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 요인

        임안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본 연구는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8차 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상자는 919명이었다.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거주지역,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가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제활동 참여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민연금 수급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신체적 건강상태가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이 미쳤다.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 간의 양방향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의 검증

        김경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자료의 분석을 통해 노년기 우울과 생활만족도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검증함으로써 두 변수 간의 관계에 관한 이해도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제4차, 제5차, 제6차 자료를 사용하여 노년기 우울과 생활만족도를 잠재변수로 설정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의하면, 노년기 우울과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추세 및 상호 인과성의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기간 동안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우울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기간 동안 이전 시점의 생활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생활만족도를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기간 동안 이전 시점의 우울이 이후 시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 반대의 인과관계도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노년기 우울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through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identified and teste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4th, 5th and 6th wave data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e primar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had a positive autoregressive effect. Second,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utoregressive effect. Third, depression was not a causal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a causal predictor of depression.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a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은퇴 후 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자녀 성별을 중심으로

        성효용 ( Hyo-yong Sung ),서미숙 ( Misuk Se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1 여성경제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자녀 성별을 중심으로 은퇴 후 부모의 행복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에는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5차~7차 자료를 대상으로 연립이변량 순서형 프로빗 모형(simultaneous bivariate ordered pr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생활전반에 대한 삶의 만족도의 경우 아내는 자녀 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나 남편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자녀 성별의 경우, 아내는 딸에 의해 영향을 받았지만, 남편은 아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총소득과 총자산은 남편과 아내의 생활 전반에 대한 삶의 만족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지만, 일정한 가구총소득 이상에서는 소득과 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아 이스털린의 역설을 지지하였다. 또한 자녀관계에 대한 삶의 만족도 모형의 경우 남편과 아내 모두 자녀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딸을 가진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은퇴 후 부모의 행복에 딸의 존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부모의 노후생활 만족도에 경제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자녀와의 소통 및 공감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본적인 생활을 충족할 수 있는 소득수준 이후부터는 경제적인 문제보다는 자녀와의 관계가 은퇴 후 노후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parental happiness after retirement, focusing on child gender. The 5<sup>th</sup> through 7<sup>th</sup>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at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was analyzed using a simultaneous bivariate ordered probit model.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case of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the wife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number of children, but the husband was not affected. In the case of child gender, the wife’s satisfaction was increased by the daughter and the husband’s satisfaction was increased by the son. Besides, gross household income and total assets of both husband and wif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at the 1% level for life satisfaction, but not for the square term of gross household income. Therefore, it supports the Easterlin Paradox that happiness increases as income increases, but not after a certain level of income has been reached. In addition, for the life satisfaction model for child relationships, both husband and wif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in the number of children, while parents with daughters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 Therefore, this paper finds that the presence of a daughter has a positive impact on parental happiness after retirement. We can interpret that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children increase satisfaction in life, although the economic aspect is important for parents’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can be affected by relationships with children rather than economic status beyond a certain level.

      • KCI등재

        중 · 고령자들의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인지여부와 노후준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권혁창 ( Kwon Hyeok Chang ),신혜리 ( Shin Hye Ri ),김진수 ( Kim Jin 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인지여부와 연관되어 있는 요인들을 검증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인지여부와 65세 미만의 중·고령자들의 신체적 노후준비와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도입 초기 단계의 제도에 대한 국민 인지와 이에 대한 정책적 투명성 그리고 올바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를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부가조사(2010)자료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과 일반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을 할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서 전통적인 사회복지제도의 정책대상자인 저학력층, 비경제활동인구, 저소득계층인 취약계층이 오히려 더 인지도가 낮았다. 둘째, 일반 회귀분석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인지여부와 신체적 노후준비 간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인지하는 사람들이 노후준비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서 65세 미만의 중 · 고령자들 간에 정보의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노후준비가 절실한 취약계층이 오히려 정책지식의 부족으로 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awareness of middle-aged Koreans under 65 about Long-term Care Insur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charting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is study utilizes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economic activity, and incom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wareness about Long-term Care Insurance. Second, awareness about Long-term Care Insurance is associated with physical preparation for people under 65. This study has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n information equality. Although policy knowledge is associated with physical preparedness for old-age, the primary beneficiaries for social welfare who are economically inactive with a lower education and lower income, are less likely to know the existence of Long-term Care Insurance.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policy knowledge for policy target population.

      • KCI등재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윤진(Yoonjin Lee),신혜리(Hyeri Shin),이민아(Minah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and the influence on self-perceiv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with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using a sample of 3,304 retirees over the age 50 from the 2011 data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using Stata 11.0 and Sas 9.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nd influences among variables. Our analysis reveals that firstly, self-perceived health of the retirees is correlated positively with life satisfaction and secondly, economic preparation moderates in between the relation of self-perceiv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retirees. Supportive policies are required as the result implies the importance of health perception, health care, and economic preparation to supplement reduced income in order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in aging.

      • KCI등재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신혜리 ( Hye Ri Shin ),남승희 ( Seung Hee Nam ),이다미 ( Dah Mi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社會科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를 살펴보고,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노인가구의 이전소득 향상을 위한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 가구 2,120가구를 분석한 결과,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모두 빈곤감소효과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공적이전소득이 사적이전소득에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이전소득은 대체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은 대체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사적이전소득을 감안하여 공적이전소득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며 둘째, 저학력, 비경제활동, 저소득층일수록 사적이전소득의 금액이 높다는 분석결과는 취약계층일수록 사적이전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사회보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public and private transfers of elderly household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fers and private transfers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post-transfer income of elderly households. Using fourth panel data of the year 2011 from KReIS(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2,120 elderly households were analyzed to find that both public transfers and private transfers had effects on reducing poverty. Public transfers had the crowding-out effect on private transfers, thus suggesting that public transfers supplant priva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because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public-income transfers supplant private transfers, it is predicted that the expansion of public transfers is necessary as private transfers are decreasing. Second, the results show higher private transfer amounts for the less educated, economically inactive, and lower-income population, which implies higher dependency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on private transfers. Therefore, social security for this group of people needs to be strengthened.

      • KCI등재

        질병 또는 장애가 중고령자의 경제상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강동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4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effects of a disease/disability on the middle-aged & advanced-aged persons' economic status. Using the 1~3 waves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and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HGLM) were employed for analyzing longitudinal economic effects of a disease/disability. The results indicates that a disease/disabilit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middle-aged & advanced-aged persons' economic status. This results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first assumption. However, another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the average number of people per household, the state of employment and working position influenced economic status of the middle-aged & advanced-aged persons significantly. Also, a disease/disabilit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verty probability of the middle-aged & advanced-aged persons. 본 연구의 목적은 질병이나 장애가 중고령자의 경제적 지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의 제1차년도(2005년)부터 제3차년도(2009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선형모형(HLM) 및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HGLM)을 이용해 종단적(longitudinal)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질병이나 장애는 노동공급 중단이나 질병비용을 발생시켜 당사자의 경제적 지위를 악화시킬 것이라는 처음의 예상과 달리 실제로는 중고령자의 경제적 지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는데, 이는 사전이전소득, 연령 및 단기(短期) 분석의 효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변수의 경우는 중고령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미취업상태이며 임시직이나 일용직일수록 중고령자의 경제적 지위는 더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고령자가 빈곤에 처할 확률은 여성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미취업일수록, 임시직이나 일용직에 종사할수록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안정된 경제생활을 위해서는 기초노령연금이나 국민연금 노령연금과 같은 공적 연금급여액의 현실화와 공적 연금수급자 특성에 따른 다양한 급여제도의 신설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종단적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이은진(Lee, Eunjin),남석인(Nam, Seok In)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 자료를 바탕으로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부부 쌍(dyadic) 자료를 활용하여 남편과 아내의 상호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로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5차(2013년)-7차(2017년) 본조사에 참여한성인 자녀를 둔 노인 부부 1,420쌍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교차지연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Cross-lagg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적용하여 남편과 아내의결혼만족과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고,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 아내의 결혼만족의 종단적 자기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자녀관계만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 아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는 부부의 성인자녀관계만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반면, 반대로 결혼만족이 성인자녀관계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 상대방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성인자녀관계만족도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방효과는 남편, 아내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자기효과는 남편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건강한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 of older adult couples based on longitudinal data, and to ver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by utilizing couple s dyadic data. As the analysis data, responses of 1,420 older adult couples with adul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from 2013(Wave 5) to 2017 (Wave 7) were used. This study applied the Cross-lagg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o test actor and partner effect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and verify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in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ngitudinal actor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adult chil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Thir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older couple s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Meanwhile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Forth, the partner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adult child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but the actor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husband.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sitive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 in old age were suggested.

      • KCI등재

        가족돌봄 제공자의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안나,박영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1

        본 연구는 손자녀를 대상으로 가족돌봄을 제공하는 조부모의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 8차 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본의 영향력이20.1%로 나타났다. 조부모의 자본 중 가계 총소득과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손자녀에게 가족돌봄을 제공하는 조부모의 가계 총소득이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돌봄시간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손자녀를 돌보는 시간이 길수록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가능성이 증가하는 요즘에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 요인을 시사하며, 가계 총소득, 건강상태와 돌봄시간이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인적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안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본 연구는 노인의 인적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8차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상자는 1,987명이었다.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활동 상태, 세대구성 형태, 배우자유무, 운동 형태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활만족도와 건강상태는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월평균소득과 교육수준은 가장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으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비취업자보다는 취업자가, 부부세대의 가족형태인 경우에, 건강할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규칙적인 운동을 할수록 생활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