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널 위수회귀모형을 사용한 국내 휘발유 가격 결정요인 분석

        김형건(Hyung-Gun Kim)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에너지경제연구 Vol.15 No.1

        휘발유 가격의 결정요인은 각 주유소의 가격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짐작컨대, 낮은 가격대의 주유소는 비용절감을 위해 가격적 요인에 대한 비중을 높이려는 반면 높은 가격대의 주유소는 주요 경쟁 무기가 되는 비가격적 요인의 비중을 높이려 할 것이다. 하지만, 국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이와 같은 주유소 간 이질적 가격결정의 성향을 배제한 채 평균적 가격결정 요인에만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유소 간의 이질적 가격결정을 고려하여 국내 휘발유 가격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과 2015년 각각 12개월 간의 국내 주유소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패널티 고정효과 패널 위수회귀모형에 사용하여, 휘발유 분위수에 따른 가격결정요인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기대하였던 바와 같이,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 분위가 증가할수록, 가격경쟁 요인들의 영향력은 축소되는 반면 비가격경쟁 요인들의 영향력은 증가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이와 같은 성향은 2012년보다 2015년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Practically speaking, the determinants of gasoline price are not identical for all heterogenous gasoline stations. Especially, the effect of each price determinant on the final price may vary with the pricing strategies of gasoline stations. It is likely that relatively lower pricing gasoline stations reflect the cost(or price factors) change more in the price while higher pricing gasoline stations reflect their non-price factors such as car washing and repair services in their price. Nevertheless, most studies on Korean gasoline market tend to focus on average price determinants to the exclusion of pricing heterogeneity of gasoline stations. Thu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 the gasoline price determinants in Korea, considering pricing heterogeneity. For that, we analyze the Korean gasoline stations with 12 month panel data for year 2012 and 2015, using penalized fixed effect panel quantile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we observe that the effects of price competition factors decreases while the effects of non-price competition factors increases, as quantile of gasoline price for the station goes up. In addition, this pricing tendency is more pronounced in the year 2015 than year 2012.

      • KCI등재

        국제 유가에 대한 국내 휘발유의 가격 조정 분석: 분위수 자기회귀시차분포 모형을 사용하여

        김형건 한국환경경제학회 202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1 No.4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at the asymmetry of domestic gasoline price adjustment to the crude oil price changes can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gasoline price using quantil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The data used are the weekly average Dubai price, domestic gasoline price at refiners and gas stations from the first week of May 2008 to the second week of October 2022. The study estimates three price transmission channels: changes in gas station gasoline prices in response to changes in Dubai oil prices, changes in refiners gasoline prices in response to changes in Dubai oil prices, and changes in gas station prices relative to refiners gasoline prices. As a result, the price adjustment of refiner's gasoline price with respect to Dubai oil price appears asymmetrically across all quantiles of gasoline price, whereas the adjustment of gas station prices for Dubai oil price and refiner's gasoline price tend to be more asymmetric as the quantile of gasoline price increases. Such a result is presumed to be due to changes in the inventory cost of gas stations. When the burden of inventory cost is high, gas stations have an incentive to more actively pass the increased buying price on their selling price. 동 연구는 휘발유 가격 수준에 따른 국제 유가에 대한 국내 가격 조정의 비대칭성을 분위수 자기회귀시차분포 모형을 사용하여 확인한다. 추정에 사용된 자료는 2008년 5월 첫 번째 주부터 2022년 10월 두 번째 주까지의 주간 평균 두바이유가, 정유사 휘발유가, 주유소 휘발유가이다. 추정은 두바이유가에 대한 주유소 휘발유 가격, 두바이유가에 대한 정유사 휘발유 가격, 정유사 휘발유 가격에 대한 주유소 가격의 변화, 세 가지에 대해 이루어졌다. 추정 결과, 두바이유가에 대한 정유사 휘발유 가격의 조정은 휘발유 가격의 모든 분위에 걸쳐 비대칭적으로 나타난 반면 두바이유가와 정유사 휘발유 가격에 대한 주유소 가격의 조정은 휘발유 가격의 분위수가 높을수록 비대칭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휘발유 가격 변화에 따른 주유소의 재고 비용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재고 비용에 대한 부담이 높을수록 주유소에게는 상승한 휘발유의 매입가격을 보다 적극적으로 판매가격에 전가하고자 하는 유인이 있다.

      • KCI등재

        주유소의 제품별 유류가격분산에 관한 실증연구: 소비자의 탐색편익과 탐색빈도를 중심으로

        김종호 ( Jong Ho Kim ),김대욱 ( Dae Wook Kim ) 한국산업조직학회 2009 産業組織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주유소의 유류 가격 자료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가격 탐색에 기인한 가격분산(price dispersion)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008년 4월에서 10월까지의 서울시 구청별 주유소 유류 가격 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휘발유에 비해 고급휘발유의 가격분산이 상대적으로 크고, 경유의 가격분산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격탐색에 따른 편익의 차이로 인해 각 유류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탐색 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한 지속적인 가격 상승기의 가격분산이 그렇지 않은 기간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우리는 지속적인 가격 상승기에 유류 소비자의 주유소 방문횟수가 증가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한편 운송용 유류 제품의 판매마진은 가격분산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격분산이 작을수록 판매마진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price dispersion using retail gasoline prices data in Seoul from April to October in 2008. Especiall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ole of customers` search costs and purchase frequency on price dispersion as Stigler(1961) points out in his seminal paper on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Our estimation result suggests that price dispersion of the retail gasoline market is larger in the order of premium, regular gasoline and diesel. These results are largely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price dispers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hare on a particular good of consumers` budget basket. More interestingly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urchase frequency on price dispersion. To test this hypothesis, we make an assumption that purchase frequence is non-decreasing monotonicity for retail gasoline price spike. This is plausible since most customers make a won-based purchase decision, instead of quantity based one, when they run out of gasoline. From this, we find that price dispersion gets smaller in the timing of price spike, which is more frequent purchase period, in our sample. In addition, our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price-cost margi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ice dispersion. This implies that price-cost margin gets smaller as price dispersion diminishes.

      • KCI등재

        국내석유제품의 가격결정모형에 대한 구조변화검증

        김상환 한국경제통상학회 2019 경제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Gregory and Hansen (1996) 검증방법을 이용하여 국제원유 가격, 원달러 환율과 국내석유가격과의 공적분 관계에 구조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한 다음 구조변화 시점을 전후로 국내 석유가격 결정메커니즘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였는가를 추정하였다. 국내 휘발유가격과 경유가격 모두 원유가와 환율과의 공적분관계(cointegration relationship)에서 구조 변화(structural change)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휘발유가격모형에는 2008년을 기점으로 구조변화가 나타났고 경유가격모형에는 2002년~2003년을 전후로 구조변화가 나타나 휘발유가격과는 구조 변화 시점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구조변화 전후의 석유가격모형 추정결과를 보면, 국내 석유가격과 원유가와의 장기균형관계는 구조 변화 이전과 이후 모두 매우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구조변화 이전에는 원유가 충격이 오랜 시차를 두고 서서히 국내가격에 반영된 반면, 구조변화 이후에는 원유가 충격이 빠르게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율와의 장기균형관계에서는 휘발유와 경유가 서로 다른 움직임 보였다. 휘발유가격에 대한 환율의 공적분계수는 구조변화 이후 유의성이 크게 낮아진 반면, 경유가격에 대해서는 구조변화 이후에도 여전히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tests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cointegration relationship among crude oil pric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local gasoline and diesel prices using residual-based test of Gregory and Hansen (1996). Once the structural change has been confirmed, we then investigated what changes happened to domestic petroleum pricing models. Structural change is accepted in the cointegration vectors in both gasoline and diesel pricing models. Structural break in the gasoline model happened in 2008, while that was estimated to be 2002-2003 in the diesel pricing model. From the estimation results of pricing models of petroleum products in the pre-break period and post-break period, we see that the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crude oil price and local petroleum prices is significantly positive in both periods. One difference between pre-break and post-break periods is that the adjustment speed of domestic petroleum prices to crude oil price became higher in the post-break period. Cointegration vector of exchange rate los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he structural break in the gasoline pricing model, while it continues to be significant after the structural break in the diesel pricing model.

      • KCI등재

        에지워스 가격 사이클(Edgeworth Price Cycle)과 비대칭적 가격 반응: 서울 휘발유 소매 시장 사례

        김동훈,최봉석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에너지경제연구 Vol.17 No.1

        This Paper explored whether the price pattern of gasoline prices in Korea follows the Edgeworth price cycle. The Edgeworth price cycle represents the pattern of price change in the Markov Nash equilibrium of the dynamic price competition (Maskin and Tirole, 1988). Prices in the cycle decline gradually but increases very rapidly. When the movements of gasoline retail prices in Seoul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price change is higher in the periods of price decline than the those of price increase but the magnitude of the change was greater during the price hikes. The asymmetric price changes coincides with the price behaviors predicted by the Edgeworth price cycle. A policy implication is that the asymmetric behaviors of prices in price upturns and downturns do not necessarily results from collusion among competitors but they can be the outcome of price cutting competition in the process of long-run profit maximization. 에지워스 가격 사이클 (Maskin and Tirole, 1988)은 경쟁자들이 이윤의 현재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동태적 가격 경쟁을 할 경우 마코프내쉬균형(Markov Nash Equilibrium) 상태에서 나타나는 가격 변동의 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격 하락기에는 가격이 점진적으로 오랫동안 하락하고 가격 상승기에는 급격하게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주간 주유소 평균가격을 이용하여 소매가격의 변동이 에지워스 가격 사이클에서의 가격 변동 행태를 따르는 지를 분석하였다. 서울시에서의 휘발유 소매가격은 샘플기간 중 가격 상승 빈도보다 가격 하락 빈도가 높고 가격의 변화 폭은 가격 상승기에 높게 나타나 가격 상승기와 하락기에 비대칭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에지워스 가격 사이클에서 예측하는 가격 행태에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휘발유 소매가격 결정에 관한 연구

        이달석(Dal-Sok Lee),신정수(Jeong-Soo Shin)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에너지경제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휘발유 가격형성과 관련된 두 가지 문제, 즉 암묵적 협조체제의 유지 여부와 가격조정의 비대칭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휘발유 소매시장에서 활동하는 주유소들의 가격결정행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오차수정모형(ECM)에 의한 비대칭모형을 구성하고 추정하였다. 이 모형은 동태적 가격결정행위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비협조적 가격결정행위와는 구별되는 협조적 가격결정행위를 진단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방정식을 일부 변경하여 추정함으로써 휘발유 가격조정의 비대칭성을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주유소의 가격결정이 암묵적 협조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기는 곤란하였다. 휘발유의 가격조정은 소매가격의 경우 도매가격 변동에 비교적 신속하고 대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매가격은 원유가격 변동에 비대칭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 on the empirical test over the pricing behavior of gas stations in retail gasoline market to examine the continuance of tacit collusion and the existence of asymmetry in price adjustment. We diagnose collusive pricing behavior distinguished from noncollusive pricing behavior by formulating a model reflecting dynamic pricing behavior. We also revise this model and estimate to examine the pricing behavior related with price adjustment. The results of estimation is difficult t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prices at gas stations are determined under a tacit collusion. Retail prices of gasoline show prompt and symmetric adjustment to the wholesale price shocks, while wholesale prices of gasoline is adjusted asymmetrically to the crude oil shock.

      • KCI등재

        휘발유 판매가격결정에 고객요인이 미치는 영향

        임채운(Lim, Chae-Un),이호택(Yi, Ho-Taek),이수(Lee, Joseph) 韓國商品學會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2009년 휘발유 가격이 단기간에 급등한 시기에 고객특성요인(거주지, 나이, 직업)이 휘발유 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휘발유 가격에 대한 기존 연구는 공급자 관점에서 지출비용(브랜드, 지가, 부가 서비스)을 중요시 여기고 과거 가격자료를 통한 수리적 경제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비용관점에서 도출된 경제적 모형은 경제행위를 설명하는데 유익하였지만 판매가격 결정자인 주유소 입장에서 경영 전략의 시사점 제공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변수를 포함하여 경영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고객변수를 모형에 반영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연구의 종속변수인 판매가격을 보다 다양하게 측정하여 판매마진(휘발유 판매가격-브랜드별 공급가격)과 가격이 평균이상일 가능성, 단기간 가격상승 정도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장요인, 고객요인이 다양하게 휘발유 판매가격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고객특성만을 고려했을 때 한 지역에서 1)아파트 가격이 높고 2)30대 연령 비중이 높으며 3)직업적으로 금융/보험 종사자이 많을수록 휘발유 판매가격은 높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비용과 경쟁요인에 의한 휘발유 가격결정모형이 아닌 고객의 특성을 토대로 분석하여 모형에 반영하였다는데 있다. 특히 Lach (2007)가 이민을 통한 해외인구 유입을 비용관점(신규 노동공급)이 아닌, 고객관점(가격 탄력성이 높은 고객의 시장유입)에서 접근한 것처럼 서울시의 아파트 가격의 불균형적인 상승을 단순한 지가변화(임대료의 상승)로 본 것이 아니라 고객관점(가격 탄력성이 낮은 고객의 집단형성)에서 주유소 가격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나이, 직업 등 다양한 개인적 특성의 변수를 모형에 반영하여 고객의 성향차이가 휘발유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ow apartment price have influenced on gasoline price and district competition intensity among gasoline stations as well. Generally, high apartment price has effect on both price of merchant store and real estate, so that it will act on other prices of consumer items in nearby district. However, this thoughts cannot consider price elasticity of demand and competitors responses, either. For example, Starbucks provides seamless service and single price in spite of store's different facility rents. Most of discount stores offer EDLP (Every-Day-Low-Price) and price difference of each store is very small despite those different rent variation. Consequently, we argue the view that simply higher operating cost has influenced on higher product or service price is lack of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of market structure. In this respect, Lach(2007) pointed out a large number of immigrantswho have higher price elasticities and higher search costs than the native population can decrease prices. This research examines how apartment price has influence on gasoline price based on customer and market structure. our hypotheses are, above all, we may screen customer segments based on apartment price and secondly, gasoline stations which customer can be matched to high apartment price may not need proactive response to even high market competition and price discount factors. In order to control other external variables, we use short terms gasoline price variation data, from4th weeks of May to 2ndweeks of June.

      • KCI등재

        정유사 휘발유 공급가격의 비대칭적 가격조정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덕 ( Young Duk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3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2 No.4

        대리점과 주유소에 정유사가 공급하는 휘발유의 공급가격의 동태적 가격조정을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분석하였다. 자사의 가격과 비용의 변화에 대한 비대칭적 가격조정을 추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타정유사 공급가격의 균형이탈에 대한 정유사 공급가격의 조정을 모형에 허용함으로써 정유사간 가격경쟁의 가능성도 살펴보았다. 추정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정유사의 휘발유 공급가격은 환율과 국제제품가격에 대해 비대칭적 조정을 하고 있으나, 서로 반대방향의 조정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정유사 공급가격은 자사가격의 균형이탈에 대해 신속한 가격조정을 하며, 비대칭적 조정을 하는 정유사도 발견되었다. 셋째, 타정유사 균형가격이탈에 대해 반응하여 가격을 조정하는 정유사들이 존재하며, 일부주유소 공급가격에서는 타정유사 균형가격이탈에 대해서 경쟁적 가격조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별 정유사가 자기 고유의 가격비탄력적인 수요를 직면하고 있으며, 가격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단기적 가격조정을 하는 암묵적 담합에 부합하는 가격조정 행태를 취하고 있으며, 일부 정유사의 주유소 공급가격의 경우에는 타사 가격변화에 경쟁적 가격조정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휘발유시장의 가격경쟁을 유도하려는 정책을 고려한다면, 주유소시장부터 가격 경쟁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경쟁촉진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uses the error correction model to analyse dynamic gasoline price adjustments of the four refiners.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is model allows a refiner`s asymmetric adjustment to changes in the other refiners` prices as well as in its own price and costs. With the estimation results, we can obta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are the asymmetric price adjustments to changes in exchange rate and international gasoline price, but showing opposing directions. Second, for most of the refiners, the prices respond immediately to the lagged deviation from the long run equilibrium price, but asymmetrically respond for a few refiners. Third, there are some refiners that adjust their price to the other refiners` price deviation from the long run equilibrium. For some refiners, there are competitive price adjustments to the others` price devia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a refiner faces inelastic demand, intends to maintain implicitly a relative level of its own price to others, and tends to respond competitively to the others` price deviation from the equilibrium.

      • KCI등재
      • KCI등재

        휘발유가격의 비대칭성에 관한 국제 비교

        윤원철(Won-Cheol Yun)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에너지경제연구 Vol.13 No.1

        석유시장에서는 가격 비대칭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오차수정모형(ECM)을 활용하여 뉴질랜드, 일본, 캐나다, 한국의 휘발유시장에서 비대칭적 가격행태를 분석한다. 분석기간은 2005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이고, 표본자료는 주간 평균 보통휘발유가격을 사용한다. 실증분석의 초점은 MOPS 혹은 Dubai 가격의 변동에 대한 휘발유 소매가격의 변동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와 함께, 석유시장 마진과 석유가격 및 환율의 변동성이 가격 비대칭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In the petroleum markets, there have been continuing debates about price asymmetries. This study adopts an asymmetric error correction model (ECM) to describe asymmetric price behavior in the gasoline markets of New Zealand, Japan, Canada, and South Korea. This model is estimated on the weekly data set of regular unleaded gasoline over the period covering January 2005 to December 2013. The model tries to capture the temporal responses of domestic retail prices to the changes in the MOPS gasoline and Dubai crude oil pric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w the margins and the volatilities of prices and exchange rates influence the price asymm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