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과의 관계분석

        박선향(seon hyang park),박수경(park soo-g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Special education area will require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ue to the nature of the uniqueness of the target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erefore, setting the research discuss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t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would contribute to take those measures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is study surveyed 279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Measuring tools was made to review the test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Using PASW 20.0,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eaching sit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instruction adap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instruction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eaching sit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ac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curriculum knowledg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instruction adap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instruction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ac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sub-factors of evaluation of the teachers themselves and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struction adaptation. Therefore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It also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 adapt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as well as mediating variables of teacher quality of teaching, the teacher's beliefs, values, and commitment suggests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parameters as such. 특수교육 영역은 교육대상 및 내용이나 방법면의 특수성이라는 특성상 높은 수준의 교사의 전문성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특수교사가 지닌 교수내용 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에 대해 논의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들을 강구하는 데에 일조할 것이라는 연구의의를 설정하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과 교수적 수정 및 실천적 지식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특수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과내용지식, 학생이해, 수업상황 및 지원이 교수적 수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하위변인인 교수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가 교수내용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과내용지식, 학생이해, 수업상황 및 지원이 실천적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과과정지식,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교수내용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하위변인인 교수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가 실천적 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하위변인인 교사자신에 대한 평가,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이 교수적 수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내용 지식. 교수적 수정, 실천적 지식의 세 변인간의 인과적 영향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 지식, 교수적 수정, 실천적 지식의 매개변인에 따른 관계분석 뿐만 아니라 교사의 수업의 질, 즉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사의 신념, 가치, 헌신도 등과 같은 매개 변인과의 관계 규명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한다.

      • KCI등재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에 관한 탐구

        임천택(Im, Cheon-t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고의 목적은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쓰기 지식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은 일반 지식의 특성을 공유하는데, 그것은 체계적이고, 맥락적이며,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그러나 쓰기 지식의 범주를 구분할 때는 일반 지식의 범주 구분과는 달리 쓰기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본고에서는 쓰기 지식을 사회․문화적 지식, 내용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으로 범주화 하였다. 교육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가르칠 수 있는 것, 안정적인 것,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 국어 교과와 쓰기 영역의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쓰기 지식 범주 중에서 교육 내용이 될수 있는 것은 사회․문화적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의 범주이다. 흔히 교육 내용으로 삼고 있는 전략 은 쓰기 지식 범주의 과정 지식이나 초인지 지식으로 대체할 수 있고, 기능 과 태도 는 교육 내용이기보다는 교육 목표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쓰기 교육 내용은 결국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쓰기 지식의 반영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모두에서 지식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쓰기 교육 내용 체계와 학년별 교육 내용을 검토한 결과, 쓰기에 필요한 지식이 균형 있게 반영되지 못한 점, 쓰기 지식 교육 내용의 범주와 그 관계가 불투명한 점, 쓰기 지식의 습득과 활용이 어려운 내용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 점을 개선할 수 있는 쓰기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논리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각 범주가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넷째, 학년별 쓰기 교육 내용은 목표로 제시되어야 하고, 그것은 명확히 나선형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haracter and a category of the knowledge in writing. And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category where it grop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direc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Dividing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must reflect the quality of writing. This research regards to writing knowledge dividing knowledge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tents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meta cognitive knowledge. As education contents the condi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must be a stable and education value, possibility of teaching, reflecting the quality of the writing and national language subject. Consequently, the fact that it is the possibility reaching the education contents category from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one side strategy it will be able to substitute with a process knowledge or a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skill and attitude correspond to an education aim. Consequently, knowledge finally must be center in writing education. This research tries to observe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in the education contents of writing on the basis of present Curriculum. As a result that it emphasizes knowledge aim and a contents all. But dividing education contents category and that the relationship is opaque, the reflection of writing knowledge is insufficient, the contents system of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loose, the finding and application of the writing knowledge with difficult appeared are becoming problem point. It presented direction of improvement with after words for this problem point. First, the contents category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knowledge with the center. Secon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of the logic of the writing knowledge. Thir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reflected knowledge of each category with balance. The fourth, grade star education contents must be presented with aim and arranged a spiral clearly.

      • KCI등재

        체육교육의 내용과 지식에 대한 담론

        신기철(Shin, Kicehol)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체육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가 지녀야 할 역량의 한 부분으로 간주되는 내용교수지식(PCK)을 재해석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육과에서 가르치는 내용에 대해서 신체활동, 체육학 지식, 운동 소양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고, 이어서 체육 교과 내용에 대한 교사 지식은 수업을 실행하는 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수역량의 기초임을 전제하고 그동안 교사지식 중에서 교사의 전문성의 요소로 가장 주목을 받아 왔던 내용교수지식이 어떠한 개념적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내용교수지식을 Shulman(1986)이 교수 방법적 지식과 내용지식의 합성체로 정의했던 것과는 다르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즉, 내용교수지식은 교과 내용지식이 방법적 지식의 영향을 받아 변형된 지식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그 동안 방법론적 지식에 편중되어 왔던 인식을 수정하여 교과 내용지식 기반으로 이해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내용지식이 어떠한 원천에서 형성이 되고, 그렇게 형성된 내용지식이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제시하며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discourse for understanding newly abou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a part of competence that teachers should possess by re-examining on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content knowledge of teacher. This study focused on a discussion about the sources and roles of PCK that are revealed in the teaching situation. First the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was discussed as physical activity, knowledge of kinesiology, and physical literacy. Next, It was examined the conceptual change and research trend of PCK which had been the most viewed as element of the teachers’ expertise among teacher knowledges. In this process, I tried to interpret the PCK differently than what Shulman(1986) defined as a synthesis of pedagogical knowledge and content knowledge. In other words, it suggested that PCK should be based on content knowledge by modifying the perception biased by methodological knowledge by redefining it with knowledge modified by methodical knowledge. It was presented on the basis of prior studies as to what sources the provision was formed from and how such a formative method plays a role in teaching situations.

      • KCI등재

        초등수학에서 분수에 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 개발 연구

        이대현 한국학교수학회 2007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0 No.2

        이 연구는 초등 수학에서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분수영역에 대하여 내실 있는 분수지도에 필요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개발은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교사가 가르칠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범주로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학생과 학생 지식에 대한 이해, 교사와 교사 지식에 대한 이해, 수업 방법, 내용, 운영에 대한 이해, 평가 방법이해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분수 관련 교수-학습과 관련하여 수학 교사가 숙지해야 할 내용과 더불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각각에 해당하는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수 관련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교육 내용과 그에 적절한 교수 방법, 그리고 교육 내용과 관련된 풍부한 소재의 개발과 보급을 통하여 학생의 삶에 유의미한 도구로서의 수학을 인식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수학교육으로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박계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how to develop a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Currently, educational reformation require teachers to be ‘highly qualified’ in the core academic subjects they teach. Wh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sum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a core academic subje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general curriculum content. Well-prepared special educators should have a solid knowledge based in the subject matter content. PCK is the most useful forms of content represen tation, the powerful analogies, illustrations, examples, and demonstrations. In a word, PCK is the way of representing and formulation the subject that makes it comprehensible for others. it is clear that this unique knowledge for teaching represents a class of knowledge that is central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 In this paper, I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directionality to develop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내용교수지식의 계발에 관한 과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사의 전문성은 곧 수업 전문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수업 전문성의 핵심은 교과를 지도하는데 요구되는 적절한 교과내용지식과 이를 다루는데 필요한 교사의 종합적인 실천지식인 내용교수지식이라 할 수 있다. 특수교사가 교육과정 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면, 특수교사는 자신이 가 \르치는 교과내용에 정통해야 하며, 자신이 지닌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을 장애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내용교수지식은 교과내용지식과 교수법지식의 독특한 결합 형태로 특수교사가 자신의 교과에 대한 지식을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경험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특수교사의 내용교수지식의 핵심요소는 교수법, 교과 내용, 학생 및 교육 상황적 맥락지식들이라 할 수 있으며, 이 구성요소들과 관련된 교사의 개별적인 경험적 변인들이다. 특수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내용교수지식이 교실 수업 경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경험적, 실천적 지식임으로 예비특수교사 및 현직특수교사들이 지닌 내용교수지식의 구성요소들이 통합 및 변용될 수 있도록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현장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특수교사의 내용교수지식의 점진적 발달을 촉진하고 강화하기 위한 반성적 수업 실천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분석 연구

        이병욱,안재영,임유화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101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according to 2007 ad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which reflects its educational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including specialized․meister high schools. The concret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have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reflected in order of A(understanding of invention), D(problem solving activities), E(invention fusion knowledge), C(problem recognition activities), B(understanding and activities of creativity) and the contents related to L(investig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never were reflected. As these reflected content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o invention literacy and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of creation, protection, utilization, and invention literacy are usually reflected, attempts to reflect the contents related to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re needed. Second, subject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are very much reflected in order of common subjects, others(broadcasting & media), mechanical & metallurgical, electric, electronics & communication, construction, and chemical engineering․ fiber. And like the previous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reflected in order of A(understanding of invention), D(problem solving activities), E(invention fusion knowledge), C(problem recognition activities), B(understanding and activities of creativity) and the contents related to L(investig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never were reflected. These results showed the similar tendency by series. Third, subject area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very much reflected in order of the body, areas except the body(activity tasks), and reading materials. 이 연구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2007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 101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은 A(발명의 이해), D(문제해결활동), E(발명융합지식), C(문제인식활동), B(창의성 이해와 활동) 등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관련 내용이 반영되었고, L(특허 정보 조사), M(특허 정보 분석) 관련 내용은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반영 내용은 발명·지식재산의 교육 내용 분류 영역인 창출, 보호, 활용, 발명 소양 중에서 주로 발명 소양 및 지식재산 창출과 관련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나 지식재산 보호 및 활용과 관련된 내용 반영을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과목별로는 공통, 기타(방송·미디어), 기계·금속, 전기·전자·통신, 건설, 화공·섬유 계열 과목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선 결과와 같이 A(발명의 이해), D(문제해결활동), E(발명융합지식), C(문제인식활동), B(창의성 이해와 활동) 등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관련 내용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L(특허 정보 조사), M(특허 정보 분석) 관련 내용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계열별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교과서의 구성 영역별(본문, 본문외, 읽을거리)로는 ‘본문’, ‘본문외(활동과제)’, ‘읽을거리’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수내용지식의 메타적 이해를 통한 사회과교사의 정체성 탐색

        한광웅(Han, Kwang W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4

        이 글은 교수내용지식의 메타적 이해를 통해 수업전문성 담론의 균열선을 가로질러 사회과교사 정체성의 상을 발견하려 하였다. 교수내용지식 담론은 사회과교사 정체성을 세 가지로 규정한다. 우선, 교수내용지식 개념에서 사회과교사의 정체성은 사회과학의 내용지식을 교실수업에서 표상하는 역할로 규정된다. 이것은 교수내용지식 개념이 사회과학의 내용지식을 이미 주어진 모종의 무엇으로 가정한다는 점과 맞물려 있다. 둘째, 사회과 교사에 관한 기술적 관점은 궁극적으로 내용지식과 교수행위를 분리하고, 사회과교사의 정체성을 내용지식을 교수학적으로 변환하는 기법적 지식을 소유한 교수기계로 축소한다. 이 시각은 각 영역의 세분화된 항목과 잣대란 규준으로 사회과교사의 상을 코드화하고, 기법적 지식을 소유하였는가 여부에 따라 ‘바람직한 사회과교사’와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과교사’의 상을 제도화한다. 셋째, 사회과교사는 다양한 지식기반들을 교실수업의 맥락에서 교수학적 변환행위로 재구성하고 이해하는 실천가이다. 이 시각은 교수학적 변환행위의 재구성과 이해의 역동성에 주목하여 적극적 의미를 부여한다. 이렇게 교수내용지식 담론은 사회과교사 정체성을 규정하는 세 가지 시각들을 내재적으로 함축하고 있다. 사회과교사 정체성을 규정하는 세 가지 시각들은 서로 상이하나, 중첩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수내용지식 담론의 복합적 성격을 나타낸다. This research must discover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by meta underst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escrib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o three image. Fir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escrib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o representation of social science’s content knowledge. This suppose social science’s content knowledge for anything. Second, technical view separate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act. And this reduc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eaching machine that own technical knowledge transform pedagogically social science’s content knowledge. This is coding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by detail item and standard. Third, social studies teacher is practitioner reconstruct and understand diverse knowledge base by pedagogical transformation act. This give positive meaning for pedagogical transformation act. S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rinsically implicit three view prescribe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This views are different mutually, but represent compositive character at the point of overlaping each other.

      • KCI등재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분석

        정윤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pedagogicalcontent knowledge(PC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level, and to analyze correlationsamong the domains of PCK.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follows. First, is the perception level of PCK differen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re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variables the level of awareness? Third,what factors influe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PCK? In order to answer thesequestions, this study surveyed 2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PCK was average, and by domain, student knowledge was highest, which was followedby pedagogical knowledge, expression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assessment knowledge. Seco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is a higher awareness of the PCKawareness than working in small cities and rural teachers are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morethan 15 years of experience teachers PCK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high, there was no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chool, a special type of institution. Third,independent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were work areaand experience.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training programs to in-service teachers, and consulting training to experienced and new teachers. Furthermore, it will be effective to develop and apply training programs that can utilize thesub-domains of PCK together.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특수교육교사 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육교사 변인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무엇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특수교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학생지식이 가장 높았으며,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교육과정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은 대도시에근무하는 교사가 중소도시 및 농어촌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경력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과정, 특수교육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근무지, 경력이었다.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계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현직연수와 경력교사와 신임교사의 멘토링 연수가 필요하며, 각각의 하위 영역들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설규주(Seol Kyu J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2

        사회과 내용교수지식은 사회과 수업을 이끌어가는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이것은 사회과 목표에 대한 지식, 사회과 내용 지식, 사회과 교수학습방법 지식, 사회가 평가 지식, 사회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에 대한 지식, 사회과 수업 환경에 대한 지식 등이 총체적으로 발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사회과 내용교수지식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 수업관찰과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체로 초임교사는 철저한 기획 의도를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회 수업을 이끌어가고 있었고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면에서 화려한 재구성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에 비해 경력교사의 사회 수업은 다소 느슨하게 구조화되어 있었으며 교수학습방법 측면보다는 내용 중심의 재구성이 많이 나타났다. 두 교사는 모두 사회과교육과 관련한 각자의 독특한 경험과 취향, 인식, 배경 등이 모태가 되어 만들어진 고유한 내용교수지식을 발휘하며 사회과 수업을 이끌어가고 있었다. 사회과 내용교수지식은 고정 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발전할 여지가 있는 것이므로, 자신의 내용교수지식 속에 들어 있는 약점을 다른 교사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통해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Social studi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s one of the essentials for enhancing the specialty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knowledge is a whole set of knowledge for aim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students, and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ocial studies PCK works in the instructions of a beginner and a career teacher by instruc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A beginner teacher leads her social studies instruction according to her original lesson plan and shows her splendrous reconstruction in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n the other hand, a career teacher's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relatively less structurized and she has a tendency to reconstruct content af her instruction rather tha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wo teachers give their instructions to their students displaying each own social studies PCK which is based on each own unique experiences, inclinations, knowledge, backgrounds etc. It is needed that they should try to conquer the weakness of their social studies PCK by the help of the strength of other teachers.

      • KCI등재

        현직 초임 경력 체육교사들의 축구 내용지식 탐색

        곽주현(Ju hyun,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Ward(2009)가 제시한 일반내용지식, 전문내용지식을 현직 체육 교사들에게 적용하며 비교분석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체육교사(n=53)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사의 일반내용지식은 축구관련 내용지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전문내용지식은 content map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Content development variables(Ward et., al, 2017) 그리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초임경력 교사들간 일반내용지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임경력 교사들 간 전문내용지식 지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의 축구에 관련된 경험 변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축구활동 경험유무, 스포츠 클럽을 지도한 경험유뮤에 따라 교사의 내용지식이 차이가 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체육교사들은 경력보다 다양한 축구관련 경험변인이 지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들을 위해 내용지식 가이드 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목적으로 하여 실제 근거자료가 될 수 있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ared novice and expert teacher’s general and professional knowledge presented by Ward (2009) to current soccer teacher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1) How do soccer novice and expert teachers’ content knowledge differ? (2) How do novice expert soccer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differ? (3) How teachers experience variables relate to content knowledge and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Methods Data wer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n=53)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eacher s general knowledge used a soccerl-related content knowledge questionnaire. And the teacher s expertise used a content map. Content development variables (Ward et., al, 2017) and SPSS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perform data analysis. Results Findings showed that: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tent knowledge,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among novice and expert teachers. (2) Teachers experience in socc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Teachers knowledge of the contents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experience in soccer activities or coaching sports clu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