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실용적 하이브리드

        박현우,나도백,박종규 대한경영정보학회 2009 경영과 정보연구 Vol.28 No.4

        이 기술의 가치는 얼마나 될 것인가? 이는 다양한 투자환경 하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매우 큰 질문이다. 이러한 환경은 R&D 프로젝트에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기업들은 물론 신생기업에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벤처투자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객관적이고 정확한 가치평가는 매우 어려우며, 적절한 평가를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 이러한 문제에 닥친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가치평가 기법으로서 전통적인 할인현금흐름(DCF) 분석방법으로부터 실물옵션 방법까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특히 DCF 기반의 기술가치평가, 이른바 소득접근법(Income Approach)의 적용을 위한 주요 핵심변수를 추정하기 위한 구조화 작업이 이루어져왔다. 본고에서는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술의 가치분석 또는 가치평가의 이론적 접근, 기술가치 분석?평가 모델과 기법을 개발하거나 모델적용을 위한 기술가치의 결정요인을 구조화하기 위한 연구,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사례분석과 실증적 분석 측면에서 검토한다. 다양한 가치평가 방법들은 자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실제 적용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가치평가 기법의 실용성을 검토하고, DCF 모델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장의 경영자들이 이들 기법의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더욱 용이하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정가치 평가, 서열체계 및 위험관리 수준이 미래성과전망에 미치는 영향: 금융자산평가를 중심으로

        강민정 ( Min Jung Kang ),이호영 ( Ho Young Lee ) 한국회계학회 2014 會計學硏究 Vol.39 No.4

        공정가치 회계는 미래의 기업성과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특히, 2011년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해 상당히 많은 항목에 대해 공정가치 평가를 선택적으로 또는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가치의 이론적 정의에 의하면 성과 예측에 대한 유용성은 당연할 것으로 기대되나, 전통적으로는 공정가치 측정의 신뢰성 문제와 최근에는 실무적으로 부적절한 적용에 의해 파생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면, 미국 발 금융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공정가치 회계의 부적절한 적용이 거론되었으며, 공정가치를 매개로 한 금융가속기(financial accelerator)현상, 공시가격이 없는 금융상품의 평가여부를 재량적으로 결정하는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에 대한 이견이 있는 시점에, 공정가치 평가정보가 역사적원가에 의한 경우보다 기업성과 전망에 증분적 정보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정가치 회계는 전통적으로 신뢰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공정가치 측정오류와 평가자산의 미래 가격변동성이 신뢰성 결정요소로 알려져 있는바(Sunder 2008), 두 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오류와 관련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가격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관리수준이 공정가치 평가정보의 기업성과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열체계가 높은 Level 1의 경우 공시된 시장가치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로 측정오류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Level 3는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로 측정오류가 가장 높을 것이다. Level 2는 직·간접적으로 관측 가능한 변수에 의해 평가되므로 측정오류는 중간 정도일것이다. 즉, 서열체계가 낮을수록 측정오류가 증가하여 신뢰성이 낮아지므로 공정가치의 정보효과가 감소할 것이다. 기업에서의 시장위험관리는 신중한 투자의사결정, 파생상품을 통한 시장위험 회피, 위험관리 보고서의 주기적 작성 및 보고와 같은 내부통제절차 등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위험관리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평가자산 가격의 변동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바, 신뢰성이 높아지고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분석결과, 공정가치 평가손익은 미래 당기손익, 금융상품 처분손익 및 처분손익을 제외한 손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적 원가로 평가한 경우보다 미래성과 전망에 대한 증분적 정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회계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된 공정가치 회계가 도입 목적에 부합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단, 이러한 결과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전반적 결과이므로 세분화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측정오류가 적은 Level 1으로 평가한 공정가치 정보만이 미래성과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서, 서열체계가 낮은 투입요소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는 유용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Level 3에서 공정가치 평가가정 및 방법 등을 충실하게 공시한 경우에는 미래성과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대상을 확대하려는 기준서 개정안에 대해 채택 전에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의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평가방법 등에 대한 충실한 공시의 유도가 중요함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시장위험관리 수준이 높아 평가 자산의 미래 가격변동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 평가의 미래전망가치가 증가함을 제시하였다. 한편, Level 1으로 측정된 경우라도 위험관리 수준이 낮은 표본에서는 공정가치 평가정보와 미래성과와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측정오류가 낮은 경우에도 미래 가격변동성이 큰 경우에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공정가치 회계에 대해 미래성과 전망의 관점에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실시하여, 실무적으로 기준서 개정 및 개선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pplication of fair-value accounting keeps expanding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he provision of useful information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Particula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IFRS in 2011, companies began to apply fair-value evaluation for considerable elements selectively or compulsorily.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fair-value evaluation presupposes that it is useful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s. However, the usefulness of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lack of its reliability of measurement and its inadequate application. An inadequate applic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was pointed out as a cause fo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Critics also raised several problem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such as the problem of financial accelerator phenomenon mediated by fair-value and the problem of selective evalua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with no quoted prices and so forth. The role of fair-value accounting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is an important empirical research question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purpose of its initial introduction has been questionable as a result of its lower reliability than its historical cost measurement.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mainly focused on the topic of value relevance of fair-value under the presupposition of the market efficiency. That i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analyzed whether or not the valuation price based on fair-value evaluation is reflected in the stock price. Whether or not the fair-value accounting provides forward-looking informa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 however, cannot be identified only with analyses of its value relevance. From the affirmative perspective, the fair-value accounting is reported that it reflects economic reality by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about the asset values of a company. The information about a financial condition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is expected that it would provide more useful contents about core elements, such as corporate liquidity, its future solvency, and the necessity of extra financing, because it reflects economic realities better than historical cost-based evalu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about the financial performance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how efficiently management has used the company`s resources. To the contrary, however, some criticism to the fair-value accounting has been rais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problem of reliability of measurement, there are possibilities of intrinsic measurement error and management-induced error. Second, despite the accuracies of measurements at present, the future volatility in the valuation asset prices will decrease the usefulnes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this study identifies that fair-value-based valuation has mor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than historical cost-based valuation. By analyzing empirical dat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satisfies the initial purpose of its intro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measurement error and price volatility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The results identify that the fair-value information evaluated by Level 1 h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indicating that the fair-value evaluation not based on observable inputs from quoted prices in active market may not be useful. The fair-value evaluation, however, ha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even at Level 3 w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ssumption and methods of fair-value evaluation is disclosed faithfully.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redictive value of fair-value evaluation information increases when the level of a company`s general market risk management increases. That is, this study identifie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and the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for sub-samples with high risk management level.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regardless of the high level of fair-value information hierarchy, the usefulness of fair-value evaluation decreases when the price volatility is high.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xtant literature on fair value accounting and provides useful insights to regulators in the process on IFRS revision pertaining to fair value accounting.

      • 농업·농촌 공익적가치의 경제적 평가 방법론 비교 분석

        이현경 ( Hyeonkyeong Lee ),신용광 ( Yongkwang Shin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농업·농촌이 지닌 재화나 서비스는 식량을 생산하는 본원적인 기능 이외에도 사람들의 효용을 증진시키는 긍적적 외부효과로서 공익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공익적 가치는 시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적정한 가격을 평가하기 어렵고 시장으로 내부화시키기도 어려운 가치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익적 가치를 경제적으로 평가하여 가치 즉 값을 부여함으로써 이들의 적정한 가치를 계측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시장재화의 경제적 평가방법들의 특징과 장단점들을 비교하고 편익이전 방법론의 의의와 장단점을 제시하여 공익적가치의 경제적 평가와 정책적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판단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의 경제적 가치평가 등에 관해 연구된 선행자료들을 살펴보았으며 경제적 평가분석방법들의 이론적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익적 기능의 경제적 평가는 다원적 기능이 지니는 평가액 산정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방법론으로 가상가치법(CVM)과 대체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가상가치법의 최대 장점은 질문자가 제공한 정보로부터 얻어진 평가액이 후생변화분의 보상변분, 등가변분이라는 명확한 경제적 의미를 갖기 때문에 부가적인 가정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대체법의 장점은 개개의 기능별 평가가 가능하고, 구체적인 재화나 서비스를 이용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에서는 경제적 평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편의(bias) 발생 가능성이나 비시장재와 동일한 기능을 지닌 대체가능한 시장재가 존재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등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은 제시되지 못하였다(Table 1). 또한 이렇게 구해진 경제적 가치는 그 지역이나 해당 기능에 국한된 공익적가치의 경제평가액으로서 지역별이나 기능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보조금의 산정이나 정책수립과 같은 상황에서 매번 이러한 공익적 가치를 새로이 평가한다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비용적 측면에서 큰 제약요건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익적 가치를 보편타당성 있게 적용시킬 수 있는 편익이전 방법론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아직까지 편익이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그에 대한 효과성과 효율성을 입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이것을 통해 얻어진 공익적기능 가치의 평균값을 가지고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산정하는 편익-비용 평가의 값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공정가치 평가, 서열체계 및 위험관리 수준이 미래성과전망에 미치는 영향: 금융자산평가를 중심으로

        강민정,이호영 한국회계학회 2014 會計學硏究 Vol.39 No.4

        공정가치 회계는 미래의 기업성과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특히, 2011년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해 상당히 많은 항목에 대해 공정가치 평가를 선택적으로 또는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가치의 이론적 정의에 의하면 성과 예측에 대한 유용성은 당연할 것으로 기대되나, 전통적으로는 공정가치 측정의 신뢰성 문제와 최근에는 실무적으로 부적절한 적용에 의해 파생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면, 미국 발 금융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공정가치 회계의 부적절한 적용이 거론되었으며, 공정가치를 매개로 한 금융가속기(financial accelerator) 현상, 공시가격이 없는 금융상품의 평가여부를 재량적으로 결정하는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에 대한 이견이 있는 시점에, 공정가치 평가정보가 역사적 원가에 의한 경우보다 기업성과 전망에 증분적 정보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정가치 회계는 전통적으로 신뢰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공정가치 측정오류와 평가자산의 미래 가격변동성이 신뢰성 결정요소로 알려져 있는바(Sunder 2008), 두 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오류와 관련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가격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관리수준이 공정가치 평가정보의 기업성과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열체계가 높은 Level 1의 경우 공시된 시장가치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로 측정오류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Level 3는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로 측정오류가 가장 높을 것이다. Level 2는 직·간접적으로 관측 가능한 변수에 의해 평가되므로 측정오류는 중간 정도일 것이다. 즉, 서열체계가 낮을수록 측정오류가 증가하여 신뢰성이 낮아지므로 공정가치의 정보효과가 감소할 것이다. 기업에서의 시장위험관리는 신중한 투자의사결정, 파생상품을 통한 시장위험 회피, 위험관리 보고서의 주기적 작성 및 보고와 같은 내부통제절차 등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위험관리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평가자산 가격의 변동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신뢰성이 높아지고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분석결과, 공정가치 평가손익은 미래 당기손익, 금융상품 처분손익 및 처분손익을 제외한 손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적 원가로 평가한 경우보다 미래성과 전망에 대한 증분적 정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회계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된 공정가치 회계가 도입 목적에 부합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단, 이러한 결과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전반적 결과이므로 세분화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측정오류가 적은 Level 1으로 평가한 공정가치 정보만이 미래성과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서, 서열체계가 낮은 투입요소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는 유용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Level 3에서 공정가치 평가가정 및 방법 등을 충실하게 공시한 경우에는 미래성과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대상을 확대하려는 기준서 개정안에 대해 채택 전에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의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평가방법 등에 대한 충실한 공시의 유도가 중요함을 암... The application of fair-value accounting keeps expanding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he provision of useful information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Particula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IFRS in 2011, companies began to apply fair-value evaluation for considerable elements selectively or compulsorily.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fair-value evaluation presupposes that it is useful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s. However, the usefulness of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lack of its reliability of measurement and its inadequate application. An inadequate applic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was pointed out as a cause fo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Critics also raised several problem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such as the problem of financial accelerator phenomenon mediated by fair-value and the problem of selective evalua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with no quoted prices and so forth. The role of fair-value accounting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is an important empirical research question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purpose of its initial introduction has been questionable as a result of its lower reliability than its historical cost measurement.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mainly focused on the topic of value relevance of fair-value under the presupposition of the market efficiency. That i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analyzed whether or not the valuation price based on fair-value evaluation is reflected in the stock price. Whether or not the fair-value accounting provides forward-looking informa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 however, cannot be identified only with analyses of its value relevance. From the affirmative perspective, the fair-value accounting is reported that it reflects economic reality by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about the asset values of a company. The information about a financial condition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is expected that it would provide more useful contents about core elements, such as corporate liquidity, its future solvency, and the necessity of extra financing, because it reflects economic realities better than historical cost-based evalu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about the financial performance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how efficiently management has used the company’s resources. To the contrary, however, some criticism to the fair-value accounting has been rais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problem of reliability of measurement, there are possibilities of intrinsic measurement error and management-induced error. Second, despite the accuracies of measurements at present, the future volatility in the valuation asset prices will decrease the usefulnes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this study identifies that fair-value-based valuation has mor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than historical cost-based valuation. By analyzing empirical dat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satisfies the initial purpose of its intro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measurement error and price volatility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The results identify that the fair-value information evaluated by Level 1 h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indicating that the fair-value evaluation not based on observable inputs from quoted prices in active market may not be useful. The fair-value evaluation, however, ha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even at Level 3 w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ssumption and methods of fair-value evaluation is disclosed faithfully.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redictive value of fair-value evaluation information increases when the level of a company...

      • KCI등재

        자기자본비용을 순손익가치환원율의 대용치로 적용한 상증세법상 비상장주식평가의 적정성

        이근우,김갑순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학 연구 Vol.27 No.1

        Since costs of equity capital measured by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CAPM) ar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beta(β)of individual enterprises' systematic risk,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enterprises are reflected in the costs. In light of it,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with which method could one approach the actual stock value more closely, through analyzing differences from the current method by using costs of equity capital as the net profit and loss reduction rate in which the beta(β) of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was reflected, resulting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s a result of empirical comparison between the complementary evaluation method(Pcapm) which uses costs of equity capital measured by the CAPM as a substitute value for the net profit and loss value reduction rate and the current method(Ptax) which applied the 10% net profit and loss value reduction rate to all enterprises equ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Pcapm approached the actual stock value more closely than the Ptax.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estimated error rates, it was found that the Pcapm rather than the Ptax accounts for the actual stock value more clos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medium and small size enterprises, there showed consistently positive results by year, indicating that in order to fix the unfairness of tax burdens, one should consider costs of equity capital measured by the CAPM as a substitute for the net profit and loss value reduction rate. Third, in the current case of applying the 10% net profit and loss value reduction rate to all kinds of enterprises, one can not be free from problems of not considering the reality wher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to include costs of equity capital measured by the CAPM is a method of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ach enterprise because it considers the beta(β) of individual enterprises' characteristics, and also like the empirical result above, the Pcapm approached the actual stock value more closely than the Ptax did. Fourth, since in the case of unlisted stocks, virtually there was no the actual objective trade value, inevitably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with a sample of listed stocks, but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complementary evaluation under the inheritance and donation tax law of unlisted stocks. 비상장주식의 보충적평가방법에 대한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1주당 순손익가치 평가시 적용되는 순손익가치환원율이 평가대상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기업에 획일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증세법에서적용하는 순손익가치환원율은 금융기관이 보증한 3년 만기 회사채의 유통수익률을 감안하여 국세청장이 고시하는 이자율로 규정하고 있다. 순손익가치환원율은 상증세법상 보충적평가방법에 따른 비상장주식 평가시 1주당 순손익가치의 크기를 사실상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기업에 동일하게 적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보충적평가액이 왜곡되어 당해 기업의 경제적 실질에 바탕을 둔 객관적 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으로 측정한 자기자본비용(일종의 자본환원율)을 상증세법상 순손익가치환원율의 대용치(proxy)로 적용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상증세법상 보충적평가방법에 따라 순손익가치환원율을 모든 기업에 동일하게 적용한 평가액과 자기자본비용을 순손익가치환원율의 대용치로 사용한 평가액 중 어느 쪽이 시장가치와의 일치도가 높은가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그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기간 전체 표본기업에 대한 상증세법상 보충적평가액 Ptax와 실제주가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충적평가액 Ptax가 실제주가보다 과소평가되었다. 또한 이를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건설업의 경우에만 Ptax가 실제주가보다 과대평가되고 나머지 업종은 과소평가된 것으로 나타나 현재의 보충적평가방법으로 과세하는 경우 산업별 특성에 따라 유리할 수도 있고 불리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규모별 분석에서는 대규모 집단은 과소평가된 반면 중․소규모 집단의 경우에는 과대평가된 것으로 나타나 대규모 기업보다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있는 중·소규모기업이 오히려 더 많은 조세를 부담할 가능성이 있어 현재의 보충적평가방법은 공평과세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실제주가와 CAPM으로 측정한 자기자본비용을 순손익가치환원율의 대용치(proxy)로 사용한 보충적평가액 Pcapm간의 차이, 실제주가와 상증세법상 순손익가치환원율을 획일적으로 사용한 보충적평가액 Ptax간의 차이를 추정오차율(PE)과 절대오차율(APE)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실증결과, 개별기업의 체계적 위험인 베타(β)가 반영된 Pcapm이 Ptax보다 실제주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상증세법에 따라 국세청장이 순손익가치환원율을 고시할 때 3년 만기 회사채의 유통수익률과 함께 CAPM으로 측정한 자기자본비용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추정오차율(PE)과 함께 과소예측과 과대예측 간의 상쇄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절대오차율(APE)을 이용하여 산업별․규모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산업별 분석 결과, 추정오차율(PE)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모든 산업에서 Pcapm의 추정오차율이 Ptax보다 작았으나, 절대오차율(APE)을 이용한 분석의 경우에는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Pcapm의 추정오차율이 Ptax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제조업과 건...

      • KCI등재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양희만 대한산업경영학회 2017 산업융합연구 Vol.15 No.2

        특허 등의 지식재산권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에, 유형자산과 마 찬가지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재산인 특허권의 합리적인 가치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특허가치의 정확한 평가는 기술거래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고, 기술담보를 통한 자금력 확보와 더불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 어 특허전략 수립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허권이 얼마만큼의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크지 않다 는 것이 현실이며, 이유는 특허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너무 많고 그 속성 또한 다양하며,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또 한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 문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해 특허가치평가들을 살펴보았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특허가치평 가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소기업의 특허경영을 위한 특허가치평가에 중요한 요인들을 분석 하여, 특허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보았다. 최종적으로 나타난 중요한 요인 10개는 기술의 사업화 가능 성, 시장경쟁력, 기술의 상업화 가능성, 시장규모, 보유기술의 독창성, 권리의 안정성(무효화 가능성), 기술의 수준, 기술 경쟁력, 기술의 파급효과, 기술의 성격(원천기술/응용기술)으로 나타났다.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effec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ike patent on enterprise competitiveness is growing, rational valuation of patent rights, which are own by enterprises, is required because accurate patent valuation can bring about the activation of the technology exchange market and enhancing the values of enterprises as well as the security of funds through technology security. However, in reality, interest in the value of patent rights is not great due to many variables, affecting patent rights, and diverse attributes, and non-generalized methods of valuation. Therefore, studies on patent valuation for patent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required. This thesis examined patent valuation for the patent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and attempted to find factors, affecting patent valuation by finding patent valuation factors through experts, organizing, and analyzing these factors. 10 essential factors, which are demonstrated in this research, are the commercialization possibilities of technology, market competitiveness, the possibil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arket size, the originality of acquired technology, the stability of the right(the possibility of invalidating), the level of technology,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e ripple effect of techn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original technology/application technology).

      • KCI등재

        유형자산의 공정가치 개념과 평가주체

        김성진 ( Sung Jin Kim ),장희순 ( Hee Soon Jang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2 감정평가학논집 Vol.11 No.2

        K-IFRS가 도입되면서 기업의 유형자산의 공정가치 재평가가 허용되었다. 그러나 종전 기업회계기준과 달리 공정가치 평가주체는 명확한 규정이 없어 감정평가업자와 회계법인간에 갈등이 있다. 그래서 공정가치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공정가치의 평가주체의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논거를 필요하다. 공정가치 성격은 시장적인 요소 외에 비시장적 요소도 반영되는 가치이며 표의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공정가치가 가격으로 산정되어 재무제표에 계상되기 위해서는 평가과정을 거쳐야 하며, 그 가치판단은 감정평가업자의 업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평가주체는 감정평가업자가 되어야 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금융감독법규상 은행 등의 유형자산 담보물 공정가치 평가시 감정평가업자가 평가한 가액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둘째, 회계법인이 기업의 부동산 가치를 측정하고, 이의 적정성을 감사하는 것은 견제와 균형의 원리상 공정성과 신뢰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이는 민법상 대등한 당사자간 계약관계인 자기계약이 금지되는 것(민법 제124조)과 같은 논리로 금지되어야 한다. 셋째, 부감법 및 자산재평가법상 유형자산의 재평가는 감정평가업자의 고유 업무임을 명확하게 규정(부감법 제29조 제1항, 자산재평가법 제7조 제2항)하고 있다. 넷째, 풍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감정평가업자가 공정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부동산평가제도가 도입된 이래 40여년간 보상평가, 담보평가, 경매평가, 기업자산재평가 및 표준지ㆍ개별공시지가의 평가와 검증을 통해 감정평가에 대한 노하우(Know-how)와 방대한 자료(Data-base)를 축적되어 있기 때문이다. With the introduction of K-IFRS, revaluation of the fair value for the company``s tangible assets is allowed. Unlike the previous accounting standards, however, the absence of clear regulation regarding who should appraise the fair value has caused conflict between appraisers and accounting fir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grounds that is able to settle the controversy between two partie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fair value. In terms of the valuation of the fair value, non-market values as well as market values should be comprehensively reflected. To be recogniz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the valuation is carried out by the assesment process which is more closely referred to appraisers rather than accounting firm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for appraisers to take charge of the valuation of the fair value. The reasons why appraisers should evaluate the fair value as follows : First, under the current financial supervision system, banks and savings banks have to adopt the fair value of collateral evaluated by appraisers. Second, accounting firms which simultaneously measure the fair value of tangible assets and audit its fair value do not guarante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Third, Public Notice of Values, Appraisal of Real Estate Act and Assets Revaluation Act clearly stipulate that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is only allowed to appraisers. Finally, appraisers have accumulated a wealth of experiences, expertise, and database by performing valuation on various assets including land, real estates, and enterprise over 40 years since real estates appraisal system was introduce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appraisers should evaluate the fair value of tangible assets.

      • KCI등재

        비용접근법에 기초한 무형자산 가치평가모델

        정지명,신선윤,이영대,정슬기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4

        [Purpose] In the field of sports industry, the intangible assets of sporting companies often show discrepancies between accounting information and corporate value because of conservative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valuation model of intangible assets of sports industry based on cost approach, as a part of a method of capitalizing intangible property expenditures. And we tried to verify the valuation model of intangible assets derived from the research on actual sports companies.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various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examining related valuation methodology, legal basis, and representative valuation models were utilized.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rived model, Tobin q values were derived and compare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derived model. [Results] The financial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st approach, which enables relatively objective evaluation through the existing financial statements, and a valuation model with the procedure of duplicating the AHP evalua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intangible assets was presented.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valuation model, the valuation was conducted by putting the accounting information of the sports companies into the intangible asset valu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intangible asset value evalu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proved to be significant based on statistically high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herefore, if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evaluate the enterprise value of sports companies through the intangible asset valuation model based on the cost approach presented in this study, various types of technology financing will be possible in the sports industry. And this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growth of the sports industry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산업의 현장에서 스포츠기업들의 무형자산을 계상함에 있어, 보수적인 현행 회계기준 때문에 발생하는 회계정보와 기업가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무형자산성 지출들을 자산화 하는 방법으로서 비용접근법에 기초한 무형자산 가치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에서 도출된 무형자산 가치평가모델을 실제 스포츠기업들을 대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및 관련 가치평가 방법론, 법적근거, 대표적 가치평가모델의 고찰을 통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된 모델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Tobin q 값을 도출하고 그것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모형의 설명력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기존의 재무제표를 통해 비교적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비용접근법을 기초로 재무평가를 진행하고, 추가적으로 개별 무형자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AHP평가를 중복 실시하는 절차를 내포한 가치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가치평가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스포츠기업들의 회계정보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무형자산 가치평가모델에 투입하여 가치평가를 실시하고 그 평가결과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무형자산 가치평가모델은 통계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바탕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용접근법에 기초한 무형자산 가치평가모델을 통해 스포츠기업들의 기업 가치를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면,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기술금융이 스포츠산업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앞으로 스포츠산업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상한다.

      • KCI등재

        ROV모형에 의한 벤처기업 기술가치평가

        이보형(Bo-Hyung LEE),김동훈(Dong-Hoon KIM),오현탁(Hyun-Tak OH)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2 아태경상저널 Vol.4 No.1

        본 연구는 벤처기업이 신기술, 특허 등 측정하기 어려운 형태의 무형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고, 불확실성 또한 높아 기존의 방식인 전통적인 현금흐름할인(Discounted Cash Flow ; DCF)모형으로는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관점에서 경영자의 의사결정의 유연성에 대해 다양한 옵션을 이용함으로 미래 불확실성을 투자가치에 반영 가능한 실물옵션평가(Real Option Valuation ; ROV)모형을 검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시장에서 코스닥에 등록되어 있는 대표적인 벤처기업 117개 기업을 대상으로 2003.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변수를 추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장주가와 평가 모형을 이용한 평가가치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ROV모형으로 평가된 가치가 DCF로 평가된 가치보다 높게 나타나 벤처기업의 성장가능성을 가치에 보다 많이 반영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ROV로 평가된 가치평가의 경우 주가와의 가치 괴리율이 낮아 DCF에 의한 가치평가의 주가적중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CF에 의한 가치평가는 시장의 상황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전체적으로 가치가 저평가되고 있다는 일반적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산업별로 구분한 그룹별 ROV와 DCF 기업가치를 산출한 결과를 보면 ROV에 의해 평가된 기업가치가 DCF로 평가된 가치보다 그룹A(첨단제조업), 그룹B(S/W정보통신업), 그룹C(일반제조업) 모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ROV모형의 적절성을 보여 주고 있다. 지식자산 전환가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도 전통산업 보다 미래성장 가치가 높은 산업에서 지식자산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ROV모형이 DCF모형보다는 전통적으로 중시해 오던 실물자산가치나 수익가치 뿐만 아니라 지식자산가치의 중요성을 보다 많이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t has a lots of complains to valuate of technological venture company by using conventional valuation model on account that venture companies have many potential assets and services and uncertainties to be unable to assu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idence ROVM (real option valuation model) is more useful to valuation of technical venture company than DCFM(discount cash flow model). For the former can solve much uncertainty valuation factors and diversifiable pliability by using real option, ROVM has been long time recommened to valuate technical venture company than DCFM. As empirical testing data, we use variables derived from representative listed 117 venture companies in KOSDAQ during 2003.1-2009.12.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alue of ROVM is more by 1.64 than that of DCFM in relation analysis among market value and model value, so it has implied that ROVM has a powerful forecast on future potential value and is more useful to valuate on technical venture company. Also, in other analysis by three groups (high-tech manufacture, info-communication, gen-manufacture) and a conversion factor of knowledge-assets, ROVM shows more useful to valuate on technical venture company. In conclusion, We do like to say, for resonable assumption of high-tech variabilities caused by ventures characteristics as like the future potentials and uncertainties by using OPM, the real option model is more suitable and valuable than conventional discounted cash flow model.

      • KCI등재

        공공조직의 공공가치 창출 및 관리를 위한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주은혜 ( Eun Hye Ju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8 정부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경제적 가치의 실현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현 공공조직 성과평가체계의 한계를 인식하고, 공공조직의 운영의 성과를 공공가치의 실현 및 창출의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공공조직이 지속적으로 공공가치를 실현하고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평가모형 및 관리도구를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공공가치의 창출 및 관리를 위한 평가모형(이하 공공가치 창출 평가모형)의 개발을 위해 신공공관리론의 보완적, 혹은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논의되고 있는 공공가치 접근(Public Value Approach)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그 내용적 속성을 다음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목적(공공가치)’, ‘가치의 결정주체’, ‘공공관리자의 역량’, ‘네트워크 거버넌스’, ‘결과’ 차원이 그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공공가치 창출 평가모형의 평가차원으로 설정하고 각 평가차원에 대한 평가기준 및 평가지표 등을 설정하였다. 이후 평가모형의 타당성 및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특정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공가치 지수(Public Value Index, PVI)로 제시하였다. 신정부의 출범과 함께 공공조직의 공공성 확보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가치 창출 평가모형이 그 대안적 관리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sed on recognition that the exist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realization of economic values, has limitations to properly measure and assess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in which the objective should be realization of various intrinsic values, the evaluation model for creating and managing public value was developed to redefine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as the creation of public values, and to suggest guidelines and ways of improving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o achieve such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study on major studies of public value approach, discussed as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paradigm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based on Moore's 'Creating Public Value(1995),' to develop the management model for creating public value. Attributes of the public value approach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five dimensions: goal (public value), decision-maker of value, capability of public manager, network governance, and results. Dimensions were composed as a managerial dimension to guide creating public value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detailed indicators for each managerial dimension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model for creating and managing public value will contribute to new ideas and improvement of such methodology in addressing such missions of the public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