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노인요양시설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

        윤숙희(Sook Hee Yoon),김세영(Se Young Kim),오향련(Xianglian Wu)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 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를 파악하였으며, 환자안전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국 70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실무종사자 982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47.1세로 고등학교 졸업이 412명(43.6%)으로 가장 많았으며, 노인요양시설 근무경력은 1~2년이 441명(47.4%)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무종사자의 직종은 요양보호사 652명(67.7%), 간호사 101명(10.5%), 사회복지사 68명(7.1%), 간호조무사 65명(6.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청[20]의 보고에서 국내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전문인력 중 요양보호사가 차지하는 비율 77.7% 보다는 낮지만, 국내 노인요양시설에서 직접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인력으로 요양보호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가 시작된 후 노인요양시설이 증가되었고, 급하게 양성된 요양보호사가 시설의 인력으로 대거 투입되어 왔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와 관련해서 Bonner[2] 등은 너싱홈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의료사고의 위험이 높아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너싱홈에서 간호보조 인력에 의해 직접적인간호가 제공되기 때문에, 환자안전을 위하여 간호보조 인력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따라서 노인요양시설에서 안전에 취약한 노인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고 이를 환자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출발점[11]으로 활용해야 하며, 특히 실무종사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안전 교육과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의 환자안전문화 점수를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타연구와 비교할 수 없지만, 환자안전문화의 영역별 평균 점수는 5점 척도에서 직무태도 영역 4.13점, 조직시스템 영역 3.99점, 관리자의 리더십 영역 3.93점, 관리활동 영역 3.44점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의 문항별 점수를 살펴보면, 근무태도 영역에서 실무종사자들은 사고의 예방을 우선시하고, 정해진 시간에 관찰과 기록을 수행하고, 간호의 표준과 절차를 준수하고, 사고발생 시 대처행동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한다는 내용의 문항들에 대하여 4점(그렇다) 이상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조직체계 영역에서는 노인요양시설에 사고발생 시의 환자이송 지침과 사고보고서 작성 규정이 있으며, 거주 노인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의 문항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관리활동 영역에서 실무종 사자들은 시설의 임금과 복리후생과 같은 근무조건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문항들 중 가장 낮았으며, 관리자가 직원의 업무량을 공평하게 배분하는 것과 직원의 피로정도에 관심을 갖는내용의 문항의 점수가 다른 문항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본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들 중 간호사 집단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도는 10점 척도에서 6.9점으로 요양보호사 및 타 직종 집단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도 7.7점보다 유의하게 낮아서,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사들이 다른 직종보다 환자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이라 해석되었다. 간호사는 환자안전에 관련된 문제점을 민감하게 인식할수 있는 전문가 집단으로 외국의 선행연구에서 간호사의 관심과 인식이 환자안전을 증진시키는 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수 있음이 강조되어왔다[17,21]. 한편 미국 5개 주 72개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를 조사한 Castle[1]의 연구에서 노인 100명당 간호사 수가 많은 기관의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결과에 대하여 노인요양시설에서 간호사들이 조직의 규범에 큰 영향을 주는 관리자로서 안전을 개선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라 해석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요양 시설에서 간호사들이 환자안전 개선가로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실무종사자들에게 환자안전 교육을 시행하고 조직시스템을 정비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기관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서울과 대도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병상 수가 100병상 이상인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astle[1]의 연구에서는 노인 100명당 간호사 수와 간호보조원 수가 많을수록, 회사 기관에서, 지역의 너싱홈 수가 많을수록 환자안전 점수가높아졌으며, 병상 수가 클수록, 영리기관에서, 평균 병상점유율이 높을수록 환자안전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도시와 지방을 비교한 환자안전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런데 본 연구와 Castle[1]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노인요양시설의 병상 수와 환자안전문화는 부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어, 노인요양시설의 규모가 크고 노인 환자 수가 많을수록 실무종사자들이 느끼는 환자안전문화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다양한 구조적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에서 환자안전도의 영향요인을 조사한 결과, 실무종사자의 연령과 경력, 환자안전문화의 하부영역인 관리자의리더십, 조직체계, 관리활동이 환자안전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 결과의관련성을 제시한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Pronovost등[22]의 연구에서 병원의 환자안전문화는 재원일수감소, 간호사 이직, 투약 오류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legen, Gearhart, O’Brien, Sehgal과 Alldredge[23]는 환자안전문화가 환자안전도를 예측한다고 했다. 또한 Fitzpatrick,Stone과 Walker[24], Cooper와 Phillips[25]의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는 낙상, 투약오류, 욕창과같은 거주자의 안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onner[2] 등의 연구에서 간호보조 인력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낙상 보고율이 높아지고, 환자안전문화가 낮은 시설에서 억제대 사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가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가적 차원으로 전국의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지속적인 환자안전문화 개선사업이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노인요양시설들이 실무종사자들의 환자안전문화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관리자의 리더십 즉 환자안전을 우선시하고 실수에 대하여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노력, 직원의 업무환경에 대한 관리활동을 수행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안전문화를 개선한 실제적인 예로써, 수술실에서 팀 기술 훈련, 교육 세미나와 같은 환자안전 증진활동을 적용한 후에 간호사들의 안전문화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으며[26], 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한 이후에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26].한편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의 근무태도 영역 점수가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고, 근무태도와 환자안전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나, 회귀분석에서는 근무태도가 환자안전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 결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McFadden, Henagan과Gowen[27]의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 하부영역의약 38% 정도가 환자안전 결과와 관련성이 있으며, 환자안전 문화가 환자안전 결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보다는 안전간 호활동이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 결과를 매개한다고 했다.이를 본 연구의 결과에 적용하면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근무태도는 안전간호활동을 통해서 노인의 환자안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의 관리자는 실무 종사자들이 환자안전을 우선시하고 노인을 간호하는데 표준 과 절차를 지키도록 강조하고 이를 공식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실무종사자들의 근무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시설의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by measuring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ing homes and understanding its influencing factors.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using data fro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A total of 982 ca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0 program. Results: For the safety culture of the pati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acility. For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age, education,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the size of the nursing home were significant factors.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regression model of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was significant (F=20.73,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7.4%.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culture is a factor influencing safety of elders in nursing homes. To improve patient safety for nursing homes in Korea, continuous evalua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need to be done at a national level.

      • KCI등재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간 우울의 상호의존

        최경원,윤현숙,임연옥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1

        암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노인 암환자와 가족 수발자들은 우울로 인해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고 있으며, 노인 암환자와 가족 수발자가 상호의존 관계임을 밝힌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를 대상으로 두 시점 간에 우울증상이 상호 영향을 미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 133 쌍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 패널자료’ 중 65세 이상의 노인 암환자의 3차와 5차 패널자료와 같은 시점에 실시한 주 가족 수발자 대상 1차와 2차 패널자료를분석에 활용하였다. 첫 번째 시점과 두 번째 시점 간의 우울경향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통해 확인하였고,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 간의 상호의존관계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 모두의 우울수준은 T1시점에 비해 T2시점에 유의미하게높아졌다. 두 시점 간에 노인 암환자와 가족수발자의 상호의존관계를 검증한 결과 첫 번째시점의 노인 암환자의 우울이 다음 시점의 가족수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첫 번째 시점의 가족수발자의 우울이 두 번째 시점의 노인 암환자 우울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노인 암환자가 경험하는 우울은 후차적으로 가족수발자에게 우울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노인 암환자의 우울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예방차원에서 가족수발자에 대한 동시 개입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dyadic interdependence on depression for older adul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Cancer in the elderly has become an increasingly common problem in Korea. Over 50% of all malignancies occur in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Cancer takes an emotional toll on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Family caregivers’distress levels are similar to patients with cancer.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provides both conceptual logic and statistical techniques for parsing actor and partner effects. A total of 133 older adults with cancer and family caregivers dyads participated in two wave surveys in 2013 and 2015 by Hallym University Longitudinal Research Team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Cancers. Paired t-test was used to identify changes and differences of the depression tendencies between T1 and T2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examine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Results showed that while a significant change of depression level among older adults with cancer was f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among family caregivers. The depression of the older adults with cancer at T1 had significant effect of depression of family caregivers at T2.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actor effects for depression leading from older adults with cancer to their family caregivers.

      • KCI등재후보

        신경계 손상 노인 환자의 연하곤란의 특징에 대한 연구

        백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신경계의 손상을 가지고 있는 노인환자들의 연하곤란의 특성을 비디오 투시조영검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신경계 손상 노인 환자의 연하곤란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신경계손상의 장애를 가진 60세 이상 90세 이하 노인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연하곤란의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에게 비디오 투시조영검사를 실시하여 연하곤란의 단계별 특성과 연하곤란을 일으키는 주요 문제점들의 내용과 문제점들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비디오 투시조영검사를 실시한 결과 신경계 손상 노인 환자의 연하곤란의 특징은 연하의 과정 중 48%의 환자가 인두단계에서 많은 장애를 나타내었으며 연하곤란의 직접적인 문제점들에 있어서는 첫 번째, 70%의 환자가 식이의 인두잔여물로 인해 연하에 장애가 생겼고 두 번째, 52%의 환자가 흡인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해 나타난 신경계 손상 노인 환자의 연하곤란의 특징을 고려하여 볼 때 신경계 손상 노인 환자의 연하의 치료적 접근에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할 사항으로는 구강-인두부위의 직접적인 치료적 접근과 진한 유동식을 이용한 식이의 특성과 식이의 양 조절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of older adults who suffer from neurologic disorders by using a videofluoroscopic test.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0 older adults aged 60 to 90 who suffer from dysphagia due to a neurologic disorder. They were evaluated using a videofluoroscopic tes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dysphagia and the frequency of main problems that cause the dysphagia. Result : As the results of the videofluoroscopic test show, the pharyngeal stage is the most difficult stage, with 48% of the patients showing some disability. As to the direct causes of the swallowing disorder, vallecular and pyriform sinus residue is ranked as the number one, with 70% of the patients having the condition, and an aspiration disorder is ranked as number two, with 52% of the patients suffer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direct oro-pharyngeal therapy and diet using a thick liquid food are important for the dysphagia of older adults with neurologic disorders.

      • KCI등재후보

        Prediction in Cost of Care according to Age Group for Older People Cancer Patients in Korea: 2010-2020

        Jong In Kim(김종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7 No.-

        Background: In the formulation of national cancer care policies, accurate future predictions for the cost of care for older people cancer patients are an important element in proposing financing alternativ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of the cost of care according to age for older people cancer patients. Methods: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or the period 2001–2008 were used to identify 156,000 older people cancer patients and 4,178,000 older people control subjects. The estimates for the cost of care for older cancer patients in different age groups were then applied to the net increase of health care, in order to estimate the net increase of cancer care costs. Results: When the net increase of predicted average health costs per older people were the lowest for male genders in age-group 65-69 in 2010-2020, the net increase of prediction average cancer care cost per older people was the highest for both genders in this youngest age group (R-Sq(%)=95.1, P=0.002). Conclusion: The study estimates presented here form a basis for the net decrease of costs car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aging in the older people age group for cancer patients that will be particularly important with the growing older people population. 국가 암 정복 정책에서 노인 암환자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건강보험재정의 대안들을 제안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연구 목적은 노인 암환자의 연령별 의료비용을 예측하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의 노인환자 4백17만8천명(2001-2007)과 노인 암 환자 15만6천명(2007-2008)을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노인 암환자의 의료비용을 예측하기 위해 노인암환자와 건강보험환자의 의료비용에 대한 증가분을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2010-2020년 건강보험환자 1인당 65-69세 연령그룹의 남성의 순 의료비용 증가분이 가장 낮을 때, 동일 한 연령그룹의 암환자의 1인당 순증가분은 가장 높았다(R-Sq(%)=95.1, P=0.002). 노인환자의 의 료비용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지만, 노인 암환자의 의료비용은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향후 고령사회에 대비하여 노인 암 정복 건강보험대안 입안에서 노인의 연령을 주요변수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노인환자 급증에 따른 응급의료서비스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언

        권혜란(Hayrran Kwon),김정선(Jung Sun Kim) 한국노년학연구회 2021 한국 노년학연구 Vol.30 No.2

        인구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부터 노인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그 환자들의 상당수는 응급의료서비스를 요하고 있으며,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은 젊은 환자들과 매우 다르다. 그들은 두 가지 이상의 질환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또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의사소통이 어려워 진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게다가 역시 비전형적인 임상소견을 보이고 또 호소하는 증상들도 비특이적이라서 응급실에서 노인환자들의 평가나 진단이 복잡하다. 이에 현재와 같은 응급의료서비스 시스템은 노인환자의 요구나 특성에 맞게 달라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실에 노인환자들을 상대하는 부서가 필요하거나 또는 아예 응급실 기능을 갖추면서 노인환자들만을 위한 병동이 필요하다. 또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출동하는 구급대원들이 환자를 이송하는 시스템도 달라져야 한다. 적절한 훈련과 자격을 갖춘 구급대원이 환자평가를 토대로 일차의료기관으로 연계시켜주거나 간단한 처치를 해줄 수 있어야 하고, 환자의 질환 상태에 따라서 응급실이 아니라 전문치료센터(예, 뇌졸중센터)로 이송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 변화는 결국 노인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해주고 또 응급실 이용과다를 감소시켜줄 수 있다.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ince the era of population aging. A majority of the patients ne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an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m are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younger patients. Multiple comorbidities are common in this population, and diagnosis is difficult because of communication problems caused by various factors. In addition, both atypical presentations of illness and nonspecific complaints complicate their evaluation and diagnosis at the emergency department. Therefore, the current EMS system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tients. Specifically, there should be a section in the emergency room (i.e., geriatric emergency rooms) that specializes in dealing with the elderly patients or a geriatric hospital ward with emergency room functions. The system, in which paramedics dispatched to provide EMS transport the patients, should also be changed. Appropriately trained and qualifies paramedics should be able to transfer the patients to primary health clinics or provide primary care based on patient evaluation, and transfer to a specialized treatment (e.g., stroke center) center rather than an emergency room according to the patient’s illness condition. Such system changes can eventual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atients and reduce excessive use of emergency rooms.

      • KCI등재

        노인 섬망 환자의 간호학적 고찰

        황혜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Purpose: Delirium is one of the symptoms that occur to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resulting in temporary changes in brain function and adeterioration in quality of life.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atients in hospital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delirium prevention nursing to provid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psychologic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care. Result: The role of nurses who have the most contact with patients is important and the success of care depends on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of care suits the demands of actual clinical situations. Nursing care for delusion disorder is intended to primarily eliminate the causes of nursing and help patients recover. For delirium prevention nursing, nursing care should involve treating illness, helping patients maintain time-person-place orientation, improving their orientation, minimizing unnecessary stimuli and noise, remove unnecessary catheters, pain control, sleeping maintenance and helping them spend more time with familiar people. Conclusion: Nursing elderly patients should b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conditions of elderly patients and providing them comfort. Nurses need a variety of education to understand elderly patients, delirium assessment tool for elderly delirium prevention should be appropriately evaluated by clinical application. Further m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care for patients with delusion at the same time they are hospitalized to produce better results rather than nursing patients with advanced delirium. 목적: 섬망은 입원 노인환자에게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이며 일시적인 뇌의 기능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삶의 질을 저하를 가져온다. 노인 입원환자가 증가함으로 입원 노인 환자의 편안한 심리적, 신체적, 환경적인 간호를 위해 섬망예방을 위한 간호가 필요하다. 결과: 환자와 접촉이 가장 많은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임상에 상황에 맞추어 실제적 적용이 성공여부가 달려있다. 섬망예방 간호는 우선 섬망 원인을 제거하고 환자의 회복을 돕는 것이다. 섬망의 예방의 측면에서 질병의 치료와 함께 환자의 지남력을 유지하고 오리엔테이션을 주고 불필요한 자극 및 소음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카테터 제거, 통증조절, 수면유지, 친숙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늘이는 등의 간호가 함께 필요하다. 결론: 노인의 환자를 간호하는 것은 노인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인 상태를 이해하고 안위를 가질수 있도록 간호의 방향에 초점을 두어야한다. 간호사가 노인 환자를 이해하는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며, 노인의 섬망예방을 위한 섬망 사정도구를 임상에 적용하여 적절하게 평가하여야한다. 그리고 섬망은 진행된 섬망환자를 간호하는 것 보다 섬망예방 간호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입원과 동시에 섬망예방 간호를 하는 것 이 중요하다.

      • KCI등재

        노인의료비 감소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요양병원에 관한 연구

        김호영,김동일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4

        2021년 기준 한국의 노인인구는 약 8,537,000명으로 전체인구의 약 16.5%에 달한다. 이는 2060년까지 18,815,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체인구의 약 43.6%에 달할 것이다. 생산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노인인구 수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2021년에 23.0에서 2060년에는 91.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기관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병실과 병상을 보유하고 있어서 가장 많은 입원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어느 곳인지 한번 살펴보고, 불필요한 입원비 지출을 줄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면, 미래의 불필요한 노인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의료비 상승에 가장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65세 이상 노인 인구 증가와 노인 의료비 증가의 상관관계를 베이지안 회귀분석 하여 노인 인구 증가가 노인 의료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 증가와 노인의료비 증가의 상관관계는 베이지안 회귀분석을 한 결과 회귀계수의 값은 2.26이므로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 비율은 노인인구 비율의 2배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 예상치와 전체 의료비 대비 노인 의료비 비율 예상치의 상관관계를 베이지안 회귀분석과 일반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회귀계수는 약 2.2이므로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 증가율은 노인 인구증가율의 2배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노인 인구 증가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요양병원의 저렴한 본인부담률과 본인부담금 상환제는 요양병원 입원환자들의 본인부담금을 더욱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고, 이는 의도치 않게 사회적 입원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있었다. 해외사례들을 볼 때, 요양병원 입원환자들에 대해 정기적인 입원기준 적합성 판정과 경증 환자에 한해 장기 입원시 기간에 비례하여 본인부담금을 상향 조절하여 사회적 입원 즉 직접적인 의료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지만, 단순 돌봄 서비스가 필요해서 입원한 환자들의 불필요한 장기 입원을 통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s of 2021,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about 8,537,000, accounting for about 16.5% of the total population. This is expected to rise to 18,815,000 by 2060. This will amount to about 43.6% of the total population. The elderly support ratio, which refers to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supported by 100 working-age people,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23.0 in 2021 to 91.4 in 2060. If we take a look at which medical institution can accommodate the most inpatients because it has the largest number of hospital rooms and beds among medical institutions, and if we look at whether it is efficiently managed to reduce unnecessary hospitalization expenses, It will help to some extent to reduce the elderly medical expenses. Bayesian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and over and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which is known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on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As a result of Bayesian regression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and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was performed, and the valu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was 2.26.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cted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to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to total medical expenses through Bayesian regression analysis and general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 is about 2.2, so the growth rate of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is twice that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biggest cause of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over 65 is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low co-payment rate and co-payment reimbursement system of nursing hospitals have the effect of further lowering the co-payments of inpatients in nursing hospitals, which unintentionally encourages social hospitalization. Looking at overseas cases, for patients inpatients in nursing hospitals, regular admission criteria are determined and co-payments a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eriod of long-term hospitalization for patients with mild symptoms, so social hospitalization, that is, direct medical service is not required, but simple ca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control unnecessary long-term hospitalization of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because they need services.

      • KCI등재

        내과입원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상의 양상에 대한 연구

        김재현(Jae Hyun Kim),고효진(Hyo Jin Ko),최상철(Sang Cheol Choi)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9 노인정신의학 Vol.3 No.2

        연구목적 : 우울장애는 노인에서 가장 흔한 질병으로 특히 내과적인 신체질환이 있을 때 우울증이 더욱 많다고 알려져 있다. 우울증이 있을 때 학습, 기억, 주의집중, 지각 등 인지기능에 변화가 나타나게 되고 치료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부적절하게 반응하며, 여러 사회적 환경에서 병들기 전의 능력을 회복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울장애의 진단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 내과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에서 주요우울장애를 감별할 수 있는 우울증상의 양상과 인지기능장애의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시행되었던 HDRS와 MMSE의 하위 척도를 분석하였다. 방 법 : 한 종합병원의 일반내과 병동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228명에 대해서 두 명의 정신과 전문의가 HDRS과 MMSE-K의 선별검사와 반 구조화된 면담도구를 이용한 정신과적 면담을 하였으며, DSM-Ⅳ를 기준으로 진단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연령은 72±5.06(SD)이었으며, 남자가 119명 여자가 109명이었다. 결혼상태를 보면 140명이 기혼상태였고 이혼이 2명, 별거가 1명, 사별이 85명이었다. 평균교육기간은 3.64±4.34(SD)로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사람이 133명이었다. 평균재원기간은 12.9±10.63(SD)일이었으며, 평균 2.98±1.73개의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우울장애환자는 검사완료환자 228명중 69명(30%)이었으며 그중 주요우울장애는 16명(23%), 경우울장애는 53명(77%)이었으며, 내과입원 노인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에서 나이, 교육정도, 성별 및 결혼상태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여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우울성향을 나타내었다. 각 군에서 호소하는 증상의 순위를 살펴보면, 대조군에서는 증상을 호소하는 순위가 체중감소, 일반적인 신체증상, 위장관증상, 중기 불면증, 신체적 불안, 우울증의 순이었고, 경우울장애군에서는 우울증과 일반적인 신체증상 및 위장관증상을 호소하였고, 신체적 불안, 체중감소, 작업과 흥미를 같은 순으로 호소했다. 주요우울장애군의 경우 우울증, 신체적 불안과 정신적 불안을 호소하였고, 위장관증상과 작업과 흥미를 같은 순위로 그리고 자살을 호소하였다. 세 군 사이의 HDRS점수는 대조군 3.96±3.00(SD), 경우울장애군 10.87±4.01(SD), 주요우울장애군 19.75±5.72(SD)로 서로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증의 양상을 보기 위해 하위척도를 살펴보면 우울증, 죄의식, 자살, 작업과 흥미, 정신운동지체, 정신적 및 신체적불안, 건강염려증에서 세 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초기 불면증(p<0.01) 및 중기 불면증(p<0.05), 위장관계통(p<0.01) 및 일반적 신체증상(p<0.05)은 대조군과 우울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경우울장애군과 주요우울장애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말기 불면증, 초조, 병식결여의 항목에서는 주요우울장애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대조군과 경우울장애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식기증상과 체중감소에서는 세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SE-K점수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23.70±3.38(SD), 경우울장애군 23.41±3.17(SD), 주요우울장애군에서 20.00±4.13(SD)으로 대조군과 경우울장애군에서는 차이가 없고 주요우울장애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하위척도를 통해 살펴본 결과 시간에 대한 지남력, 주의집중과 계산(p<0.05) 및 언어영역(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내과입원 노인 주요 우울장애환자들은 우울과 불안을 주로 호소하나 신체적인 증상들도 많이 호소하는 특징이 있으며, 더불어 초조, 병식의 결여, 말기 불면, 주의집중의 저하, 시간-지남력의 손상과 언어기능의 손상이 다른 두 군과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노인 입원환자에서 우울증상과 더불어 초조, 불면(특히 말기불면), 피로, 집중력의 저하와 인지기능의 감소를 보일 때 자문의는 주요우울장애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Objects : Depressive symptoms are common in the elderly medical inpatients. But depressive disorders are considerably underdiagnosed and undertreated. Especiall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show cognitive impairments and do not respond adequately to medical treatment.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at are the patterns of depressive symptom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s which differentiate from minor depressive disorders in the elderly medical inpatients. Methods : A 4-month prospective study of 312 patients (65 years and older) was conducted in a general hospital. Depression was screened with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nd cognitive function was screened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The subject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DSM-Ⅳ for depression. And according to DSM-Ⅳ diagnosis, HDRS and MMSE-K subscales were analysed. Results : In the 228 patients who were investigated, 16 (7%) patients were major depressive disorder, 53 (23%) were minor depressive disorder. Females were more depressed than mal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the patient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control subjects complained of loss of body weight, somatic symptoms and somatic anxiety, and the minor depressive disorders shows mixed symptoms of the two. The complaining frequency of the somatic symptoms and somatic anxiety were similar among the thre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HDRS total scor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HDRS subscale scores all subscale scores except for the genital symptoms and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high in depressive disorders. Initial insomnia (p<0.01), middle insomnia (p<0.05), GI symptoms (p<0.01) and somatic symptomgeneral (p<0.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subjects and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The subscales of terminal insomnia, agitation and loss of ins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inor depressives and major depressives (p<0.01),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subjects and the minor depressives. MMSE total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major depressive disorders among the 3 groups. Comparing subscales of the three groups,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found in time orientation, attention and calculation (p<0.05) and language (p<0.01). Conclusion :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in elderly medical inpatients chiefly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anxiety, but they also complained somatic symptoms. If elderly medical inpatients complain of agitation, terminal insomnia, 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onsultants will pay attention for the major depressive disorder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ystematic study is necessary for the recognition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elderly medical inpatients.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의 윤리의식,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Park Jeong Mee),강경숙(Kang Kyung Soo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양질의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조사 연구로서 연구목적은 노인요양시설 돌봄 서비스종사자를 대상으로 윤리의식,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와 각 변수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들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과 J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와 요양보호사 16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1.0 통계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윤리의식은 5점 만점에 4.27점,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95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4.3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 검증 결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하위요인인 조직시스템, 직무태도, 관리활동, 일반적 특성 중 현 시설에서의 근무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68.4%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대상자가 지각한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자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을 돌보는 대상자의 안전관리 서비스의 질 평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대상자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 활동 및 환자안전문화 인식 고양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 awarenes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166 nursing assistants and care givers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among those who were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subjects scored an average of 4.27 points on awareness of ethics, an average of 3.95 points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an average of 4.31 point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verage daily work hours. The subjects awareness of ethic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actors having the most effect on the subjec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d organization system, job attitude and management activities, all of which we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employment years at the current facility,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68.4 %. In summary, this study found that care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major effec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Consequently, education program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relation to employment years, organizational systems, job attitude and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병원에서의 반말 사용과 여성 노인 환자의 주체성

        이현정(Lee, Hyeon J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병원 입원실에서 여성 노인 환자를 향한 돌봄제공자의 언어사용 방식에 관한 경험적 사례를 기술하고 인류학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여성 노인 환자를 둘러싸고 나타나는 돌봄의 문제를 젠더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로 관찰된 세 쌍의 관계는 어머니와 딸, 환자와 고용된 간병사, 종교공동체의 선후배 관계로 각기 달랐지만, 모두 공통적으로 돌봄제공자들이 돌봄수혜자인 여성 노인환자에게 반말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비록 반말이 관계 내에서 갖는 성격은 각각의 사례에서 차이점을 나타냈지만, 여성 노인 환자에게 사용되는 반말은 돌봄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의도와 상관없이 노인, 환자, 여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 사회의 젠더화된 위계를 중층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필자는 여성 노인 환자들이 본인의 의지, 입장, 욕망과는 상관없이 어쩔 수 없이 반말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존재적인 조건 속에서, 타협적이거나 수용적인 주체성을 요구받고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language usage among female care-givers for elderly female patients in a hospital, and analyzes how the way care–givers use language for care-recipients reflects gender politics of care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pent 24 hours a day for a week in a patient room with research participants, while conducting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ir everyday behaviors and verbal communications. Data shows that the three pairs of relationships are different in character-mother and daughter, patient and employed care-giver, and sisters in a religious community, respectively-but all the care-givers spoke elderspeak or disparaging language to their care-recipients and no patient resisted. This phenomenon implies how elderly female patients, as three types of otherness (olders, patients, and women) combined together, occupy the lowest position in social hierarchy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ocial condition as well as their physical needs tend to force the elderly female patients to develop compromised or receptive subjectivity in which they accept such verbal communications however insulting it may be, since it is the way to guarantee to be cared 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