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가정의 변화가 가정에서의 청소년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안

        이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오늘 가정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환경의 빠른 변화와 함께 기독교 가정에서의 청소년 기독교교육은 여러 가지 면에서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그 위기를 해결함에 있어서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이 시점에서 오늘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실질적인 몇 가지 문제를 집어볼 필요가 있다. 현대사회는 산업화를 기초로 한 전문화로 세분되면서 현대의 가정 구조 역시 빠른 변화의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빠른 변화는 사회구조의 직간접으로 많은 영역에 영향을 미쳐서 기독교 가정교육에 효과적이지 못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가정은 사회 집단의 기초구조로 가정의 기능과 구성원의 가치관 등 인간관계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계속해서 변화를 하고 있다. 이런 가정의 변화들이 기독교 청소년 가정교육에 많은 영향을 가져 왔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고 사회가 변하고 그리고 가정이 변화를 가져 왔어도 가정은 지금도 존재하고 있으며, 모든 개인적인 체험에 있어서 주된 훈련소인 교육의 장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부모들은 여전히 첫 번째 가정에서의 교사로 남아 있으며, 자녀가 가정에서 이미 많은 기독교 교육을 받게 됨으로 한 자녀에 대한 모든 이야기는 그의 가정적 배경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는 과거에도 존재 했으며, 미래에도 문화적 변천에 적응하면서 존재해 나갈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기독교 가정에서의 청소년 교육에 대한 시대적인 요청과 시대적인 상황의 변화를 수용하면서 청소년 기독교교육의 올바른 방법론적인 이론을 형성하고 새로운 방향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가정은 기독교교육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먼저 교육의 장인 기독교 가정에서의 청소년교육의 중요성과 문제점들을 집어보면서 현대 가정의 변화가 청소년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두 번째로 기독교교육의 장으로서의 가정과 교사로서의 부모의 역할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로 현대 가정의 변화들이 청소년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들을 찾아봄으로써 청소년 기독교 교육과 가정에서의 교육의 현실을 살펴보고 끝으로 부모교육과 기독교 가정의 청소년 교육을 위한 교회와의 협력을 살펴봄으로 현대 가정의 청소년교육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With a rapid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families, Juvenile Christian education in Christian families is faced with a crisis in many aspects, and it requires many forms of help to ascertain what is needed to address this crisis. It is necessary to study some practical questions on today's Christian education at the time of this writing. Based on industrialization, modern society was subdivided into various fields, which led the structure of the modern family to be rapidly changed as well. This kind of rapid shift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social structure directly and indirectly so that it appears to have had a negative effect in Christian family education. Particularly, family, the basic structure of the social group, brought many changes in human relationships such as the function of the family and value system of the members of each family which still changing. These changes in the family brought upon an enormous effect on Juvenile Christian family education. However, even though times have changed, societies have changed, and families have changed, family still exists, and it remains as a place for education for all the individual experiences. In addition, parents remain as the first teachers in their family, and by getting a lot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family, every story about a child in a family can have his or her family background. That is what existed in the past, and it will exist in the future, adjusting to cultural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orm appropriate methodological theories on Juvenile Christian education and find a new way by accepting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changes of context on Juvenile education in a Christian family. To fulfill this task, firstly, as a family is the starting point for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deals with Juvenile education in a Christian family and the effect that changes in families have on education. Secondly, families as places for Christian education and parents' role as teachers in the families will be studied. And thirdly, by finding some problems that changes in modern families have on Juvenile education, the reality of Juvenile Christian education and family education will be studied. Finally, by studying the cooperation with churches for parents' education and Juvenile education in modern families, the alternative in modern families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현대 한국교회 청소년의 기독교 신앙 자아정체성을 위한 기독교 교육적 책임

        강문규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심리 사회적 발달 심리학자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은 사람의 인생 사이클을 8단계로 나누고 그중 다섯 번째 단계에 속하는 청소년기를 자아정체성이 정립되는 시 점이면서 동시에 정체성 혼란이 오는 기간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곧 심리적인 위기를 묘사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학자들은 이를 비관적이고 회의적인 관점으로만 보지 않 고 오히려 자아의 성장과 성숙의 변환점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구 체적으로 표현하자면 정서적인 혼돈과 갈등 가운데서 본인의 정체성을 확정하여 미래 의 자신을 디자인해 나가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사람이라면 필히 갖추어져 있어야 하는 요건인 자아정체성은 인간의 발달이 평생 에 걸쳐서 계속된다는 심리적인 발달이론의 근거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작용되는 심리 적 요소로 분석된다. 특히 청소년들이 본인들의 현존에 대하여 확고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미래에 더 나은 건강한 삶을 위해 당연히 필요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교회 성도들이 세상과 차별되는 크리스챤으로서의 기독교 신앙적인 정 체성을 구성하고 계속적인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문제는 일반인들의 것보다 심각하고 시급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청소년기는 육체적인 성장과 더불어 사회 심리적으로도 변화하는 시기이다. 이 시 기는 자아가 본격적으로 구성되는 때이므로 인생의 여러 과정에서 제일 핵심적인 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에릭슨은 청소년기를 되어져야 하는 본인의 형태와 삶의 개념 을 인지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정체성 위기로 규정하였다. 에릭슨이 언급한 것에 기초 하면 청소년기는 단지 성인으로 변화해 가는 불안정한 유형을 가진 단계가 아니라 자 아정체성이 확립되는 시기이다. 현대 청소년을 위한 교육은 전반적으로 인격적인 면을 지향하기보다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산업과 사회 상황에 적응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교육의 본질이 심하게 훼손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청소년들은 인간의 생명과 인성을 경시하는 경향 을 보이며, 원래 인간이 지향해야 하는 본연의 의(義)가 사라져 가고 있는 상황에 이 르렀다. 이러한 것을 시정(是正)하여 인간 원래의 모습을 재현하고 근본적으로 인간이 지니고 있어야 하는 근원적인 의를 회복하는 교육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기독교 청 소년에게 있어서 신앙적인 자아정체성에 대한 기독교 교육의 책임이 절실하다는 것에 대한 인지는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기 논문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기독교 신 앙적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기독교 교육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려고 하는 목적과 더불어 그들의 건전한 신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현대 한국교회가 기독교 교 육적인 책임을 지고 그에 대한 역할수행을 촉구하는 것에 그 중점을 두고 있다.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al psychologist Erik H. Erikson divided a person's life cycle into eight stages and identified the fifth stage as adolescence, which is a period when self-identity is established and identity confusion can be experienced at the same time. This description may imply a psychological crisis, but some scholars recognize it as embodying a turning point for self-growth and maturity, rather than consider it only from a pessimistic and skeptical point of view. More specifically, the crisis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in establishing one's identity in the midst of emotional confusion and conflict and designing the future self. Self-identity, one of the essential human conditions, works throughout one's life,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al theory that human development continues over the whole life cycle. In particular, it is definitely necessary for adolescents to establish a solid self-identity regarding their presence in order to lead a better and healthier life in the future. It is also thought that measures for helping believers who have faced with changes in modern society to establish their identity based on their faith as Christians,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secular world, and maintain it should be of greater importance and urgency than measures for non-believers. Adolescence is a period involving soci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long with physical growth. During this period, one's ego is constructed substantially, which makes it the most essential phase among the various stages of life. Erikson defined adolescence as the identity crisis that involves a struggle to recognize what one should become and the concept of life. From his perspective, adolescence is not just a stage of instability found in the transitional process to adulthood, but a period when self-identity is established. Education for modern youth has been tilted to adaptation to rapidly changing industrial and social conditions, rather than character building, thus severely degrading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Some of the consequences are proclivity for belittling human life and dignity in many adolescents and the loss of the sense of righteousness that humans should pursue. It is thus required that these problems be rectified and education be conducted to help restore the original human condition and the fundamental sense of righteousness that humans must hav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Christian education has a heavy responsibility for the formation of faith-based self-identity in Christian adolescents.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discussing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faith based self-identity in adolescent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urging today's Korean Church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promoting Christian education and play a due role in providing such education in order to help establish a sound identity based on faith.

      • 기독교청소년과 비기독교청소년 간 성의식 차이 분석 및 복음주의 상담학적 대안

        전요섭 ( Jo Seph Jeon ),함희영 ( Hee Young Ham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7 복음과 상담 Vol.8 No.-

        본 연구는 기독교청소년과 비기독교청소년 간 성의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복 음주의 상담학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은 첫째, 기독교청소년과 비기독교청소년 간 성의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기독교청소년의 신앙배경에 따른 성의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 가족의 신앙배경에 따라 혼전 성 허용성의 차이가 있는가? 등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지 역의 중, 고등학생(314명)이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성의식 검사 지로써 공주대학교대학원 이경숙이 2006년에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들이 신뢰 도를 측정한 뒤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one way ANOVA를 적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앙과 청소년의 성의식은 유의미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앙생활과 가족의 신앙배경 그리고 자신의 구원의 확신에 따른 혼전 성허용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가족 모두가 기독교신자이거나 신앙생활을 시작한 기간이 오래된 경 우, 구원의 확신이 있는 경우에 혼전 성허용성에 대한 기독교청소년들의 생각 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독교신앙이 청소년의 성의식에 영 향이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성문화와 성태도를 가르치는 일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impact of Christian faith on adolescents` sexuality perception. When children grow up and enter adolescence, they not only experience physical maturation including voice change but also develop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getting away from a sexual latency period. Adolescence is a time for growth spurts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exual hormonal changes speed up sexual development in boys and girls and increase their interests in and concerns about sex.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plores desirabl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sex among adolescents, taking distinctive aspects of the young into account. The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assumptions: first,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sexuality perception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youth. Second,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sexuality perception among Christian adolescents in accordance with religious background of their family. Third, adolescents would demonstrate different views on premarital sex in accordance with family`s religious backgrou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14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wo types of tests questioning about Christian beliefs and sexuality perception respectively were utilized to prove the assumptions. The first test on Christian beliefs was first applied to Christian adolescents by Joseph Jeon in 1988 and has been altered for this study. The second test on sexuality perception was used by Kyungsook Lee at Gongju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sychology in 2006 and has been adjusted for the study with careful consideration on reliability of survey results. To analyze 314 answer sheets colle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appli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12.0.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ristian faith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sexuality perception among the young. In contrast, the influence of the faith of adolescents themselves and their family as well as assur- ance of salvation on their views about premarital sex appears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oys and girls who have long been Christians or have assurance of salvation, or whose entire family believes in Christianity disclose negative views toward premarital sex.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ristian belief and sexuality perception of adolescents and will lay the groundwork for teaching the youth sound culture and attitude toward sex.

      • KCI등재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김춘이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가 일반 심리, 교육, 사회 복지학 분야에서는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만 기독교 상담 분야에서의 연구는 아직까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장애인에 관한 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며, 설령 그 연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발달 단계, 장애 유형별 등에 대한 고려 없이 장애인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만 연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기초를 놓기 위한 작업으로 장애 청소년들의 자기 효능감의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 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자기 효능감은 행동을 선택하거나 지속하 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심리적 요인 중의 하나로 그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자기 효능감은 어떤 일의 목표를 산출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며, 인간은 자신의 주위 환경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으면 그 환경 안에서 주어진 과제 를 잘 수행할 수 있지만, 자기 효능감이 낮으면 환경 부적응자가 될 수 있다. 장애 청 소년들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은 일반 심리학의 관점과는 다른 관점 에서 그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심어 줘야 한다. 새로운 가치란 하나님이 나를 창조하 셨고 구원해 주셨으며 능력을 주셨기 때문에 장애를 갖고 있지만 자신은 사랑스럽고 유능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 님의 형상(Imago Dei)으로 지음 받고 성령으로 말미암아 회복되고 새로워진다는 확신 에 기반을 둔 자기 효능감을 말한다. 이는 불변하고, 견고한 가치이며, 세상의 예측 불허한 반응과는 다르다. 따라서,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 담은 하나님의 말씀과 관점에 근거를 둔 자기 효능감만이 진정한 자기 효능감이라는 것을 장애 청소년들에게 상기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 효능감에 대해 자신을 하나님의 소중하고 사랑스러운 존재, 용서와 구속의 은혜를 받을만한 피조물의 관점 에서 재해석하여 건강한 자기 효능감의 기준을 제시한 Carlson의 이론 중 자기부인 (self-denial), 겸손(humility)함, 자격이 없는 것(unworthy) 등의 입장에 근거하여 장 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장애 청소 년은 장애인이기 이전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그 자체이다. 장애인이기 이전에 비장애 청소년과 다름이 없는 청소년이다. 그 이유만으로도 그들은 존재의 목 적이 있다. 또한 자기 효능감은 현재를 해석하여 내가 미래를 만들어 가는 미래 지향 적이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장애 청소년을 상담함에 있어서 미래가 인간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담에 임해야 한다. 즉 장애 청소년들이 장 애로 인해 겪는 갈등과 스트레스 등 모든 상황에 대해 집착하고 고통 받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대해 정직하게 직면하게 한 다음 미래를 향해 다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기독교 상담자의 관점은 장애 청소년들에게 청소년 의 시기가 갈등과 방황의 시기가 아닌 미래에 대한 꿈과 동경, 도전 의식을 긍정적인 쪽으로 발전을 시켜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In-depth studies about self-efficacy are being conducted in general fields of psychology,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However, research is not being conducted deeply in the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In particular, there is a great insufficiency in the research about those dealing with disabilities, who are the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and even when research takes place, it is only executed within a wide category of subjects with disabilities without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stages or types of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is field of research by suggesting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that can assist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disabled adolescents. Self-efficacy i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caus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selection or sustenance of behaviors and its role is gradually becoming more emphasized. Self-efficacy is belief in one's own abilities to generate a certain objective, and human beings can well implement given tasks within an environment if they hold high self-efficacy about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they may end up as a misfit to their environment if they have low self-efficacy. Christian counseling, which enhances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must provide new values to them from a dimension which differs from general psychology. The subjects will be able to perceive the meaning of new value and recognize themselves as a loveable, capable, and valuable existence despite their disabilities since God created them, brought salvation, and provided competence. In other words, this refers to self-efficacy which bases on the foundation that subjects are created by the Imago Dei of God and recovered and renewed by the Holy Spirit. This is an unchangeable and solid value and is different from the unpredictable responses of the world. Accordingly, Christian counseling which aims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remind them about how self-efficacy that bases on the word of God as well as his perspective is a genuine form of self-efficacy. This study interpreted self-efficacy from the dimension of considering oneself as a valuable and loved being of God as well as a new creation who deserves to receive forgiveness and grace of redemption. Then, the theories Carlson suggested for the criterion for self-efficacy such as self-denial, humility, and worthiness were based on to suggest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re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this identity is much more significant than their identity as an adolescent with disability. They are just like any other adolescent without disabilities if it isn't for their disabilities. This reason itself holds a purpose in their existence. Additionally, self-efficacy is future oriented by the fact that individuals analyze their present condition and shape their own future. As a result, the Christian counselor should recognize how the counseling sessions caus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upon providing counseling. In other words,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so that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ill not feel attached and fall into despair about all the situations related to the disabilities such as conflicts and stress but encounter those situations honestly and take the next steps towards their future. This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counselor will provide support for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o that they can make positive developments for their dreams, longing, and sense of challenge during their adolescent period instead of go through a period of conflicts and confusion.

      • KCI등재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기독교적 청소년 정의교육: 포도원 주인의 비유(마 20:1-16)를 중심으로

        최은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of Christian justice education for adolescent living in the ag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Neoliberalism is an economic concept that emphasizes market autonomy and efficiency. It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globalization. While neoliberal globalization has provided a wide variety of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worldwide, it has on the contrary deepened issues such as conflict,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In particular, adolescents in South Korea are negatively impacted by neoliberalism. For examples,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educational discrimination and educational gap. This is a big problem because it worsens the educational level and resultant incom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at sense, social justice educatio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this context, the study aims to create a model of Christian justice education for adolescent. First, the study researches the current situation of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its challenges. In order to posit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hristian justice education for adolescent and to view the issues of justice, it particularly focuses on ancient Greek philosophers, utilitarianism, equality, liberalism and communalism.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adolescence on the basis of a developmental and religious perspective. Based on these, this paper constructs a model of Christian justice education for adolesent. It employes the parable of the Landowner of the Vineyard in Matt. 20:1-16 and uses the model of the 5R(Remembering, Revisiting the text, Reflecting critically, Reinterpreting, Responding) of Biblical education agued by Blair as its method of edu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he followings; First, the study offers the understanding of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Christian justice education; Second, it presents a concrete model of Christian justice education for adolescent; Third, it enables the practice of Christian justice as well as further studies of Christian justic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을 위한 기독교적 정의교육의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신자유주의 세계화는 세계적으로 다양한 가능성과 기회의 장을 제공하기도 했지만, 반대로 갈등, 차별, 불평등과 같은 문제들을 심화시키고 있다. 특별히 국내 교육의 상황을 중심으로 살펴보자면, 청소년들은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자유 경쟁과 이로 인한 교육 차별, 교육 격차 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것은 교육적 차원의 문제를 넘어 소득 격차와 빈부 격차라는 사회경제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사회정의교육이 시대적으로 매우 중요한 담론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 정의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적 정의교육의 모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현황과 도전에 대해 살펴보고, 기독교적 청소년 정의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정의에 대한 담론, 특별히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정의론, 곧 공리주의, 평등주의, 자유지상주의,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독교적 청소년 정의교육의 주요 대상인 청소년기에 대하여 발달적·신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기독교적 청소년 정의교육의 모형을 구성했다. 교육의 내용으로는 포도원 주인의 비유(마 20:1-16)를 선정했고, 교육의 방법으로는 Blair가 제시한 성서교육의 5R모델(Remembering, Revisiting the text, Reflecting critically, Reinterpreting, Responding)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이해와 더불어 정의담론을 통한 기독교적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적 정의교육의 구체적 모형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적 정의교육에 관한 추후 연구를 가능케 했다는 것과 기독교교육을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현실을 통해서 본 청소년 교육의 교육적 근거와 과제

        이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본 연구는 위기에 직면해 있는 청소년 교육 현실에 대하여 교육적 근거를 성경, 신학적으로 현실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에서 대안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기독교교육이란 청소년들을 그들의 현재 위치로부터 세계를 볼 수 있는 위치로 인도하는, 즉 청소년들의 정신적, 육체적 차원을 포함하여 보다 정확한 삶의 길로 이끌어내는 과정으로 기독교교육은 성경말씀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리고 성경 말씀은 기독교 교육의 판단 기준을 제공한다. 즉, 성경말씀은 하나님에 대하여, 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하여 진리의 유일한 원전이므로, 성경말씀에 근거할 때 올바른 청소년교육 틀을 제공한다. 그리고 올바른 기독교교육이 되려면 교육이 올바르고 확고한 신학의 기초위에 세워져야한다. 다시 말해서 기독교교육이 어떤 신학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교육철학이 달라질 뿐 아니라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 등 그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신학의 도움이 없이는 올바른 청소년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을 형성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직면하고 있는 청소년 교육위기에 대하여 성경신학적인 면에서 현실적인 교육적 근거와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왜냐하면 청소년교육에 대한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의 정립은 현대 청소년교육의 위기에 대처할 수 있으며, 현 시대의 어려운 질문에 대한 대처를 제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위하여 먼저, 청소년 교육을 성경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으로 교육철학에 기준이 되는 신학적인 점들을 통하여 청소년 교육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교육 신학자들의 교육적 과제들을 제시할 것이다. 끝으로 현실을 통해서 본 교육적 과제들을 성경 신학적인 측면과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한 과제들을 제시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rmulated to suggest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based on the Bible and theological reality that can cope with the new realities and crisis faced in youth education. To elicit a more precise way of life, Christian education can provide a guide for youth to see the world from their current standing in life realizing that mental and physical aspects in life a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Bible. The Bible is the criter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message of the Bible is of the truth about Go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nd that the scripture is the only basis of truth in which proper youth education must find its framework. For proper Christian education, a firm theological foundation must be built. In other words, the specific theology of Christian education becomes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s well as determining the contents, methods, assessment and the direction of that education. Without the guidance of the theology,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proper youth education cannot be formed. Accordingly, this study will confront the current crisis facing youth education and provide realistic alternative educational rationale and biblical theology for youth education. Youth education in which a biblical theological perspective is included can provide a way to cope with the crisis of youth education and the difficult questions of the current era. To this end,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youth educatio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Then the theological points that are the basis of the philosophy of youth education will be explored. The challenges for theologian educators in education will be presented. Finally, educational challenges will be presented through examination of current reality based on theological aspects and current problematic conditions. This study will define the current crisis in youth education and suggest a new direction for its formulation and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가출 청소년 가족을 위한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적 접근

        한숙자 ( Sook Ja Ha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09 성경과신학 Vol.50 No.-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첫째, 가출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둘째, 해결 중심 가족 상담과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의 원리와 특성을 비교분석하며, 셋째, 사례를 통해 해결 중심 기독교 상담을 적용해 보았다. 가출 청소년의 연령은 점점 어려지고 있고, 상습적이며 장기화되고 있다. 청소년 가출의 원인이 어디에 있든지 청소년 가출은 용납할 수 없는 문제 행동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수용할 수밖에 없는 행위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가족 상담이 우선되어야 한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은 해결 중심 가족 상담이 사용하는 다섯 개의 질문, 구체적 목표 설정, 내담자 가족의 강점과 긍정적인 측면 끌어내기, 메시지 전달 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은 주의 깊은 경청과 상담 트랙 질문을 통해 가족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고 명확한 비전 구축을 하도록 돕는다. 하지만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은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모든 자원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가지고 있으며, 내담자 가족으로 하여금 성령의 역사 즉, 과거의 은혜 사건, 장점과 예외적인 상황들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담자 가족을 새로운 길로 인도한다는 면에서 해결 중심 가족 상담과 차이가 있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을 적용하여 가출 청소년을 상담한 사례에서 상담자는 청소년이 왜 가출을 하게 되었는지, 가출해서 무엇을 했는지, 가출을 어떻게 중단할 수 있는지, 또는 가족이 실패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대신 가출 청소년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성공했던 여러 가지 작은 경험을 근거로 가출 청소년 가족의 잠재능력을 인정하고 기적질문을 통해 해결된 미래를 구체화하며 예외를 찾아내어 가출 청소년 가족의 강점을 강화하고, 가출 청소년 가족이 시도해 온 해결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메시지를 통해 가출 청소년 가족에게 적절한 성경 말씀과 은혜의 사건을 상기하도록 하였으며, 실천할 수 있는 작고 쉬운 과제를 제시하였다.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이 가출 청소년 가족의 부정적인 경험을 인정하지 않고 해결이 강요된 상담이 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앞으로 가출 청소년에 대한 해결 중심 기독교 가족 상담의 효과를 실제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By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irstly explai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unaway youths, secondly compares and analyzes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ling and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and thirdly presents cases in which the solution-focused Christian counselling is applied. The age of runaway youths is becoming lower, and their patterns of behaviour are becoming habitual and prolonged. Regardless of the reasons why they choose to leave home, we must start from the viewpoint that such behaviour is problematic, but also to acknowledge that it can be typical and acceptable behaviour among some of our youth.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through attentive listening and counselling track questions,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e in families and helps them to construct a clear vision. However, the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already has all the resources essential for the problem solving in Jesus Christ, and by making the client family see the power of Holy Spirit, that is, grace from the God in the past, their merits and exceptional situations, they can be led along a new road, and that is the difference from the approach of solution-focused family counselling. In the case where the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was applied, the counsellor did not focus on why the youth ran away from the family, nor what she did, nor how to stop the behavior, nor how the runaway problem was maintained in the family structure, nor at what point the family failed. Instead, based on the small experiences where the runaway youth family was successful in daily life, it acknowledged their potent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rough the miracle questions, envisaged a future where problems will have been solved, searched for the exception questions to strengthen merits of the runaway youth family, and focused on the solutions that the family have been trying. Through messages in counselling, the proper word of God in the Bible, along with memories of "blessed events" were reminded to the runaway youth family of runaway youths, and small pieces of easy homework was provided. Solution-focused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could be criticized in that it does not acknowledge the negative experiences of runaway youth family and might be forcing a sol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further the solution-focused brief Christian family counselling to prov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고통과 열정을 통합하는 기독교 청소년교육

        우지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4 No.-

        Pluralism and de-constructionism, which ar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lay a great influence on every aspect of human life. Adolescents, who are situated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are more easily influenced by this trend of postmodernism since they are still in the making of their identity. Thus postmodern trends aggravate confusion and fragmentation in the life of adolescents. This study will delve into variety of educational subjects concerning adolescents by using the categories of 'pain' and 'passion.' The pain dimension of adolescent life are exposed by depression, violence, delinquency, addiction, suicide, etc. On the other hand, the passion dimension of adolescents are expressed by singing, dancing, festivals, travels, experiments, loyalty, etc. Comparatively speaking, we can say that the one is related with the inner and passive dimension of adolescents and the other is related with their outer and active dimension. This inquiry explicates that the pain and passion of adolescents are not separated but rather interrelated like both sides of a coin. When they feel more pain, it may signify that they have more passion, and vice versa. In short, the essential task for Christian educators is to integrate constructive pain with meaningful passion in order to enlighten oneself, surrounding communities, and the world based upon Christian truth claim. This study names this sort of Christian education "Holistic Christian Education for Youth." This study develops and proposes “5R Educational System” as a method with which Holistic Christian Education for Youth can be implemented. 5R corresponds to five conceptual words which begin with "R": Rebooting, Renewal, Reenactment, Reformation, and Reecho. These five activities are interrelated one another in a dynamic way. These five actions are steps rather than stages and thus they are mutually supportive and reinforce one another inherently in a circular manner. The ultimate model of Holistic Christian Education for Youth is the Educational Ministry of Jesus Christ. As a young man Jesus himself showed an example of holistic educational ministry which includes all people in all places in all ages. As a young man he experienced extreme pain and passion for all people. He integrated the great pain on the Cross with passion for the salvation. As followers of Jesus and as "little Jesus" in a sense Christian youths need to be embraced, encouraged, and educated to integrate their pain with passion for God and God's people. Toward this goal this study strives so that it may provide a holistic model for Christian Youth Education.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다원주의와 해체주의는 인간 삶의 전 영역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아동도 아니고 성인도 아닌 전환기에 놓인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포스트모던적 상황은 더 많은 혼란과 분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과 관련된 수많은 교육적 주제들을 ‘고통’과 ‘열정’이라는 범주 속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우울·폭력·탈선·중독·자살 등과 같은 청소년 문제들은 청소년이 겪는 고통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한편 노래·춤·축제·여행·탐험·충성 등은 청소년들이 가진 열정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전자가 청소년 삶의 내면적, 음성적 차원이라면 후자는 청소년 삶의 외면적, 양성적 차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고통과 열정이 상호 분리되거나 모순된 것이 아니라, 동전의 앞 뒤 면처럼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즉 아파하고 고통당하더라도 열정이 있고, 열정이 있더라도 아파하고 고통당하는 시기가 곧 청소년기라는 것이다. 그래서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에서 중요한 점은 그들의 고통을 긍정적·건설적인 방향으로 변환시키고, 그들의 열정을 생산적이고 유의미한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건설적 고통을 분명한 방향이 있는 유의미한 열정과 통합시킴으로써, 자신을 살리고 주변을 살리고 장차 세상을 살리는 통전성을 지닌 통전적인 신앙인으로 자라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독교교육을 가리켜 “통전적 기독교 청소년교육”이라고 명명하면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으로서 "5R 교육시스템”을 제안한다. 5R이란 다음과 같은 상호 유기적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즉 자기를 새롭게 발견하는 재부팅(Re-booting), 새로운 정체성을 가능케 하는 갱신(Re-newal), 신앙공동체의 전통적 가치를 새롭게 실현하는 재연(Re-enactment), 참된 영성회복을 위한 변형(tRansformation), 자신이 체득한 것을 세상을 위해 나누어주는 재반향(Re-echo)의 상호유기적, 상호순환적 교육활동이다. 무엇보다 예수 그리스도가 자신의 고통(출생, 삶, 죽음)을 자신의 열정(인류를 향한 대속적사랑)과 통합시킴으로써 세상과 역사를 구원했던 것처럼, 청소년들이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바른 열정으로의 변형을 이끌어가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청소년교육의 핵심과제요 사명이라 할 수 있다.

      • 청소년 문화 이해와 기독교 교수법 연구

        최규명(Choi, Kyu Myung) 신학과 실천학회 2018 신학과 복음 Vol.5 No.-

        대학은 청소년기의 마지막을 보내는 단계로서 성인과 혼합된 단계에서의 교육의 장이다. 불과 수개월 전인 고등학생때까지는 미성년으로 취급받아 일방적인 입시교육에서 시달리다가 갑자기 대학에 진학하면서는 성인으로 취급받기에 청소년들은 상당히 혼란스러운 현실에 처하기도 한다. 청소년들을 지도하는 대학교수들도 마찬가지로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이다. 미성년으로 취급할 수도 없고, 성인으로 취급하자니 아직 성인으로서의 자세가 준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업 시간에 “화장실 다녀와도 돼요?” 라고 묻는 대학생들을 보면서 현재 우리의 현실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청소년에 대한 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청소년들을 바르게 이끌어 갈 수가 있을 것이다. 특히나 기독교 수업은 청소년들의 바른 이해에서 시작되어야만 한다. 청소년기의 종교적인 자세를 비롯한 다양한 특성들이 기독교 교육과 교수법에 반영될 때에 비로소 조금이나마 그들을 이해하는 기독교 교육이 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의미에서 의무적으로 기독교 수업을 들어야 하는 청소년(대학생)들을 바르게 이해하고 수업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university is the stage of the end of adolescence and is a place of education at a level mixed with adults. Until high school students, just a few months ago, they were treated as minors and suffered from one-sided entrance examinations. Suddenly, when they entered college, they were treated as adults. The same is true of confusion among the college professors who teach young people, because they cannot be treated as minors, and they are not yet ready for adulthood. We can guess our reality now by looking at college students asking, "Can I go to the bathroom?" Therefore, teachers who teach young people will be able to lead young people correctly only if the right understanding of youth is preceded. In particular, Christian classes should begin with the right understanding of young people. This is because it is a Christian education that understands them a little when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religious attitude of adolescence are reflected in Christian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In this sense, I would like to present an example of the theory and the actual class for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youth (college students) who are obliged to take Christian classes in this sense.

      • KCI등재

        교회 내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신승범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위한 교회 내 성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기독교적 성가치관 형성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청소년기는 가치관 형성의 결정적 시기이다.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신체와 성적 성숙이 급격하게 일어나면서 성과 이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더욱이 모바일 기기의 자유로운 사용으로 인해 성인물과 같은 유해환경의 접촉이 쉬워지면서 왜곡된 성가치관을 형성할 가능성이 다른 어느 때보다 커졌다. 실제로 성과 관련된 청소년 범죄가 해마다 증가하면서, 학교나 사회교육기관에서 성교육을 강화하려는 시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교회에서는 성교육은 거의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소년사역자들을 대상으로 성교육의 필요성과 수행을 묻는 질문에서, 설문에 참여한 청소년 사역자 95명 가운데 92명이 교회 내에서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지만, 실제로 한 번도 성교육을 수행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청소년 사역자는 41명(43%)이나 되었다. 성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는 ‘적절한 자료가 없어서’라고 응답한 사역자가 가장 많았고, ‘민감한 영역이기 때문에’, ‘시간과 예산이 부족해서’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성교육을 실시한다고 대답한 사역자들은 주로 세미나나 특강, 설교와 성경공부 시간에 성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소속된 교단에서 성교육 교재를 제공하고 있느냐를 묻는 질문에 94%의 응답자가 ‘제공하지 않는다’, 또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청소년 사역자들이 성교육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교회 내에서 성교육의 시행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회 내 청소년 성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하여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돕는 기독교미디어교육과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건강한 성에 대해 가르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부모교육, 성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가지도록 도울 수 있는 설교나 세미나를 통한 성교육, 그리고 기독교교육가들이 사용 할 수 있는 성교육 관련 교재의 출판과 보급 등을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ex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the church. Adolescence is a period of physical and sexual development between childhood and adult. In addition,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for value development. Sexual and other physical maturation that occurs during adolescence is a result of hormonal changes, which causes an increase of interests in sex and the attractive stranger. However, radical development of technology provides youth with more opportunities to expose themselves to harmful environment like pornography, which has ba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adolescents’ sexual value. The results of survey that 92 youth pastors among 95 pastors respond that sex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church. However, 41 pastors have been never performed sex education in the church. They respond that the reason why they do not carry out is because ‘there is no proper materials for sex education’, ‘sex is too sensitive area to deal with’, ‘there is a lack of time and money for sex education’ etc. Those who carry out sex education in the church respond that they do sex education through preaching, group bible study, or seminar. Regarding a question asking denomination your church belongs to can provide teaching resources for sex education, 94% responded ‘no’, and ‘i don’t know.’ For revitalization for sex education for youth in the church, the researcher suggests Christian media education to help youth learn the skills of media literacy, parental education to help parents to teach children a sound attitude towards sex, and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materials that Christian educators can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