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과 지역사회의 협동거버넌스 구축방안

        허훈(Hoon Hur)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4

        한국전쟁을 겪은 우리나라의 특수성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들 가운데 상당수가 군을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군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는 군부대이전요구, 개발민원의 급증 등으로 인하여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군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관계는 아직 많지 않으며, 또 체계적이거나 제도화된 수준이 되지 못하고 있다. 군과 지역사회의 협력과 갈등관계를 설명하는 이론과 연구는 드문 형편이다. Huntington(1968) 등의 민군관계이론은 정치개입, 군사력에 대한 통제 등에 논의의 초점을 두었을 뿐 군과 지역사회의 관계의 측면을 분석하지 못한 것이다. 이글에서는 군과 지역사회의 협력적 관계에 대한 이론을 조직간 협력이론에서 찾아보고(Yepp, 1974; Hall, et. al., 1977; etc.), 이 이론에서 군과 지역사회의 교류유형을 상호 탐색적 교류, 상호지원, 공동이용, 정책협의, 공동생산으로 추출하고 실태를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 군과 지역사회간에는 관찰된 83건의 교류사례 중에서 초기의 교류유형인 상호탐색형과 상호지원형이 65건(78%)으로 분석되었으며, 쌍방간에 신뢰에 기초한 고도의 교류유형인 정책협의 혹은 공동생산형은 7건(8%)에 불과하였다. 군과 지역사회간에 교류협력이 미흡한 것은 군창군기부터 군이 사용하는 토지획득이 불합리하였고, 군의 권위적인 운용, 군사기지주변의 도시화, 민군교류추진체계의 부족 등이 원인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이 연구는 군과 지역사회간에 갈등을 완화하고, 국가가 군사시설에 대한 정책을 전향적으로 바꾸게 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관점에 의한 협동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Most local governments accept the army as a member of communiti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my and the community is getting worse, because of many problems, such as military base realignment and rapid increase of civil affairs for development. Unfortunately,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the army and the community is unstructured and not institutionalized. These situations cannot be explained by the civiil-military relation theoryl, suggested by Huntington (1968), focused on the intervention of army and politics, the control of military power and so on. In this article, the collaboration theory(Yepp, 1974; Hall, et. al., 1977; etc.) is adopted to expla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army and community. From this theory, the interchange patterns between army and community were extracted, in view of Mutual Searching, Mutual Support, Joint Use, Policy Agreement and Joint Production. As a result, in observed cases of 83, 78% of total cases(65 cases) are focused on Mutual Searching and Mutual Support, which are primary types, and only 8%(7 cases) is included in type of Policy Agreement or Joint Production, which is based on mutual trust. First of all, insufficiency of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army and community is explained by the untoward land acquisition for military use. Authoritative use to army, urbanization around military base and insufficiency of cooperation system between army and community are reasons for insufficient relationship, also. According to these analytic results, it is needed to build 'collaborative governance', which can be reduce troubles between army and community and make the government change the national policy for military facilities, enterprisingly.

      • KCI등재

        군 간부와 지역주민 간 군 가족복지 지원 인식의 상호지향성

        정미경(Mee-Kyung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군 가족복지 지원인식에 대한 군 간부와 지역주민 간 상호지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군 간부 217명, 지역주민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두 집단 간 인식의 객관적 일치도에서, 군 간부들은 지역사회의 지원 필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두 집단 간 인식은 불일치하였다. 둘째, 두 집단 간 인식의 주관적 일치도(1)에서, 군 간부의 실제 지원인식 정도와 군 간부 추정 지역주민의 지원인식 간에는 상호 불일치하였다. 주관적 일치도(2)에서, 지역주민의 실제 지원인식과 지역주민 추정 군 간부의 요구 간에는 상호 불일치하였다. 셋째, 두 집단 간 인식의 정확도(1)에서, 군 간부는 지역사회에 보다 더 높은 지원을 요구하는 반면, 지역주민이 추정하기에 군 간부들은 지역사회 지원 요구가 그다지 높지 않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도(2)에서, 지역주민의 실제 지원인식과 군이 추정한 지역주민의 지원인식 간에는 일치하지 않았다. 넷째, 두 집단 간 인식의 메타동의에서, 군 가족복지지원에 대하여 군 간부가 추정하고 있는 지역주민 인식과 지역주민이 추정하고 있는 군 간부의 인식은 낮은 수준에서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military executive members and local residents mutually perceive the military family support. The 217 individuals from the military executive and the 191 local residents took part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sense of the agreement, the respondents from the military executive had higher perception when it comes to the necessity of the community support, whilst the answer from their counterparts did not. Second of all, in terms of the congruence(1) on this issue, the perception levels that the each group of respondents showed are not corresponded, besides each group had different level of demands on the community resour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gruence(2). Third, regarding the accuracy(1), the military executive members called for higher coverage of community supports whilst the local residents perceived that the executive members might be having less demands. The accuracy(2) too shows the different perception on the resources that the each group has. Last of all, for the meta-agreement, which indicates how each group found its counterpart’s perception, were only corresponded at the lower level.

      • KCI등재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성격

        이병규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60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경기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매우 활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경기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있었던 지역은 연천현, 양주목, 양근군, 지평현, 광주목, 여주목, 이천부, 음죽현, 용인현, 수원부, 죽산부, 안성군, 양성현, 진위현 등 평택현(충청도)을 포함하여 총 15개 군현이다. 대략 경기도의 반에 가까운 군현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강원도나 경상도 그리고 충청도에 비해 규모나 활동 면에서 뒤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지역적으로 보면, 주로 충청도와 인접한 진위현, 양성현, 안성군, 죽산부, 수원부, 용인현, 음죽현 등 남부와 강원도와 인접한 연천현, 양주목, 양근군, 지평현, 광주목, 여주목, 이천부 등 동부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경기지역 동학농민군들이 충청도 북부지역 및 강원도 서부지역과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의미한다.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과정에서 활동은 거의 포착되지 않는다. 이들이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한 것은 2차 봉기 직전인 8월부터이다. 이후 2차 봉기 과정에서 대대적인 활동을 전개하여 결국 많은 동학농민군들이 체포되거나 목숨을 잃었다.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은 대부분 최시형의 동학 교단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그런데 이들은 이미 1890년 초반부터 동학도로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것은 이들의 조직이 단순히 1894년 2차 봉기과정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조직화되어 있었다는 의미이다. 경기도 각 지역의 동학농민군 지도자들은 대부분 대접주, 수접주, 접주, 접사 등 동학 조직의 책임자였다. 경기 지역 동학농민군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이들이 사대부 자제, 마름, 관포군, 농민 등 매우 다양한 출신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동학농민군 진압과 관련하여 동학농민군으로 참여하였다가 피신한 경우,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는 상황이 실제로 확인된다는 점이다. In 1894, it was confirmed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very active in the Gyeonggi area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yeonggi Area, there were about 15 counties and prefectures where Donghak Peasant Army were active including Yeoncheon-hyeon, Yangju-mok, Yanggeun-gun, Jipyeong-hyeon, Gwangju-mok, Yeoju-mok, Icheon-bu, Eumjuk-hyeon, Yongin-hyeon, Suwon-bu, Juksan-bu, Anseong-gun, Yangseong-hyeon, Jinwi-hyeon and Pyeongtaek-hyeon (Chungcheong-do).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have been confirmed nearly half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Gyeonggi-do. This means that compared to Gangwon-do,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they were not behind in terms of scale and activities. Geographically, Donghak Peasant Army was active Jinwi-hyeon, Yangseong-hyeon, Anseong-gun, Juksan-bu, Suwon-bu, Yongin-hyeon, Eumjuk-hyeon and other southern regions adjacent to Chungcheong-do, and Yeoncheon-hyeon, Yangju-mok, Yanggeun-gun, Jipyeong-hyeon, Gwangju-mok, Yeoju-mok, Icheon-bu and other eastern regions adjacent to Gangwon-do. This fact means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in the Gyeonggi area exchanged and influenced the northern regions of Chungcheong-do and the western regions of Gangwon-do.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gi area during the first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were hardly captured. They started their activities in August, just before the second uprising. Afterwards, during the second uprising, large-scale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in the end, many Donghak Peasant soldiers were arrested or lost their lives. Mos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gi area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Donghak organization of Si-hyeong Choe. However, they had already been participated in Donghak Movement since the early 1890s. This means that their organizations were not simply formed during the second uprising in 1894, but had been organized for a long time. Most of the lead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each region of Gyeonggi-do were in charge of Donghak organizations such as Daejeopju, Soujeopju, Jeopju, Jeopsa and other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Donghak Peasant Army's activities in the Gyeonggi area, firs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composed of very diverse backgrounds, such as nobleman’s children, the supervisor of a tenant farm, Gwanpo army, and farmers. At the same time, in relation to the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t was confirmed that their property and possessions were confiscated when they were found to be participating in Donghak Peasant Army even after they escaped.

      • KCI등재

        영호대도소와 전라남도 동부지역의 동학농민혁명 - 김인배의 활동과 순천, 광양, 여수지역 전투를 중심으로 -

        김인덕 숭실사학회 2015 숭실사학 Vol.0 No.34

        본고는 김인배와 그가 주도한 영호대도소, 그리고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군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동부지역인 순천, 여수, 광양지역에서의 전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학농민혁명에 가담한 전라남도 동부지역 동학농민혁명군에게 김인배는 누구일까. 영호대도소의 중심인물로 1894년 6월 순천에 내려 온 이후 그는 조직적인 준비와 안정적 기반을 마련하여 통치권을 장악했다. 그리고 새로운 전투의 준비를 체계적으로 진행했던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였다. 김인배는 새로운 시대를 꿈꾸며 25세의 나이에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했다. 그는 김개남의 명령에 따라 순천을 장악했다. 김인배의 지도자로서의 모습은 유학과 입도 이후의 실천적 투쟁 경험이 그를 새롭게 만들었고, 마지막 순간 그는 자신의 목숨을 대의를 위해 버리는 혁명가가 되었다. 김인배가 주도한 당시 영호대도소는 1894년 6월부터 12월까지 전라남도 동부의 순천, 광양, 여수 등지와 경상도의 하등, 진주 등지를 관장하는 사실상의 통치 권력을 장악했다. 여기에는 동학교도를 비롯해 아전, 농민, 사노비 등 다양한 계층이 참가했다. 이 조직은 조직 내부의 불협화음이 보이지 않은 잘 정돈된 권력이었다. 실제로 대규모의 항일전쟁을 위해 최초로 출진한 동학농민혁명군은 김인배가 주도한 영호대도소군이었다. 동학농민혁명의 과정에서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군은 반외세의 선봉으로 후방 방위 임무를 넘어, 혁명의 열기를 전라남도 동부지역에 전면적으로 확산시켰다. 이들 동학농민혁명군이 패배한 이유는 화력의 차이, 무력의 차이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결정적 패인의 하나는 일본군의 신식무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양반과 향리들의 배반행위도 주요하게 작용했다. 김인배가 주도한 영호대도소의 동학농민혁명군은 근거지 순천을 토대로 하여 지역적 기반을 확충해 갔는데, 순천을 중심으로 체제의 안정적 기반을 갖추고 광양을 넘어 하동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당시 동학농민혁명군에게 순천은 활동의 근거지, 광양은 경상남도 서부지역 진출의 교두보, 그리고 여수는 도서지역 진출을 위한 기반 확충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지역이었다. 전라남도 동부지역 전투의 과정을 보면, 순천은 관아가 있어 자연스럽게 영호대도소가 접수하면서 거점이었다. 그렇지만 순천읍성 내부의 다양한 거주자의 내홍으로 인해 가장 불안정한 공간이 되기도 했다, 광양의 경우는 일찍이 동학이 활성화되었던 기반이 있어 전면적 투쟁의 종착지가 되었다. 반면에 일련의 좌수영 전투는 전라남도 동부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군이 약화되는데 계기로 작용했다. 이곳 여수의 좌수영군은 이후 동학농민혁명군의 진압에 중요한 역할을 일본군과 함께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김인배 주도의 영호대도소와 동학농민혁명군은 전투 과정에서 농민들만이 아니라 지방 양반, 부민, 유림들까지 척왜라는 목표 아래 견인했다. 그리고 이들의 협조를 이끌어 1894년 6월부터 12월까지 치열한 전투를 통해 전라남도 동부지역을 장악하여 해방구로 만들었다. 이후 이들은 경상남도 서부지역 진출의 근거지를 만들고 동학농민혁명을 확대하는데 기여했다. 아울러 김인배 주도의 영호대도소와 동학농민혁명군의 성과는 동학농민혁명군사에서 전라남도 지역의 활동을 제대로 자리매김하는데 초석이 되고 있다. This paper studied on historical meaning of East Jeonra Namdo Donghak Peasant revolution & Youngho Daedoso in Suncheon, Gwangyang, Yeosu area. Who is Kim In-bae for peasant revolutionary army who had been involved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He was the main figure of Youngho Daedoso and was the leader for struggle with organized preparation and stabilization since he had moved to Suncheon. He was the leader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Kim In-bae had been lead Youngho Daedoso’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en he was only 25 years old. He had dominated Suncheon area ordered by Kim Gae-nam. The figure of Kim In-bae as a leader was mostly shown by practical struggle and became the revolutionary who laid down his life for the greater cause. Actually, Youngho Daedoso lead by Kim In-bae had dominated in East area of Jeonra Namdo-Suncheon, Yeosu and Gyeongsang-do’s Hadong, Jinju from June to December in 1894. Involving not only follower of Donghak but petty officials, peasants, private slaves were participated. This was the well-organized group without making dissonance. In a reality, the first Donghak Peasant Army for large scale of anti-Japanese war was Youngho Daedoso army lead by Kim In-bae. In a proces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Youngho Daedoso had done not only rear defense but became spearhead as well. These have concluded spread of atmosphere of revolution in entire Jeonra Namdo area. The reason why Donghak peasant army lost was that difference of firepower and force. One of the decisive factors of lost was due to new type-weapon from Japanese military. Also, noblemen from Chosun era and local officials’ treachery had effected as well. Youngho Daedoso lead by Kim In-bae had been based on Suncheon and developed themselves in region. They had also advanced to Gwangyang even Hadong area; Suncheon was the place for base, Gwangyang was bridgehead for entering west in Gyeongsang Namdo, and Yeosu was essential place for island area. When examining Jeonra Namdo east battle, Suncheon could have been the foothold in terms of place of government office. However, Suncheon also had become the most unstable place because of internal issues who had been lived in Suncheon Town hall. On the other hand, Gwangyang had been have a broaden foothold for Donghak so that had become destination overall fights but Jwasuyeong(Yeosu) battle had rather weaken Donghak peasant revolution. Eventually, Jwasuyeong army had subdued Donghak peasant army with Japanese army. As mentioned above, Youngho Daedoso and Donghak peasant army have been guided not only peasant but also Confucians, Vagabonds with the goal of Anti-Japanese. Throughout many of cooperation, it is true that they had made Jeonra Namdo as haven by many of fierce battles from June to December in 1894. Since then, these group had established a base in Gyeongsang Namdo western area and contributed to Donghak peasant revolution. Finally, Youngho Daedoso and Donghak peasant army lead by Kim In-bae clearly had became cornerstone of histo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my in Jeonra Namdo.

      • KCI등재

        靑銅器時代 吉林省 一帶의 地域群 分類와 西團山文化

        吳江原(Oh, KangWon)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0 No.-

        吉林省域의 지역군으로는 嫩江 유역의 길림 서부 지역군(눈강 유역군), 제2송화강 중류역의 길림 중부 지역군, 東遼河 중상류역의 길림 남부 지역군, 海蘭江-嘎呀河-琿春河 유역의 길림 동부 지역군, 渾江 유역의 길림 동남부 지역군(요동 동부 지역군)이 추려지는데, 이외 토기 등에서 앞의 지역군과 변별되지만 아직 지역군으로서의 실체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長嶺縣 일대의 長嶺圈, 東遼河 중하류역의 四半-公主嶺圈, 敦化市 일대의 敦化圈, 輝發河 상류역의 梅河口圈, 二道江과 頭道江 유역의 撫松-靖宇圈 등이 찾아진다. 吉林省域의 여러 지역군과 유적들 가운데 어떤 것들이 서단산문화에 귀속되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표지로는 西團山型壺, 老城型壺, 大伙房型罐과 石棺墓의 조합 관계를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조합 관계가 서단산문화에서만 고유하기 때문이다. 이외 인공 대지 입지, 석축 벽체 집자리, 西團山型鼎, 西團山型鬲 등은 鼎吉林省域에서의 조사 정황이 일률적이지 않고 대비 분석이 가능한 完形의 발견 례가 적다는 점에서 아직은 기준으로 삼기 어렵다. 길림성역에서 위와 같은 기준이 충족되는 공간역은 서쪽으로 霧開河 중상류역(九臺)으로부터 伊通河 중류역(伊通)에 이르는 선으로부터 동쪽으로 蛟河 유역(蛟河)-제2송화강과 輝發河 합수처의 북쪽 지대(樺甸)-飮馬河 최상류역(磐石)을 잇는 선까지, 남쪽으로 伊通河 상류역(伊通)-飮馬河 최상류역(磐石)을 잇는 선으로부터 북쪽으로 霧開河 중상류역-飮馬河 중류역(九臺)-細鱗河·霍倫河 상류역(舒蘭)을 잇는 선까지이다. 따라서 이 범위를 서단산문화의 공간역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이외 범위에서 발견되는 일부 相似한 유물 유적은 지역 또한 문화 간 상호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atterns of cultures around Jilin Province include west Jilin Pattern (Nun river Pattern) of Nun river valley, central Jilin Pattern of No.2 Songhua river middle reaches area, south Jilin Pattern of Dongliao river middle & upper stream area, east Jilin Pattern of Hailan river-Alya river-Hunchun river valley, southeast Jilin Pattern(Liaodong east Pattern) of Hun river valley. Besides, Changling area around Changling xian, Siping-Gongzhuling area of Dongliao river middle & down stream area valley, Dunhua area around Dunhua city, Meigekou area of Huifa river upper stram, Wusong-Jingyu area of Erdao river and Toudao river are the areas where their earthenware and others are distinctive from those above cultures but have not tangible substances that constitute a pattern. The absolute indicators that determine whether many areas and relics belong to Xituanshan Culture is the compounded relations between Xituanshan style bottle, Laocheng style bottle, Dahuofang style jar and stone coffin tombs. It is because that those relations are unique to Xituanshan Culture. Relics other than above four indicators, or example, artificial eminence place, house site with stone wall, Xituanshan style three-legged kettle and Xituanshan style three-legged kettle, do not show consistent circumstances and little were discovered with perfect conditions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range of territory within Jilin Province that meets above references covers to Wukai river middle & upper stream area(Jiutai)~Yitong river middle reaches area(Yitong) line in the west, Jiaohe valley(Jiaohe)~No.2 Songhua river~the north area of Huifa river's junction point (Huadian)~Yinma river top upper stream (Panshi) line in the east, Yitong river upper stream (Yitong)~Yinma river top upper stream (Panshi) line in the south and Wukai river middle & upper stream area~ Yinma river middle reaches area (Jiutai)~Xilin river·Huolun river upper stream (Shulan) line in the north. That range can be the scope of Xituanshan Cultur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ose relics and remains that were found outside the scope but have similar characters with Xituanshan Culture are made by the interactions between areas and cultures.

      • KCI등재

        영동 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채길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Youngdong area and presenting ways to promote cultural contents. Youngdong, one of area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has a regional characteristic from the three areas of Jeolla-do,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province which was suitable for the performance of propagation of religion oppressed by the governmen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Donghak appears to have been introduced to the Hwangan area since the early days of Changdo. However, full-scale activities began in 1887 with the introduction of Jae-byeok, Jo. The bridge over the Yeongdong and boundary of Hwanggan was extended to the Cheongsan, Okcheon, Boeun, Geumsan, Jinsan, and Gosan, which making it a powerful bridge. Based on this, C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Gongju Assembly, Samrye Assembly (1892), the Gwanghwamun Joint Appeal and the Boeun Assembly (1893). On March 8, 1894, the prelude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held in Jinsan and Geumsan where King Jae-byeok, Jo was captured. In September, about 10,000 East-Eastern farmers in the Yeongdong area came together to seize and arm by themselves. Byung-hee, Son separately led 10,000 Donghak Peasant in Gyeonggi & Chungcheong area and advanced to Nonsan, joining Bong-joon, Jeon and Donghak Peasants in Jeollanamdo Province to form a coalition and launch the attack to Gongju Castle. During this time, the unit of Donghak Peasant of Hwanggan Okcheon, and Youngdong defeated local soldiers at the Hoedeok area and advanced to Daegyo located northeast of Gongju. Donghak Peasants, who lost the fight against Japan, joined the main team led by Byunghee Son. When Donghak Farmers entered into Gongju in the Youngdong area, Gyeom-jae, Lee a former prison officer, fought with Donghak Peasants in Seokseong-ri, Jung-gu on November 5, killing 40 people. Donghak Peasants’ Army in Chungcheong area retreated from Woogeumchi, Gongju to Imshil’s Saeok, which was defeated by Japanese new weapons. In this case, Donghak Peasants’ Army meets Si-hyung, Choi a second-generation teacher, moves north along the Sobaek Mountains, takes 18 major and small battles, and takes over the Youngdong Hwanggan government. They have a big fight at the Yongsan Market Place, and Bob enters back into the Booksil, Boeun and loses huge one. As the core forces of Donghak Peasants’ Army declined, the Japanese army of local conservatives and local militias staged a crackdown on Donghak Peasants, and many of them were arrested and executed. Other than Jae-byeok, Jo as the leader of Donghak in Youngdong area, there are Pan-seok, Lee ·Chul-joong, Kim·Tae-pyeong, Kim·Go-mi, Kim·Aun-soon, Bae·Kwang-bong, Park·Il-hoe, Song·Il-chang, Song·and Hak-gil, Bae. The cultural content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Youngdong area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comprehensive measures such as storytelling, re-adjustment of historical sites, promotion of local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research courses. 이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영동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과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충청북도 영동은 전라 경상 충청 3도를 접한 지역적인 특성으로, 조선 말기에 정부로부터 탄압을 받는 종교 동학이 포덕 활동하기에 적합한 지역이었다. 황간 지역에는 동학이 창도 초기부터 유입된 것으로 보이지만 본격적인 활동은 1887년 조재벽의 입도로 비롯되었다. 조재벽의 포교 범위는 영동 황간경계를 넘어 청산 옥천 보은 금산 진산 고산 지역으로 넓혀서 막강한 교세를떨쳤다. 조재벽은 이런 교세를 기반으로 교조신원운동인 공주취회 삼례취회(1892년), 광화문복합상소와 보은취회(1893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894년 3월 8일, 조재벽 접주는 금산에서 기포하여 금산 진산에서 기포하여 전투를 치러 동학농민혁명의 서막이 올랐다. 9월 재기포 시기에는 영동 황간 지역 1만여 명의 동학농민군이 일제히 일어나 영동 황간 관아를 점령하여 무장한 뒤 진을 쳤다. 이와는 별도로 손병희가 1만 명의 경기 충청 지역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논산으로 진출하여 전라 지역 전봉준 동학농민군과 합류하여 연합군을 형성하여 공주성 공격에 나섰다. 한편, 이와 같은 시기에 영동 황간 옥천의 동학농민군은 회덕 지명장터에서지방군을 물리치고 나서 공주 동북쪽 대교로 진출했다. 대교전투에서 패한동학농민군은 손병희가 이끄는 본진에 합류했다. 영동지역 동학농민군이 공주로 들어간 시기에 교도대 대관이었던 이겸재가 11월 5일 청산 석성리에서 동학농민군과 싸움을 벌여 40명을 포살했고, 11 월 8일에는 양산장에서도 동학농민군과 싸움을 벌여 50 명을 포살했다. 충청지역 동학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 신무기에 눌려 크게 패해 임실 새목치까지 후퇴했다. 여기서 동학농민군은 2세 교주 최시형을 만나 소백산맥을 따라 북상하면서 18차례의 크고 작은 전투를 치르고, 영동 황간 관아를 다시 점령한다. 이들은 용산장터에서 큰 싸움을 치른 뒤, 보은 북실로 들어가 크게패한다. 동학농민군 중심 세력이 쇠퇴하자 지역 보수층을 중심으로구성된 민보군, 지방군 관군 일본군이 동학농민군 토벌에 나섰고, 영동 황간지역의 많은 동학농민군이 체포되어 처형됐다. 영동지역 주요 동학지도자로 조재벽 외에 이판석, 김철중, 김태평, 김고미, 배순안, 이관봉, 박추호, 송일회, 손해창, 백학길, 강팔석 등 많은 지도자들이활동했다. 영동지역 동학농민혁명사의 효과적인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은 연구에 이어 역사적 사실을 근간으로 한 스토리텔링화, 사적지 정비, 향토사 홍보 및 교육 활동, 답사코스 개발 등 종합적인 대책을 통해 접근해야 한다.

      • KCI등재

        길림 일대의 지역군 분류와 서단산문화

        오강원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0 No.-

        The Patterns of cultures around Jilin Province include west Jilin Pattern (Nun river Pattern) of Nun river valley, central Jilin Pattern of No. 2 Songhua river middle reaches area, south Jilin Pattern of Dongliao river middle & upper stream area, east Jilin Pattern of Hailan river-Alya river-Hunchun river valley, southeast Jilin Pattern(Liaodong east Pattern) of Hun river valley. Besides, Changling area around Changling xian, Siping-Gongzhuling area of Dongliao river middle & down stream area valley, Dunhua area around Dunhua city, Meihekou area of Huifa river upper stream, Wusong-Jingyu area of Erdao river and Toudao river are the areas where their earthenware and others are distinctive from those above cultures but have not tangible substances that constitute a pattern. The absolute indicators that determine whether many areas and relics belong to Xituanshan Culture is the compounded relations between Xituanshan style bottle, Laocheng style bottle, Dahuofang style jar and stone coffin tombs. It is because that those relations are unique to Xituanshan Culture. Relics other than above four indicators, for example, artificial eminence place, house site with stone wall, Xituanshan style three-legged kettle and Xituanshan style three-legged kettle, do not show consistent circumstances and little were discovered with perfect conditions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range of territory within Jilin Province that meets above references covers to Wukai river middle & upper stream area(Jiutai)~Yitong river middle reaches area(Yitong) line in the west, Jiaohe valley (Jiaohe)~No. 2 Songhua river~the north area of Huifa river's junction point (Huadian)~Yinma river top upper stream (Panshi) line in the east, Yitong river upper stream (Yitong)~Yinma river top upper stream (Panshi) line in the south and Wukai river middle & upper stream area~Yinma river middle reaches area (Jiutai)~Xilin river․Huolun river upper stream (Shulan) line in the north. That range can be the scope of Xituanshan Cultur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ose relics and remains that were found outside the scope but have similar characters with Xituanshan Culture are made by the interactions between areas and cultures. 吉林省域의 지역군으로는 嫩江 유역의 길림 서부 지역군(눈강 유역군), 제2송화강 중류역의 길림 중부 지역군, 東遼河 중상류역의 길림 남부 지역군, 海蘭江-嘎呀河-琿春河 유역의 길림 동부 지역군, 渾江 유역의 길림 동남부 지역군(요동 동부 지역군)이 추려지는데, 이외 토기 등에서 앞의 지역군과 변별되지만 아직 지역군으로서의 실체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長嶺縣 일대의 長嶺圈, 東遼河 중하류역의 四平-公主嶺圈, 敦化市 일대의 敦化圈, 輝發河 상류역의 梅河口圈, 二道江과 頭道江 유역의 撫松-靖宇圈 등이 찾아진다. 吉林省域의 여러 지역군과 유적들 가운데 어떤 것들이 서단산문화에 귀속되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표지로는 西團山型壺, 老城型壺, 大伙房型罐과 石棺墓의 조합 관계를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조합 관계가 서단산문화에서만 고유하기 때문이다. 이외 인공 대지 입지, 석축 벽체 집자리, 西團山型鼎, 西團山型鬲 등은 吉林省域에서의 조사 정황이 일률적이지 않고 대비 분석이 가능한 完形의 발견 례가 적다는 점에서 아직은 기준으로 삼기 어렵다. 길림성역에서 위와 같은 기준이 충족되는 공간역은 서쪽으로 霧開河 중상류역(九臺)으로부터 伊通河 중류역(伊通)에 이르는 선으로부터 동쪽으로 蛟河 유역(蛟河)-제2송화강과 輝發河 합수처의 북쪽 지대(樺甸)-飮馬河 최상류역(磐石)을 잇는 선까지, 남쪽으로 伊通河 상류역(伊通)-飮馬河 최상류역(磐石)을 잇는 선으로부터 북쪽으로 霧開河 중상류역-飮馬河 중류역(九臺)-細鱗河․霍倫河 상류역(舒蘭)을 잇는 선까지이다. 따라서 이 범위를 서단산문화의 공간역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이외 범위에서 발견되는 일부 相似한 유물 유적은 지역 또는 문화 간 상호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군 간부와 지역사회 주민 간 조직-공중 관계성과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 비교 분석

        정미경 ( Mee Kyung Je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군 간부와 지역사회 주민 간 조직-공중 관계성과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은 군 간부 217명, 지역주민 191명이며, 2014년 2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약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 대한 군 조직-공중 관계성은 군 간부의 인식(M=5.39)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M=4.99)보다 더 긍정적이지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6.93, p<.001). 또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상호인식의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가족복지에 대한 지역사회지원 인식에 있어서 군 간부의 인식(M=5.38)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M=4.7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t=6.93, p<.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공중 관계성의 변화가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회귀계수 β=.82(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군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은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에 유의미한 예측력이 있으며, 지역사회 주민의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이 높을수록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officials and the locals, and the perception on the support military family welfare. In order to analyse their subject point of view, 217 career soldiers and the 191 local residents surveyed during 3 weeks from 10th February to 28th February, 2014. The results getting from this research were as to follows; First of all, the perception on the military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towards local community is more positive in the military officials(M=5.39) than the locals(M=4.99), but different from the two groups(t=6.93, p<.001). Moreover, there exis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in every sub-factors and it means the mutual perception consistency is low. Second, the perception on the support from the locals towards military family welfare of military(M=5.38) is higher(t=6.93, p<.001) than the perception of the locals (M=4.76)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a regression coefficient which indicates the impact on the perception on support military family welfare through the change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β=.82(p<.001)). As a result, the perception on the military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of the locals has significant prediction power to the perception on the support military family welfare. And when the perception on the military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of the localsis higher, the perception on the support military family welfare has been changed positively.

      • KCI등재후보

        한말 경남지역 의병운동과 일본군의 의병 학살

        홍순권 육군군사연구소 2011 군사연구 Vol.- No.131

        The struggle of the Righteous Armies, which was resumed with the break out of Russia-Japan War of 1904, was at its peak in 1907 when the army of Korean Empire was dispersed. The aftermath of this patriotic militia reached Kyungsang Namdo province which was the most distant region from Seoul. This writing is aimed to comprehensively reconstruct the facts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Kyung-Nam province after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1907 and the oppression of Japanese troops on the militia. These works were made possible by the recently discovered 『The Camp Journal of the Fourteenth Infantry』. This data is a journal written by the Fourteenth Infantry of japanese army in the form of a report. It contains the facts concerning the suppression of militia in Young-Nam and Ho-Nam province from the station of Japanese army in July, 1907 to their return in June, 1909.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journal and its major points are as follows. Right after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August, 1907, the Righteous Army movement was localized in adjacencies of Deok-Yoo mountain and Ji-Ri mountain. However, in January, 1909, the movement began to spread to wider regions. Henceforth, in the Kyung-Nam province, numerous militia forces were brutally massacred by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series of combats that continued for a year and a half. The militia movement after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Kyung-Nam province cannot called the most fierce compared to Jeon-Ra province or other southern regions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fact, militia movement in Kyong-Nam province was initialized later than other regions and its intensity was also relatively low. There are three major reasons why the militia movement in Kyung-Nam province have such characteristics. First, the Japanese troops were stationed at open port of Busan and naval port of Jin-Hae at convenience of supervision on militia movement. Second, nationalist scholars who were the driving force of such militia movement had weak influence in Kyung-Nam province. Third, militia movement in Kyung-Nam province was largely influenced by militia forces of other regions. It is true that militia resistance in Kyung-Nam province was weaker than other regions but, as for western and eastern regions of Kyung-Nam province, the resistance was as serious as Ho-Nam province or Kyung-Book province. This localized severity of resistance in Kyung-Nam province is estimated to result from several reasons. First, after the attempt of alliance of thirteen provinces to regain Seoul failed in January, 1908, the militia forces advanced southward. Second, militia movement in Ho-Nam province near Deok-Yoo and Ji-Ri mountain escalated. Finally, due to suppression of Japanese forces, militia force of Kyung-Book receded southward. All-out suppression on Kyung-Nam militia forces of Japanese Fourteenth Infantry was carried out when militia movement of western Kyung-Nam province reached its peak. The Fourteenth Infantry landed at Busan right before the dispersion of Korean army in 1907 and in that same year they established regiment headquarters in Daegu as well as military operation to devastate militia forces in Young-Nam and Ho-Nam provinces. Japanese forces reinforced pressure on militia forces in the area by dividing defense districts under the Fourteenth Infantry into three districts: Daegu defense district, Gwangju defense district, and Kyungju defense district. The Fourteenth Infantry, especially focused on suppressing militia forces near mt. Ji-Ri, changed Gwangju defense district into Jinju defense district and transferred the Second battalion to Jinju on April of the same year in order to begin a full-fledge suppressing attack on militia forces in western Kyung-Nam province. After suppression on militia movement under the three defense districts system, which continued until November, the militia movement in western Kyung-Nam province was significantly weakened... 1904년 러일전쟁을 계기로 다시 일어난 의병들의 투쟁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을 계기로 절정에 달해, 그 여파는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상남도 지역에까지 이르렀다. 이 글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 이후 경남지역에서 일어난 의병운동의 실상과 이에 대한 일본군의 탄압 과정을 종합적 으로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은 최근 발굴된 보병제14연대 진중일지 때문에 가능하게 되었다. 이 자료는 일본육군 보병제14연대가 기록한 일종의 전투보고서 형태의 일지로 1907년 7월 한반도 주둔 이후 1909년 6월 본국 귀환까지 영남과 호남지역의 ‘의병토벌’에 관한 사실들을 기록한 것으로 본 연구는 이 자료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의 강제해산 직후만 해도 경남지역 의병들의 활동은 덕유산과 지리산에 인접한 일부 지역에 국한되었을 뿐, 실제 의병운동이 좀 더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1월에 이르러서였다. 이후 경남지역에서는 서부경남 일원을 중심으로 약 1년 반 동안 의병과 일본군 사이에 수많은 접전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많은 의병들이 일본군에 의해 무참히 학살되었다. 한반도 남부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특별히 치열했다고는 할 수 없다. 오히려 전체적으로는 경남지역 의병운동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늦게 본격화되었으며, 저항 강도도 상대적으로 약했다. 경남지역 의병운동이 이러한 특성을 지니게 된 원인으로는 첫째, 개항장인 부산과 군항인 진해 등에 일찍부터 일본군이 주둔하여 의병세력의 동태에 대한 감시가 용이했다는 점, 둘째 척사파 유생층의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해 의병운동을 촉발시키는 내부적 기제가 미약했다는 점, 셋째, 따라서 외부지역 의병세력의 영향이 컸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비록 전체적으로 경남지역 의병세력의 저항이 타 지역에 비해서 약했다고는 하지만, 경남 서부지역과 동부지역에서만큼은 호남지역이나 경북지역 못지않게 의병투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경상남도 내 의병운동의 지역적 편중은 1908년 1월 13도연합의군의 서울 진공 실패 이후 의병세력의 남하, 덕유산과 지리산 인근 호남지역 의병운동의 발전, 일본군의 ‘토벌’ 공세로 인한 경북 의병세력의 남진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군 보병제14연대가 경남지역 의병세력에 대한 본격적인 ‘토벌’ 공세에 나선 것도 경남 서부지역 의병운동의 고조 시기와 거의 때를 같이 한다. 1907년 군대해산 직전 부산에 상륙한 이후 보병제14연대는 동년 9월 이후 대구에 연대본부를 설치하고 영호남지역의 의병세력을 초토화하기 위한 군사작전을 전개하였다. 일본군은 1908년 2월부터 보병제14연대 관할 내 수비지를 3개의 수비구(대구수비구,광주수비구, 경주수비구)로 나누어 영호남지역 의병세력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 나갔다. 특히 지리산 인근 의병세력의 진압에 심혈을 기울이던 동 연대는 동년 4월에 이르러 종전의 광주수비구를 진주수비구로 바꾸고 제2대대본부를 진주로 옮겨 경남 서부지역의 의병세력에 대한 본격적인 ‘토벌’ 행동에 돌입하였다. 대구-진주-경주수비구 체제하에서 동년 11월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된 일본군의 토벌작전 결과 경남 서부지역에서 의병활동은 현저히 약화되어 사실상 의병세력이 거의 자취를 감출 지경에 ...

      • KCI등재

        樂浪郡의 推移와 嶺西 地域 樂浪

        李道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B.C. 108년에 설치된 한사군 가운데 낙랑군의 소재지를 313년까지 지금의 평양 지역으로 국한시킨 견 해가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낙랑의 소재지를 충족시켜주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낙랑 관련 자료를 재검토해 보았다. 평양 지역의 낙랑군은 설치된 지 1세기가 지나서부터는 쇠약의 기미를 보였다. 이후 낙랑군의 존치와 폐치는 거듭되었다. 그리고 韓濊의 강성으로 2세기 후반에는 낙랑군의 통제력이 급속히 이완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전에 이미 고구려의 南進으로 인해 평양 지역의 낙랑군은 압록강을 넘어서 안평 以北으로 이동하였다. 이렇게 성립한 요동의 낙랑군이 대표성과 상징성을 함께 지니면서 대방군과 더불 어 存置되었다. 역대 중국 왕조에서 삼국 왕들에게 수여한 爵號에 '樂浪'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럴 정도로 낙랑이 지닌 지배권적 명분은 지대했던 것이다. 그랬기에 요동에 存置된 낙랑은 이후 폐 지와 부활을 거듭하면서 6세기대까지 존속할 수 있었다. 그런데 평양 지역의 낙랑군 주민 일부는 嶺西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삼국사기』에 보이는 백제의 동쪽에 소재하면서 신라까지 침공한 낙랑의 태 동이었다. 낙랑군의 分解를 읽을 수 있다. 영서 낙랑은 지금의 강원도 春川에 소재하였다. 이것을 뒷받 침할 수 있는 문헌적 근거와 물증도 제기된다. 4세기대에 접어들어 요동의 樂浪郡과 帶方郡은 고구려의 집요한 공세를 견디지 못하고 前燕으로 歸附 하고 말았다. 嶺西 樂浪 역시 고구려의 압박으로 인해 해체의 길을 걸었다. 그런데 嶺西 樂浪은 진번이 나 임둔, 그리고 제1현도군과 마찬 가지로 뚜렷한 고고학적 물증을 남겨놓지 못하였다. 앞으로 구명해 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It was widely-accepted theory that the location of Nanglang commandery, one of Hansagun that were established in 108 B.C., was confined to Pyongyang until 313. However, it couldn’t meet the location of Nanglang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I reexamined the material about Nanglang with a critical mind. Nanglang Commandery in Pyongyang region showed signs of decay after a century of establishing. Since then, there were constant maintenace and demolition. As Hanyea(韓濊) becoming powerful, control of Nanglang relaxed rapidly in the late 2ndcentury. However prior to that, due to southward advance of Goguryeo(高句麗), they moved to the north of Xi’anping passing over the Yalu. Nanglang Commandery of Liaodong area was established with representability and symbolization, along with Daifang in this way. A line of kings in China, ‘Nanglang’often appeared in the names of government posts which were given to the kings of the Three States. To that extent, control cause of Nanglang was profound. That’s why the Commandery of Laiodong exists until 6thcentury repeating abolition and reinstate. But some residents in Nanglang Commandery of Pyongyang moved to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It was the beginning of Nanglang which was located in the east area of Baekje and once attacked Silla,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Breakup of Nanglang Commandery can be read. The west side area of Nanglang is now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Supporting evidences are also suggested. As 4thcentury is ushered in, Nanglang of Liaodong and Daifang obeyed Yan, because they were unabled to stand Goguryeo’s persistent attack. The west side area of Nanglang came to breakup due to the pressure of Goguryeo, too. However, they are lack of archaeological proof, like the cases of Jinbeon, Limdun, and First Hyeondo Commandery. These are remained problems to be s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