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계몽기의 기계 표상 - 이해조의 번안소설 『텰세계』를 대상으로

        강정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4

        The intellectual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anted to experience the project and limitations of the Western Enlightenment. This experience was evident in the novel "Iron World" of that period. The proliferation of machinery and technological systems was an important means of enlightenment. Enlightenment was an indispensable tool for human progress,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At the same time, it has the duality of suppressing, destroying, attaching and subordinating in life and culture. Inbi's eugenic enlightenment was evident in the smelting machine and technological system of the Yeoncheol Village. Machine and technological systems were a means of enlightenment for the bourgeoisie, but for the workers they were forced to take away the freedom of labor and everyday life. Both Inbi’s the racial enlightenment and the opposition of the rajon races used the cannon machine as an important means. This cannon demonstrated the violence of enlightenment. Mechanical and technological systems were an important means of modern enlightenment. At the moment when it was embraced by society, human life and culture became attached to it. In this sense, the representation of machine shown in the novel "Iron World"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ere the means of hygiene and racial enlightenment.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 of machine have shown limitations such as violence, and non-subjectivity of the enlightenment. The representation of machine gave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planning of the Western Enlightenment. 근대계몽기의 지식인이 간접체험하고 싶었던 서구 계몽의 기획과 그 한계는, 그 시기의 이해조 번안소설 『텰셰계』에 잘 나타나 있었다. 2차 산업혁명 이후의 기계·기술시스템 확산은 좌선군의 근대적인 위생 계몽과 인비의 우생학적인 인종 계몽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문제는 기계·기술시스템이 인간의 진보·발전·계몽에 필요불가결한 것이면서도, 삶과 문화를 억압·파괴하거나 부속·종속시키는 양면성을 지닌다는 점이었다. 그 동안 『텰셰계』에 대한 검토는 애국계몽의 시각에서 주로 논의됐는데, 이 연구에서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성찰론을 참조해서 소설 속의 기계 표상이 서구 계몽의 기획과 그 한계를 간접체험의 형태로 보여줬음을 검토했다. 먼저, 인비의 우생학적인 계몽을 위해서 건설된 공장도시 연철촌(鍊鐵村)의 제련 기계와 기술시스템은, 부르주아에게 계몽의 수단이었지만 노동자에게는 노동·일상의 자유를 빼앗는 강제 규율자 역할을 했다. 특히 제련 기계·기술시스템과 부르주아의 시계는 노동자의 노동 과정과 일상을 상당히 규제하였다. 그리고, 인비의 인종 계몽과 라젼인종의 대항은 모두 대포라는 기계를 중요 수단으로 활용했는데, 이 대포는 계몽의 폭력성을 잘 보여줬다. 인종 계몽의 폭력성에 대항하는 라젼인종의 방법 역시 대응-폭력적이던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기계·기술시스템은 근대 계몽의 중요한 수단이었지만, 그것이 사회에 수용되는 순간에 인간의 삶과 문화를 도리어 부속시켰다. 기계·기술시스템은 그 작동·운영 원리를 인간에게 강제했고, 심지어 생사 여부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렇게 볼 때 근대계몽기의 번안소설 『텰셰계』에 나타난 기계 표상은, 위생·인종 계몽의 수단이면서도 그 계몽의 타율성·폭력성·비주체성 등과 같은 한계를 간접체험의 형태를 잘 보여줬다. 이러한 기계 표상은 근대계몽기의 대한제국 지식인들에게 서구 계몽의 기획이 지니는 긍정적·부정적인 면모를 선(先)경험하게 해줌으로써 폭 넓은 사고를 제공했던 것이다. 아울러 기계·기술시스템이 지니는 괴물과 같은 위력을 상상적으로 체험하게 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계몽의 개념: 비판이론의 계몽비판

        조문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건지인문학 Vol.5 No.-

        계몽의 변증법에서 호르크하이머과 아도르노는 계몽에 대한 자기 비판을 목표로 했을 뿐만 아니라 계몽에 대한 긍정적인 개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계몽의 변증법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전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아도르노는 계몽의 변증법에서 요구되기는 했지만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던 계몽에 대한 계몽, 즉 계몽의 구원은 철학의 근본이 되는 사고 그 자체를 문제 삼고 전통적인 철학의 개념들을 내재적으로 비판함으로써 그 개념들이 지닌 근본적인 틀을 넘어서 고자 한다. 따라서 계몽의 변증법에서 계몽적 사고를 발전시켜 온 도구적 이성에 대한 역사철학적 비판은 부정의 변증법에서 철학적 사고 그 자체의 자기비판을 통하여 소위 ``동일성 사고``에 대한 인식론적 비판으로 심화되었다. 계몽의 변증법은 산타모니카에서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 사이에 있었던 토론을 아도르노의 부인인 그레텔 아도르노가 녹음하여 이를 편집한 책으로 1944년 완성되었고 1947년에 암스테르담에서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일반적으로 서구의 사상사적인 맥락에서 계몽적 사고가 신화적 폭력으로부터 인간들을 해방시켰을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꾸준히 문명을 발전시킴으로써 인간의 자유를 증진시켰다고 믿었다. 이와 달리 계몽의 변증법에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그 당시 유럽에 팽배해 있던 파시즘의 기원을 캐물으면서 인간들이 자신의 자유를 확장시켰다고 믿고 역사 속에서 전개해왔던 계몽적 사고 그 자체에 대해서 오히려 강한 의구심을 갖는다. 그리하여 당시의 파시즘에서 체험된 야만성이 계몽적 요소의 결여로 표출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계몽적 사고와 긴밀한 연관성 속에 진행되어 왔음을 밝히고 있다. 그들은 계몽의 시초로 거슬러 올라가서 계몽이 어떻게 신화에서 시작되었으며 서구의 역사 속에서 전개되어왔는지를 추적한다. 이 과정 속에서 그들은 서구적 사고 전반, 즉 사고의 시작점에서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의 사상사 전반의 역사를 거슬러가며 계몽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난 자기 파괴의 모순성 즉 진보적 사유의 퇴보적 요소 내지는 합리적 사고의 비합리성을 비판적으로 읽어낸다. 이는 오딧세우스 또는 신화의 계몽, 줄리엣 또는 계몽과 도덕을 통해 논증된다.

      • KCI등재

        신기선(申箕善)의 『계몽천자문(啓蒙千字文)』 연구

        金東錫 ( Kim Dong-seok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80

        申箕善(1851∼1909)은 1877년 대과 별시 때 병과에 급제한 문신이다. 그는 갑신정변에 참여했으며 1895년에는 군부대신과 육군대장을 거치고 중추원 부의장이 되기도 했다. 『계몽천자문』은 형식상 4글자씩 2구절이 짝이 되는 형식을 이루었다. 4글자에는 2글자로 된 한문어휘가 많다. 이들 한문어휘는 저마다 독특한 역사배경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恒沙와 같이 불교를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倉米처럼 『晋書·庾翼傳』 같은 역사서에 보이는 어휘도 있다. 근대 시기의 한자 어휘인 七曜도 『계몽천자문』에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인간에서부터 다양한 사물 명칭까지 나열하여 언급하고 있다. 작자 신기선이 살고 있던 시기에 밝혀진 천체에 대한 지식을 『계몽천자문』에 반영한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조선의 역사나 인물 등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고 있는 반면 『천자문』은 중국을 중심으로 역사나 인물 등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 역사도 언급하고 있다. 존왕양이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지만 만주족 完顔과 몽고족 奇渥을 언급하고 있다. 完顔은 锡伯族 부락명이기도 하고 오래된 성씨이기도 하다. 신기선은 요동평야가 있는 滿韓을 언급하기도 하고 長白山에서 松花江 중상류 지역에서 살면서 청왕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은 完顔族을 언급한다. 이는 청나라가 쇠퇴기에 접어들고 일제강점기를 앞둔 시점에 일본제국주의의 동북지역에 대한 관심이 『계몽천자문』에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초학들이 경전을 배우기 전에 습득해야 할 한자를 학습시키기 위하여 창작된 교재라고도 볼 수 있다. 때문에 오늘날 어문 교육과 거리가 있으며, 대신 고문사에 자주 보이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신기선은 자신의 행적을 『계몽천자문』에 담기기도 했다.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1877년 대과 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지만 1895년 군부대신에 임명되면서 陸軍副將이 되었고, 중추원부의장을 거쳤다. 『계몽천자문』 중에 출전하면 장수가 되고 입조하면 재상이 되었다는 出將入相과 “關侯岳保, 英豪武烈.”라고 표현한 것이다. 孔敎도 언급하고 있다. 이 부분도 그의 행적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신기선은 孔子敎會라고 알려진 孔子敎의 전신인 大東學會에 회장으로 있었다. 이 배경에는 統監府가 대한제국의 동학은 일진회, 유교계는 대동학회로 친일화 하려고 했다고 한다. Shenjishan(申箕善) wrot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Compared with th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of Shenjishan(申箕善) and 『Tianziwen(千字文)』 of zhouxingsi(周興嗣), there are similarities in form, but the content and background are different. In the text of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hanzi(漢字) also has a unique history backgrou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Buddhism a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history. The era in which shenjishan(申箕善) was living was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 period of zhouxingsi(周興嗣) was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In the era of the Shenjishan(申箕善), there were the Opium Wars in 1860, the War of the Taiping Heaven, the Sino-Japanese War in 1884, the Jung War in 1884-1885, the Constitutional Court in 1898, the martial law in 1898, and the civilization of 1898∼1900. Western powers and Japanese imperialism also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There is a lot of new content in the Shenjishan(申箕善), as compared to zhouxingsi(周興嗣)'s 『Tianziwen(千字文)』.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seems to have included the atmosphere of a new era, reflect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interest in Manchuria, so as to include the changed world. Senjishan(申箕善) also mentioned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But he did not mention mahan(馬韓) while referring to tanjun(檀君), jizi(箕子), manhan(滿韓), bianhan(弁韓), chenhan(辰韓). And he also mentioned lelang(樂浪), lintun(臨屯), zhenfan(眞番), xuantu(玄菟). Although Senjishan(申箕善) described Chinese history as based on zunwangyangyi(尊王攘夷). He also mentioned the Manchu faction of wanyan(完顔) and the Mongol tribe qiwo(奇渥). Among the Manchu peoples, wanyan(完顔) is one of the oldest people in the village of 松花江 and baitoushan(白頭山). Senjishan(申箕善) refers to the manhan(滿韓) with the Liaodong(遼東) plains, and the mention of the wanyan(完顔), who received the greatest respect of the Qing Dynasty. The author's thoughts on the earth and the universe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zhouxingsi(周興嗣). Senjishan(申箕善) explains that the universe is big and large, and the earth was round and rotating.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the commandment to look at the future and break the discrimination has not worked much in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In order to educate a child, this book introduce the vocabulary related to introduction of hanzi(漢字). It seems that it was forced to include many hanzi(漢字) which are distance from real life.

      • KCI등재

        계몽과 사랑, 그 불편한 관계에 대하여 — 「개척자」와 「재생」을 중심으로

        강헌국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1 No.-

        본 논문은 「무정」 이후 이광수의 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계몽의 관계 변화를 고찰하고 그로써 구성되는 사랑의 이념을 이해하기 위해 「개척자」와 「재생」에 대한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무정」에서 계몽이 사랑을 포섭하는 방식이 검토되었다. 사적인 감정인 사랑은 계몽이라는 공적 의무와 화합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이광수는 「무정」에서 사랑을 계몽적 실천을 위한 도구로 설정한다. 계몽에 대한 사랑의그러한 관계 설정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한다. 「개척자」에서 사랑은 계몽과 결별하는 수순을 밟는다. 그 소설에서 사랑은 계몽적 운동의 도구가 아니라 순수한사적 감정임을 분명히 선언한다. 「개척자」를 거치면서 계몽과 결별한 사랑의 이후행보는 「재생」을 통해 추적된다. 사랑은 계몽과 결별함으로써 계몽의 도덕적 장치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도덕적 장치가 제거된 사랑은 금전과 성욕의 유혹에 무방비로 노출된다. 황금만능의 세태는 사랑을 돈으로 거래될 수 있는 명목으로 왜곡시킨다. 그러나 사랑은 그러한 외적인 유혹 속에서 그 스스로의 새로운 가치를 모색한다. 「재생」의 주인공인 봉구가 염원하는 인류애가 그 모색의 결과이다. 그로써사랑은 사적인 감정을 초월하여 이념으로 승화된다. 그처럼 이념화된 사랑은 계몽을 포섭할 정도로 숭고하다. 계몽이 인류애의 휘하에 배속됨으로써 「무정」에서 설정되었던 사랑과 계몽의 관계는 전도된다. 그러나 봉구의 숭고한 인류애는 순영의자살조차 막지 못하는 곤경을 빚기도 한다. Yi-Kwangsu designs the theory that makes the concept of love be subjected tothe concept of enlightment in Mujung and his early essays. But love which is aprivate emotion cannot harmony with enlightment. Enlightment is a public obligation. Those two are easy to conflict each other. Such a conflict is observed after Mujung. In order to show what kind of change has been happened in the relation betweenlove and enlightment after Mujung, Gaechukja and Jaesaeng are discussed in thisthesis. In Gaechukja love treads on the road of farewell from enlightment. Loveconfirms that it is not a tool of enlightment but a purely private emotion. The stepsof love since it parted from enlightment, can be traced in Jaesaeng. With partingfrom enligntment love becomes free from enlightment’s moral control. So love isdefenselessly exposed to the seduction of money and sex. The social trend ofmamonism distorts love to an item which can be dealed with money. But love searchesfor a new value in the middle of such seduction. Love for mankind is the newvalue which the hero of Jaesaeng has been arrived from a long and deep meditation. As a result of that meditation, love breaks away a private emotion, and sublimateitself an idea. Ideal love is so sublime that it can contain enlightment. The relationbetween love and enlightment is reversed to that of Mujung.

      • KCI등재

        1910년대 초반 서사적 계몽성의 마지막 모습

        장노현(Now-hyun, Jang)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신소설 작가 김용제(金用濟)와 박건병(朴健秉)의 행적을 밝혀내고, 그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계몽의 방식과 내용을 논하는 것이다. 김용제와 박건병은 국권을 상실한 1910년대 초에 계몽적 의도가 강한 신소설 〈옥호기연〉과 〈광악산〉을 각각 발표했다. 이것들은 1910년대 초반 식민권력에 내몰리던 ‘계몽성’의 향방을 확인하기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자료들이다. 김용제는 〈옥호기연〉의 저작자이다. 〈옥호기연〉은 그동안 이해조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져 왔던 작품이다. 김용제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었다. 본고가 밝혀낸 바에 따르면, 그는 〈춘향전〉을 개작하여 〈광한루〉를 썼다. 또한 일본 출판경찰이 출판 불허가 처분을 내렸던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4년제』와 손기정의 마라톤 우승을 기념하는 『마라손왕 손기정 우승기』를 펴냈다. 이로 미루어 그는 계몽적 민족주의자였을 것이다. 〈옥호기연〉은 그의 성향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국권 상실 이후에 발표된 신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계몽적 의도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특히 애국계몽기의 번역 및 번안 서사에서 자주 활용되던 계몽의 두 가지 방식을 허구적 서사의 틀 속에 배치한 구성을 주목해 볼 만하다. 〈광악산〉의 저작자 박건병도 알려진 행적은 거의 없었다. 본고는 박건병(1892~1931)이 강원도 철원 출신의 독립운동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젊어서 주시경이 이끄는 배달말글몯음과 관련을 맺고 조선어 연구와 애국계몽 활동을 펼쳤던 인물이다. 신소설 〈광악산〉의 창작은 그런 계몽활동의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그는 식민지 상황에서 신소설 창작을 통한 계몽 활동이 여의치 않음을 깨닫고, 1919년을 전후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한 후 주로 중국을 무대로 활동하였다. 〈광악산〉은 작품 말미에 ‘기자왈’이라는 논평 형식의 글이 붙어있다. 이는 작품 창작이 계몽 활동의 필요에서 이루어졌음을 분명히 해 준다. 계몽의 내용적 층위는 풍속 개량이며, 이는 사적이며 개인적인 영역에 속하는 가정 담론적 속성을 갖는다. 하지만 식민지 시기의 가정 담론은 계몽과 식민화 양쪽에 복무하는 혼란스런 이중성을 띤다는 면에서, 투철한 민족주의자였던 박건병의 지속적인 관심사가 될 수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Kim Yongje and Park Geonbyeong’s life and activities out, discuss form and matter of enlightenment shown in their works. They are authors of SinSoseol who wrote ‘Okogiyeon’(Strange Match made in Jade Pottery) and ‘Gwangaksan’. To check on the direction and destiny of narrative enlightenment was driven by colonial power in early 1910’s, these works are to be in. ‘Okogiyeon’ by Kim Yongje has incorrectly been said to be Lee Haejo’s novel. Kim’s life and activities is not very well known so far. According to facts which this paper determined, He wrote and published ‘Gwanghallu’ adapted from ‘Chunhyangjeon’, ‘Regular School Korean Textbook’, and ‘The Document of the King of Marathon Son Gijeong’ ‘Okogiyeon’ shows the Kim’s enlightening tendency very well. What’s remarkable about it is to use two type ofen lightenment which was often used in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evels in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This study identified Park Geonbyeong, the author of ‘Gwangaksan’ is a independence activist from Cheorwon province. He made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and have enlightening activities in his youth. The creation of ‘Gwangaksan’ can be understood that was extension of such activities. The level of enlightenment shown in ‘Gwangaksan’ is the improvement of family morals which belongs to private and personal domain.

      • KCI등재후보

        科技啓蒙到小說啓蒙 : 晩淸時期傅蘭雅的啓蒙活動

        오순방 한국중국소설학회 2003 中國小說論叢 Vol.18 No.-

        1895年 6月 在華 영국인 존 프라이어(傅蘭雅 John Fryer)는 당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중국어신문 『萬國公報』에 小說公募啓事 〈求著時新小說啓〉을 발표하여 신소설의 창작을 고취시킴으로써 詹熙의 『醒世新編』과 飮霞居士의 『新輯熙朝快史』등 현실사회에서 제재를 취한 일련의 “時新小說” 창작을 주도하였다. 게다가 1896년부터 대대적으로 진행된 梁啓超를 비롯한 유신파 인사와 사회계몽주의자의 신문잡지의 발간활동과 소설개혁을 통한 계몽운동은 크건 작건 간에 존프라이어의“時新小說論”의 영향을 받았으니, 그의 소설개혁론은 분명히 암담하고 침체되어 있던 淸末小說界에 변화의 바람을 불어와 소설의 대대적인 유행을 촉발했을 뿐만 아니라 정치사회에 전반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비록 20세기 초에 梁啓超의 소설개혁운동이 일어난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존프라이어의 〈求著時新小說啓〉는 청말소설혁명의 첫 번째 주장이자 근대소설이론의 효시로써 소설계혁명을 이끌어낸 가장 직접적인 근거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존프라이어는 어떤 인물이기에 갑자기 이런 소설개혁운동을 주창하게 되었는가? 그는 영국인으로 영국의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중국에 와서 교육사업에 종사했는데, 어떻게 문학혁명운동을 통한 사회계몽활동을 펼치게 되었는가? 그는 본래 문학창작과 소설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분야에서 활동을 하였는가? 당시에 중국을 개혁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던 梁啓超를 비롯한 유신파 인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존프라이어에 대해서 왜 지금, 우리는 그다지 아는 바가 없는가? 또한 문학사나 일반 문학연구자가에 의해 어째서 연구되지 않았는가 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점에서 출발하여 존프라이어의 행적을 추적하여 그가 아시아 최초의 과학기술잡지 『格致彙編』을 창간하고 200여권에 달하는 서양과학기술서적을 번역하여 중국의 근대화를 위해 기초를 다졌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서구전적의 번역과 언론활동을 통한 과학기술계몽활동의 한계점을 인식한 그는 청일전쟁의 패전 후에 중국의 근대화를 위해 대중을 계몽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전파력과 수용력이 뛰어난 소설이란 장르를 통해 중국 사회의 발전을 꾀하였고, 梁啓超를 비롯한 유신개혁파 인사는 그의 이론을 계승하여 小說界革命을 일으키고 외국전적의 번역을 대대적으로 진행시켰다. 본 논문은 청말 영국인 존프라이어가 중국에 와서 전개한 각종 계몽활동을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소개하고자 하는데, 특히 그가 창간하고 주도했던 『格致彙編』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중국에 서구과학기술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려는 그의 계몽활동을 전반적으로 고찰해보았고, 이런 작업이 당시 중국의 근대화에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존프라이어의 선구적이고 헌신적인 활동이 어째서 후대에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19세기 말 그가 계몽활동을 중단하고 총총히 중국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하게 된 이유를 江南制造局 飜譯館의 번역활동과 『格致彙編』의 停刊, 〈求著時新小說啓〉의 발표동기를 통해 고찰해보았다.

      • KCI등재

        계몽사상과 프랑스혁명

        김응종(Kim, Eung-jong)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8

        이 글은 루소의 사상을 중심으로 계몽사상과 프랑스혁명의 관련성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계몽사상은, 샤르티에의 테제와 달리, 프랑스혁명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계몽사상은 구체제에서부터 미래의 혁명가는 물론이고 일반 대중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물론 구체제 시기의 계몽사상은 혁명사상이 아니었기에 귀족 같은 혁명의 희생자들도 계몽사상을 수용하고 열광했다. 또한 계몽사상은, 다니엘 모르네의 테제와 달리, 프랑스혁명의 진행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계몽사상가들 가운데 가장 크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사람은 루소였다. 혁명가들은 루소의 공화주의론, 인민주권론, 직접민주주의론, 덕의 지배론 등을 현실 정치에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가장 적극적인 사람은 로베스피에르였다. 로베스피에르는 루소가 설파한 덕의 공화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로베스피에르는 루소의 이상사회 모델인 스파르타를 프랑스에 재현하려 했는데, 이같은 비현실적인 정책은 공포정치로 나타났다. 열월정변으로 공포정치가 종식되면서 루소의 영향력도 사라졌고, 혁명 초에 주목받았던 몽테스키외의 삼권분립론이 공포정치기에 훼손되었던 ‘자유’를 보호할 수 있는 이념으로 부활했다. 이후 총재정부, 통령정부, 제정기를 거치며, 자유주의자들은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는 방안을 모색했고, 계몽사상도 그러한 차원에서 해석되었다. 루소는 계몽사상가인가? 루소는 동시대의 계몽사상가들과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들로부터 부당한 박해를 받고 있다는 피해의식에 시달렸다. 계몽사상가들이 ‘이성’을 우대한 반면 루소는 ‘감성’을 우대했고, 계몽사상가들이 ‘문명’을 추구한 반면 루소는 ‘자연’으로의 회귀를 주장했다. 루소는 후기 계몽사상가 혹은 계몽사상의 이단자로 불리지만, 어쩌면 반계몽사상가로 규정하는 것이 계몽사상과 프랑스혁명의 관련성을 논하는 데 필요할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공포정치를 계몽사상의 영향으로 보는 것은 계몽사상 전체를 부정적으로 보게 만들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lightenment and the French Revolution focusing on Rousseau’s ideas. The Enlightenment, unlike Roger Chartier’s theme, was not made by the French Revolution. It has had a huge impact on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on the future revolutionaries of the Ancient Regime. Of course, it was not in itself a revolutionary idea, so even the aristocratic victims accepted it. The Enlightenment, unlike Daniel Mornet’s theme, also had a huge impact on the progress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biggest and most enduring influences of Enlightenment was Rousseau’s ideas. The revolutionaries tried to bring Rousseau’s ideas such as the republicanism, the popular sovereignty, the direct democracy and the doctrine of virtue to real politics. The most active was Robespierre. Robespierre tried to make a republic of virtue that Rousseau preached, and to recreate Rousseau’s ideal society model, Sparta, in France, but this unrealistic policy turned out to be a “Terror.” After the Terror ended by the Termidor coup d’etat, Rousseau’s influence disappeared, and the separation of the powers of Montesquieu, which was noted at the beginning of the revolution, has been revived as an ideology that can protect freedom that has been damaged during the Terror. Afterwards, through the Directoire, the Consulat, and the Napoleonic Empire, liberalists sought to protect ‘individual freedom’ and the Enlightenment was interpreted in this respect. Is Rousseau a Philosophe? Rousseau maintained a hostile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Philosophes and suffered from the sense of damage that he was unfairly persecuted. While Philosophes favored ‘reason,’ and sought ‘civilization,’, Rousseau favored ‘emotion,’ and insisted on returning to ‘natural society.’ Although Rousseau is called the heretic of the Enlightenment or the post-Philosophe, I think perhaps what defines him as an anti-Philosophe may be necessary to discuss cle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Enlightenment and the French Revolution. Seeing the Terror as the influence of Enlightenment is inappropriate because there is a risk of making the whole of Enlightenment look negative.

      • KCI등재

        『계몽편(啓蒙篇)』의 편찬 배경과 이본(異本)에 관한 연구

        金鮮花 ( Kim Sun-hwa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81

        본고는 1913년부터 발행된 『啓蒙篇諺解』의 異本 13종 비교를 통해 『啓蒙篇』의 善本을 확정하고, 그 내용을 살펴 당시 初學 아동교육용 교과서로 널리 사용된 『계몽편』의 편찬배경과 異本의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啓蒙篇』은 조선시대 初學 아동교육용 교과서로‚ 19세기 말부터 서당과 鄕校에서 아동에게 글을 가르칠 때‚ 먼저 『千字文』이나 『類合』으로 글자학습을 한 이후 사용되었던 문장학습 교재이다. 내용은 머릿글 성격의 首篇과 우주와 천체의 운행내용 및 1년의 시간을 설명하는 天篇, 자연 지물과 기상에 대한 설명이 담긴 地篇, 동식물에 관한 이야기와 九九法의 사용을 안내하는 物篇, 그리고 사람이 반드시 지켜야 할 도리와 심신을 수련하는 이치에 관련된 人篇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章節이 짤막하고 내용이 어렵지 않아서 初學者가 句讀와 文義를 해득하는데 비교적 쉽게 구성되어 있다. 『계몽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1950년대 이전의 것으로 분류된 것이 100여 종이며, 그 중 원문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30여 종으로, 여타 초학교재의 이본과 비교해보아도 그 수가 확연히 많다. 『계몽편』이 편저자 미상의 간행연도조차 알려지지 않은 책이지만,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서당교육교재로 지정되어 초학용 교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광복 이후 오늘날까지도 어린이를 위한 교재로 발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계몽편』의 다양한 異本에 나타난 서지형태를 살펴보고, 일본 동경학예대학 소장본과 비교하여 내용상의 오류를 검토해보았다. _계몽편언해_가 발행 초기에는 내용의 누락과 같은 오류를 범하기도 하고, 원문의 모든 글자에 한글 음을 부기하고 언해로 된 해석을 넣어서 단순히 한자로 된 글을 읽고 해석하는데 중점을 둔 교재로 역할을 했다면, 1923년 이후에는 오류는 최소화하고 학습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한발 더 나아간 지식을 체득할 수 있는 교재로 거듭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몽편』의 내용이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학습하기에도 무리가 없으며 사용되는 단어 역시 실제 사용되는 것들이 대다수이다. 『계몽편』은 19세기 말에서 시작되어 서당에서 사용되는 필수 교재로 자리잡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오랜 기간 동안 초학용 교재로 사용되었던 만큼 현재 교육과정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confirmed the best version of 『Gyemongpyeon(啓蒙篇)』 by comparing 12 different versions of 『Gyemongpyeon-eonhae(啓蒙篇諺解)』which was published from 1913. And by reviewing the contents, this paper researched the editing background of 『Gyemongpyeon(啓蒙篇)』 which was widely used as textbook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in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Gyemongpyeon(啓蒙篇)』 was a textbook for children’s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a sentence-learning textbook that was used after learning the letters with 『Thousand-Character Classic(千字文)』 or 『Yuhab(類 合)』, when teaching writing to children in Seodang(書堂) or Hyanggyo(鄕校)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Supyeon(首 篇)’ which is header part, ‘Cheonpyeon(天篇)’ which explains the operation of space and celestial bodies and the time of year, ‘Jipyeon(地篇)’ which explains about the nature and weather, ‘Mulpyeon(物篇)’ which explains a story about animals and plants or use of a multiplication table, and ‘Inpyeon(人篇)’ which related to the duty that a person must do and the reason for training body and soul. The chapters and verses are short and the content is not difficult, so it is composed with comparative ease for beginners to understand the punctuation and meaning of sentence. 『Gyemongpyeon(啓蒙篇)』 is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re are about 100 species classified as before the 1950s, and 30 species of them can check the original texts, the number is quite large compared to the different versions of other elementary educational materials. Although the editor and year of publication of 『Gyemongpyeon(啓蒙篇)』 was unknow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designated as an educational textbook for Seodang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has been used as a elementary educational textbook.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t is still published as a textbook for children. This paper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forms that appeared in the various different versions of 『Gyemongpyeon(啓蒙篇)』, and reviewed the errors in content by comparing with the collection in Tokyo Gakugei University(日本東京學藝大學). In the beginning of its publication, 『Gyemongpyeon-eonhae(啓蒙篇諺解)』 made errors such as omission of contents, and played a role as a textbook that focused on reading and interpreting Chinese characters by inserting Han-gul sound into every letter of the original text and putting the interpretation with the Korean annotation. However, since 1923,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formed as a textbook that the errors have been minimized and easy to understand from the standpoint of the learner and could acquire the knowledge which goes one step further. The content of 『Gyemongpyeon(啓蒙篇)』 is eas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learn, and most of the words used are actually used. Although 『Gyemongpyeon(啓蒙篇)』 bega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became an essential textbook used in Seodang,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it. As it has been used as an elementary educational material for a long time,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study how to apply it to the current curriculum.

      • KCI등재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이선경(Yi Suhn-gyohng) 한국양명학회 2011 陽明學 Vol.0 No.28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은 조선의 상수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문헌이다. 이 논문은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연구들 가운데,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이황(李滉)의 『계몽전의(啓蒙傳疑)』는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저작 가운데 최초의 본격적 연구서라 할 수 있으며, 이 저작은 특히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이황이 『계몽전의』를 저술한 문제의식이 무엇이며, 『계몽전의』에서 다룬 주요 쟁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것이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밝힌다. 그리하여 퇴계학파 『역학계몽』 이해의 종합적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학계몽』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도모하였던 이황의 태도는 후세의 연구자들에게도 일관된 모습으로 드러나며, 주석들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자 하는 연구방식 역시 동일하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는 『계몽전의』를 묵수하거나 옹호하는데 있지 않으며, 『계몽전의』를 통하여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다시 쟁점화하고, 그에 대한 조선의 선배학자들의 견해를 검토하며 자신의 견해를 제시한다. 이렇게 『계몽전의』를 중심으로 연구사의 축적을 통해 『역학계몽』 이해의 완전성을 추구해가는 모습은 다른 학파와 구별되는 퇴계학파 『역학계몽』 연구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계몽전의』에 나타난 태극논의는 이황이 상수학(象數學)을 통하여서도 리(理)의 필연성과 주재력을 확보하고자 하였음을 보여주며, 이는 『계몽전의』 가상수학 저술이지만 그 안에 이학적(理學的) 관심이 내재하였음을 의미한다. 다만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는 이학적 관심이 뚜렷한 경우와, 이학적 관심과는 별도로 도수적(度數的) 연구에 치중한 경우로 나뉨을 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19세기 저작들에서 뚜렷이 드러나며 이는 퇴계학파 안에 내재하던 하나의 흐름이 19세기에 이르러 결실을 맺은 것으로 생각된다. Zhu Xi’s Yi Xue Qi Meng(『易學啓蒙』) is the core text in understanding the Image-Number(象數) Theory of Chosun Dynasty. Among the literature on Yi Xue Qi Meng during Chosun perio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ork of the school of Toegye (退溪). Yi Hwang’s Qi Meng Zhuan Yi (『啓蒙傳疑』) is known as the first full-scale research work of Yi Xue Qi Meng written in Chosun period. It also had tremendous influence upon the subsequent research of Yi Xue Qi Meng in Chosun. This article has three aims: it (ⅰ) examines Yi Hwang’s motivation of writing Qi Meng Zhuan Yi, (ⅱ) spells out the main issues appearing in Qi Meng Zhuan Yi, and (ⅲ) investigates how it affects the subsequent study of Yi Xue Qi Meng performed by the followers of Toegye. As a result, this article will reveal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Yi Xue Qi Meng research performed by the school of Toegye. Just as Yi Hwang, his followers sought perfect understanding of Yi Xue Qi Meng while resolving the inconsistencies among the annotations of the text. In doing so, they did not merely keep to Qi Meng Zhuan Yi. Rather, they raised questions on the unresolved issues in the text, examined the predecessors’ views on them, and developed their own solutions. Their work is distinct in that they pursued the perfection in understanding Yi Xue Qi Meng by means of accumulating research on Qi Meng Zhuan Yi. The discussion of Tai-Ji (太極) in Qi Meng Zhuan Yi reveals that Yi Hwang intended to establish the necessity and predominance of Li (理) even in his theory of Image and Number (象數學), which suggests that Qi Meng Zhuan Yi embraces the subjects of Neo-Confucianism, though it is primarily a work of image-number theory. Later the analyses of Yi Xue Qi Meng diverged among the followers of Toegye: some took an interest in the theory of Li while others concentrated on the study of nature.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traits of the latter are conspicuous in their work in the 19th century, which suggests that one stream of Toegye School bore fruit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과 차이의 사회학: 체계이론의 사회학적 이념과 사회적 체계의 자기계몽

        김건우(Kim, Kunwoo) 한국이론사회학회 2020 사회와 이론 Vol.37 No.-

        본 논고는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 soziologische Aufklärung을 해명하고자 한다. 사회학적 계몽은 사회의 역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적 질서를 해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학적 이념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루만의 사회학을 ‘차이의 사회학’으로 파악한다. 이 차이의 사회학은 철학적인 의미를 넘어서, 사회와 행위의 복잡성과 우연성을 사회적 체계의 작동을 통해 파악한다. 루만은 기능을 규제적인 의미도식으로 파악하면서 가능성들의 ‘과잉’을 생산하는 근대사회의 구조적인 측면, 즉 기능적 분화와 기능적 질서를이론화한다. 이는 세계의 복잡성을 체계의 복잡성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 매체로 사회적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학적 계몽은 계몽을 무한히 확장하는 ‘계몽유토피아’ Aufklärungsutopie 가 아니라 사회적 체계의 ‘자기계몽’ Selbstaufklärung 으로서 ‘계몽의 해명’ Abklärung der Aufklärung 이다. 이를 이론적으로 해명하기 위해서 복잡성과 차이의 사회학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학적 계몽을 사회적 차원에서의 계몽의 재생산으로 이론화한다. 더불어, 선택성 강화의 재귀적 메커니즘으로서 사회적 체계의 작동을 통해서 계몽은 ‘자기계몽’ Selbstaufklärung 이 된다. 사회의 역량을 사회적 체계를 통해 증가시키고자 하는 이런 시도는 잠재성의 기능을 사회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며, 사회적 체계가 행위의 사건화 능력과 부정잠재력을 어떻게 조건화할 수 있는지 이론화한다. 결국, 이는 ‘사회학의 사회학’이며, 사회의 확장을 사회학적 계몽을 통해서 이론화하는 작업이다. 사회학적 계몽의 담지자는 사회적 체계이며, 이 때 계몽은 자기와의 차이를 산출하면서 재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사회학적 계몽은 체계포비아로부터의 해방을 사회학적으로 기획하고, 계몽을 유지하고 지속하고자 하는 ‘계몽의 계몽’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lucidate Niklas Luhmann’s soziologische Aufklärung. Sociological Enlightenment is a sociological idea to explain functional orders, which multiply the potentialities of society. In order to grasp this constellation, this work presents Luhmann’s sociology as ‘Sociology of Difference’. Beyond the philosophical sense, this determination contends the complexity and contingency of society and action in society to be comprehended by operations of social systems. Luhmann conceptualizes function as a regulative meaning-schema, which makes it possible to theorize functional differentiations and functional orders, the structural level of modern society to produce the ‘surplus’ of possibilities. It is nothing less than to understand social systems to be medium having the potential to transform the complexity of world into the complexity of systems. In addition, Sociological Enlightenment is not Aufklärungsutopie (Enlightenment-Utopia) to extend without limit, but Selbstaufklärung (Self-Enlightenment) of social systems, that is Abklärung der Aufklärung (Elucidation of Enlightenment). For this theoretical purpose,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relation of complexity to ‘Sociology of Difference’ and to theorize Sociological Enlightenment as a reproduction of an enlightenment at the societal level. By this, enlightenment comes to be Selbstaufklärung (Self-Enlightenment) as reflexive medium to intensify selectivity through the operations of social systems. This attempt that increases the potentialities of society through social systems is to reconstruct the function of latency sociologically and to examine how the ability of action and its potential of negation could be conditioned by social systems. At last, it leads to ‘Sociology of Sociology’, which intends to extend society by Sociological Enlightenment. The bearers of Sociological Enlightenment are social systems and enlightenment is able to reproduce itself by producing a difference to self. For this reason, Sociological Enlightenment refers to a sociological emancipation from system‘phobia’ and could be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to preserve and continue enlighte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