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하소설의 창작 방법론

        이동재 ( Dong Jae Lee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기존의 소설 창작론은 일반적으로 단편소설과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이 글에선 대하소설의 주요 특징을 중심으로 대하소설의 창작 방법을 모색해 본 것이다. 필자는 먼저 대하소설이 역사소설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소설의 발상은 대개 개인의 경험이나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하소설은 역사소설일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작품의 발상의 근거가 역사적 사건이나 역사적 인물일 경우가 많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역사에 대한 태도다. 역사에 대한 태도는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의미인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대하소설을 통해서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가 결정되었다면 작가는 어떤 역사를 어떻게 호출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이 지점에서 작가의 세계관과 시대정신은 충돌하거나 맞물리게 된다. 다음으로 대하소설의 구성 방식이 가족사·연대기 기법의 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토지』 처럼 수백 명에 달하는 등장인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사건을 구성해나가기 위해서 대하소설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구성 기법이 가족사·연대기 기법이다. 인물은 가족 단위로 묶고 사건은 연대기 방식으로 이어나가는 것이다. 시간적 순서대로 사건을 서술한 것을 스토리라 하고 사건의 인과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을 플롯이라고 하는데 근대소설의 구성은 주로 플롯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하소설의 구성은 플롯과 스토리가 적절히 혼합된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그것이 한국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특징이다. 가족사 소설엔 적어도 2대 이상의 가족이 등장하여 그 가족의 흥망성쇠나 세대별 부침과 변화의 과정이 그려지며, 여러 가족의 세대사가 동시에 얽히고설키면서 펼쳐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가족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또 때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대하소설로서의 가족사 소설에선 특정 가족이 작품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한 가족 내에서도 특정 세대가 구심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가는 개별 등장인물들을 한 가족의 가족사 안에서 서사화 하는 동시에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만남이나 다른 가족사와의 충돌 과정을 그려나가야 한다. 세대와 세대를 연결해주는 중심 세대의 인물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인물들이다. 대하소설은 이런 인물들을 통해 각 지역의 서사가 폐쇄적인 서사로 끝나지 않고 서로 연결되면서 대하적인 흐름의 서사로 거듭날 수 있게 한다. 대하소설의 작가는 이렇듯 경계를 넘나드는 인물들과 감초 역할을 하는 인물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개별 가족과 개별 지역의 서사를 하나로 통합해 가는 구성의 과정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연대기 소설의 구성은 말 그대로 사건이 연대기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건들 사이의 유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를 중요시하는 근대 소설의 플롯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가는 소설의 구성이 지나치게 스토리적인 흐름으로 흐르지 않고, 구체적이고 세밀한 사건의 인과관계에 의한 연결이 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Most of the existing story creation theory is generally intended for short stories and full-length novels. In this essay I find ways to create stories laying stress on major features of saga. To begin with, I take note of the fact that a saga is a historical novel. In that ideas of novels are mostly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or historical facts, a saga can be a historical novel. It means ideas for stories are mostly based on historical facts or historical figures. At this point, what counts is the attitude toward history since it affects the writer`s intention and themes. Once what a writer is trying to say in a saga is decided, the writer has to think of what part of history to show and of how to represent them. In that moment, the writer`s world view and the spirit of the time clash or go well. Secondly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ormat or composition of a saga is closely related to family history and chronicle. The saga like『Toji』has hundreds of characters and most of saga use novel techniques of family history and chronicle to manage all the characters effectively for the well-constructed novel. The basic unit of characters is family and events are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While ``story`` is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plot`` stresses on cause-and-effect relationship. Modern novels mostly use ``plot``, but a saga has its own ``story`` and ``plot``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novel of family history and chronicle. A family history novel has at least two generations and shows the rise and fall of the family, ups and downs of the gener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s. At the same time it unfolds intricate, knotty problems of several generations of the family. These families are closely related with one another and sometimes live independent lives. A certain family in a family saga can play a pivotal role, and a specific generation in one family can play a leading part. Therefore a writer should describe individual characters in family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the meeting of other members and the process of clash with another family history. Characters who link space with space are as important as characters who link generation with generation. These characters make the saga interconnected description, not closed one. These characters of a saga playing important roles beyond boundary should be well arranged to unify the separate family and different region into one as a whole. Chronicle novels which literally focus on chronological order are often far from ``plot`` of modern novels which stress on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a writer has to pay attention to well-constructed novels that have specific events and well arranged with causal connection. (A writer should make the story specific and well organized with causal connection.)

      • KCI등재

        ‘여인의 일생’과 가족사 소설의 현대적 변용 연구 ― 「파친코」, 「알로하, 나의 엄마들」, 「밝은 밤」을 중심으로 ―

        강유진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3 No.-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writers’ novels, represented by Pachinko, Aloha My Mothers, and Bright Night, lie in the narrative of the maternal family and the transformation of “a woman’s life.” All of these novels focus on the “life of a mother” who survived th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and maintained her family in the absence of her husband. The core narrative common to these novels is that a typical Joseon woman is located at the very center of modern history, not as an outsider or as an eyewitness, and that we exist today thanks on them. In this study, recent novels of which these three are representative are argued to have inherited the existing tradition of “a woman’s life” and the narrative of women’s ordeals. In addition, Judith Butler’s theory of subjugation and subject establishment was applied to determine in what way they differ from earlier family history novels. Pachinko (Lee Min-jin), Aloha My Mothers (Lee Geum-i), and Bright Night (Choi Eun-young) are all family narratives that show the process of subordination and the subjectification of the power structure. These novels are matrilineal family history novels that inherited and developed the existing family history novels so that a woman, not a male patriarch, is at the center of the family history. This fact is significant in that these novels represent the successors to traditional narratives and hold out the possibility of a new development that has been noted as one of the new trends in recent long novels. 이 글은 「파친코」, 「알로하, 나의 엄마들」, 「밝은 밤」으로 대표되는 여성 작가의 장편소설의 특성이 모계 가족 서사에 있다고 보고, 이를 고전 서사 양식인 ‘여인의 일생’의 변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소설들은 모두 식민지 시기와 한국전쟁 시기를 두루 겪으며 남편이 부재한 상황에서 가정을 지켜온 ‘어머니의 일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근현대사의 외부자로서 혹은 목격자로서 그것을 서술하는 방식이 아닌 역사의 가장 한 가운데에 전형적인 조선의 여인이 자리하고 그들을 뿌리 삼아 지금의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이 이들 소설이 공통으로 보여주는 서사의 핵심이다. 이 연구는 이 세 소설로 대표되는 최근의 소설들이 기존의 ‘여인의 일생’과 여성 수난사 서사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기존의 가족사 소설들과 어떤 점에서 차별되는지를 주디스 버틀러의 예속화와 주체정립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파친코」(이민진), 「알로하, 나의 엄마들」(이금이), 「밝은 밤」(최은영)은 모두 권력구조의 예속화와 주체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가족 서사로 가족사의 중심에 남성 가부장이 아닌 여성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가족사 소설을 계승, 발전한 형태의 모계 가족사 소설이다. 이는 전통 서사의 계승과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최근 장편소설의 새로운 경향의 하나로 주목된다.

      • 여성 가족사 소설의 '의례와 연대성'-<토지>, <미망>, <혼불>을 중심으로

        오세은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여성문학연구 Vol.7 No.-

        The Feminine Family History Novel to be studied in this article deals with a chronicle report of a family focusing on daughters or daughters-in-laws. They are mainly written by women novelists, and broke the mirror of Family History Novels that were based on patriarch values. In Feminine Family History Novels, honor and authority of family that are getting degraded due to the disappearance of Real Patriarchism and lethargy, are restored by women. Family rituals are performed by women. They restore the glory of the family, and enforce their rights in the family. They make authority shift by acquiring the women oriented unity. In these novels, authors present diversified rituals from birth, marriage to death and memorial services. Accordingly,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itual ceremonies, and their meanings represented in the Feminine Family History Novel. In the novel, various kinds of ritual ceremonies of family members hosted by a new woman leader create a new spirit, and strengthens the new hierarchy. First, in "Toji (Land)", family rituals are forced as consciousness solidarity by the people who are out of status and blood category. Although, there were no relatives of the heroine by blood and they could not feel solidarity experienced by sharing family consciousness in this novel, we can experience unity of consciousness that is over blood relationships when facing the nuin of Choi's family by surrounding people. Second, in "Mimang" rituals show civilized mixed unity that is driven by third parties out of pure bloodline of family and a matriarch. In this novel we can see the mixed multiple characteristics where family rituals and characteristics are separated from patriarch center and multiplexed. Third, in "Honbul" family rituals such as wedding, birth, and memorial services expand the value of Lee's family that is the head family. However, although, the rituals were driven by the matriarch in this novel, the spirit remained in the patriarch consciousness. As above "Toji", "Mimang and "Honbul", rituals were driven by women, or diversified surrounding people, not by men, so that the authority of family was shifted from the patriarch system. Women show their qualifications as a hostess by performing family rituals as a daughter and daughter-in-law. Therefore, female family history novels cause the shift of authority and power by making a heroine perform family rituals that used to be performed by men, restoring the glory of the family, enforcing the authority and power of women and acquiring women oriented unity. 이 글은 현대 소설사에서 가족 소설의 계보학이 전적으로 남성적인 보편성 속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던 것에 주목하여, 가족 소설에서 쑈 담론의 일단을 모색하고 여성 가계의 의미 확장을 시도해 보려는 의도이다. 가족 소설에서 쏘 담론의 확장이 어떻게 여성이라는 타자를 중심으로 하여 전통 가족의 질서를 전복 해체시키며 이질화되어 여성 가계 중심의 서사체를 형성하는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가족 소설에서 쑈 담론의 양상과 그 일환으로서 여성 가계 구조를 주된 논제로 삼으려는 이유는 이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고서는 완전한 의미의 현대적 가족소설을 구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서사체에서 여성의 가계는 아버지 - 아들을 위해, 혹은 아버지와 남편을 가장으로 이상화하기 위하여 억압되어 왔다. 하지만 현대의 가족 소설에서 가계의 연대성은 주체인남성 가계를 근거로 하기보다는 타자인 여성 가계나 다양화한 주변 인물로 대체되곤 해 왔다. 이와 함께 여성 작가들 내부에서는 전통적인 가족 질서에 대한 전복의 욕망을 지속적으로 꿈꿔왔다. 여성 가족사 소설에 나타난 전복의 욕망은 가족의 중심 권력을 이동시켰고 여기서 가장대표적인 주제 단위가 바로 '가족 의례 '이다. 박경리의 <토지>, 박완서의 <미망>그리고 최명희의 <혼불> 등 여성 가족사 소설에서는 주요'가족 의례 '인 탄생 의례, 혼인 의례 그리고 조상 숭배와 이 모두 가문의 딸이나 며느리의 주관 하에 진행된다. 아버지와 남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통 가족의 신념을 유지 복원하려는 의도가 이들의 행위에 기본이 되는 것이다. 여성 가족사 소설로서 이들 작품에서, 딸혹은 며느리로서 여성은 가족 의례를 행사함으로써 비로소 가문의 내실 있는 안주인의 권위를이루고, 여성 중심의 연대성을 획득하는 권력 이동의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 KCI등재

        일제 말기 소설 유형의 탈식민성 연구

        장성규(Jang Sung-Kyu)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일제 말기 전대의 문학적 지향이 사라진 시기, 작가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문학적 지향을 모색한다. 이는 특히 한국 근대 문학을 형성한 세 가지 경로, 즉 조선 고전 서사의 전통, 일본 자연주의 문학, 서구의 노벨 양식에 대한 정치한 재인식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당대 일련의 동양 담론의 확산 속에서 조선의 고전 서사 양식인 역사서술을 차용하여 리얼리티와 픽션의 이중적 구성을 내포하는 역사소설 유형이 대두하며, 일본 자연주의 문학의 사소설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자아’를 둘러싼 현실과 길항하는 우회적 글쓰기 전략으로서의 ‘사소설’ 유형이 대두한다. 그리고 서구 노벨 양식 중 조선의 특수한 근대성을 해명하기 위한 소설 유형으로 가족사 연대기 소설 유형이 대두한다. 이러한 소설 유형은 전대에도 존재했으나, 이 시기 유독 강력한 문학적 흐름을 형성한다. 이들 소설 유형은 그 원천을 단순히 모방, 반복한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문제설정 속에서 일제 말기 작가 의식을 표출하는 양식으로 기능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역사소설은 당대 민족주의와 체제협력 사이에서 균열된 정체성을 표출하며, 조선적 ‘사소설’은 신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문학적 전략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가족사 연대기 소설은 당시 ‘근대의 초극’ 담론에 포획되지 않는 조선적 특수성을 해명하기 위한 작가들의 문제설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일제 말기 새롭게 대두하는 소설 유형들은 각기 그 원천에 대한 다양한 탈식민적 전략을 통해 당대 작가의식을 모색하기 위한 글쓰기 양식으로 기능했다. 그리고 이는 소설의 내용과 형식의 이분법적 구도로 포착되지 않는 일제 말기 작가의식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징후로 재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when the literary investigation of the past disappeared, writers pursued new literary searches in different kinds of ways. They wanted to create the novels in a new pattern. For this, they ne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three constituents: Joseon's traditional narrative, Japan's Naturalism literature, and European novel patterns, which are said to stimulate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novel. In the conclusion of writers' investigation, a historical novel pattern, an autobiographical novel pattern, and a family's chronicle novel pattern appeared. Firstly, the historical novel pattern implied a dual constitution of both the reality and the fiction. It borrowed Joseon's traditional historical narrative in the spread of a series of 'Orient' discourses. Secondly, the autobiographical novel pattern was a kind of roundabout writing strategy which connote the ego's competition with the real world. It resulted from the reperception of Japan's autobiographical novels, which was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ism. Thirdly, the family's chronicle novel pattern was to elucidate Joseon's particular modernity borrowing the western novel pattern. Of course, these three novel patterns existed in the former period. But it is important that these became, in this period, the main and powerful stream of the literature on a sudden. We ne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se novel patterns in the literature history, because they are the consequences of each writer's competitons with the real world. Writers neither imitated nor repeated these three novel patterns. They tried to change the patterns in their own ways to show their critical mind. In brief, the historical novel showed the broken identity between the Nationalism and the Japanophilism, the autobiographical novel was used as an literary strategy competing the fascism in those days, and the family's chronicle novel showed writer's struggles to explain Joseon's extraordinary modernity in the different ways from the 'overcome of the modern' discourse. New novel patterns like these, which were decolonial changes of the fountainheads, re-appearing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functioned as a writing strategy in which writers showed their own critical mind. We can revaluate these new novel patterns as important symptoms to elucidate the writers' critical minds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It is because the critical minds of writers in those days are not captured in dichotomous eyes of form and matter.

      • KCI등재

        소설의 크로노토프와 여성서사 시학(3)

        안숙원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여성문학연구 Vol.15 No.-

        Chronotope in the Novel and Poetics of Female Discourse ― Focusing on Honbul of Choi, Myoung-Hee ―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KRF-2002-050-A00015) Ahn, Sook-Won* I have examined a novel of womans' family history Honbul and the chronotope of death. The chronotope of death is divided into reality and semiotic death ; the former is tombs of Mrs. Chungam while the latter is many kinds of rites relating to the death of characters and folk customs. This includes the following : performance of a soul marriage of a dead boy and girl, funeral, the rite of making evenly tomb, the rite of the finishing cry, a blue fire from the dying person's body, losing flesh from the dead body, destroying Mrs. Chungam's grave and burying Hongsool's bones there by Mandong, a letter of the sacrificial rite, and a tombstone of a virtuous woman, etc. Thus death is the kernel narrative of Honbul, and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re possessed by thanatos. Also, the death becomes a seed of life, so it's considered as a progress of a shift in generations. That is an ambivalence. Therefore, Honbul is a festival of flesh and bone based on the eternal, circulating ontology of Korean people. It has been said that human-beings have affection together with flesh and works with bones. As Mrs. Chungam decided to rebuild a declining head family of Maean Lee, she gives her word, ‘I will rebuild my bones by myself’ without her husband to share affection with. The main subject of Honbul is the suffering history of women as a ruined nation's people, without a father in a patricentric society where father is country and mother is nation. Moreover, when making a new family name was enforced by colonizers of Japanese imperialism, a conflict between the family name of Maean Lee trying to keep seed(=blood), and Gumanggul, Goribaemi (the lowest class in contemporary society) to take revenge on Maean Lee's family and the upper class by changing family name became conspicuous. Honbul is an open text without plot, closure. Then it brings about talkative, extended rhetoric, parade of episodes, zero of narrative speed, achronicle, it maintains coherence of the text by individuality, similarity of motives, and association instead. It's like a part of Pansori. Even though, in Honbul the woman narrative enhances feminity with discourse on female's body and evaluation of domestic-affairs, it's an antifeminism text that characterizes a patriarchal wife of the head family. None the less, the great figuration and vivid descriptions by accomplishing poetic style as an absorption of magic power in Honbul makes us identify the life of the antifeministic head family's wife with male's point of view 본고는 여성가족사소설 『혼불』과 죽음의 크로노토프를 검토한 것이다. 죽음의 크로노토프는 실제 장소와 기호학적 죽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청암부인의 무덤, 후자는 인물들의 죽음과 죽음에 관련된 각종 의례, 민속소재들-망혼제, 평토제, 혼불, 투장, 제문, 열녀비, 액막이연…… 따위로 제시된다. 이처럼 죽음은 『혼불』의 서사소(narrativity)로서 작중인물들은 타나토스에 깊이 강박돼 있다. 하지만 그 죽음은 생명의 씨앗이 되어 조상과 자손의 세대가 교체, 지속하는 자연의 로고스로 간주된다. 죽음의 크로노토프에서 보자면, 『혼불』은 영생, 순환하는 한국인의 존재론을 서사화한 살(肉)과 뼈(骨)의 축제다. ‘살로는 情을 나누고, 뼈로는 일을 한다’고 했다. 청암부인이 몰락한 종가를 ‘내 홀로 내 뼈를 일으키리라.’고 다짐하듯 일제 치하 망국민으로 무기력한 남성을 대신해 종가를 지켜낸 여성 3대(청암부인-율촌댁-효원)를 비롯, 민족의 보존을 떠맡은 여성들의 수난사가 『혼불』의 기둥줄거리다. 하지만 플롯층위에서 『혼불』은 플롯없는 열린 텍스트이다. 장황한 수사, 에피소드들의 나열, 시간모순 등으로 시점의 혼란이 많고 결말다운 결말이 없다. 이를 판소리와 같은 부분의 독자성으로 볼 수도 있지만 소설담화의 적정성을 고려하면 서사단위들의 파편화를 응집하는 데도 크로노토프는 유용한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혼불』은 일제 치하 창씨개명과 더불어, 냇물을 사이에 두고 원뜸/아랫몰의 지지적 공간분할에 따른 예각화되는 것을 통해 가계연속성 욕망과 민족주체성을 동일시한 여성가족사소설의 특성을 보여준다. 동시에 『혼불』은 여성신체의 풍요원리, 집안살림의 내공쌓기로 여성성을 고양시키고 자력으로 가문의 혼불이 된 종부를 통해 타자의 디스코스를 재현했다. 무엇보다 언술층위에서 『혼불』은 전통사회 여성들의 구연담화와 내간체의 기록담화를 혼합하고, 흡인력을 발휘하는 풍부한 비유와 생기있는 묘사로 소설언어의 영역을 최대한 확장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박경리의 《토지》와 바진(巴金)의 《격류삼부곡》 비교 고찰 : ‘가족사소설’의 관점에서

        김은경(Kim Eun-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9

        본고는 박경리의 《토지》와 바진의 《격류삼부곡》을 ‘가족사소설’의 관점에서 비교 연구함으로써, 두 작품을 상호조명하여 상대화된 특질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두 작품에 대한 비교는 가족사소설의 핵심갈등축인 세대갈등과 남녀갈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격류삼부곡》의 세대갈등은 ‘전통(옛 것, 봉건)=구세대=부정적인 것=열등한 것’, ‘새로운 것(반봉건)=신세대=긍정적인 것=우월한 것’이라는 이원적 가치판단을 담지하며, 혼인제도를 중심으로 제한적인 차원에서 전개된다. 《토지》의 세대갈등은 《격류삼부곡》에 나타나는 이원적 가치판단을 해체하며, 다각적인 차원에서 전개된다 한편, 《격류삼부곡》의 남녀갈등은 세대갈등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며 전개되는데, 혼인자유를 추구하는 인물들의 자유연애가 순혈주의적 면모를 보임으로써 체제 전복의 혁신성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강요된 결혼의 희생자들이 요절하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체제에 대한 위협을 간접적으로 드러내 보인다. 《토지》의 남녀갈등은 잔존하는 봉건적 유습을 극복하는 기제로 작동함으로써, 체제 전복의 혁신성을 담지한다. 신ㆍ구에 대한 이원적 가치판단에 기초하여 신ㆍ구의 ‘대결’ 양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격류삼부곡〉이 ‘급진적 진보에 대한 열망’을 드러낸 작품이라면, 신ㆍ구에 대한 이원적 가치판단을 해체하면서 봉건적 유습의 ‘극복’ 양상을 보여주는 《토지》는 ‘점진적 진보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is essay aims to illuminate each other through Comparative Study on Park, Kyung Ri'sToji and Pa Jin's The Turbulent Trilogy from the viewpoint of 'The Family Novel'. The central conflicts of the Family Novel are Conflicts of Generations, Conflicts of Man-Woman. This essay focus on these conflicts. The dual value judgement immanent in the Conflicts of Generations of The Turbulent Trilogy. That is, there are following value judgement ; 'Tradition (The Old, feudalism)=Old Generation=the Negative=the Inferior' and 'the New (anti-feudalism)=New Generation=the Affirmative=the Superior'. And the Conflicts of Generations are limited to the marriage system. The dual value judgement of The Turbulent Trilogy are deconstructed in the Conflicts of Generations of Toji which are developed multi-dimensionally. Meanwhile, the Conflicts of Man-Woman of The Turbulent Trilogy are subordinated to the Conflicts of Generations and do not have the Reformativeness because of the 'the principle of pure blood'. On the contrary, the Conflicts of Man-Woman of Toji au as the mechanism of overcoming the feudal tradition, so that these Conflicts are reformative. The Turbulent Trilogy developed centering around the aspects of confrontation of the New and the Old based on the dual value judgement reveal 'the desire for radical progress'. On the Contrary, Toji showing the aspects of overcoming the feudal tradition deconstructing the dual value judgement suggest 'the belief for gradual progress'.

      • KCI등재후보

        1930년대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형식과 이데올로기

        이혜령 상허학회 2003 상허학보 Vol.10 No.-

        이 논문은 1930년대 후반 대하, 봄, 탑 등의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형식은 자연적 연속성과 역사적 목적론이라는 두 가지 시간적 계기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논증하였다. 후자가 이들 소설의 소년 주인공에 의해 표상된 근대주의적이고 단선적인 시간이라면, 전자의 시간은 가부장에 의해 관장되는 시간으로서 자연의 순환론적 시간의 경향을 띤다. 이 두 시간적 계기는 상반된 것처럼 보이지만, 역사를 사사화 하고 근대에 대한 성찰적 반성이 없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 결과, 가족사연대기 소설은 근대주의 양식과 전통적 모티프의 결합이라는 파시즘의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낳게 되었다. 한편, 가족사연대기 소설은 하층민과 여성을 재현하는 데 있어서 남성 엘리트 중심적 방식을 드러냄으로써, 1920~30년대 한국근대소설사에 일관되게 나타난 재현의 질서와 그 메커니즘을 투명하게 보여주었다. In this thesis, I examined form and ideology of Korean family history- chronicle novels in the late 1930s, focusing on time consciousness. These novels, Kim, Nam Chun's A Large Liver[Daeha], Lee, Ki Young's Spring [Bom] and Han, Seol Ya's A Pagoda [Top], have common fea- tures in sense of that their form is made of time consciousness of natural continuity and historical teleology. The former is time conscious- ness controled by patriarches, while the latter is controled by modernism represented as young men in these novels. At the first glance two they seem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n fact, they have common principles of privatization of histories and uncritical attitude of modernity, which is also appeared in oder and manner of representation of class and gender. In theses novels, patriarches and young men as elite men was repre- sented as ascetic self by contrast with females and subalterns. Consid- ering combination of modernist mode and traditional motif as a type of fascist ideology, form of these novels, mixing paternalism and moder- nism, cannot help causing in ideological effects of fascism. Moreover, order and manner of representation in these novels was based on imagi- native geography of Imperial Japan.

      • KCI등재후보

        소설의 크로노토프와 여성서사시학 (2)― 미망을 대상으로 ―

        안숙원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여성문학연구 Vol.13 No.-

        North Korea. Also, Mimang has a woman heir (granddaughter) who took over her grandfather's heritage focusing to ginseng and commercial morality of Gaesung. Then Mimang showed us an exclusive regionalism. That's why Mimang has the closed narrative space of the chronotope like an island on the level of its plot. The chronotope of an island is composed of two types. One is a real island, the other's semiotic island. The former is Ganghwado which is a copy of Gaesung as the place of growing ginseng, and the latter is Gaesung's locality. In a sense, Mimang is a ginseng narrative. Ginseng is similar to woman's body and especially ‘Koryo Insam (Korean ginseng)’means national identity. It's homology to woman's sufferings and Korean's national identity-crisis in the enlighten period one hundred years ago. The heroine of Mimang tried to keep ginseng as a symbol of woman and nationality, and she absolutely finished her task in the text. Furthermore, the novel presented a model of modern capitalism through the handover of a family business by a woman heir in Korea, as well. 박완서의 미망은 19C말에서 한국전쟁까지 공적 역사와의 상호관련 속에 여성에 의한 가업계승을 중심서사로 하는 여성가족사소설이다. 이 작품도 토지, 혼불처럼 가족을 통해 민족을 서사화하는 만큼 가계 연속성에 대한 욕망이 민족주체성 욕망과 동일시, 자궁-집-나라의 크로노토프가 아이-가족-민족에 등가관계를 이루고 있다.미망은 실향민작가 박완서의 고향 개성에 대한 토포필리아로서 기억의 재현이기도 한데, 고려인삼과 개성상도가 스토리의 두 축이다. 플롯층위에서 개성에 중요한 사건이 집중되어 지역주의와 서사공간의 폐쇄성으로 인해 ‘섬’의 크로노토프를 형성한다. ‘섬’의 크로노토프는 섬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면 섬의 시간대란 뜻으로, 이는 구체적 실체인 ‘섬’과 기호학적 범주의 ‘섬’으로 나눌 수 있고 전자인 강화도는 인삼 재배지 개성의 복사판이며 후자의 ‘섬’은 개성의 로컬리티를 가리킨다.또한 미망은 인삼 생태주의 비평의 대상이다. 이 소설에서 인삼은 여성신체와의 도상적 호몰로지(homology) 때문에 여성을 은유하기도 하고 ‘고려인삼’이 지칭하듯 민족정체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곧 ‘인삼장’에서의 소련군 장교를 접대하는 기생향응이나 ‘기생삼’따위 인삼수난은 여성신체의 훼손과 맞물려 인삼=여성=민족의 유추관계에 있다. 인삼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스토리축인 개성 상도는 조부→손녀로 이어지는 동해랑 전처만가의 손녀 태임에 의해 수행된다. 가문이 혈통에 의해서가 아니라 가업에 의해 계승된다는 점에서 미망은 다른 여성가족사소설과 변별성을 갖는다.

      • KCI등재

        정전 교육의 재인식 : <삼대>의 관계적 가치를 중심으로

        김성진 한국독서학회 2024 독서연구 Vol.- No.70

        Focusing on the novel “Three Generat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role of canon in high school literature education, The Novel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anon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evaluations by literary history researchers, inclusion of complete works of Korean literature, and inclusion in textbooks. However, “Three Generations” is not an important work in current literary education. Its disappearance fro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firms this. This is because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read novels, and recent literature education studies have emphasize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canon. Critical studies on the canon deny the view that it was naturally selected based on the universal values ​​inherent in the works and argue it was the result of selection and exclusion based on power or ideology. This study highlighted the limitations of canonical critics who understand such works in isolation as a single work and ignore their intertextual power. “Three Generations” is considered a canon because it inherited the family novels of the previous era and laid the foundation for family history novels. This study emphasized the role of the canon as the center or hub of the literary history network with the term “relational value”. In the next curriculum, the network of genres formed by the canon or canon group needs to be specified in the high school literature curriculum as follows. ― Family history novels represented by “Three Generations”. Through this, students can lay the foundation to connect the canon in school literature education with contemporary family history novels. 이 연구는 장편소설 <삼대>를 증심으로 고등학교 문학교육에서 정전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삼대>는 문학사 연구자들의 평가, 한국 문학 전집 수록, 교과서 제재 수용을 거쳐 고등학교 문학교육의 정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문학교육에서 <삼대>의 위상은 높지 않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서 <삼대>가 사라진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대>의 위상 저하 이유로는 학생들이 장편소설 독서를 어려워하고 최근 문학교육 연구가 정전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한 점을 들 수 있다. 최근의 문학교육 연구의 정전에 대한 관점은, 작품에 내재한 보편적 가치에 근거하여 자연스럽게 선별된다는 전제를 비판하고 정전은 권력이나 이데올로기에 따른 배제와 선별에 따른 인위적 구성의 산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정전 비판론이 정전을 한 편의 작품으로 고립시켜 실체화함으로써 정전 작품이 형성하는 상호텍스트적 힘을 외면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삼대>의 가치는 이전 시대의 가정소설을 이어받아 가족사 소설 장르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문학사 네트워크의 중심에서 행하는 정전의 역할을 ‘관계적 가치’라는 용어로 강조하였다. 다음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에 정전이 형성하는 정전 네트워크 또는 정전군(正典群)을 <삼대>로 대표되는 가족사 소설처럼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교 문학교육의 정전과 현재 새롭게 발표되는 가족사 소설 독서를 연결할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 말기 가족사연대기소설에 나타난 아버지 형상과 성장의 문법 -김남천의 〈대하〉, 김사량의 〈낙조〉를 중심으로-

        이동재(Lee, Dongjae) 국제언어문학회 2021 國際言語文學 Vol.- No.49

        일제말기 김남천이 주장한 가족사연대기소설에 신인 김사량 역시 동참한다. 개화기를 배경으로 한 소년의 성장을 연대기적으로 그려내며 ‘조선의 특수성’을 규명하려는 로만개조론의 지향을 두 작가 모두 공유하고 있지만 〈낙조〉와 〈대하〉의 결론은 정반대로 보인다. 그들이 소년의 성장을 긍정 혹은, 부정하게 된 근거는 그들이 그리고 있는 작중 세계의 원리를 표방하는 아버지 형상을 통해 규명될 수 있다. 김남천의 경우 당대 좌파지식인 사이에서 유통되던 사회경제학적 분석을 토대로 반봉건적인 아버지 형상을 부조했고, 김사량은 모국어 글쓰기와 ‘해와달 설화’를 방법론으로 삼아 원초적인 아버지 형상을 세공했다. 전자의 아버지 형상은 경쟁과 극복이 가능한 대상으로 후자는 대결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 아버지로 그려진다. 이념에 대한 헌신으로 문학적 여정을 이해했던 김남천의 경우, 전체주의로 기우는 사회 속에서 혁명의 불씨를 살리려는 의욕을 통해 박성권의 형상에 결여를 틈입시켰다면, 김사량은 일본어 창작을 통해 탐구하던 피식민자의 내적 교착을 조선어에 기대어 묘파하는 것에 무게를 둔다. 〈대하〉가 과학의 언어에 기대어 발견하게 된 조선의 희망과 관계한다면 〈낙조〉는 민속학적 대상들의 세계 속에서 기울어 가는 한 시대의 절망과 관계하고 있다. 박성권과 윤성효는 두 소년에게 이러한 심적 조건을 매개하는 표상을 활용된 것이다. Rookie Kim Sa-ryang participated in the family history novel claimed by Kim Nam-cheon dur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Both authors share the orientation of the ‘Roman-Reformation-Theory’ to identify "the specialty of Joseon" by chronologically depicting the growth of a boy set in the enlightenment period, but the conclusion of "Nack-jo" and "Daeha" seems the opposite. The rationale for their affirmation or denial of the boy"s growth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father figure, which advocates the principles of the world they are drawing. In the case of Kim Namcheon, he assisted the antifeudal father-figure based on socio-economic analysis distributed among marxism intellectuals of the time, and Kim Saryang used his native language of writing and “The Sun and Moon tales“ as his methodology to work on the original father figure. The former father figure is portrayed as a competitive and overcoming object, and the latter as a father who does not allow confrontation itself. In the case of Kim Nam-cheon, who understood the literary journey through his devotion to ideology, In a society leaning toward totalitarianism, While he instilled lack in Park Sung-Kwon’s image through his desire to revive the embers of the revolustion, Kim Sa-Ryang focused on depicting the interal stalemate of the colonized, which was explored throgh Japanes creation, leaning on the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Dae-ha relates to the hope of Joseon discovered by leaning on the language of science, Nak-jo is concerned with the desperation of an era that is waning in the world of folklore objects. Park Sung-kwon and Yoon Sung-hyo were used as symbols to mediate these mental conditions between the two bo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