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기독교: 새로운 신학의 패러다임을 향하여

        방연상(Samuel Y. Pang),이만형(Manhyung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세계기독교’는 선교학에 유례없는 도전이자 기회가 되고 있다. 세계 복음화와 이와 동반된 근대화가 초래한 기독교의 세계화와 세계의 기독교화는 복음의 전달과 수용이라는 선교학적 자명성의 근저를 뒤흔들고 있다. 본고는 남반구기독교론을 극복하고, 세계기독교를 하나의 현상이며 동시에 연구방법으로서 21세기 기독교와 선교의 패러다임으로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세계기독교는 선교학적으로 지니는 의미가 큼에도 불구하고, 국내 선교학계에서는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세계기독교에 대한 연구는 물론 이와 관련하여 이뤄진 신학적, 성서학적, 종교학적, 인류학적, 사회학적, 문화학적연구 성과들을 비교·통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세계기독교 내에서 한국기독교의 위치와 위상에 대한 재평가도 미룰 수 없다고 본다. 이를 위해 본고는 ‘남반구기독교론’을 비판하고, 세계기독교를 선교실천은 물론 선교학의 방법론과 신학적 재구성을 포함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패러다임은 기독교의 전지구적 확장뿐만 아니라, 이른바 세속화를 아울러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점에서 한국기독교를 세계기독교의 하나의 사례일 뿐만 아니라 가장 주목할 만한 현장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한국기독교는 선교대국이 면서도 교회의 쇠퇴를 목격하는 와중에 있다. 세계복음화의 전진기지이 면서도, 동시에 서구형의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는 모순적인 상황이다. 패러다임으로서의 세계기독교는 한국기독교의 이런 역설을 설명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본다. This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World Christianity as a missional discourse, and to initiate serious theological discussions about this emergence of World Christianity. And, it also suggest to evaluate the status of Korean church and her position in World Christianity. Having realized of the reality that Korean missionary activ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rends of World Christianity, the new theological articulation of conciliation of mission studies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thers studies like Theological Studies, Biblical Theology, Religious Studies, Anthropology, Sociology and Cultural Studies has been suggested in an attempt to explore a new direction. Therefore, this is, through the critical reflection on “Non-Western Christianity,” to suggest World Christianity as a new missionary paradigm, and to re-construct the missional practice and methodology accordingly. It is expected for this new paradigm to be able to explain the global expansion of Christianity and so called “secularization”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attempts to suggest that the Korean Church as a typological example of world Christianity, and to understand it as the prominent research subject. As witnessed, the Korean church is a strong missionary enterprise, yet it is at the threshold of decline. In other words, the Korean church is at the front of Christian mission, and at the same time, it seems that Korean churches have to come to consider taking the western idea of “missional church” seriously.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idea of World Christianity as a new paradigm would provide a perspective to explain the mystery of Korean Christianity.

      • KCI등재

        노인의 건강수준과 경제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조절효과 -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비교

        박선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8 신학과 사회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between the level of health and econom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The sample was collected through 218 Christian senior citizens and 176 non-Christian senior citizens who were older than 65-year old residing in and around Seoul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churches, and Gyungrodang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SPSS 18.0. The summary of key outcomes was as follows: 1) The average points from a 1-point-scale for depression were .208(SD=.240) by Christians and .443(SD=.297) by non-Christians. It signifies that the depression of Christians is about 2 times lower than that of non-Christians. 2) The effect of IADL on depression of older people was modified by religious spirituality, and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s were modified by existential spirituality for Christians. It means that religious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 of IADL on depression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economic status on depress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ADL on depression of the olders was modified by religious spirituality, and the effects of ADL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s were modified by existential spirituality for non-Christians. It implies that religious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 of ADL on depression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s of ADL and economic status on depression. Based on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required to reinforce religious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for social welfare practice of senior citizen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여부에 따른 노인의 건강수준과 경제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의 노인종합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교회, 경로당 등을 이용하고 있는 재가 기독교노인 218명과 비기독교노인 176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V.18.0 프로그램으로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노인의 우울수준은 기독교노인이 1점 만점에 평균 .208(SD=.240), 비기독교노인이 .443(SD=.297)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노인의 우울수준이 비기독교노인의 절반 정도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위계적 조절회귀분석결과, 기독교노인의 경우, 종교적 영성은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과 상호작용 항에서 그리고 실존적 영성은 만성질환의 수와 상호작용 항에서, 경제상태와 상호작용 항에서 통계적 유의성과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독교노인의 경우, IADL이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종교적 영성이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여러 가지 만성질환들과 경제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실존적 영성이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비기독교노인의 경우, 종교적 영성은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상호작용 변수에서 그리고 실존적 영성은 ADL과 상호작용 변수에서, 경제상태와 상호작용 변수에서 조절효과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기독교노인의 경우, ADL의 우울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종교적 영성이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하며, ADL과 경제상태의 우울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실존적 영성이 약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미국 공교육의 전개와 기독교의 역할

        강영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Christianity has effect onthe development of American public education. The important element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school education andChristianity is the change of the student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the social situation around schools. In other words, how the role ofChristianity in school educ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students’ cultural, ethnic,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s the researchquestion in this paper. I have divided into four sessions of Americanschool history and investigated how Christianity affects school educationat each session. The contributions that Christianity makes for thedevelopment of American public education are examined and at the sametime the limitations of Christianity’s effect on education are studied. The main contents of early American school education were faith andmoral education based on the Bible. Christian faith made great contributionsto the development of American society on the basis on Christianvalues, through providing foundation for the purpose and content ofAmerican schools. At that time the schools which are influenced byChristianity tended to make people conform to the existing order, ratherthan raising questions on the layered social system. Especially theschools did not try to improve the social discrimination of Native Americansand black slaves, but resulted in adherence to the discrimination. Today, the American schools are unduly influenced by economy andbusiness companies. The purpose of the schooling seems to foster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This trend may weaken the moraland spiritual aspects of education, and trap human life into materialismand capitalism as well as grow the possibility of the destruction ofenvironment. It is a serious problem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However, Christianity today is used to respond passively to the neo-liberaleducation focused on competitiveness and economy. So, active effortsare needed to find a Christian alternative beyond today neo-liberaltrends in edu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공교육의 전개과정에서 기독교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미국 학교교육과 기독교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학교를 구성하는 학생들의 문화적 특징과 학교를 둘러싼 사회적 상황의 변화이다. 즉, 학생들이 지닌 문화적, 인종적, 종교적 특징의 변화에 따라 학교교육에서 기독교의 역할이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가 본고에서 탐구할 연구 질문이다. 미국의 학교 역사를 네시기로나누어 고찰하였고, 각 시기마다 학교역사의 전개에서 기독교가 학교교육에 어떤 영향을끼쳤는지를 살펴보았다. 기독교가 미국 공교육의 발전에 끼친 공헌 점을 밝히는 동시에한계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초창기 미국의 학교들은 공립이든 사립이든 관계없이 교육의 주요내용이 성경을 토대로 한 신앙과 도덕 교육이었다. 기독교 신앙은 미국학교 교육의 목적과 내용에 기초를 제공하여 미국사회가 기독교적 가치를 기반으로 발전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동시에 기독교적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던 학교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계층화되어 있던 당시 사회체제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기 보다는 기존 질서에 순응하게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미국원주민과 흑인 노예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개선하려는 노력보다는 고착시키는데 기여한측면이 있음을 밝혔다. 오늘날 미국의 학교는 기업과 경제의 영향을 과도하게 받고 있다. 학교교육의 목적이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의도덕적, 영적 측면을 약화시키고 인간 삶을 물질주의와 경제지상주의에 포획되게 할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파괴의 가능성까지 키우게 한다. 이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문제점으로지적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는 경제와 경쟁 중심의 신자유주의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미진한 것이 사실이다. 과거 미국원주민에 대한 동화교육이 주류일 때도원주민들의 문화를 존중했던 소수 기독교인들의 정신과 인종차별이 보편화 되어있던 시절에도 이를 극복하고자 했던 기독교적 전통을 되살릴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교육사에 대한 연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우리나라 학교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과 종교의 자유 - 미국과 비교법적 검토 -

        윤진숙 ( Jin-sook Yun ),조은식 ( Eun-sik Ch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1

        한국에 기독교가 최초로 전파된 이후 선교사들이 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기독교 학교 설립을 하여 교육을 함과 동시에 기독교 정신 전파하는 것이었다. 근대 초기 한국에서 세워진 대학들은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가 추축을 이룬다는 사실도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가 된다. 21세기에도 여전히 이 대학교들은 기독교 정체성을 간직하고자 대학예배를 비롯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종교계 사립학교들이 운영하는 기독교 교육프로그램들 및 종교와 관련된 입학기준과 사례들, 그리고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계 사립학교들이 운영하는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사례들 및 교직원 신앙교육과 관련 사례들을 비교법적으로 연구하였다. 미국과 한국에서 운영하는 기독교 사립대학에서의 대학예배에 대한 의무적 참석에 대한 사례분석을 해 본 결과 의외로 미국에서는 대학예배 의무참석과 기타 종교교육 프로그램의 강도는 강한데 비해서 이에 대한 문제제기가 초등학교나 중고등학교와는 달리 그렇게 많지 않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한국 기독교 사립대학에서는 초기에 세워진 대학교 보다는 최근 세워진 기독교 대학에서 더 종교적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기도 하며, 많지는 않으나 학교에서의 `종교의 자유`에 관하여 관심의 대상이 된 사례들도 있었다. 한국에 기독교 사립대학교에서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직원들도 신앙교육을 받기도 하는데, 기독교 대학정체성과 관련하여 논의할 수 있는 종교의 자유와 이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어느 교육기관이든 교육이념과 목표가 있으므로 국공립학교가 아닌 기독교 사립학교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입학하여 예배 등 종교적 행사에 참여하는 것은 헌법상 종교의 자유와 근본적으로 충돌한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One of the first works conducted by American missionaries in Korea was establishing Christian schools which emphasized both modern learning and the Christian spirit. Accordingly, most early modern universities in Korea were Christian, including Soongsil University, which was founded in 1897. These days, many Christian universities are running Chapel programs and missionary programs to maintain their Christian Identity. In this paper, I will research Christian educational programs, admission standards and legal cases in American Christian Universities as well as Christian educational programs, legal cases, and special Christian programs for faculty in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 Interestingly, the data about Christian educational programs in American Private Universities shows that there have only been a few protests against Christian educational programs in private American Christian Universities, though the requirements for students taking these courses seem to be strict compared to Korean Christian private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recently established Christian private universities sometimes seems to display a stronger type of Christianity compared to the older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If Christian educational programs are not clearly mentioned as being required programs, then this might cause problems, as in the case of requirements for faculty in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By way of conclusion, it seems that Christian educational programs in private universities are probably not in conflict with freedom of religion as long as there is an implied or implicit agreement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the members of these institutions, and the mission of the university conforms with the truthful spirit of Christianity.

      • KCI등재

        인간관 비교에 따른 기독교사회복지에 관한 소고(小考)

        박창우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8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인간관과 비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한 인간관을 비교하는 연구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여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 확립 및 실천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 의를 두고 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독교 세계관에서는 인간을 하나님께 의존해야만 하는 피조물로서의 인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와 인격을 지니고 있는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 교만으로 타락한 죄인으로서의 인간, 죄로부 터 구원받기 위해 성령의 도우심과 인간의 노력 모두를 필요로 하는 새로운 피조물로서의 인간, 영과 육의 조화로운 통일체로 구성된 전인적 인간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에 반해 비기독교 세계관은 인간 을 우연한 물질적 결합에 의한 동물로서의 인간, 외부 환경 혹은 정신의 지배에 조종당하는 결정론적 인 인간, 무한한 성장 능력과 잠재력이 내재해 있다고 보는 인본주의적 인간, 물질 혹은 정신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이원론적인 인간으로 이해하고 있다. 본 연구가 기독교사회복지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 확 립 및 바람직한 실천을 위해 기독교적 전제와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 둘째, 기독교적 전제와 가치를 적용한다는 의미는 창조-타락-구속이라는 관점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확 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셋째, 비기독교적 이론 및 이념들을 사회복지실천에 적 용함에 있어 아무런 경계심도 없이 수용할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관점에서 철저하게 고찰을 한 후 선 별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As a comparative study on human views based on the Christian world view and non-Christian world view respectively, this study puts its meaning in providing preliminary data in establishing and fulfilling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y understanding human nature. And summary of key outcomes is as follows. The Christian world view understands human as the one that has to rely upon God, one as Image of God who has freedom and personality capable of deciding oneself, one as a sinner depraved by arrogance, one as a new creation that needs help from the Holy Spirit and efforts of human to be redeemed from misdeed and a holistic human composed of harmonized unity of spirit and body. On the contrary, non-Christian world view understands human as an animal by an accidental material combination, deterministic one controlled by external environment or spiritual domination, humanistic one that limitless growth ability and potential are inherent or a dualistic human composed of only material or spirit.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Christian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Christian premise and value for establishment and desirable fulfillment of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Second, it is required to take a systematic effort for recovering the Image of God and extending the Kingdom of God from the viewpoint that the meaning of applying Christian premise and value is creation-fall-redemption. Third, in applying non-Christian theory and ideology to the fulfillment of social welfare, it is needed to accept selectively after thoroughly considering from Christian world view instead of accepting without wariness against them.

      • KCI등재

        만청(晩淸) 중문기독교소설(中文基督敎小說)의 정의와 범주

        오순방 중국학연구회 2011 중국학연구 Vol.- No.57

        中文基督敎小說大抵是套用中國古典小說或文學格式以中文書寫的宗敎小說,乃直至21世紀才開始硏究的一個新興之硏究領域。美國哈佛大學韓南、筆者、上海師大宋莉華、香港中文大學黎子鵬敎授等學者已經發表可觀的硏究成果,但其名稱與界限尙無明確的定論, 作品也在海內外的圖書館陸續被發現, 需要探討其明確的定義與範疇。 自基督新敎來華至淸朝覆亡(1807-1911年)爲止, 西方傳敎士與華人作家在中國與東南亞地區刊行了數以千計的基督敎漢語文本, 其中有不少具有中國傳統小說的神韻風貌, 同時承載着或深或淺的宗敎內涵, 可算是一類結合中西文學特點的宗敎小說作品。第一部公開刊行的基督敎中文小說英國傳敎士米憐的『張遠兩友相論』1819年在馬六甲出版之後, 在星加坡等南洋地區與香港、中國本土的通商港口等地也陸續出版問世。因此, 晩淸基督敎中文小說以1819年到1911年淸朝覆亡之前出刊的小說作品爲其硏究對象。 基督敎中文小說的淵源可以溯自明末淸初耶穌會傳敎士的天主敎文獻, 其中有法國傳敎士馬若瑟的『儒交信』(1720~1730), 曾模倣章回體小說形式敍述擧人李光皈依天主敎的中篇小說, 但不得正式出版, 僅以手抄本的形態流傳至今。馬若瑟的另一篇夢境寓言作品『夢美土記』(1709)以不到三千字的文言體, 結合基督信仰與中國意象, 具細靡遺地訴說耶穌會索隱派的精義, 也爲中國文學開創了中西合璧的先聲。作者運用西方典型的寓言手法, 使敍述者“旅人”入夢後經人指引而進入美土勝景, 最後則上達天主敎的帝廷天堂, 感受人間未曾有過的寧靜自如與昇平和諧。從這部夢境寓言的特性來看, 雖然與晩淸時期飜譯的『天路歷程』(1853)、『紅侏儒傳』(1882)等西方寓言小說屬於同類, 但是此部是作者的創作作品, 與譯編的飜譯小說之後兩者稍有不同。基督敎中文小說內容大抵是以宣揚基督敎敎義或宣敎爲主旨, 不少作品內容主要根據『聖經』經文改編書寫, 尤其是聖經人物傳記小說, 例如理雅各的『約瑟紀畧』(1852)與『亞伯拉罕紀畧』(1857)、俾士的『以利亞紀畧』(1863)等篇。 基督敎中文小說是以中文書寫, 編著者出刊時將讀者對象設定爲華人, 幷且以從文人學士到一般民衆爲閱讀階層。因此, 基督敎中文小說大抵採用中國古典小說的傳統敍事方式書寫, 可說受到中國人的審美習慣影響。晩淸基督敎中文小說代表作品, 例如 『張遠兩友相論』(11回, 12回, 13章)、『贖罪之道傳』(18回, 21回)、『引家當道』(16章)等作品都是以章回體書寫的。雖然不僅僅是完全套用明淸章回體的格式,起碼以章或回來分段, 敍述方式與常用格式幾乎都使用傳統話本小說的形式, 例如回目與入話方式或說話人的敍述方式等等。筆記小說是中國古典小說的最初形式, 以簡潔的文言、大體數百字左右的短小篇幅記敍人物的故事, 因內容往往是粗陳梗槪,故曾受到“叢殘小語”之譏。模倣筆記形式書寫的晩淸基督敎小說有英國傳敎士李提摩太的『喩道要旨』 (1894)與林樂知飜譯的『安人車』(1902), 前者爲譯者從德國神學家科錄馬赫著的Parabeln201篇寓言故事當中, 選擇71篇故事譯成筆記體幷改編成小說集的證道故事集。其故事最長則如「亞以亞」共有1,551字, 最短「淚」爲僅有119字的短文, 各篇的篇幅不一, 文章體裁採用典型的筆記小說模式。這種證道故事集還有丁韙良的『喩道傳』(1858), 這部作品集是以16篇文言故事組成的基督敎宣敎小說,但體裁或傳奇小說體, 或筆記小說體, 例如「孝子覓父」、「蕩子歸親」等篇都運用傳奇體敍述故事, 但「苦海遠離」、「宜愼其習」等篇則以兼用筆記體與傳奇體的聊齋志異式敍事方式書寫小說故事, 而且『喩道傳』全篇都採用『聊齋志異』 “異史氏曰”的議論方式, 每篇篇尾都附有“企眞子曰”的評論。這種結構與敍事方式可能也受到歐洲證道故事敍事模式之影響, 呈現出獨特的敍事形態。 19世紀新敎傳敎士從事基督敎小說的漢譯工作時, 幷非局限於忠實於原本、亦步亦趨地逐字逐句對譯。他們的飜譯工作也從“原語原本取向”向“譯語原本取向”範式轉換, 譯成中文的小說作品已經成爲中國文化的一部分, 與中國文學發生互動關係。爲了遷就譯語文化與宗敎處境、飜譯目的與出版環境等文化條件, 傳敎士譯者往往不惜對原本進行大刀闊斧的改寫、改編、節錄和重述等的書寫措施。這種現象不僅出現於某一篇作品或某一個譯者, 在19世紀基督敎小說的飜譯工作中, 成爲一種普遍的現象, 例如英國傳敎士楊格非將Mark Pearse的英文宗敎寓言故事f飜譯爲『紅侏儒傳』時, 譯者談及此書的飜譯情形屬於“半譯半著”的狀態。又如李提摩太將英譯本宗敎寓言集譯成中文時, 將201篇原本改編成71篇的筆記體證道故事集『喩道要旨』, 可見譯者的主觀介入與扭譯的飜譯策略非常明顯。這種“反譯半著”或“譯著”、“譯述”、“改譯改編”的現象在晩淸基督敎中文作品中相當常見, 充分體現了譯者獨創的改寫能力, 因此將基督敎飜譯小說也納入了中文基督敎小說的範疇裏。例如『天路歷程』, 『紅侏儒傳』, 『安樂家』 (1882), 『喩道要旨』, 『安人車』。 基督敎中文小說的作者早期主要以西方傳敎士主導寫作, 西方傳敎士來華從事寫作時, 對作品的構思與內容用口述方式告訴中文助手, 其華人助手通過筆寫加潤文, 刊行作品。早期的基督敎中文小說幾乎不標記著譯者的姓名例如『張遠兩友相論』、『生命無限無疆』(1838)等, 或只標期作者筆名的作品例如『贖罪之道傳』 (愛漢者纂, 1838)、『正邪比較』(善德纂, 1838)等。這些作品的著作權通過Wylie Alexander的著錄, 才知道著譯者的姓名與該作的出版書誌事項。然到19世紀中期,有些作品開始標記著者與華人助手的姓名, 例如美國傳敎士丁韙良著、范蓉棣筆述兼評論的『喩道傳』, 英國傳敎士楊格非著、沈子星筆述的『引家當道』等, 此兩部作品的「序文」都由華人助手寫作, 算是歐美傳敎士與華人助手共同著述的作品。可是中日戰爭後1895年英國傳敎士傅蘭雅展開了主倡時新小說著述的有獎徵文活動, 其160餘部應徵作品中出現了一批華人作家單獨寫作的中文基督敎小說, 例如“鍾淸源”的『夢治三癱小說』 (1895)、“望國新”的40回本『時新小說』 (1895)、福州于麓美部堂劉安如的16回本『砭俗良謨』(1895)等不少作品有描寫有關基督敎敎義與傳敎宗旨的篇幅。但是這些作品都沒被印刷出版, 傅蘭雅移民赴美國時帶走, 捐贈給加州柏克萊大學東亞圖書館, 長眠于圖書館的書庫裏。華人作家的基督敎中文小說之出版要等到陳春生的24回本『五更鐘』(1907)問世。『五更鐘』是由美國傳敎士亮樂月命意, 陳春生改寫重編的作品, 陳春生的改寫程度達到70~80%的全面性修改, 亮樂月雖然發意飜譯, 但1年後回美國去, 其後陳春生一個人經過5、6年的修改與改編工作, 才會付印出刊了。因此, 這部作品的著作權可以歸於陳春生一個人。『五更鐘』也是從飜譯小說開始, 但最後出刊的面貌已經不屬於飜譯小說, 可以歸於譯著小說。

      • KCI등재

        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에 관한 연구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기독교교육이 진정으로 기독교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성경적 토대 위에 세워져야 한다. 성경을 실재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로 이해할 때만이 기독교교육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부분은 하나님 계시로서의 성경, 각종 직분과 성경교육의 의무를 포함하여 기독교교육의 구약 성경적 토대를 다루었으며, 두 번째 부분은 예수님과 성경교육, 사도들과 지도자들의 성경교육, 그리고 성경교육의 현장으로서의 초대교회 모델을 포함하여 기독교교육의 신약 성경적 토태를 다루었다. 성경을 통한 하나님의 계시는 오늘날 우리에게 기독교교육의 원천이 되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과 예수님과 사도들의 실례를 보여주고 있다. 실재에 대한 계시로서 성경을 이해하는 것은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공한다. 신구약을 살펴볼 때 성경교육의 당위성 및 필요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오늘날 기독교교육의 기초가 되는 성경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인간의 인격변화와 행동의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마침내 믿음 안에서 새로운 삶의 모습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교육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의 중심적 과제는 초대교회에서부터 하나님의 백성들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치고 그들을 신앙 안에서 자라게 하여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세우기 위한 교육적 행위였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자체가 성경말씀의 교육과 더불어 존재한다. 성경을 잃는 것은 모든 것을 잃는 것이다. 교육적 자세의 방향은 분명하다. 그것은 교육의 중심적인 원리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를 바로 인식하는 일에서 출발해야만 올바른 기독교교육의 수립과 실천은 물론 개혁교회의 모든 갱신운동도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Biblical Groundwork for Christian education, and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Scripture as God's self-revelation of reality.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part: The first part is Biblical groundwork for Christian Education in Old Testament, including the Bible as a God's revelation, various leaders and their duties of education of the Bible; The second part is Biblical groundwork for Christian education in New Testament, including Jesus and His teaching of the Bible, the apostles and leadership and their teaching of the Bible, and early church model as the context of Bible teaching. Christian education arises from fertile soil of the Bible. We look to the Biblical record for both its origin and form. Its purposes, methods, and institutional expressions are rooted in the Scriptures. Scripture is regarded as the primary lens through which Christian educators perceive and prescribe the character of Christian education. The main reason for placing such emphasis upon the Scriptures is the claims of revelation and inspiration made by the Bible. It is special revelation of God, and Christian educator is compelled to formulate a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consistent with it. The teaching function of the church flows from the Bible. It does not ignore the contemporary setting and the developmental needs of the learner, but it finds its roots in the Word of God. The understanding of Scripture as a revelation of reality gives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What we think about God indicates what we do about education. When we consider any proper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 we must account for God. What we think about God, however, depends on what we think about the Scriptures. As Christians we can rest in the assurance that the Bible is our only infallible guide in judging ultimate truth. The crisis of the recent debate over the Scripture and its defense has tended to detract the church from its central task of actually teaching the Bible. Anyone can confess a high view of the nature of the Scripture, but ultimately the real test is whether or not it is read, taught, studied, and lived in the life and community of faith. The direction of our educational stance is plain. It lies in a return to a central principle of education-namely, that of going to original sources. We must teach the Bible itself. We must return to the Bible, which has made every renewal movement in protestantism possible.

      • KCI등재

        김교신의 ‘전적 기독교’ 신앙과 그의 기독교 사상

        양현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5 No.-

        This thesis analyzes the Christian ideologies of Kim Kyoshin, the exemplary educator and theorist of Korea's Protestantism. Kim understood Christianity as a ‘Wholehearted Christianity', which consists of relationship, requestive independence, directness, and practicability. Kim especially emphasized ‘the Resonance of the Gospel and Prophecy’, in the form of socio-ethical practices. Kim also applied his ‘Wholehearted Christianity’ to Korea that was on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mmunities and argued for ‘Christianity born from Korea.’ Through this ‘Christianity born from Korea,’ Kim tried to free a Korean spirit from the American and Japanese spiritual domination, and to achieve a cultural equality. A horizontal subjectivity of religion and culture established by Kim was structured in a futuristic way that opened doors to other nations, based on constant critical introspection. Kim's search for ‘Christianity born from Korea’ was the generally applicable answer to a question that every religious and cultural communities had to face upon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He chose ‘Non-Church’ for the format of his church, which made possible his faith in ‘Wholehearted Christianity.’ However, in insisting that only a “Non-Church” format is a guarantee for preserving the true Christian faith, the “Non-Church” cannot avoid becoming another kind of ‘church-ism,’ rather than an alternative for the ‘true-church.’ Despite this, the concepts of the “Non-Church” he advocated have significant pertinence to Korean Christianity today. These concepts include: faith 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the believing individual; the need for every church in the world to be aware of their own imperfection. Therefore, the need for them to constantly strive to transform and purify themselves; and the need for the individuals of such a church to be the believing individual that faith is inevitably an individual awakening before God.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가 낳은 탁월한 교육자요, 기독교 사상가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김교신의 기독교 사상을 분석한 것이다. 김교신은 기독교 신앙을 관계성, 의뢰적 주체성, 직접성, 실천성을 그 내용으로 하는 ‘전적 기독교’로서 이해했다. 그리고 ‘전적 기독교’의 사회 윤리적 실천으로서 복음과 예언의 공속성을 대단히 중요시했다. 한편 그는 ‘전적 기독교’를 조선이라는 역사 문화 공동체에 적용하여 ‘조선산 기독교’를 주장했다. ‘조선산 기독교’를 통해 김교신은 미국과 일본에 대한 종속으로부터 조선의 정신을 해방시키고 그 문화적 평등성을 확보하려했다. 김교신이 발견한 종교․문화적 수평적 주체성은 비판적 자기 성찰을 통해 늘 새로운 미래와 타 민족 앞에 개방되어가는 구조였다. 이러한 김교신의 ‘조선산 기독교’의 모색은 각각의 역사 문화 공동체에 기독교가 뿌리내릴 때 던질 수밖에 없는 질문이었고, 그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 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진 구조였다. 한편 그는 자신의 ‘전적 기독교’로서의 신앙을 담아내는 교회 형태로 ‘무교회’를 택했다. 그러나 매개를 두지 않는 무교회라는 형태의 교회에 의해서만 진정한 기독교 신앙이 보장된다고 주장될 때, 그러한 무교회는 이미 ‘교회주의’가 되기 때문에, 그 역시 ‘완전한 교회’의 대안을 제시하는 데는 이르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앙의 일차적 책임 주체는 신앙인 개인이라는 점, 지상의 모든 교회는 불완전한 것으로 늘 깨어 스스로를 개혁하고 정화해야 한다는 점, 이러한 교회 개혁과 정화의 주체 역시 신 앞에 깨어있는 개개의 신앙인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한국 교회사에서 선명하게 주장한 점에서 여전히 오늘날에도 커다란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신소설 『광야』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광야』와 『숨은보배』의 비교를 통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신앙을 중심으로

        류진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1

        이 논문은 신소설 『광야』(1912, 유일서관)에 나타난 실존 인물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삶과 기독교 사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백사겸(1860-1940)의 신앙 일대기 『숨은보배』(1938, 동양선교회 성결교회 출판부)와의 비교를 통해, 『광야』에 나타나는 백사겸의 회심과 실천적 신앙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신소설 『광야』의 문학적 형상화와 기독교사상을 분석하여, 기독교 소설로서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백사겸은 초기 한국 기독교계의 맹인 전도사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백사겸은 민중 전도사 또는 조선의 삭개오라는 별칭이 있다. 백사겸의 일대기는 1938년 박소천에 의해 『숨은보배』라는 ‘신앙전기’로 발간되었다. 『숨은보배』 속의 개성중부교회 이종필 목사의 ‘추천사’에 따르면, 이미 팔십 고령에 이른 백사겸은 1897년 회심 후 사십여 년을 한결같이 신앙생활을 하였고 한국 초기 기독교 신앙을 보여주는 믿음의 선배였다. 백사겸에 관한 일대기 『숨은보배』가 발행되기 26년 전, 신소설 『광야』(유일서관, 1912)가 출판되었다. 신소설 『광야』는 ‘박장님’이라는 맹인 점술가가 기독교로 회심하여 전도인이 된 사건을 서사화 한다. 지금까지 신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연구는 선진문명의 사상적 배경 또는 문명 기호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기독교적 회심과 실천을 주제로 하는 신소설 『광야』는 주목받지 못했으며, 신소설 『광야』와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관련성 역시 조명된 바 없다. 『숨은보배』와 『광야』는 각 주인공인 ‘백장님’과 ‘박장님’이 맹인 점술가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기독교인으로 회심한 후 전도인으로 헌신하며 화목한 가정을 이루었다는 서사이다. 신앙 전기 『숨은보배』는 백사겸의 탄생과 불우한 어린 시절, 점술가로서의 수학과 성공, 성공으로 인한 죄책감과 회심, 전도사로서 헌신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며, 탄생, 고난, 극복, 회심, 행복에 이르는 일대기의 서사 구조를 취하고 있다. 반면 신소설 『광야』는 박장님의 가난한 삶과 부인과의 이별, 점술가로서의 성공과 부인과의 재회, 부로 인한 타락과 발병, 회심과 실천적 삶, 전도사로서 헌신이 순차적으로 서사화된다. 숨은보배 의 서사와 비교해 볼 때, 『광야』는 박장님의 탄생과 불우한 어린 시절에 관한 내용이 생략되고 남녀이합의 서사가 가미되어 재구성된다. 신소설 『광야』에서 1. 박장님이 회심후 점술로 얻은 재물을 강도를 통해 처분하였다거나 2. 부인에게 합의 이혼하자고 권한 것, 3. 전도인으로 헌신한 삶과 가족들이 구원받고 자녀들이 훌륭하게 성장한 사건 등은 신소설 장르에 나타나는 일반적 제재와 거리가 있으면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신앙 일화와 매우 유사하다. 즉 신소설 광야』의 내용은 실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삶을 참고로 하지 않고는 나올 수 없는 서사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신소설 『광야』는 백사겸을 모델로 하여 그 삶을 소설로 재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신소설 『광야』는 기독교인의 삶을 소설화함으로써 기독교 사상을 전파하는 기독교 소설로 볼 수 있다. 특히 『광야』에서 언급하는 우상숭배와 축첩 금지의 문제의식은 한국 초기 기독교계에서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기독교의 감화력을 기반으로 한 윤리적 삶과 가족구원은 기독교 사상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선교사들 ... This paper looked at Christian thought in the new novel “KwangYa”(1912, YullSeoGwan), focusing the life of Baek Sa-kyum. Through a comparison with “SumeunBobae”(1938, the publication department of the Oriental Church Integrity Church), Baek Sa-kyum's religious life story, was confirmed in “KwangYa”, especially his repentance and practical faith. In addition, the author analyzed the literary imagery and Christian thought of the new novel, “KwangYa”, to establish its significance as a Christian novel. Baek Sa-kyum is known as a blind evangelist in early Korean Christianity. Baek Sa-kyum is also nicknamed a folk preacher or a Joseon sakgaeo. Baek Sa-kyum's biographies were published in 1938 as a book published by Park So-cheon, called “SumeunBobae”. According to “Recommendation” by Lee Jong-pil, a pastor of the Kaesong Middle Eastern Church in “SumeunBobae”, Baek Sa-kyum, who was already at the age of 80 years, had been a steady believer for more than 40 years since 1897 and was a senior member of faith in Korea's early Christian faith. Twenty-six years before the publication of “SumeunBobae”, a life story about Baek Sa-kyum, was published, the new novel “KwangYa” in which a blind fortuneteller named Park became a evangelist and missionary. Until now, the research of Christian thought in the new novel tended to revolve arou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advanced civilization or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civilization. Therefore, the new novel “KwangYa” which focuses on individual Christian repentance and practice, was not noticed, and the relevance to the new novel “KwangYa” and “Baek Sa-kyum” a blind evangelist, was never revealed. “SumeunBobae” and “KwangYa” each had the story of the great success as a blind fortuneteller, but after they became Christian, they devoted themselves as preachers and formed a harmonious family. The religious biography “SumeunBobae” is a life-long epic structure that leads to the birth, hardship, overcoming, practice and success as a fortuneteller, guilt and remorse for success, and repentance and dedication as a preacher. On the other hand, the new novel “KwangYa” is written sequentially as Park's poor life, separation from his wife, success as a fortuneteller and reunion with his wife, corruption and disease due to wealth, remorse and practical life, and dedication as a preacher. Compared to Baek Sa-kyum's epic, “KwangYa” is reconstructed by omission of Park's birth and his unhappy childhood, and the addition of parting and reunion of man to woman. In the new novel, “KwangYa”, a hero has disposed of the fortune gained by fortune-telling through robbery after the reincarnation, recommended to divorce to his wife after the diposition of the fortune, and finally his all family was saved and their children grew up wonderfully, which are similar to the life of Baek Sa-kyum, but are also far from the general materials that appear in the genre of the new novel. In other words, the content of the new novel, “KwangYa” cannot be written without reference to the life of Baek Sa-kyum, a blind missionar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new novel, “KwangYa”, is a re-creation, based on Baek Sa-kyum's christian life. Furthermore, the new novel, “KwangYa”, can be seen as a Christian novel that propagates Christian thought by fictionalizing Christian life. In particular,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idolatry and concubinage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early Christian circles in Korea, and ethical life and family salvation based on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were also missionary strategies to effectively spread Christian ideas. The new novel, “KwangYa” is a novel about a real-life story of a Joseon Christian who believes in God and lives a changed life, reflecting the aspects and realities of the indigenousization of Christianity that permeated the daily lives of the Joseon people. The enlightenment novel, ...

      •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회고와 전망

        양승훈 ( Paul S. Ya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지난 40여년 가까이 지속된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개괄한다. 한국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군사정권 치하의 1970-1980년대에 젊은 지성인들이 기독교적 신앙과 실천의 이원론적 분리를 고민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세계관 운동에서 선구적 역할을 한 단체를 든다면 1981년에 설립된 ‘기독교대학설립동역회’(이하 동역회)와 1984년에 설립된 ‘기독교학문연구회’(이하 기학연)를 들 수 있다. 원래 동역회(후에 기독학술교육동역회로 개명)(이하 동역회)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대학 설립을 목표로 시작되었고, 기학연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학문을 목표로 시작되었지만 두 단체 모두 초기 활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서 기독교 세계관의 연구와 확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들을 통해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 천천히 확산되기 시작했다. 기독교 세계관 운동이 시작된 이후 가장 중요한 사건은 밴쿠버기독교 세계관대학원(VIEW)의 시작과 초기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두 축이었던 동역회와 기학연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DEW가 시작된 1981년 이전을 태동기로, 1981년부터 VIEW가 설립되던 1997년까지를 확산기로, 그리고 1997년부터 동역회와 기학연이 통합된 2009년 전까지를 제도화기, 두단체의 통합이 이루어진 2009년 이후를 성숙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제도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VIEW의 사역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In this study, we take a brief look at the historical overview of Christian worldview movement(CWM) in Korea since 1981. CWM in Korea was initiated by young Korean Christians who were struggling with dichotomic division between Christian belief and practice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1970-1980s. In the initiating stage of CWM, there were 2 dominant organizations which lead the movement: Christian University Fellow-workers Association(later renamed as Disciples with Evangelical Worldview, DEW) founded in 1981 and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Studies(KSCS) founded in 1984. Originally DEW was started for founding a university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KSCS for Christian scholarship. During the 1980s, however, the initial ministries of both organizations were focused on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Christian worldview. Through them, CWM spread and became a movement in Korean church and society. In the history of CWM in Korea, most significant events were the creation of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VIEW) in 1997 and the unification of DEW and KACS in 2009. In this paper we divide the CWM in Korea into 4 periods: Inception(before 1981 when DEW was started), Expansion(from 1981 to 1997 when VIEW was started), Institutionalization(from 1997 to 2009 when DEW and KACS were united), Maturity(after 2009). In particular, we try to give a special attention to VIEW ministry which played a dominant role for institutionalizing CW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