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의 일명 내핵관계절 구성의 통사와 의미

        박형진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일명 내핵관계절 구성의 통사와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그 동안 한국어에 존재하는 내핵관계절로 언급된 구성들을 과연 내핵관계절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검토해 보았다. 첫째, 한국어의 일명 내핵관계절 구성은 핵어명사가 관형사절과 주절 사태 모두의 의미론적 참여자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관계절의 본질적 속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언어유형론적인 측면에서 한국어의 일명 내핵관계절 구성은 다른 언어의 전형적인 내핵관계절 구성과 차이가 있고, 이들을 상호관계절로 볼 수도 없으며, 외핵관계절과의 기능 분담의 측면에서도 범언어적인 경향과 차이가 있음을 논의했다. 본고는 일명 내핵관계절 구성의 통사와 의미를 일반적인 ‘관형사절+것’ 구성의 틀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한국어의 일명 내핵관계절 구성의 통사는 ‘비관계절+것’의 통사 구조와 동일하며, 이때 ‘것’은 관형사절의 명제 의미 전체를 대상화하여 받는다. 그리고 이들에게서 내핵관계절적인 해석이 유발되는 것은 ‘것’이 주절 서술어의 논항이 되면서 논항이 요구하는 의미 요소인 개체로서의 의미가 부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syntax and semantics of so-called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 in Korean. First, this paper discusses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view so-called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 in Korean as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 actually. It is hard to say that the constructions of the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 in Korean have the essential attribute of relative clause in that the head noun does not become a semantic participant of both the adnomianl clause and main clause. And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s in Korean are different from typical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s of other languages, and they can not be regarded as co-relative clauses, in the viewpoint of language typology. The syntax and semantics of the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 in Korean can be understood in the framework of general construction of the ‘adnominal clause + ges’.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s in Korean is the same as that of ‘non-relative clause + ges’. And the meaning of ‘ges’ becomes the whole propositional meaning of the adnomminal clause. The reason of the meaning of ‘ges’ is interpreted as an entity is ‘ges’ becomes the argument of the predicate in the main clause.

      • KCI등재

        안구이동추적을 통해 살펴본 관계절의 통사처리 과정

        이미선(Miseon Lee),용남석(Nam-Seok Yong) 한국인지과학회 2009 인지과학 Vol.20 No.4

        관계절의 공백과 채움어의 의존관계(gap-filler dependencies)가 어떻게 해결되는지에 대한 가설은 ‘채움어촉발 처리전략(filler-driven parsing strategy)’과 ‘공백촉발 처리전략(gap-driven parsing strategy)’으로 요약할 수 있다. 두 가설의 언어보편적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안구이동추적법(eyetracking)을 이용하여, 한국어 화자들이 후핵언어(head-final language)인 한국어의 주격관계절과 여격관계절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피험자들이 관계절 내 공백의 위치에서 채움어에 상응하는 그림을 거의 응시하지 않았으나, 관계사와 결합한 관계절동사를 들은 시점부터는 채움어 그림을 응시하는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머리어를 들은 시점에서 가장 많이, 가장 오래 채움어 그림을 응시하였다. 이 결과는 공백이 관계절의 처리를 촉발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사와 결합한 관계절 동사에서 관계절의 통사처리가 시작되어 채움어가 인지된 시점에서 완성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주격관계절과 여격관계절 간의 상이한 안구이동 양상은 관계절 내의 논항과 결합한 격조사의 통사정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서, 한국어의 관계절은 채움어촉발 처리전략을 따르기는 하지만 영어와 같은 선핵언어와는 다른 처리전략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time course and processing patterns of filler-gap dependencies in Korean relative clauses, using an eyetracking method. Participants listened to a short story while viewing four pictures of entities mentioned in the story. Each story is followed by an auditorily presented question involving a relative clause (subject relative or dative relative). Participants’ eye movement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ere recorded.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looks to the picture corresponding to a filler noun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relative verb affixed with a relativizer, and was largest at the filler where the fixation duration on the filler pictu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resolution of the filler-gap dependency only starts at the relative verb marked with a relativiser and is finally completed at the filler position. Accordingly, they partly support the filler-driven parsing strategy for Korean, as for head-initial languages. In addition, the different patterns of eye movements between subject relatives and dative relatives indicate the role of case markers in parsing Korean sentences.

      • KCI등재

        유형론적 관점의 한국어 관계절 연구

        연재훈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3 No.-

        이 글은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관계절의 유형과 관계화 가능성 위계, 그리고 관계절 해석의 의미 화용적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관계절 연구에서 유형론적으로 흥미로운 문제 중 하나는 어떤 위치에서 관계화가 가능한가 하는 위계의 문제다. 한국어에서 핵어 명사의 관계화 제약은 대체로 키난과 콤리의 관계화 가능성 위계를 따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사격보어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처리할 수 없는 복잡한 제약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제2언어습득에서 관계화 가능성 위계에 대한 기존 연구와 문제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습득에 있어서 관계화 가능성 위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해도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는 관계화 가능성 위계 가설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어 관계절에 대한 모어 화자와 학습자 집단들의 반응속도를 통해 알아본 난이도와 복잡성 실험에서 관계화 가능성 위계의 효과가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 결과는 한국어의 관계절은 유럽어의 관계절과 질적으로 다르다는 주장을 뒷받침해 줄 수 있다. 한국어는 공백(gap)을 포함한 관계절을 가지고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단순히 한정적 관형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명사구의 관계화 가능성은 문법적 관계가 아닌 의미적, 화용론적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론에 비추어 한국어 관계절의 생성과 해석에 형태-통사적 정보뿐만 아니라 의미-화용론적인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관계절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관계절의 형태-통사론적인 특성에 집중되어 왔지만 관계절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통사 외적인 요소들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typological universals of relative clauses with reference to Korean, and to explore how morpho-syntactic and pragmatic factors interact with extra-linguistic factors 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noun-modifying clauses. The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NPAH) has been widely accepted to account for the acquisition difficulty of relative clause types. We argue that noun-modifying clauses in Korean a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ose in European languages. We have maintained that Korean does not have relative clauses with a gap but, rather, have attributive clauses, which involve simply attaching modifying clauses to the head noun. With regard to NPAH, recent experimental studies on East Asian languages have shown conflicting results although those on European languages generally comply with the prediction of NPAH. In this study, a computer-assisted grammar test on Korean relative clauses has been conducted to test the typological universals of RCs in L2 Korean with typologically different L1 backgrounds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does not comply with NPAH illustrating the limitations of such a hierarchy. This paper also demonstrates that interpretation of Korean relative clauses depends on context and pragmatic factors. Semantico-pragmatic factors play important roles in acceptability judgements. We believe that this paper has successfully proven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extra-linguistic factors in the interpretation of relative clauses in Korean.

      • KCI등재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5학년 귀국 학생을 중심으로

        김명광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8

        이 글은 해외 귀국 학생들(5학년)의 관계절 사용 실태에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살펴본다. 관계절은 표제 명사의 종속절에서의 역할과 표제 명사의 주절에서의 역할에 따라 총 15가지의 관계절이 나타난다. 이 때 해외 귀국 학생들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관계절에는 표제 명사가 주절과 종속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기능 관계절이다. 여기에는 ‘주어 - 주어 관계절, 목적어-목적어 관계절, 부사어-부사어 관계절’로 나누어진다. 해외 귀국 학생들이 이러한 종류의 관계절을 만드는 심리적 측면에는 ‘쉬운’ 어휘를 통하여 최대한 ‘간편하게’ 그리고 최대한 ‘단순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도(평면 구조 지향 의도)가 담겨져 있다. 이러한 의도는 ‘주절 동사 논항의 계기적 연결 현상’, ‘나열 구조로의 지향 현상’, ‘주절 동사와 종속절 동사의 인접 현상’, ‘1000개 미만의 빈도수를 가진 주절과 종속절 동사 출현’, ‘1인칭 주어 사용과 생략 현상’등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clarifies various feature appeared the corpus of relative clauses of remigrant students in the fifth grade. the relative clauses are divided into 15 dimension according the role of head noun in the subordinate clause and principal. It is very popularity among 15 types to The Same Function Relative Clause(for short, SFRC) in which the function of head noun appeared in subordinate clause and principal clause have the same. The SFRCs are three, that is the Relative clause having Subject-Subject head noun(sS), Objective-Objective head noun(oO), and adverbial-adverbial head noun(adv-adv). The psychological intentions of remigrant students generating SFRCs are to maximize to make the sentences with facilitation and supplication, toward planar structure. The intentions express consecutive liaison between the arguments of the principal clause, corelation toward serialized structure, adjacency between subjects of subordinate clause and one of principal clause, and practical use of the basic level of verbs less than 1000 frequency, interpolation and omission of the first person subject.

      • KCI등재후보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관계절 습득 연구

        전영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주격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 중에서 어떤 유형의 관계절을 좀 더 잘 습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의 관계절에 대한 이해 능력과 산출 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관계절 유형의 습득 위계를 세우고, 나아가 두 관계절의 하위 유형의 습득 위계 또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위계는 ‘주격 관계절 > 목적격 관계절’로 나타났다. 즉, 주격 관계절을 목적격 관계절보다 더욱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관계절의 세부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습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세부유형간의 습득 위계를 세울 수 없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hose objects are the Chinese who acquir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as follows: to identify which one of subjective relative clauses (SU RC) or objective relative clauses (DO RC) they can understand and acquire more easily; to identify whether a acquisition hierarchy can be made among sub-types of relative clauses (RCs) - SS, OS, SO, OO. The e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by 36 Chinese who had already finished learning Korean relative clauses through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and the sentence combination task . I examined their understanding and output abilities of SU RC and DO RC, and checked the acquisition hierarchy between the two RCs. In conclusion, the Korean RC acquisition hierarchy among the Chinese was characterized by SU RC > DO RC. However, the acquisition hierarchy among sub-types of relative clauses could not be set up. The acquisition hierarchy of Korean RCs reveal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acquisition material to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will be helpful to find a more practical RC educational method equipped with effective teaching and acquisition order.

      • KCI등재

        주격관계절과 목적격관계절 정보처리의 비대칭성

        이일재 ( Il Jae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2 외국어교육연구 Vol.26 No.1

        주격관계절과 목적격관계절 정보처리의 비대칭성은 이론적으로 설득력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기존 이론은 이 두 관계절 사이에 존재하는 비대칭성이 관계절 내외현적 주어, 공백의 구조적 위치, 명사구 등에 의한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주의 (Chomsky, 2008과 이전 논문)에 입각하여 탐색자(probe)와 목표(goal) 사이의 일치(Agree)관계에 비대칭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하고자 한다. 목적격관계절이 정보처리에 있어서 주격관계절보다 난이도 더 높은 직접적인원인은 탐색자(C와T)와 목표사이에 일치해야 할 통사적 관계가 더 많기 때문이 다. 주격관계절 탐색자(C와T)는 일치관계를 성립하기 위하여 하나뿐인 목표를 공유하는 방법만이 가능하지만 목적격관계절 탐색자(C와T)는 서로 다른 별개의 목표와 엇갈리지 않게 일치관계를 성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데 그 이유는 탐색자-목표 관계는 통사적인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Pesetsky와 Torrego, 2006). 탐색자가 다른 목표와 일치관계를 유지하게 되면비정상적 도출이 발생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목적격관계절에 결속되어 있는 부가적인 정보처리가 난이도를 유발시킨다는 더욱 원리를 갖춘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Even until recently, the asymmetry of processing difficulty between subject and direct object relative clauses has been understood with inconceivable theoretical assumptions, which claim the source of the asymmetry to be the intervening subject, structural depth of gap, head noun, and so forth. In this brief article, I adopt the minimalist framework to assert the Agree relation for feature valuation between probe and goal (Chomsky, 2008 and earlier papers in the reference) as the source for the asymmetry of processing difficulty. The direct cause of the extra processing difficulty for object relative clause is the number of possible options of Agree relations for the probes (C and T) to choose from. The probes in subject relative clause have only one option; that is, they share the only available goal. The same probes in object relative clause have three options; that is, each of the probes, without being entangled, must find and agree with its own discrete goal. For that, time and effort are needed because the probe-goal relation is not free (Pesetsky & Torrego, 2006). Otherwise options cause deviant expressions. Hence, this article puts forth the proposal for a more principled explan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extra processing difficulty captivated in object relative clause.

      • KCI등재

        한(韓)·중(中) 관계절(關係節)에 대(對)한 비교(比較) 연구(硏究)-관계절 형성에 관련된 의미론적 제약을 중심으로-

        위위 ( 魏瑋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5

        문장이 관형사처럼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은 여러 나라 언어에 존재하는 범언어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언어에 따라 수식하는 성분이 명사 앞에 올 수도 있고 명사 뒤에 올 수도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형절은 모두 수식하는 성분이 핵심명사 앞에 온다. 한국어에서는 관계 관형절이 보편적으로 쓰이지만 중국어에서는 관계관형절이 그리 많이 쓰이지 않는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한·중 번역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계절을 다루어 왔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비교하며 관계관절 형성에 관련된 의미론적인 제약의 차이를 살펴본다. 살펴본 결과 관계절 형성에 있어서 한국어나 중국어는 모두 의미론적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중국어의 관계절 형성에 있어서 의미론적 제약을 더 많이 받는다.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접관계(逆接關係)가 드러나는 구문, 핵심명사를 수식하는 부분이 뒤에 오는 절의 조건이 되는 구문, 그리고 양보관계(讓步關係)가 드러나는 구문은 한국어나 중국에서 모두 관계절 구문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둘째, 점층관계(漸層關係)에 있는 문장은 한국어나 중국어에서 모두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할 수 있으나 점층복문으로 점층관계를 표현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셋째, 동작의 순서가 드러나는 문장은 한국어에서는 관계절로 표현해도 큰 문제가 없지만 중국어에서는 관계절보다 접속문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앞뒤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문장의 주어가 유정물일 때는 한국어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중국어에서는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하지 않고 접속문으로 표현한다. 넷째, 목적성이 드러나는 구문의 경우, 주어가 무정물일 때는 한국어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중국어에서는 접속문으로 표현한다. 문장의 주어가 유정물일 때는 한국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하지 않는 반면, 중국어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다섯째, 인과관계(因果關係)가 드러나는 경우, 한국어에서는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할 수 는 있지만 중국어에서 주로 접속문으로 표현한다. 短语或句子修饰名词的句子结构是在很多国家语言中普遍存在的范语言现象。不同语言中修饰成分的位置可能会不同, 有的是在名词前面, 而有的则是在名词后面。韩国语和汉语的冠词短语都是修饰成分位于中心语的前面。韩国语中关系从句的使用范围较广, 而汉语的关系从句的适用范围则比较狭窄。现有的研究大多是针对中韩翻译时对于关系从句的处理和和翻译方法进行的研究。本研究将研究视角放在韩国语和汉语的关系从句形成上, 考察两国语言中关系从句的形成过程中受到怎样的语义学方面的制约。通过考察得知, 无论是韩语还是汉语, 在关系从句的形成过程中都会受到语义学方面的制约, 但汉语所受的语义学方面制约更为明显。具体研究结果简单整理如下: 一、转折关系的句子、条件句和让步关系的句子中韩语和汉语都多运用关系从句。 二、对于包含递进关系的句子韩语和汉语都可以运用关系从句来表达, 但无论是韩语还是汉语, 运用关系从句来表达的递进关系并不明显, 所以更倾向于运用递进复句。 三、对于包含动作先后顺序的句子, 韩语里用关系从句来表达也没有什么大的问题, 但汉语中则更倾向于运用复句来表达。 四、对于带有目的性的句子, 当主语是非活动体名词时韩语中运用关系从句来表达, 而汉语中则是运用复句来表达。但当句子的主语是活动体名词时韩语中更偏向于使用复句来表达, 反之, 汉语中则运用关系从句来表达。 五、对于包含因果关系的句子, 韩语中可以运用关系从句来表达, 但汉语中则主要以因果复句来表达。

      • KCI등재

        독일어와 한국어의 종속절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 - 보문절과 관계절을 중심으로

        조경화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5 No.75

        Im vorliegenden Beitrag werden die Nebensätze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unter typologischen Gesichtspunkten untersucht. Komplementsätze fungieren als Substantiv im Satz, Relativsätze jedoch als Adjektiv, das das Substantiv durch die Modifikation des Substantivs auführlicher erklärt. Sowohl das Deutsche als auch das Koreanische sind dadurch gekennzeichnet, dass Komplementierer je nach Verb oder Substantiv im Hauptsatz unterschiedlich gebraucht werden. Während im Deutschen die Wörter, die Partikeln und No-Marks als Komplementierer verwendet werden, gebraucht man im Koreanischen meistens die Endungen als Komplementierer. Außerdem gibt es im Deutschen eine größere Anzahl an verschiedenen Typen von Komplementierern als im Koreanischen. Während die Komplementierer sich im Deutschen an der Spitze der Komplementsätze befinden, werden sie im Koreanischen an das Ende gesetzt. Die Relativsätze vom Deutschen und Koreanischen lassen sich typologisch nach verschiedenen Kriterien einteilen. Sowohl im Deutschen als auch im Koreanischen gibt es Externe Relativsätze, jedoch erscheinen im Koreanischen auch Interne Relativsätze. Dass das Koreanische pränominale Relativsätze und das Deutsche postnominale Relativsätze hat, steht mit der Wortstellung im Zusammenhang. Im Koreanischen sind vielfältigere Relationalisierungsstrategien vorhanden als im Deutschen. In den Relationalisierungsmarken gibt es den Unterschied, dass im Deutschen der Typ des Relativpronomens und im Koreanischen der Typ der Endung verwendet wird. 독일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에는 보문절을 이끄는 보문소 Komplementierer나 관계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가 ‘dass’, ‘den’, ‘als’로 분명하게 드러나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독일어나 한국어의 학습에서 장애와 오류들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보문절과 관계절은 독일어에서 통사적으로 차이가 있는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보문절과 관계절의 표지가 확실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때로는 보문절로도 관계절로도 간주하기 애매한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도유럽어의 관계절에서는 보문절을 이끄는 보문소와 구별되는 관계대명사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관계화된 위치에는 복귀대명사 resumptive pronoun나 공백 gap이 자리한다. 이에 반해 한국어는 수식하는 절의 한 성분이 비어있고 그것이 표제명사 head noun와 공지시하면 관계절로, 수식하는 절의 성분이 다 채워져 있거나 표제명사를 그 수식하는 절 내부의 성분으로 상정할 수 없으면 보문절로 분류한다(문숙영 2012, 32). 그러나 이런 분류 기준으로 관계절과 보문절을 다 구별해 낼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의문이며, 둘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모호한 경우들도 있다. 따라서 한국어 보문절과 관계절의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독일어와 한국어의 보문절과 관계절을 종속절이라는 하나의 틀에 같이 묶어서 유형론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려고 한다. 보문절과 관계절 및 부사절에 대한 개별 연구는 후속연구들을 기대하기로 하고 이 논문에서는 두 언어의 보문절과 관계절을 동시에 같이 살펴봄으로써 이 범주들에 대한 유형론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KCI등재

        中日両言語の関係節マーカーの特徴及び それにかかわる統語的問題 - 言語類型論の立場から -

        張?苑(장정원),盛文忠(성문충) 한국일본어학회 2022 日本語學硏究 Vol.- No.74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유형학의 시야에 있다 다음은 중국어 일본어 관계절의 표기 유형, 출현 위치 및 표기 기능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관계절의 표기에 따른 구문 및 의미론적 문제를 논의한다. 현대 일본어는 연체형을 관계절의 표기로 하고, 중국어는 구조조사 의로 한다. 일본어 관계절은 속격 등 명사 수식어의 표기와는 달리 언어 공통성에 더 부합하며, 중국어의 경우 명사·대명사·관계절에 상관없이 명사를 수식하기 위해 통일된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관계절 표기의 기능과 관련하여 중·일 양 언어의 관계절 표기는 모두 중심어가 절 서술어에서 작용하는 구문 성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 없지만, 일본어 관계절 표기는 관계절 표기를 표시하는 것 외에도 시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중국어 관계절 표기의 기능은 비교적 단순하다. 중·일 양 언어 관계절 표기에도 공통성이 있다. 중국어·일본어의 관계절은 모두 중심어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표기가 중심어와 관계절 서술어 사이의 구문 관계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관계절의 관할을 결정할 수 없고 동위 어절과 동일한 구조를 채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relative clauses in terms of the types, positions and functions of markers, and to explore the syntactic and semantic issues arising from the markers of relative clauses in the context of linguistic typology. In modern Japanese, the marker of the relative clause is the conjunctive form, while in Chinese, it is the structural auxiliary de. In Japanese, the marker for the relative clause is different from that for noun modifiers such as the genitive case, which is more in line with linguistic commonality; in Chinese, the marker de is used uniformly for nouns, pronouns, and relative clauses to modify nouns, which is not uncommon in such languages. In terms of the function of relative clause markers, both Chinese and Japanese relative clause markers cannot be used to indicate the syntactic component of the central clause in the subordinate predicate, but Japanese relative clause markers are used to indicate the tense and aspect in addition to the relative clause, while Chinese relative clause markers have a single function. There are also commonalities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in relative clause markers. Since the markers are located in front of the central clause, they cannot identify the syntac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clause and the predicate of the relative claus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determine the domain of the relative clause and adopt the same structure as the appositive clause, etc.

      • KCI등재

        Universale vs. sprachspezifische Strategien der Sprachverarbeitung -anhand von Verarbeitungspraferenzen bei der Anbindung von Relativsatzen

        홍우평 ( U Pyong Hong ),남유선 ( Yu Sun Nam ),최명원 ( Myung Won Choi )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언어처리, 특히 언어이해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지전략으로 알려진 ‘최신효과’와 ‘술어근접성’의 설명력을 검증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증거를 얻는 데 있다. 최신효과에 의하면 복수의 선행어 후보가 있는 관계절 구문에서 관계절은 보다 ‘최신’의, 다시 말해 관계절에 보다 근거리에 있는 선행어에 부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영어 원어민이 다음과 같은 관계절 구문에서 관계절(who came from Germany)을 두 개의 선행어 후보 the daughter와 the heacher 중 자신에게 더 가까운 the teacher에 부착하는 성향을 보인다는 경험적 증거에 의해 마련되었다. Someone visited the daughter of the teacher who came from Germany. 그러나 독일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의 유사한 관계절 구문에서는 관계절이 자신에게서 보다 먼 선행어에 부착된다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최신효과가 언어 보편적인 언어처리전략이 될 수 없음이 드러났고, 술어근접성 이론이 하나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술어근접성이란 언어처리과정에서 관계절이 보다 술어에 가까운 선행어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음을 말하는 것으로, 독일어 원어민이 다음과 같은 독일어 관계절 구문에서 관계절(die auf dem Balkon war)을 복수의 선행어 후보 die Dienerin과 der Schauspielerin 중 술어에 보다 밀접한 핵어 die Dienerin에 부착시키는 성향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게 된다. Jemand ercshoB die Dienerin der Schauspielerin, die auf dem Balkon war.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한국어 관계절 구문을 한국어 원어민에게 제시하고 관계절(우리 동네에 사는)이 복수의 선행어 후보 김선생과 김선생의 처남 중 어디에 부착되는 것이 더 적절한 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언어실험을 수행한 결과, 김선생의 처남이 관계절의 선행어로 더 선호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동네에 사는 김선생의 처남이 매우 똑똑하다. 이러한 증거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었던 언어와 달리 관계절이 소위 선행어에 앞서는 언어에서 얻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술어근접성 이론의 타당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뒷받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