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제 유형에 따른 베트남 학습자의 중간언어 변이 양상 연구 - 조사 ‘은/는’을 중심으로 -

        홍수민 ( Su-min Ho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본 연구는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제 유형과 숙달도에 따른 조사 ‘은/는’의 중간언어 변이 양상을 살펴보고, 중간언어 변이 양상 과정을 체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 연구는 총 3개의 기관에서 베트남 학습자 초급 20명, 중급 20명, 고급 20명을 대상으로 문어 과제인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구어 과제인 그림 보고 이야기 구성하기, 인터뷰로 진행하였다. 먼저 과제 유형에 따른 ‘은/는/의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형태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림 보고 이야기 구성하기에서 정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숙달도별로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발달 과정은 ‘U자형 발달 단계’를 따르지 않았고, 조사 ‘은/는’은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학습자들의 한국어 숙달도와 비례하여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제 유형에 따른 ‘은/는’의 변이 양상을 살펴본 결과 문어 과제에서 더 다양한 변이 양상이 나타났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숙달도별로 변이 양상을 살펴본 결과 숙달도가 높아짐에 변이 양상이 비체계적인 변이에서 체계적인 변이로 나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자의 ‘은/는’의 변이 양상 에서 중간언어의 특징인 체계성, 다양성, 변화성, 화석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문어 과제와 구어 과제를 바탕으로 베트남 학습자들의 조사 ‘은/는’에 대한 습득과 산 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중간언어 변이가 언어적 맥락과 심리학 맥락에 영향을 받고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은/는’을 교수·학습 설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interlanguage variation pattern on particles ‘un/nun’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ir given task types. Moreover, it aims to systematize interlanguage variation patterns. The experiment was held in 3 institutes, on 3 different levels of Vietnamese learner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with 20 learners from each level. Writing task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ir grammatical proficiency, and a storytelling based on given pictures and an interview were parts of speaking tasks. Firstly, an accuracy in using the particle ‘un/nun’ according to the task type was observed before moving onto variation pattern observation. The highest accuracy was shown on grammar tasks which has a high level of focus onto the structure of sentences. However, task on storytelling based on given pictures marked the lowest accuracy rate. Also, as for the proficiency, usage of the particle ‘un/nun’ was going along with learner’s proficiency in both writing and speaking, which did not followed the ‘U-shaped learning pattern’. The variation on task types showed that on writing tasks, much diverse variation patterns were observed. Moreover, the higher the proficiency became, a transition from unsystematic variation into systematic variation patterns was displayed.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language that are classified as systematic, various, dynamic and fossilization. To sum up, different task types influence the usage of the particle ‘un/nun’ of the Vietnamese Korean learners. From this observation, it has been proven that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 the interlanguage variation.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teaching the particles ‘un/nun’ when planning teaching method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 KCI등재

        과제 유형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사형 어미 중간언어 변이 연구

        왕현풍 ( Xianfeng 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제 유형과 숙달도에 따른 관형사형 어미의 중간언어 변이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인 중급 학습자 40명, 고급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문법 판단 테스트, 번역 과제, 구어 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 결과, 과제 유형에 따라 관형사형 어미 사용에 변이가 나타났으며, 숙달도에 따라서도 그의 정확도와 변이 양상까지 달라지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문어·구어 과제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관형사형 어미에 대한 습득과 산출 과정을 살펴본 결과, 중간언어 변이가 언어적 맥락에서 많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숙달도가 높을수록 중간언어 변이 양상이 목표어인 한국어에 더 가까워지는 것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중간언어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im to examine Chinese Korean learners how the Interlanguage variation of Adnominal Ending Form according to task type and proficiency. To this end, grammar judgement tests, translation tasks, and or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40 intermediate learners and 40 advanced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variation occurred in the use of Adnominal Ending Form was controlled by task type, and that its accuracy and variation varied depending on mastery. Furthermore, Based on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asks,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and calculation of Adnominal Ending Form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Interlanguage variations in the linguistic context.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arner’s proficiency, the closer the Interlanguage variation becomes to the target Korean languag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language system for Korean learner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이 가진 어떠한 목표지향성 유형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이에 따라 대학의 교육 환경에서 적응적 목표지향성을 유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대학의 교직수업을 듣고 있는 수강생들에게 자신이 수강하고 있는 과목의 맥락에 비추어 설문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숙달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과제회피목표지향성 순으로 목표 성향을 나타냈고 해당 과목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부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목표지향성간의 관계를 보면,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숙달목표지향성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수행접근과 과제회피 목표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 형성에 적응적일 수 있음을 나타냈다. 아울러, 중다목표지향의 관점에서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을 모두 높게 가진 것이 어느 한쪽만을 높게 가지고 있는 목표유형에 비해 높은 자기효능감을 형성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적응적인 목표지향성 형성과 자기효능감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학의 수업 환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79 college students made up a questionnaire of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and 71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mastery goal was higher tha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that of task-avoidance goal was the lowest of all. The correlations between mastery goal and self-efficacy,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 however, task-avoidance goal was related with self-efficacy negatively. Also,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work-avoidance goal.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ly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positive influential factor to form a self-efficacy positively, the adaptive function of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revealed. As an aspects of multiple-goal orientation,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oal profile was analyzed, then, the group of high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low work-avoidance goal was the highest in self-efficacy. From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form an adaptive goal-orientation and enhance self-efficacy in college instruc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휘와 문법지식이 개별 출력중심 딕토글로스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 EFL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유선(Shin, Yousun)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21 영어교육연구 Vol.33 No.2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mainly two-fold. First, it is to analyze the cohesion characteristics,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of the writing tasks, which English learners produced using dictogloss protocols. The second aim is to identify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lexical and grammatical knowledge to the writing products yielded by the participants. For this purpose, 45 English learners at a university completed four different tests and then completed two types of dictoglass tasks with two different topics over four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web-based analysis software called Coh-Metrix.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in the group with higher vocabulary scores yielded higher mean scores in all six dependent variables within three categories of fluency, lexical complexity, and grammatical complexity. Of six dependent variables, three measures of Total Word Count, Latent Semantic Analysis, and Average Sentence Leng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comparison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was found regarding the category of lexical complexity. With relative contributions of lexical and grammatical knowledge, both vocabulary tests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learners’ task performance. However, only one grammar test - error identification test - was analyzed as a variable that affected task performance. (203 words)

      • KCI등재

        한국어 숙달도와 산출 능력 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영주(Kim, Youngjoo),남주연(Nam, Ju-yeon),이선진(Lee, Sun-jin),이선희(Lee, Sun-hee)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proficiency and productive ability of learners of Korean. Learners’ productive ability was measured in terms of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Accuracy wa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error-free clauses by the number of total clauses in both spoken and written output. Fluency wa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syllables per minute in written output, but the number of meaningful syllables per minute in spoken output. Complexity wa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dependent clauses per t-unit in written output, but the number of dependent clauses per c-unit in spoken outpu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30 intermediate to high-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aged 20 - 32 from China, France, Japan, and the US measuring their abilities of (i) written and spoken language ability measured upon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ii) global proficiency with mini-TOPIK. Written and spoken data were collected after seeing Mr. Bean movies. The results showed that (i) proficiency strongly correlated with every productive ability, especially with fluency. Fluency in spoken output proved correlated with grammar & vocabulary(.499), reading(.552), and total score(.559), whereas written output fluency showed correlation with vocabulary & grammar(.431), reading(.469), total score(.494), (ii) spoken and written output abilities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from the highest (r=.688<SUP>**</SUP>, both fluency in written and spoken output) to the lowest (r=.231<SUP>**</SUP>, between spoken output fluency and written output accuracy), The study claimed that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of both spoken and written output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proficiency and they developed showing organic conne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