아있는 질료들이다. 모든 공간이 어떤 것으로도 대체될 수 없고 반복될 수 없는 특유의 연극적 공간으로 변형되는 것은 가능하긴 하지만 현실적으론 그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특이성으로서 특유한 연극은 무엇보다도 바로 그 살아있는 질료들의 작용으로부터 ‘특이성이 창출되는 공간’이란 관점에서, ‘단 하나의 공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 같다. 연극의 특유성, 혹은 연극적 차이화를 위한 조건으로서 상상력과 뉘앙스와 숭고를 주목해보면, 먼저 상상력은 인간이 가진 그 어떤 역능보다도 인간정신(심리)과 영혼의 생생한 특성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능력이 아니라 지각작용으로 받아들여진 그 ‘이미지들을 변형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모든 생명체는 특유의 존재 밀도와 고유의 생성에너지를 지니는데, 그것들의 미묘한 화학적 결합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어떤 지속적인 특유성이 뉘앙스다. 비가시적 힘의 율동인 뉘앙스는 그래서 현전의 특유한 현상이자 에너지의 특이한 파동이다. 상상력이 시각에 의존하고 그 시각적인 것이 존재자의 영역에 머무는 것이라면, 뉘앙스는 감각적인 접촉으로 존재자와 존재자를 서로 촉지하게 한다. 한편, 형태나 윤곽은 경계를 한정하는데 그것이 미의 영역이라면, 숭고는 경계를 만들면서 스스로 제거하는 움직임(운동)이며 ‘제시가 발생하는 움직임 그 자체’라 할수 있다. 때문에 숭고는 정신의 작용으로선 그 지점의 실체를 파악하기 불가능한, 이성의 무능함을 드러내는 특이한 기호들의 율동이다. 느낌의 주체가 느낌에서 빠져나가면서 주관적이었던 느낌이 자기의 내면성으로 향하기보다는 오히려 바깥의 무한한 총체성으로 이끌리면서 더 이상 자기의 것이 아니게 되는 상태가 바로 숭고함의 순간이다. 스스로를 앞질러 돌연히 일어서는 상상력, 에너지와 리듬이 몸을 통해 솟구치는 뉘앙스, 미의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제시로서의 숭고함이 융합되는 유일성의 연극은, 바로 그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매우 희박한 가능성으로써 ‘단 하나의 공간’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 Considering space categorically, the spatial concepts can be infinitively enumerated according to arbitrary measures taken. As a sourceful core of spatiality,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ach, amongst many, to an awareness of body, which relies, a great extent, on phenomenological thoughts. The body, not only as minor parts of an organism, but also as enormous wholeness of a living thing, becomes a matrix of possibility with an absolute subtlety and intensity, particularly for reaching a peculiar theatricality. The body per se, dynamically and magically, seizures both tangible external space and invisible internal space. The chemical fusion with both bodily space and theatrical space turns out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physical collision or colligation. This eventually leads to a question whether theatrical space premises a unique quality. On the one hand, the body makes differences and repetitions through its exercises. On the other hand, the body brings about bodily gestures(momgit), from which emits especial expressive meaning, as being complicatedly operated with its organs intimately connected. From the very body, energy as non-material waves can be generated, rhythm as cyclical energy accompanied, likewise, eurythmics as metaphysical motor derived from. Undoubtedly, those three elements, body, energy and rhythm may be authentic substances that possibly make particular gestures more vividly and characteristically alive. Theoretically, it would not be impossible, but tremendously rare, that all the spaces can probably be transformed into a peculiar theatrical space, which can never be replaced by, or repeated by anything. However, the peculiar theatre with its own peculiarity must be indissociable from ‘the only one space’, in the respect that the space creates the peculiarity caused by the effect of those authentic substances. As sine qua non for theatrical peculiarity or theatrical differenciations, it demands imaginations, nuances, and sublimity: imaginations that abruptly rises to its feet, getting ahead of itself; nuances that spurting from both energy and rhythm through the body; sublimity as new presentation crossing boundaries of aesthetics. Theatre of peculiarity which compactly amalgamate those ingredients, that is imaginations, nuances and sublimity, could possibly contract a marriage of ‘the only one space’.

      • KCI등재

        자연색체계(NCS)의 뉘앙스개념에 기초한 환경색채조화방법

        김주미(Kim, Joo-Mi)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applicability of color combination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lor perception and the nuance concept of Natural Color System(N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NCS is a scientific coloring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relevance between people, light and environment, to be based on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NCS can be called a psychometric model reflecting our natural color sense. Second, the color triangle established by NCS is one of the methods of expression based on the human visual mechanism, which is classified by two attributes of hue and nuance, not by the three color attributes of hue, lightness and saturation. The nuance concept of NCS implies the impression, atmosphere and tone that are perceived in colors, which are related to lightness and saturation.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oloring arrangement emphasizing nuance and tone is more useful than hue in color planning. Third, aesthetic impression in environmental color perception is inclusive of instantly perceptive nuance, which is connected with affordance. The affordance is revealed by the different relation of similarity. In this regard, a strong relationship is noticed between color combination and the sense of pleasantness. The hypothesis regarding the complementation and similarity of contrasting nature is judged to provide observers with aesthetic order. Finally, this paper also suggests four harmonizing methods in the NCS color triangle based upon equal blackness, equal whiteness, equal chromaticness and same nuance. At the same time, opposition and a different concept of hue, lightness and lightness are combined complementarily with the nuance value to suggest patterns of color combination.

      • KCI등재

        러시아어 동의어 시스템에서 긍정적/부정적 뉘앙스와 완곡어/위악어와의 연관성 연구

        조희숙(Cho Hee Suk)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3

        본 연구는 기본적인 기능적 특성 때문에 새로운 동의어 발생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밖에 없는 완곡어와 위악어가 실제 러시아어 동의어 사전에는 문체적으로 매우 드물게 나타나 있는 것에서 기인된 것이다. 즉, 임의의 두 단어가 동의어 관계에 있다는 것은 어떤 문장에서 서로 교체하여 대신 사용하여도 동일한 의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을 말하는데 완곡어나 위악어도 임의의 단어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어휘로 그 임의의 단어의 의미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그와 더불어 좀 더 중립적이고 부드럽게 아니면 좀 더 구체적이고 감정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완곡어와 위악어는 처음 사용되는 순간부터 그 임의의 단어와 동의어 관계를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단어들이 지속적으로 반복 사용됨으로서 정식 동의어 관계(사전적 동의어 관계)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완곡어와 위악어가 긍정적인 뉘앙스와 부정적인 뉘앙스를 나타내는 문체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증거를 제시한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대상은 언어활동에서 완곡적인 표현이나 위악적인 표현을 두드러지게 사용하게 되는 주제어군 즉, 인간의 신체부위를 지칭하는 단어들로 구성된 동의어 그룹들이다. 러시아어 동의어사전(Евгеньева 1975)에는 신체부위를 지칭하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동의어 그룹들이 모두 25개가 있으며 그 그룹들을 구성하는 단어들은 106개이다. 이 단어들을 7개의 언어학적 특성들 즉, 동의어 그룹 내에서의 문체, 긍정적/부정적 뉘앙스, 완곡성/위악성, 해석사전(МАС<SUP>1)</SUP>) 상의 문체, 어원, 해석사전 상의 뜻풀이, 동의어 사전 상의 뜻풀이를 작성한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고 이를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 동의어 사전에서 사용된 모든 구체적인 문체들의 사용빈도별 현황 또한 볼 수 있다.

      • KCI등재

        번역 현상과 실제

        양기찬(Yang, Gi-c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3 No.-

        번역은 문학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소재인 동시에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제 2의 창조라는 낱말이 전혀 낯설지 않은 것은 번역 그 자체가 하나의 새로운 ‘작품’(oeuvre)을 의미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번역은 원작품의 의도와 그 의의를 얼마만큼 살리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의 분석에 따라 그 번역의 충실도와 완성도를 논의할 수 있다.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위한 번역과정은 출발어와 도착어간 존재하는 어휘/어감의 차이와 함께 원작품의 사회문화적 현상 등에서 찾을 수 있는 차이를 최대한 줄여 나가는 것이다. 번역과정을 통해서 원작의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어지는가에 따라 그 번역된 작품의 완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내용과 의미 그리고 의의의 변화없이 원어의 뉘앙스(nuance)를 도착어를 통해서 잘 전달하고 있는가를 우선적으로 번역의 가치로 삼는다면 원어와 동일한 어휘의 활용과 그 상황의 번역에 얽매일 필요성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작품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글은 번역의 과정에 있어서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번역해야 원작품의 의의와 의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일까에 대한 연구이다. 번역의 현상과 실제를 논하기 위하여 희곡 작품에 대한 몇몇 번역서를 토대로 번역의 현상과 실제를 주제로 다루고자 한다. 일반적 번역에서 ‘출발어’와 ‘도착어’의 간극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가가 번역에서의 문제의 핵심을 차지한다고 한다면 ‘무대화’를 염두에 두고 집필되는 희곡의 번역 작업에 있어서는 보다 더 세밀하게 ‘일상어’와 ‘문화’를 대변해줄 수 있는 번역과정이 필요시 된다. 특히 작품의 ‘성격’상 문화적 뉘앙스의 이해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희곡 작품의 번역과 그 문제점은 더 부각될 수밖에 없다. 무대화의 기본은 원작의 의의와 그 원작이 주는 뉘앙스를 어떻게 다른 언어로 그리고 환경에서 재현시킬 수 있는가에 그 번역본의 완성도의 가치를 논할 수 있다. 번역가의 타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원작에 내재하고 있는 그 작품만의 고유성과 멋을 도착어로서는 재현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Translated work today qualifies as literature, as it is not surprising to actually acknowledge the translation as a work of Art itself. The completeness and the fidelity of the translated work depends on how the translation conveys the ideals of the original work. To achieve the fidelity and the completeness required it is necessary that the translation not only narrows but also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perspectives and the terminologies used between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It is imperative for a translated work to convey the ideal and ideas of the work being translated. Even if the terminology changes the said nuance, that the orignal work denoted, should rest intact for the translation to be qualified as being a fidel representation of the orignal work that has been translated. The paper examines various translations of dramatic works that has been published to review the issues and the needed discretions in translating dramatic works due to its distinctive and particular relation with the reader/audience. In translating a dramatic work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cknowledge the cultural codes presented in the original work to fully and completely translate the nuance that defines the work concerned.

      • KCI등재

        러시아어 동사 시제형의 전이적 사용 연구

        김신효(Shin Hy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러시아어는 일정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전이 과정(하나의 형태적 형태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모든 전이 유형은 다양한 문체적 뉘앙스를 표현하고 문장의 의미에 오버톤(обертон)을 전달한다. 즉, 화자의 표현 수단이며 주관적인 양상 표현 수단이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요소 중 가장 빈도와 비중이 높은 것이 동사의 시제 형태이다. 러시아어 동사는 과거, 현재, 미래 3가지 문법적 시제 형태를 가지고 각시제의 고유한 의미 뿐 아니라 다른 시제형태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것은술어 역할을 하는 동사의 형태적 시제가 의미적 시제와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사 시제의 전이 유형은 6가지가 있다. 즉, 과거시제 의 미인 문맥에서 동사의 문법적 형태를 현재시제나 미래시제로 사용하고, 현 재시제 의미인 문맥에서 과거시제나 미래시제의 문법적 형태를 사용하며, 미래시제 의미인 문맥에서 과거시제나 현재시제 형태의 동사를 사용하는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모든 유형의 시제 전이는 서술적 기능면에서 형태적 시제와 의미적 시제의 불일치를 유발하게 된다. 그래서 형태적 시제에 대한 행위의 연관성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문법 시제의미가 가지는 뉘앙스도 약해진다. 문법적 형태의 의미는 내포적인 뉘앙스(коннотативный оттенок)로작용하여 외연적 의미(денотативное значение)인 문맥적 의미에 오버톤(обертон)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러시아 문학작품 텍스트를 주로 이용하여 러시아어 동사의 시제 전이 현상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문맥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language system, there are transposition processes - the use of one morphological form in another meaning in certain communicative situations. All types of transpositions express different stylistic nuances, inform the sentence of brighter overtones of meaning, and the act as means of expression and the subjective modality of the speaker.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orms of tense have various meanings. They are used not only in their own meaning, but also in the meaning of other tense forms. This means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rb in the predicate function may not coincide with the semantic tense. Thus, the following transposition variants of the verb tense are possible: - use of the form of the presen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ast (the so-called present historical); - use of the form of the presen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future; - use of the form of the pas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resent; - use of the form of the pas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future; - use of the form of the future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ast; - use of the form of the future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resent; When the grammatical tense and in-context meaning are paired together, the result is (1) the weaken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attribution of the action to the grammatical form, (2)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form eventually weakens, sometimes imperceptibly.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form becomes a connotative nuance that accompanies, as a kind of overtone, the basic denotative meaning from the context.

      • KCI등재

        음악적 표현성과 말할 수 없음 ineffability 논제에 관하여

        이종희 ( Jong Hee Lee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7 No.-

        이 글은 음악에 대해 흔히 주장되는 말할 수 없음 논제의 다양한 형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로부터 음악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말할 수 없음 논제는 내성에 주목하는 입장임을 보인다. 음악은 특정한 경우의 구체적 감정, 대상이 아니라 모호하고 일반적인 무언가만을 전달한다는 입장으로 쇼펜하우어, 랭거, 월튼의 논의를 면밀히 살펴보면서, 이들이 감정이 우리에게 느껴지는 내적 측면의 특성에 근거하여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주장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반대로 음악은 언어보다 더 정교한 전달 능력을 가진다고 주장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입장으로 이 글은 작품이 작품마다 고유한 방식으로 독특한 감정을 표현한다는 생각, 음악적 뉘앙스에 대한 이론, 음악적 문맥 안에서 뉘앙스가 나타내는 효과에 주목한 논의들을 차례로 다룬다. 덧붙여 지시적 표현들을 동원함으로써 음악적 표현성이나 효과의 구체적 특성을 언어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제안은 음악의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오히려 강조하는 것임을 보인다. 음악적 특성들의 지각이나 감정적 상태의 내성은 지시적 표현들로도 소통불가능한 사적인 성격의 ``감각질``을 가진다. 이 때 외적 지각의 감각질보다는 음악이 유발하는 감정의 ``느낌``에 주목하는 표현성의 이론이 음악에 특별한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critically considers various forms of the ineffability thesis which is commonly held of music and shows that the best revealing way of claiming this thesis is the one which pays attention to the introspection. First, this essay searches the discussions of Schopenhauer, Langer, and Walton. They claim that music can convey only something imprecise or general, not the specific objects. By searching their claims closely, we come to know that they argue for the ineffability thesis on the basis of the inner aspect of emotions that is felt by us. On the contrary, the others think that music is able to communicate more definite things than the words are. This essay examines these ways of thinking in order. They include the position that the work of music expresses the specific emotion in the unique way of the work, the theory of musical nuances, and the assertion that focuses on the effects of nuance in the musical context. The suggestion that one can give a linguistic expression to the specific qualities of the musical expressiveness or the effects by the help of demonstratives turns out that it might support the ineffability of music. The perception of the musical traits and the introspection of the emotional states both have the private "qualia" that cannot be conveyed even by the demonstratives. This essay argues that the theory of musical expressiveness which lays stress on the feeling of the emotion music can arouse instead of qualia of outer perception is better for explaining the speciality of the musical ineffability.

      • KCI등재

        동의어 발생과 사회심리언어학적 현상 : 완곡어와 위악어의 상관관계 고찰

        조희숙(Cho Heui Suk)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과거 언어학 연구 역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고 현대 언어학에서는 극히 소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완곡어 현상(완곡어)과 위악어 현상(위악어)과 언어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들 중의 하나인 동의어 시스템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다시말해, 이 현상들이 동의어 발생의 중요한 원인들 중의 하나임을 입증한다. 이 두 가지 언어학적 현상은 인간의 언어활동에서 일어나는사회심리학적 작용과도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즉, 단순한 언어학적 현상이 아니라 인간 활동의 중심인 사회의 특성과 쉼 없이 사고하고 때때로 불안한 감정에 휩싸이기도 하는 인간의 심리와 깊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에서 터부시 되는 어휘나 인간에게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일으키게 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동의어 사전의 전체 어휘의 완곡성과 위악성을 밝힌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예브게니예바(Евгеньева)의 러시아어 동의어 사전 (Евгеньева 2002(1975)) 상의 전체 동의어 그룹, 약5400개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각 동의어-기준어와 그 기준어에 딸린 동의어들로 나누어 다양한 언어학적 특성 ? 동의어 개수, 품사, 의미장, 사용분야, 문체, 긍정적/부정적 뉘앙스, 완곡성/위악성, 의미해석 및 예문, 어원 등에 대한 정보가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산출된 수치적 통계를 분석하여 러시아어 동의어 시스템에서의 타 동의어와 완곡어/위악어의 수치적 관계, 동의어 그룹 내에서의 완곡어와 위악어의 위치, 완곡어와 위악어의 타 문체들과의 상관관계, 완곡어/위악어와 부정적/긍정적 뉘앙스와의 상관관계, 동의어 시스템에서의 완곡어와 위악어의 발달방향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완곡어와 위악어가 러시아어 동의어 시스템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연구 분석한다.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자타동사 선택과 오용

        ( Togashi Yoko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1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0

        어느 정도의 문법을 습득하고 다양한 어휘나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중급, 상급수준의 한국인일본어학습자라도 자동사와 타동사를 혼동하기 쉽기 때문에 대화 장면이나 상황에 맞는 자동사 또는 타동사를 정확히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혼동하기 쉬운 자타동사 오용의 경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대화의 장면이나 상황 등에 정확하게 자타동사를 선택할 수 있는지에 관해 대학생 2~4학년 8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일본어 특유의 자동사 표현을 하는 구문의 경우에 있어, 초급부터 상급레벨까지 자동사의 선택률이 낮고, 타동사를 선택한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많았다. 일본어의 경우, 동작주의 의지나 행위를 겉으로 나타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동사 표현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고 자동사 표현이 상대방에게 좀 더 정중한 감정을 표현한다. 그러나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게는 이러한 장면에서의 심리적 뉘앙스의 차이를 명확히 모르기 때문에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용이 눈에 띈다. 또 자신의 의지로 한 행위가 아니더라도 마이너스의 결과를 전달하는 경우나, 동작주의 몸짓 일부를 목적어로 한 비의도적인 경우의 구문에서는 타동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 의해 이러한 자타동사의 선택차이를 한국인 일본어학습자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Follow-up-Interview를 통해 한국일본어학습자 및 일본어모어화자에 의한 자타선택의 이유나 심리적 뉘앙스에 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ある程度の文法を習得し、多樣な語彙や表現を使いこなせる中級、上級レベルの韓國人日本語學習者であっても自動詞と他動詞を混同し、發話の場面や狀況に合った自動詞、または他動詞を正確に使い分けることが簡單ではない。混同しやすい自他動詞の誤用の傾向を探るために、本硏究では發話の場面や狀況ごとに的確に自他動詞を選擇できるのかについて大學2~4年生84名を對象に調査を行った。調査の結果、日本語特有の自動詞表現をする場合において、初級から上級レベルまで自動詞の選擇率が低く、他動詞を選擇した韓國人日本語學習者が多い。日本語の場合、動作主の意志や行爲を表に出さないようにするため自動詞表現が好まれる傾向があり、自動詞表現の方が好意の押しつけにならず、相手に丁寧な感じを與える。しかし、韓國人日本語學習者には、このような場面での心理的ニュアンスの違いが明確に分からないことから、母語の影響により他動詞のほうが選擇され、誤用が目立つ。また、自分の意志でした行爲ではなくてもマイナスの結果を傳達する場合や、動作主の體の一部を目的語とした非意圖的な場合の構文では他動詞が一般的に使われる。このような自他動詞の選擇の違いを韓國人日本語學習者が理解できていな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本硏究ではフォロ―アップインタビュ―を通して韓國人日本語學習者、及び日本語母語話者による自他選擇の理由や心理的ニュアンスについても觸れることにする。

      • KCI등재

        챗GPT에(게) 묻다

        김화선(Hwa-seon Kim) 한국리터러시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3

        This review examines the meaning of ChatGPT, a state-of-the-ar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model developed by OpenAI, and Professor Kim Dae-sik, a brain scientist,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on topics such as human relations, love, and happiness, risks facing mankind, God's existence and death. First, we asked ChatGPT, Google Bard, and Microsoft's search engine “Newbing” to write a book review on “The Future of Mankind Ask ChatGPT,”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each answer. The book review written by ChatGPT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Overall Introduction-Book Composition Method and Theme-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ChatGPT-General Review,” and the flow of the article was generally smooth,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writer’s fresh perspective. Google’s Bard article confirmed that the text generation method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focuses on universal summaries and simple and clear explanations rather than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Microsoft’s search engine “Newbing,” based on the GPT-4 model, specifically cited the contents of the book to increase reliability and reveal the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issue of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Looking at the conversation scene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 thought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conversation. In order for “ask-answer” to be a process of generating meaning, curiosity, and curiosity about not only oneself but also others and the world must be placed behind it. In addition, to continue the conversation, a literacy ability to discover meaning is required, and literacy presupposes the ability to read between the lines and grasp contextual knowledge. This eventually requires the imagination to fill the gap and the overall perspective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the part and the part. The process of finding meaning is the ability to think about surplus and outside and grasp the context, and if you say one thing, it is no different from the sense of recognizing heat. The sensibility that knows how to capture nuances belongs to the realm of humanism, which is essential for humans to sense and judge an object or phenomenon. Therefore, Professor Kim Dae-sik’s conclusion in “Epilogue II” of “The Future of Humanity Ask ChatGPT” has great implications. The eye to distinguish the voices of individuals, which contain nuances subtly different from those that “probabilistic parrots” imitate plausibly, is based on humanities knowledge that cannot be easily filled with the names of efficiency, probability, and practicality. To exist as thinking human beings, we realize again that we must ask ‘why’ rather than ‘what’ and rely on the logic of coincidence and the specific context of life, not on the axis of stochastic thinking. And at the core of it, there is humanity that repeatedly asks and answers with a long-term perspective. 이 글은 OpenAI에서 개발한 최첨단 자연어 처리(NLP) 모델 챗GPT와 뇌과학자인 김대식 교수가 인간관계와 사랑, 정의와 행복, 인류가 직면한 위험, 신의 존재와 죽음과 같은 주제로 주고받은 문답을 소개하고 있는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가 인공지능 시대의 출발점에 선 독자들에게 시사하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살피고 있다. 먼저 챗GPT와 구글 Bard,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검색엔진 ‘뉴 빙(new bing)’에 차례로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에 대한 서평을 작성해달라고 요구한 후, 각 답안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분석해보았다. 챗GPT가 작성한 서평은 ‘전반적인 소개-책의 구성 방식과 주제-챗GPT의 한계와 의의-총평’ 형식으로 제시되었고, 글의 흐름은 전반적으로 매끄러운 편이지만 글쓴이의 참신한 관점을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구글의 바드가 제시한 글은 동일한 어휘 사용, “또한”으로 시작하는 문장 형식의 반복 등이 나타났으며 인공지능 챗봇의 텍스트 생성방식이 개성과 독창성보다는 보편적인 요약과 간단하고 명확한 설명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다. GPT-4 모델을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검색엔진 ‘뉴 빙(new bing)’은 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인용하여 내용에 신뢰성을 높였고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를 의식하여 출처를 밝혀주었다. 인간과 기계가 나눈 대화 장면들을 살펴보며 대화가 갖는 의의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묻기-대답하기’가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이 되려면 그 배면에는 자기뿐 아니라 타자와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이 자리해야 한다. 그리고 대화를 지속하려면 의미를 발견해내는 리터러시(Literacy) 능력이 필요한데, 읽고 쓸 줄 아는 문해력은 행간을 읽고 맥락적 지식을 파악하는 역량을 전제로 한다. 이는 결국 빈틈을 채울 수 있는 상상력과 부분과 전체, 부분과 부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전체적 안목을 요구한다. 의미를 찾는 과정은 잉여와 외부를 사유하고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며,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고 하나를 말하면 열을 알아채는 눈치와 다름이 없다. 뉘앙스를 포착할 줄 아는 눈치란 인간이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감각하고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휴머니티의 영역에 속한다. 그래서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의 ‘에필로그Ⅱ’에 남긴 김대식 교수의 결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확률적 앵무새”가 그럴듯하게 흉내내는 목소리와는 미묘하게 다른 뉘앙스를 담고 있는 개별자들의 목소리를 구분해내는 안목은 능률과 확률, 실용이라는 이름으로 쉽사리 채울 수 없는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한다. 사유하는 인간으로서 존재하려면 ‘무엇을’이 아니라 ‘왜’를 질문해야 하고, 확률적 사고의 축이 아닌 우연성의 논리와 삶의 구체적 맥락에 기대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는다. 그리고 그 핵심에 긴 안목으로 묻고 대답하기를 반복하는 인문학이 자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