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인의 완전”

        이찬석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John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However, this article does not try to articulate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only.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his 'Christian perfection' is related to his notion of 'simplicity of intention' and 'justification'. In other words, I will try to reveal the aspect of discontinuous continuity among simplicity of intention, jus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Therefore, I will insists that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should be applied in oder to understand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In Christian tradition, the grammar of both/and should be applied. Christianity arr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s Cross and resurrection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In early Christianity, the controversy about Jesus's nature was a serious thing. But Christianity concluded that Jesus is God and human being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It signifies that the grammar of both/and is a tool to understand the important aspect of Christian tradition. John Wesley experienced the first conversion in 1725 whose main point was the simplicity of intention. But it was a significant concept not only his early life but also his later life. Furthermore, it works as a important concept in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In 1738, his experienced justification through Martin Luther's commentary on Roman. Justification also became one of important concepts in hi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as a metaphor of the branch of grapevine. In other words, Justication is a premise for Christian perfection. Regrading Christian perfection, John Wesley explains as a perfect love through the simplicity of intention and Christ's mind.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존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의 완전만을 고찰하지 않고, 그의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관성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속적인 측면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자는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바르게 이해되어지기 위해서는 either/or의 문법이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함을 지적한다. 기독교의 전통도 either/or가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한다. 십자가냐? 부활이냐?라는 물음 앞에 십자가이면서 부활이고, 예수 그리스도는 신인가? 인간인가?라는 물음 앞에 신이면서 인간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both/and의 논리가 기독교의 전통의 중요한 측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도구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웨슬리는 그의 생애의 초기라고 할 수 있는 1725년에 첫 번째 회심을 하게 되고, 이 체험을 통하여 의도의 단순성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자신의 사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 개념은 그의 생애의 초기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는다. 1738년에 올더스케잇에서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칭의사상을 체험한다. 그러나 이 개념도 역시 포도나무의 가지라는 메타포를 통하여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 전제로 작용한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으로 정리하면서 하나님을 향한 의지의 단순함과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것으로 설명한다. 결국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은 그리스도인의 완전과 불연속적 연속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칭의사상과 분리하여 이해한다면 인간의 공로와 도덕을 강조하는 것으로 읽혀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웨슬리의 신학을 칭의냐? 완전이냐? 라고 either/or의 논리를 적용한다면 그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도덕주의로 읽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설명하면서 의도의 단순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고, 그리스도의 은총을 분명히 강조하고 있음으로 both/and의 논리로 읽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도의 단순성’ ‘그리스도의 마음/포도나무 가지의 완전’ ‘완전한 사랑’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 KCI등재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

        이찬석 ( Chan Seok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존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의 완전만을 고찰하지 않고, 그의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관성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고찰하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과의 연속적인 측면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자는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바르게 이 해 되 어 지 기 위 해 서는 either/or의 문법 이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함을 지적한다. 기독교의 전통도 either/or가 아니라 both/and의 문법이 적용되어져야 한다. 십자가냐? 부활이냐?라는 물음 앞에 십자가이면서 부활이고, 예수 그리스도는 신인가? 인간인가?라는 물음 앞에 신이면서 인간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both/and의 논리가 기독교의 전통의 중요한 측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도구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웨슬리는 그의 생애의 초기라고 할 수 있는 1725년에 첫 번째 회심을 하게 되고, 이 체험을 통하여 의도의 단순성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자신의 사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 개념은 그의 생애의 초기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는다. 1738년에 올더스케잇에서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칭의사상을 체험한다. 그러나 이 개념도 역시 포도나무의 가지라는 메타포를 통하여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 전제로 작용한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으로 정리하면서 하나님을 향한 의지의 단순함과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것으로 설명한다. 결국 ``의지의 단순성``과 ``칭의사상``은 그리스도인의 완전과 불연속적 연속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칭의사상과 분리하여 이해한다면 인간의 공로와 도덕을 강조하는 것으로 읽혀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웨슬리의 신학을 칭의냐? 완전이냐? 라고 either/or의 논리를 적용한다면 그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도덕주의로 읽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설명하면서 의도의 단순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고, 그리스도의 은총을 분명히 강조하고 있음으로 both/and의 논리로 읽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의도의 단순성`` ``그리스도의 마음/포도나무 가지의 완전`` ``완전한 사랑``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John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However, this article does not try to articulate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only.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his ``Christian perfection`` is related to his notion of ``simplicity of intention`` and ``justification``. In other words, I will try to reveal the aspect of discontinuous continuity among simplicity of intention, jus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Therefore, I will insists that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should be applied in oder to understand Wesley`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In Christian tradition, the grammar of both/and should be applied. Christianity arr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s Cross and resurrection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rather than that of either/or. In early Christianity, the controversy about Jesus`s nature was a serious thing. But Christianity concluded that Jesus is God and human being through the logic of both/and. It signifies that the grammar of both/and is a tool to understand the important aspect of Christian tradition. John Wesley experienced the first conversion in 1725 whose main point was the simplicity of intention. But it was a significant concept not only his early life but also his later life. Furthermore, it works as a important concept in hi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In 1738, his experienced justification through Martin Luther`s commentary on Roman. Justification also became one of important concepts in his notion of Christian perfection as a metaphor of the branch of grapevine. In other words, Justication is a premise for Christian perfection. Regrading Christian perfection, John Wesley explains as a perfect love through the simplicity of intention and Christ`s mind. If one understands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without Justification, he (she) will conclude that John Wesley is a moralist. However, Wesley begins with explaining the simplicity of intention in his book, <Christian perfection>. Furthermore, he clearly emphasizes that the grace of Jesus Christ is continuously required after perfection. Therefore, this article will articulate Wesley`s Christian perfection in the following subtitles; the Simplicity of Intention, Christ`s Mind: the Branch of Grapevine, Perfect Love.

      • KCI등재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 교리 재해석 - 그리스 교부들의 금욕적 신화의 관점에서 -

        류재성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century was not a replacement of the older sensus catholicus with a new Anglican sensus communis, or vice versa. Nor was it merely a reasonable compromise (or so-called the Elizabethan via media) between Protestant and Catholic principles. It rather was a ressourcement — a return to the sources of the Christian faith and authority: the Bible and the early patristic traditions. Ordained a priest in the Church of England in 1728, Wesley was born, raised, and educated in this stream of restoration. So he naturally accepted the Bible and the early patristic traditions, and based on these sources, he continued to refine and develop his theology and spirituality. The overall focus of this paper is to carry out a reading faithful to the Reformed spirit of the Church of England passed down to Wesley.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aims to find an alternative way to clarify and reinterpret Wesley’s teachings on Christian perfection by examining the Greek patristic doctrine of deifi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outlines the various teachings of the Greek Fathers on deification and divide them into two main categories: (1) ontological deification and (2) ascetic deification. It then attempts an alternative reading and reinterpretation of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with the teachings of St. Clement of Alexandria, Macarius of Egypt, and the Cappadocian Fathers, who read deification from an ascetic perspective. Wesley calls Christian perfection in various terms, including holiness, sanctification, perfection, deification, love, cleansing from sin, and circumcision of the heart. And he tried to teach his terms of Christian perfection in simple, plain, and practical ways. However, a complex nuance was added to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s Wesley removed the ambiguity of the term and provided time and again a clearer guide and exposition to it. As a result, the so-called competitive reading of Wesley has erupted over the past 200 years, competing with each other over who is closer to Wesley’s interpreta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at the center of these competitive readings and debates was an excessive reliance on the temporal and conceptual division of the salvation order developed after the Reformation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as a way out of this old predicament, it reinterprets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in light of what Wesley referred to in his 1767 letter to Dr. Dodd, namely, the doctrine of deification in the sense of ascēsis that has begun with St. Clement. 16세기와 17세기의 영국 국교회의 종교 개혁은 가톨릭 정신(sensus catholicus)을 새로운 성공회의 공통 정신(sensus communis)으로 대체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그것은 개신교와 가톨릭 원칙 사이의 합리적인 타협(이른바, 중용의 길[via media])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은 기독교 신앙과 권위의 근원으로 돌아가 성경과 초대 교부들의 전통을 회복하는 것이었다. 1728년에 영국 국교회의 사제로 서품된 웨슬리는 이러한 회복의 흐름 속에서 태어났고, 성장했고, 교육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성경과 초대 교부들의 전통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신학과 영성을 계속 다듬고 발전시켰다. 이 논고의 전반적인 초점은 웨슬리가 계승한 영국 국교회의 개혁 정신에 충실한 독서를 수행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논문은 그리스 교부들의 신화 교리를 살펴봄으로써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웨슬리의 가르침을 명확히 하고 재해석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논고는 먼저 신화에 대한 그리스 교부들의 다양한 가르침을 개괄하고 그것들을 (1) 존재론적 신화와 (2) 금욕적 신화의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눈다. 그런 다음 이 논문은 금욕적 관점에서 신화를 읽은 알렉산드리아의 성 클레멘트, 이집트의 마카리우스, 카파도키아의 세 교부들의 가르침으로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교리에 대한 대안적 독해 및 재해석을 시도한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다양한 용어로 불러왔다: 성결, 성화, 완전, 신화, 사랑, 죄의 씻음, 마음의 할례. 그리고 그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자신의 용어를 단순하고, 평이하며, 실용적으로 가르치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웨슬리가 그 용어의 모호성을 풀고 더 많은 설명과 해명을 덧붙일 기회를 포착할 때마다,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보다 더 복잡한 뉘앙스를 갖게 되었다. 그 결과 지난 200여년 동안 웨슬리의 해석에 누가 더 가까운 가를 놓고 서로 겨루는 소위 경쟁적 웨슬리 읽기가 촉발됐다. 이 논고는 이러한 경쟁적 읽기와 논쟁의 중심에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전개된 구원 질서의 시간적, 개념적 구분에 대한 오래된 의존이 있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이 오래된 의존으로 말미암은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 논고는 웨슬리가 1767년 도드(Dodd) 박사에게 보낸 편지에서 언급한 바, 성 클레멘트에서 시작된 금욕적 의미의 신화 교리에 비추어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교리를 재해석한다.

      • KCI등재후보

        선교신학 :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서 본 존 웨슬리의 선교신학

        최형근 ( Hyung Keun Choi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본 논문은 하나님의 선교 개념을 고찰하고 존 웨슬리의 삶과 사역과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의 특징들인 선행 은총, 그리스도인의 완전, 그리고 창조의 치유와 회복을 분석하고, 그 특징적 요소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선교적 함의들을 제시한다. 하나님의 선교개념을 이해하는 최상의 방법은 선교학적 관점에서 성경을 해석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하나님의 선교의 의미는 하나님의 신적 행위가 그의 백성을 불러 언약관계를 맺고 그들을 세상으로 파송하는 것이다. 아버지에 의해 보냄 받은 예수는 교회에게 성령의 능력을 주어 세상으로 파송한다. 존 웨슬리에게 “세계는 나의 교구다”라는 슬로건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의해 보냄 받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웨슬리는 구원이 영원한 생명의 출발을 함축하는 선행은총에 의해 시작된다고 주장했다. 구원의 과정은 칭의(의롭게 하시고 회심케 하시는 은총)와 성화로 진행된다. 이 과정들은 구원의 통전적 차원을 가리킨다. 첫째, 비록 선행은총 그 자체가 구원하는 은혜는 아닐지라도, 선행은총의 핵심은 하나님이 성령을 통해 예수 안에서 우리에 앞서 가신다는 것이다. 둘째, 웨슬리 신학에서 구원은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이른다는 의미로서, 그리스도인의 인격성숙의 과정이다.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이것은 하나님의 백성의 거룩한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웨슬리에게 구원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안에서 이해된다. 존 웨슬리의 삶과 사역은 그의 설교와 행위의 통합 가운데 나타난다. 셋째, 구속신학과 창조신학의 통합으로서 존 웨슬리의 신학의 선교학적 함의들은 치유적 모델로서 개인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 모두를 강조한다. 이것은 창조와 구속에 대한 이원론적 이해를 극복하게 하며, 인간과 다른 피조물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통전적 차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웨슬리 신학은 우리로 하여금 모든 인간의 삶의 차원에서 치유로서 하나님의 구원을 숙고하도록 만든다. 이것은 치유로서 구원이며, 치유란 하나님과 다른 피조물들과의 화해를 이루기 위해 오로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치유는 우리로 하여금 성령의 능력을 통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형상을 회복하도록 만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the concept of Missio Dei, to analyze prevenient grace, Christian perfection, and the healing and restoration of the creation in John Wesley`s life and ministry a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issio Dei, and to suggest missiological implications of those factors today.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issio Dei is to interpret the Bible from a missiological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mission of God is that in the divine action God calls His people and has the covenant relationship with them and sends them into the world, and Jesus sent by the Father commissions His church as sending it to the world wit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For John Wesley, the slogan “The world is my parish” articulates the identity of the church and Christians who are sent by the triune God. Wesley insisted that the salvation begins with the prevenient grace, implying the march for the eternal life. And the salvation process follows both justification (justifying and converting grace) and sanctification. These process indicates the holistic dimension of the salvation. First, though the prevenient grace itself is not saving grace, the focal point of the prevenient grace is that God precedes us in Jesus through the Holy Spirit. Second, salvation in Wesleyan theology means to reach “Christian perfection,” which would be the process of maturity of Christian character. From a Missio Dei perspectiv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holy life of the God`s people. For Wesley, salvation is underst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en, between neighbors, and between men and the creation. Life and ministry of John Wesley can be seen the integration of his preaching and deed. Third,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of John Wesley`s theology as seemingly integrating the redemption theology with the creation theology, is to emphasize both individual and relational dimension as a therapeutic model. This can make us overcome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creation and salvation and understand the holistic dimension of human relationships with other created order. Wesleyan theology brings us to think God`s salvation as healing in every dimension of human life. This is salvation as healing, one that healing can only through Jesus Christ reconciling God and others. This kind of healing can make us restore the image of God and Christ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

        개신교 성화론 모델의 통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송인설(Inseol Song)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5 No.-

        성화론은 죄 용서를 받은 후 성도 안에 남아 있는 죄 문제를 해결하며 거룩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다룬다. 지금까지 개신교회는 어떤 성화론의 모델을 발전시켜 왔을까? 개신교 성화론 모델들을 통합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필자는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검토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필자는 루터가 성화를 은혜와 믿음과 순종(사랑)과 회개를 통한 율법의 성취로 이해했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개신교회 성화론의 공통점으로 보았다. 개신교 신학이 루터 신학을 토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그 결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둘째, 성화의 과정과 관련하여 개신교 성화론은 차이를 보였다. 루터의 성화론은 영과 육의 싸움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선행의 열매를 맺는 율법의 성취 모델이고, 칼뱅의 성화론은 육의 죽임과 영의 살림을 통한 점진적 성장 모델이고, 웨슬리의 성화론은 죄의 질병으로부터 치유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점진적이며 즉각적인 치유 모델이고, 성결 운동의 성화론은 성령세례를 통한 급진적 치유 모델이었다. 셋째, 성화의 정도와 관련하여 네 성화론은 큰 차이점을 보였다. 루터는 일평생 “의인이며 동시에 죄인”이라는 변증법적 역설로 이해하고, 칼뱅은 죽을 때까지 행위와 본성의 변화가 조금씩 일어나는 느린 성장으로 이해하고, 웨슬리는 이 땅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에서 온전해지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가능하다고 보고, 성결 운동은 부패성이 치유되는 성결이 성령세례를 통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필자는 로버트 키건의 나선형적 자아 발달 모델이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통합할 수 있는지 검토했다. 필자는 그의 모델을 약간 수정하여 ‘상하로 점차 확장되는 원을 그리며 수평적으로 진행하는 나선형 모델’을 상상해 보았다.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죄 사이를 왕복하며 수직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경험하는데, 점차 수직적 상승과 하강의 폭이 확장된다는 것이다. 상하로 확장되는 나선형의 최하단은 루터의 철저한 죄 이해를 가리키고, 나선형의 상단은 웨슬리의 온전한 성화와 성결 운동의 성결이 보여주는 성화의 성취 정도를 나타내고, 오른쪽으로 수평적으로 진행하는 움직임은 칼뱅의 점진적 성장 과정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하나님의 은혜로 인간이 믿음으로 말씀에 순종하고, 순종하지 못한 죄는 회개하며, 더 높은 은혜와 더 깊은 회개를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상하로 확장되는 원을 그리며 수평선을 따라 진행하는 나선형’ 모델이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통합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 보았다. Sanctification is about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of sin that remains in the believers after justification and being sanctified. Can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models be integrate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the author found that Luther understood sanctification as the achievement of the law through grace and faith and obedience (love) and repentance, and saw this as a common point of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Second,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were different. Luther’s theory of sanctification is a model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law producing fruits of good works in the conflict between spirit and flesh. Calvin’s one is a model of gradual growth through the killing of the flesh and the quickening of the spirit. Wesley’s one is a gradual and immediate healing model that recovers the image of God by healing from the disease of sin. Holiness Movement’s one is a radical model of immediate healing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ird,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sanctification, the four theories of sanctification have made a great difference. Luther viewed it as a dialectic paradox of simultaneity, that is, “the justified and the sinner.” Calvin understood it as a slow growth in which change of action and nature took place little by little until death. Wesley believed that entire sanctification (Christian perfection) in loving God and neighbors in this world was possible. Holiness Movement argued that holiness as an eradication of corruptibility could be accomplished immediately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e author examined whether Robert Kegan’s spiral model of self development could incorporate the theory of sanctification of Luther, Calvin, Wesley and the Holiness Movement. The author imagined the model of a spiral that runs horizontally in a circle that extends gradually up and down by slightly modifying Kegan’s one. Human beings experience a vertical rise and fall between the grace of God and the sin of man. It was understood that the lowest end of the spiral points to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ins in Luther, its top points to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sanctification shown in Wesley’s entire sanctification and the Holiness Movement’s holiness, and the horizontal movement shows its gradual growth process in Calvin. In response, the author would like to propose this new model as the future sanctification theory of the Protestant Church, considering that this one could incorporate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권오훈(Kwon O-hoon) 한국선교신학회 2010 선교신학 Vol.25 No.-

        John Wesley. the founder of Method ism. believed th at faith working through love(Galatians 5:6) is th e essence of true religion and a true Christian. Th e author thus studies further each component of John Wes ley's faith working through love based on John Wesley's 53 Standard Sermons . The standard Sermons, along with his Explanatory Notes upon (he New Testament, were set forward by John Wesley for doctrinal standards of Method ist s In 1763. In chapter 2. the author deals with grace and faith as the gift of God . Grace makes good works unnecessary. Faith is nor something a Christian earns through meritorious work; it is the free gift of God(Eph. 2:8-9). In chapter 3. th e author handles good works as outward signs of inward faith and love. Although faith is glorious and honor able. it is st ill only th e handmaid of love. Only love is the sum of perfection in heaven . Good work s are an immediate and necessary fruit of faith. Wesley urges Christians to be zealous of work s of mercy. as well as works of piet y. In chapter 4, th e author discusses Christi an perfect ion as holy love/loving-holiness. Full sanctification and complete salvation are God' s gradual or instantaneous great work in th e soul. Christ ian perfection is holiness and love combined. Faith work ing through love produces obedience and holiness. It is all inward and ourward holiness. It leads us into a new creation, all things in us becoming new. The au thor concludes this article by emphasizing that John Wesley's holistic concept of holy love/loving-holiness can be an antidote for Korean Christianity which is sharply divided by a holiness-orient ed g roup(works of piety , evangelism) and a love-oriented group(works of mercy,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John Wesley, a true Christian can be truly evangelical and truly social concurrently.

      • KCI등재

        웨슬리안 성령운동가로서의 플레쳐에 관한 연구

        하도균(Do Kyun Ha) 한국기독교학회 201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0 No.-

        Even though he failed to become a successor to Wesley because he passed away earlier than Wesley, John Fletcher has been regarded as the first Wesleyan theologian and was designated by Wesley as his successor. The reason why Fletcher has been called the first Wesleyan theologian is that as a contemporary to Wesley, he not only interpreted, defended and advocated for Wesley`s theology against critics in the Reformed traditions, but also had an influence on them. Besides, he was a man who told people of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which was Wesley`s theology. He successfully made them focus on it. However, rather than being treated as the first Wesleyan theologian, Fletcher has been judged as a theologian with his own theological logic. This is because unlike Wesley, as an activist of the Holy Spirit he emphasized Pentecostal tongues and insisted on the concept of Christian perfection by the Holy Spirit. However, we cannot decide rashly whether Fletcher took his own logic diametrically opposed to Wesley`s by emphasizing the Holy Spirit, or whether he expanded his own theology based on Wesley`s theology as a supplement to Wesley`s view. If Fletcher had stood distinctly apart from Wesley, Wesley would not have named Fletcher as his successor and would not have consented to Fletcher`s writings. Accordingly, this article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between Fletcher`s conception of Christian perfection centered on the Holy Spirit and that of Wesley, based on Christian perfection which is a central concept of Wesley`s theology. Also, this article has clarified that although there are a few differences between them, Fletcher`s notions were not totally different concepts from Wesley`s, but points that Wesley had agreed with and approved. Furthermore, this article has illuminated how Wesley`s theology and Pentecostal theology can be connected, and has suggested a research project on how Wesleyan theology can accept Pentecostal tongues, embrace Pentecostal theology, and develop further. Finally, this article has dealt with the disputes and contributions of Fletcher as a true Wesleyan theologian, mentioning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between Fletcher and Wesley.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종말론과 성화(Sanctification)

        이성덕 한국교회사학회 201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2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Wesley’s eschatology and sanctification. It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eschatology is at the heart of Wesley’s doctrine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lthough he did not systematically develop his eschatology, John Wesley dealt with the eschatological themes such as death, resurrection, final judgement, and the kingdom of heaven and hell. His eschatological thought was much influenced through German pietist Johann Abrecht Bengel’s works, “Gnomon Novi Testamenti” and “Erklärte Offenbarung.” However, John Wesley declared that he had no opinion about Bengel’s chronological speculations on the Christ’s millennial kingdom, which would begin in 1836. In fact, John Wesley showed so little sympathy and had so little patience with eschatological fervor, which was generated among his Methodists. He tended to identify it with enthusiasm. The reason was that these eschatological enthusiasts stimulated opposition to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Wesley’s concern for protecting and promulgating this doctrine of perfection may provide a key for understanding his reservations about eschatological fervor. John Wesley insists that it is possible in this life to be brought to entire sanc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which is equivalent to a perfection of love for God and neighbor. This doctrine is distinctive from notions of sanctification in other Christian traditions in that it expects the finite equivalent of eschatological fulfillment (i.e.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s something which can happen in history rather than beyond it. By differing with those who taught that Christian perfection occurs only after death, at the point of death and by holding out for the possibilities of divine grace to perfect us in love in this life, John Wesley was making room for an eschatological hope that could become more than a hope, but rather a gracious reality in the here and now. Moreover, John Wesley, as a sacramentalist, ha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 of the Lord’ Supper, which is able to sustain the believers in growth and grace and to lead them through a lifetime of the pursuit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Hymns on the Lord’s Supper” published under the names of both John and Charles Wesley show Wesley’s ‘already’ and ‘not yet’ eschatological thinking.

      • KCI등재

        Wesleyan Theological Journal에 나타난 웨슬리 성결론 논쟁에 대한 분석

        배명지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60

        This study reviews and analyzes the debates of three theologians on Joh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ies in the Wesleyan Theological Journal during 1999-2001. The central issue is the discussion on whether sanctification, as understood by Wesley, is instantaneous or progressive. The main thrust of the argument may be advanced to how one interprets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Wesley and John Fletcher. The author provides an analytical review on main emphases of three theologians whose different viewpoints sought to explain sanctification to be progressive, instantaneous, or balancing between the two. The author points out the problems on both extremes of either or and maintains that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both aspects of Wesley’s view on sanctification, emphasizing the balance by taking both-and approach. This article hopes to help correct the mis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theory widely-spread even in today’s pastoral situation and seeks to help guide the path of the real holiness life. 이 논문은 1999-2001년 사이에 「웨슬리안 신학저널」(Wesleyan Theological Journal)에서 있었던 웨슬리 성결론에 대한 세 신학자들의 논쟁에서 그 논쟁점들을 정리하고 분석한 것이다. 논쟁의 주된 내용은 웨슬리가 이해한 성결이 과연 순간적인지 아니면 점진적으로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결국 웨슬리와 존 플레처의 관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문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세 신학자들의 주된 강조점들을 분석하고 비평하였는데, 이러한비평의 착안점은 성결의 점진성 또는 순간성을 강조하거나, 아니면 그 둘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일이다. 이러한 서로 대립된 주장들 속에서 연구자는 양극단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결국 웨슬리 성결론에 있어서 두 측면을 모두 수용하면서도 그것의 균형을 강조하는 차원이 중요함을 밝혔다. 그리고 이것은 현대의목회적 상황 속에서도 성결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고치고 또 바른 성결 생활에대한 적절한 안내가 될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권오훈(O Hoon Kwon) 한국기독교학회 201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3 No.-

        John Wesley, the founder of Methodism, believed that faith working through love (Galatians 5:6) is the essence of true religion and a true Christian. The author thus studies further each component of John Wesley`s faith working through love based on John Wesley`s 53 Standard Sermons. The Standard Sermons, along with his Explanatory Notes upon the New Testament, were set forward by John Wesley for doctrinal standards of Methodists in 1763. In chapter 2, the author deals with grace and faith as the gift of God. Grace makes good works unnecessary. Faith is not something a Christian earns through meritorious work; it is the free gift of God (Eph. 2:8-9). In chapter 3, the author handles good works as outward signs of inward faith and love. Although faith is glorious and honorable, it is still only the handmaid of love. Only love is the sum of perfection in heaven. Good works are an immediate and necessary fruit of faith. Wesley urges Christians to be zealous of works of mercy, as well as works of piety. In chapter 4, the author discusses Christian perfection as holy love/loving-holiness. Full sanctification and complete salvation are God`s gradual or instantaneous great work in the soul. Christian perfection is holiness and love combined. Faith working through love produces obedience and holiness. It is all inward and outward holiness. It leads us into a new creation, all things in us becoming new. The author concludes this article by emphasizing that John Wesley`s holistic concept holy love/loving-holiness can be an antidote for Korean Christianity which is sharply divided by a holiness-oriented group (works of piety, evangelism) and a love-oriented group (works of mercy,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John Wesley, a true Christian can be truly evangelical and truly social concurr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