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와 문화 중심 관점에서의 기능주의와 제품 디자인에 관한 고찰

        임재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산업혁명 이후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예술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이에 기능주의 디자인이 발전하게 되었다. 미술공예 운동과 같은 저항도 존재했으나 기술과의 조화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기능주의는 대량생산에 적합한 합리적 기능주의로 생각하는 견해가 많으나 기능주의는 문화적 관점에서도 발전해 왔다. 하지만 이 두 가지 관점에서의 비교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 중심의 기능주의와 문화 중심의 기능주의에 관하여 역사적 흐름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고 두 관점으로 파생된 오늘날 제품들의 디자인에 담긴 함축적 의미에 관하여 고찰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현 시대에 있어서 제품 디자인의 방향성을 사고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결과적으로 경제 중심 기능주의와 문화 중심 기능주의는 모두 인본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며 직관적이고 합리적인 경제 중심 기능주의 디자인에 비해 문화 중심 기능주의 디자인은 감성적이고 은유적이며 모호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sciences and technologies affect the art hence, the design that is influenced by functionalism is developed. Although the resistance such as the Art and Craft Movement is existed, the balance with technology is newer demands of its time. Normally, we understand the functionalism as that is rational and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the functionalism has been developed by cultural perspective. However, the comparison researches the two point of view is extremely rare. Therefor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firstly to examine the functionalism of the two point of view and secondly to consider the implicative design information of the products design that is derived from the two kind of functionalism.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hink the direction of product design today. As the result, the economy centered functionalism designs include intuitive and rational senses, the other hand the culture centered functionalism designs have metaphorical and sensitive senses. However, both design claim to stand for humanism.

      • KCI등재

        미국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기능주의

        하지수 한국의류학회 2002 한국의류학회지 Vol.26 No.9,10

        This research focuses on functionalism in American fashion designs which have become the center of public attention in recent. First, documentary studies about how functionalism, which originated in Europe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s been developed throughout the 20th century were preceded. Second, content analysis was done for the articles, including the word 'function', 'utility' and 'practical' in the New York Times and American Vogue from January 1990 to January 2001. As a result, functionalism in 1990s has been developed in different ways from the mechanical, organic, and moral analogies of functionalism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t doesn't belong to an analogy but has the fused characteristics of those three analogies. It can be classified into techno functionalism influenced by new technology, pure functionalism related to minimalism, sports casual functionalism for those who are crazy about the speed and sports and enjoy the freedom and comfort, and symbolic functionalism which stresses Zen style. More casual manners of formal wear are distinct elements in functionalist fashion design in 1990s. It leads to strong expressions of sports casual functionalism, which plays a great role in sportswear industry of American fashion design. The American fashion designers who were mentioned often in the articles were Donna Karan, Calvin Klein, Ralph Lauren and Tommy Hilfiger. As well as their works have common formative features based on functionalism, each of them shows his/ her own strong color. All of these designers make American fashion design, which can be defined as casual wear or sportswear, vary popular worldwide based on the developed American functionalism. Functionalism considering practical and conceptional functions will continue in coming century and techno functionalism and sports casual functionalism in future fashion designs will be expressed more strongly with new technology and casual trends of life style.

      • KCI등재

        기능주의 이론의 디자인 적용에 대한 연구 -탈코트 파슨스를 중심으로-

        정진우 ( Jin Woo Jung ),장광집 ( Kwang Chib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탈코트 파슨스에 의해 학문적 체계를 갖춘 기능주의 이론은 디자인 대상의 총합인 사회 체계를 설명하고 그 체계가 유지·발전하는 원리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기능주의 이론이 어떻게 사회 체계를 설명하는가와 어떻게 디자인과정에 적용되는가를 파슨스의 이론을 통해 그 답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기능주의의 개념을 조사하고 체계의 형성·유지·발전에 대한 이론을 도식화하고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및 20세기 초의 디자인 과정에서 기능주의가 어떻게 관여하는지 논의하였다. 또한 최근 급변하는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한 디자인 방법으로서의 기능주의가 부가적으로 논의되었다. 또 다른 연구의 시도로 최근 급변하는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한디자인 방법으로서의 기능주의가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주의를 통해 사회 체계의 유지·발전이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과 과학적 관리법과 근대 디자인 과정에 기능주의가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능주의를 적용한 디자인이 디자인 대상과 디자인 과정 자체의 기능을 개선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복잡한 층위를 갖는 디자인 대상에 총체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기능주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말로설명할 수 없는 디자이너의 직관에 의한 디자인이 아닌 말로 설명할 수 있고, 전달될 수 있고, 교육이 가능한 디자인의 구조와 과정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물리적 조건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는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사례를 수집하여 다양한 학문적 준거틀로 분석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unctionalism theory established academic system by Talcott Parsons explains social systems as t he totality of d esign objects and provides the principle of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s. Thus, through the theory by Parson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nswer about how the functionalism theory explain the social systems and how the theory apply to design proces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is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schematized the formation,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s and discussed about how the functionalism affect on Taylor’s scientific management and the design process in early 20th century. As another research attempt, the functionalism as the design method for recently transilient design paradigm was discuss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facts that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ociety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functionalism and that the functionalism affects on the scientific management and the design process in the modern era. Also, the study found that the design applied functionalism improve the function of design objects and design process itself, and suggested the functionalism design as the problem solving methods for design objects with complicated layer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told that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design, not the design by designer’s intuition, that can be described by language, communicated, educated, was explained. The limit of the research by physical condition can be overcome through the collecting various design cases and analysing the cases with various academic frame of reference.

      • KCI등재후보

        기능주의 디자인 계보 고찰

        송현수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3 No.-

        근대 유럽에서 미국으로 넘어온 셰커 교도들은 그들의 종교적 신념을 지키며 정직하고 검소한 생활을 유지하였는데, 생활 에 필요한 제품들을 직접 제작해서 사용했다. 순수한 기능만을 추구하며 장식이 없는 기능을 위주로 제품을 생산 사용하였 다. 종교적인 내용을 제외하자면 합목적성에 초점을 맞춘 기능주의를 추구했다 할 수 있다. 기능주의는 제품이 가지고 있는 순수한 기능을 중심으로 생산과정과 사용편리성에 중심을 맞추어 디자인, 설계, 생산이 이루어진다.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발전을 거듭한 기능주의는 상업성과 합리주의를 표방하며 발전했으나, 그 바탕에는 인간을 생각하는 휴머니즘 과 공리주의가 영향을 주었다. 단순히 사용자의 편리함과 정신적 만족감만을 고려한 것이 아닌 생산자의 노동환경 역시 고 려되었다. 이러한 사상들의 바탕은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러시아 아방가르드, 데스틸, 독일공작연맹, 바우하우스, 브라운사 로 이어져 시대가 흐름에 따라 발전을 거듭하였다. 정치적, 경제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능주의가 사용된 의도, 목적, 시 도했던 각각의 요소들을 그들만의 방법으로 발전시키며 제품 본연의 합목적성에 맞도록 발전되었다. 또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각자의 기능주의 형식으로 발전되었다. The Shakers, who came to America from modern Europe, maintained honest, frugal living while keeping their religious beliefs, and they used daily necessities for living by manufacturing them in person. They produced unadorned function-oriented products to use while pursuing pure function only. Thus, it can be said that they pursued functionalism with focus on purposiveness except religious contents. Functionalism is in pursuit of design, planning and production centered on the production process with the pure function of a product as the center, and easy usefulness. The functionalism, which continued its development in earnest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as a starting point, developed while claiming to advocate commercialism and rationalism, but actually, humanism and utilitarianism, which think of a human, had an influence on the basis of functionalism. In short, functionalism also took a producer's labor environment into account other than simply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only. Starting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basis of such ideas was linked to avant garde in Russia, De Still, Deutscher Werkbund, Bauhaus, and Braun to serve to repeat development as time flowed. Functionalism-based products developed to meet products' primal purposiveness as the relative design artists developed functionalism-applied intention & purpose, and functionalism-attempted respective elements in their own way according to political, economic, periodic circumstances. In addition, functionalism developed into the form of individual functionalism while exchanging influences with each other.

      • KCI등재

        남북한 체제통합을 위한 기능주의 대북정책의 재고찰

        한기호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9 통일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South Korean government’s functionalism and neo-functionalist North Korea policy from a systematic viewpoint of the two Koreas and to derive a rational inter-Korean integration model. If we are to distinguish the functionalism and the new functionalism, which has been the basis of North Korea policy, as a measure of ideology of progress and conservation,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North Korean policy mechanism that changes its shape according to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and regime. Therefore, this study first defines the concept of unification and unification. And the concept of functionalism and new functionalism is examined as an approach of integr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our government ‘s North Korea policy. And the implications of functionalism and new functionalism for the process of inter - Korean integration. The preconditions of the rational inter-Korean integration model are divided into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we present an appropriate inter - Korean integration model by comparing the existing model that was agreed up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East - West German integrated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정부의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적 대북정책이 갖는 의미를 남북한 체제통합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합리적 남북통합모델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대북정책의 토대가 되어 왔던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 접근방식을 진보와 보수라는 이념의 잣대로 구분하는 것에 머무른다면, 국내외 정세와 정권의 변동에 따라 그 모양을 달리하는 대북정책 메커니즘을 설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통합과 통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통합의 접근방법으로서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 개념을 검토한다. 본론에서는 우리정부의 대북정책사의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한 후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가 남북통합과정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합리적 남북통합모델의 전제조건을 남한, 북한, 국제환경으로 구분하여 검토한 후, 통합방식에 관하여 남북 간에 합의되었던 기존모델과 동서독 통합모델을 비교하여 적합한 남북통합모델을 제시한다.

      • 복식에 기능주의 특성이 미친 영향 비교 분석: : 현대복식과 퓨전 전통복식을 중심으로

        이성규(Lee Sung Kyu),안현정(Ahn Hyun Jung) 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19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1 No.2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다른 과장되고 복잡한 디자인이 범람하는 시대 속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성과 기능성이 중시되는 기능주의 패션 트렌드의 본질을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이해하고, 패션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능주의적 경향의 특성을 고찰하여 현대복식과 퓨전 전통복식의 기능주의 특성을 사례를 통해 서로 비교⋅분석하여 그 특성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에 문헌 연구와 현대·전통복식에 나타나는 특성을 사례를 통해 비교·분석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년대의 기능주의는 기존의 테크노 기능주의, 일상적 기능주의, 순수 기능주의, 상징적 기능주의에서 테크노·디지털 기능주의, 스포츠·캐쥬얼 기능주의, 미니멀기능주의, 상징·심볼 기능주의로 변화되어 새롭게 재정립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현대 패션 트렌드를 이해할 수 있는 지표로서 기능주의 스타일 연구는 새로운 트렌드 형성과 대중화 과정의 이해를 돕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퓨전 전통복식을 현대복식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퓨전전통복식의 현대화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는 지침이 되길 기대해본다. In an era when exaggerated and complicated design has been prevalent along with trend and lifestyle changes, this study attempted to i)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nature of functionalist fashion trends where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are emphasized, ii)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ist tendencies and iii) comparatively analyze and define the functionalist aspects of modern costume and fusion traditional attire. For th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nd traditional cloth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In the 2000s, functionalism has been newly reestablished through a transition from techno-, regular-, pure- and symbolic-functionalism to techno/digital-, sports/casual-, minimal- and symbolic- functionalism. It appears that a study of functionalist style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popularization of new trends as an indicator to understand modern fashion trends. It is also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 guidelin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modernization of fusion traditional attire by comparing it with modern style of dressing.

      • KCI등재

        1990년대 절충적 기능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

        하지수(Ji Soo Ha) 한국복식학회 2002 服飾 Vol.52 No.5

        The research has the aim of defin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ist fashion design in the 1900s by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functionalism in the sociocultural contexts. Giving careful consideration to functionalist fashion design in the 1990s makes it possible to foresee the way of fashion design to meet the needs of the moderns and men of the future world. To obtain the purposes, documentary study and demonstrative study with fashion photographs have been execut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unctionalism in the 1990s has been developed in different ways from the analogie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t doesn`t belong to an analogy but has the fused characteristics. It can be classified into techno functionalism influenced by new technology, pure functionalism related to minimalism, casual functionalism for those who are crazy about the speed and sports and enjoy the freedom and comfort, and symbolic functionalism. Mechanical analogy has been developed into techno functionalism. Pure functionalism has come from the blend of mechanical and moral analogy, casual functionalism from mechanical, organic and moral analogy, and symbolic functionalism from organic and moral analogy. Since fashion design has much closer relation to human body and movements, it has been expressed considering a division of men and women and the places and times for the designs more than other designs. More casual manners of formal wear are distinct elements in functionalist fashion design in the 1990s. The 20th century general cultural phenomena including post modernism can be explained by eclectic functionalism. Functionalism considering practical and conceptional functions will continue and techno functionalism and casual functionalism in future fashion design will be expressed more strongly with new technology and casual trends of life style.

      • KCI등재

        형태와 기능의 연관성에 대하여

        신완식 ( Wan Shik Shin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0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 No.1

        기능주의는 한 시대의 지배적 사조이기 이전에 인간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는 철학적 관념이다. 특히 라마르크와 다윈 등의 용불용설이나 자연도태설은 19세기의 사회변혁과 더불어 기능주의의 확산과 발전의 커다란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주로 건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금세기의 기능주의는 이론과 실제에서 제품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제품디자인 이론의 학문적 배경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기능주의의 이념과 논리는 형태와 기능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글래스박스’류의 제품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형태와 기능 사이의 연관성이 거의 없는 블랙박스의 제품에 있어서는 기능주의의 논리가 적용될 수 없다. 그런데 현재 우리의 물질적 환경은 대부분 블랙박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자인의 대상물도 대부분 블랙박스류의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형태와 기능의 관련에서 출발한 기능주의의 이론은 현실적 가치를 잃게 되었고, 디자인의 전체적 학문체계도 위협을 받게 되었다. 블랙박스류의 제품 형태와 기능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시급하다. Functionalism is more of a philosophical notion which keeps abreast with human history than a dominant trend of though of a period in particular, Lamarck's use and disuse theory and Darwin's theory of natural selection, together with social changes in 19th century, gave momentum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functionalism. The functionalism of this century, which has developed with its focus on architecture, has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product design both in theory and in practice and has provided product design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doctrine and logic of functionalism that 'From follows function' can be applied only the 'glass box' products whose form and function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same can not be applied to the 'black box' products whose form and function do not bear close relation the each other.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our material environment is mostly composed of 'black box' and that the 'black box' products make up a greater part of the objects of design. Consequently the theory of functionalism, which orginated based on the traditional notion about the form-function relation has lost its pracitical value and the very existence of academic system of design in general is being threatened. Seen in this respect a systematic and in depth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form and function of 'black box' products is urgently called form.

      • KCI등재

        논문 : 진리 기능주의와 혼합의 문제

        김동현 ( Dong Hyun Kim ) 한국과학철학회 2015 과학철학 Vol.18 No.1

        혼합 연언의 문제와 혼합 추론의 문제 등을 통칭하는 혼합의 문제는 진리 다원주의를 위협하는 난제이다. 이에 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다원주의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 가운데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마이클 린치의 진리 기능주의에 의하면 진리 속성은 단일하지만 그 속성이 기저 속성으로부터 발현되는 관계는 논의 영역에 따라 다원적이다. 이에 따라 린치는 진리 다원주의를 고수하면서도 혼합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린치의 기능주의가 혼합의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할 수 있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그러한 해결이 가능한 이유는 기능주의가 진리의 중요한 역할에서 일원론과 차이가 없는 이론으로 후퇴했기 때문임을 주장할 것이다. 이를 보이기 위해 본고는 혼합의 문제의 핵심 쟁점인 복합 명제에 주목한다. 기능주의가 제안하는 곧장-참(plain truth) 관계에 의거하여, 복합 명제의 의미가 원자 명제의 의미로부터 조합됨을 진리 조건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결과적으로는 진리 발현 관계의 다원성이 누락된 설명과 차이가 없게 됨을 본고는 논증할 것이다. 따라서 일원론적 진리론에 비해 기능주의를 선택할 이론적 동기가 침식 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mix problem, which includes both of the problem of mixed inferences and the problem of mixed conjunctions, is a serious crux threatening the alethic pluralism.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solutions have been suggested by the pluralists. Among them, Michael Lynch’s alethic functionalism,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s nowaday, insists that the truth property is one but the relations in which the property is manifested are plural in accordance with domains of discourse where the truth bearer is discussed. Thus, according to Lynch, the functionalism can avoid the mix problem, even adhering a pluralism on truth. I agree that his functionalism can avoid the mix problem, but I will argue that what his solution possible is that his functionalism retreats up to the line where it has no difference with the monism in some significant aspect of truth. To show this, I will focus on the issue of compound propositions, the key notion of the mix problem. I will argue that, on the basis of plain truth which the functionalism suggests, and in accounting the meanings of compounds compositionally in truth-conditional wa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functionalism and monism. Therefore, the motivation to choose the functionalism rather than truth monism is undermined.

      • KCI등재

        루이스 멈퍼드(L.Mumford)의 기술철학에 근거한 기능주의 디자인의 부정성(否定性) 기원에 대한 연구 - 기계의기원인수도원. 시계, 군대에대한사유개념을중심으로-

        최성운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Functional products are found in the various walks of life and living environment today,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which is applied to most of the things expands the user’s scope of thinking and imagination. While it is true that the production of the functional design of the 21st century is based on precision technology, it is not free from the issue of identity. Furthermore, there are serious emerging side effects of mass production and uniform consumer culture. Such inherent issues of functionalism have been discussed from the late 1970s, but the problems of functionalism have yet to be corrected or addressed. Therefore, confirming the issues of the functional design casts light on the need to return to its start point. This study focuses on Lewis Mumford’s philosophy of technology in a bid to discover the issues of functional design. Section 2.1 survey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eval monastery, clock, and military which are regarded as the matrix of functionalism and the origins the machine, that is, the machines from the perspective of Mumford. And Section 2.2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machines, functionalism, and design. It is because identifying the three origins and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machine will enable a fundamental approach to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21st-century environment of industrial design. Thus, this study can explore the goals for the 21st-century industrial design and new perspectives on and directions for functionalism which has so far been brought up as a problem. 오늘날 우리들의 다양한 삶과 환경에는 기능적인 제품들이 위치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물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 됨으로써 사용자들의 사고와 상상력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 기능주의 디자인이 정교한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동일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으며, 더불어 대량생산과 획일화된 소비문화에 의한 심각 한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능주의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문제들은 이미 1970년 후반부터 논의되어 왔음에도 불구 하고 기능주의의 병폐는 여전히 수정 또는 보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능주의 디자인에 내재된 문제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그 출발점으로 회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주의 디자인의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해 루이스 멈퍼드의 기술철학적 사유의 세계를 기반으로 하였다. 제 2.1 단원에서는 멈퍼드 관점에서의 기계 즉, 기능주의의 모체이자 기계의 근원으로 지목된 중세시대의 수도원과 시계 그리고 군대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제 2.2. 단원에서는 기계와 기능주의 그리고 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기계의 3가지 기원과 해당 요소들에 대한 속성을 규명하게 된다면, 21세기 산업디자인 환경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에 대 한 근원적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향후 21세기 산업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목표 와 70년대 이후 지금까지 문제로 거론되었던 기능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나아갈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