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동법 시행기 進上制의 정비와 영조대 초반 『進上別單謄錄』의 작성

        최주희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how the Jinsangje(進上制) was revised during the enforcement of the Daedongbeop, and to review how the Jinsangbyeldandeungrok(進上別單謄錄)』(1728), a financial data, was published during the process. Changes in the Jinsangje(進上制)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review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Gyeonggonghwa(京貢化), which was procuremenet system dedicated to King the supplies for tributes purchased in Seoul Market, greatly enlarged. Jinsang of the Gyeonggi province and the Chungcheong province including ritual supplies, indigenous products, and medical plants underwent ‘gyeongonghwa’, through which they were bought from the the procurement dealer in Seoul and then tributed through the Seonhyecheong(宣惠廳) to the Royal Family. On the contrary, Jinsang of other provinces were mainly provided by the province governers, routinely in the form of such as speciality. Second, changes were made in the procedures of the Jinsang. Jinsang was originally a gift offered by a local minister to the king. However Jinsang that underwent ‘Gyeongonghwa’ were dedicated to King by the director of the Seonhyecheong. According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official of the Seonhyecheong brought the Jinsang to be offered to the Saongwon(司饔院) or the Bongsangsi(奉常寺). Other roles of the Seonhyecheong included transporting rice(大同米) collecteded according to the Daedong-beop directly to the Royal Family living outside the palace to support daily spendings. Third, ‘Gwache Jinsang[Jinsang made by the governors of a province at the end of their term]’ and ‘Eungja Jinsang[Jinsang of a trained hawk]’, which were in effect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terminated. ‘Haenghaeng-bangmul[Jinsang by provincial governor dedicated during the official visit of the king]’ and ‘Gangmoo- bangmul[Jinsang dedicated during the king’s hunting] were also terminated. Lastly, irregular Jinsang and Bong-yeo(封餘) persisted through the late Joseon dynasty. Bong-yeo(封餘) refers to the practice of distributing some of the genuine products to bureaucrats. By improved procurement system of Jinsang, procedures and administrations of the Jinsangje(進上制) became more complex than ever. The central government did not publish a new manual to control the Jinsang supplies until the 18th century. Rather, they operated Jinsang system in on the ground of previous practices. However, with the extended enforcement of the Daedongbeop, and with the stabilization of the tax revenues, the need for sophisticated management of the Jinsangje(進上制) became stronger. As a result, the Bibyeonsa(備邊司) published the 『Jinsangbyeldandeungrok』 in 1728 (the 4th year of Yeongjo’s reign) to alleviate tax burdens of the people and to stabilize the income of Jinsang Supplies. By publishing the 『Jinsangbyeldandeungrok』, Yeongjo intended to sought to understand the general amount of the Jinsang Supplies and to give the people exemption of Jinsang in times of bad harvest. 이 글은 대동법 시행기 진상제가 도별로 어떻게 정비되어갔으며, 이후 중앙정부가 진상물자를 관리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전개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작성됐다. 조선왕조는 100년에 걸쳐 대동・상정법을 시행했지만, 현물진상을 모두 경공화하지는 못했다. 경기와 충청도는 도성과 가까워 진상의 대부분을 경공화시켰으나, 중앙과 거리가 먼 다른 도는 현물 진상의 다수를 그대로 유지시켰다. 왕에게 바치는 禮物이라는 성격 때문에 대동・상정법 체계 안에 진상을 완전히 흡수시켜 경공화하지 않고, 현물 상납의 절차를 존속시킨 것이다. 이로써 조선후기 진상 절차와 문서 행정은 더욱 복잡해졌다. 18세기 초반까지도 중앙정부는 진상물자를 관리하기 위한 매뉴얼을 새롭게 만들지 않고, 전례에 의거해 현물진상을 운영했으며, 이를 위해 『進上謄錄』을 작성했다. 그러나 대동・상정법이 제도적으로 안착되고 중앙의 세입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진상제 역시 수입, 지출면에서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됐다. 이에 백성들의 고충을 덜어주는 한편, 외방 진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영조 4년(1728) 비변사에서 『진상별단등록』을 작성했다. 영조는 『진상별단등록』의 작성을 통해 흉년이 닥쳤을 때 減膳에 대비하고, 봉진 시 진상물종과 수량을 쉽게 상고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진상별단등록』은 『선혜청정례』(1752)와 『공선정례』(1776)가 간행되기 전 물선진상을 봉진하는 준거로서 활용됐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The End of the Activities of the Presidential Truth Commission on Uimunsa (Suspicious Deaths) * 大統領所屬疑問死眞相糾明委員會 活動의 終了

        崔 光 濬(Tsche, Kwang-Jun) 경희법학연구소 2005 경희법학 Vol.39 No.3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위원회)는 2004년 12월로 그 공식적인 활동을 종료했 다. 그러나 과거인권침해사건의 중심을 이루는 의문사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오히려 [의문사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보다 더욱 포괄 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입법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인 들은 올바른 과거청산을 포기하거나 저질하려는 듯이 보인다. 이러한 시점에서 쓰여진 이 글은 의문사위원회의 활동과 의문사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의 내용을 돌이켜 보고 반성함으로써 과거청산의 올바른 길은 무엇인가를 명확히 하여 올바른 과거사법의 제정을 촉구하자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의문사특별법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민주화운동 관련성을 요건화함으로써, 국가의 책임 보다는 피해자의 민주발 전기여의 공적을 높이 산다는 보상의 의미로서 진상규명을 한다는 듯이 하였 으나, 의문사진상규명은 국가의 위법행위와 이에 대한 책임을 논하자는 것이 지, 피해자를 보상해 주자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백히 했어야 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의문사란 국가의 국민에 대한 직․간접적인 살인을 의미 하는 것으로서, 바로 이러한 문제의 해결, 다시 말해서 국가는 자기 자신의 범죄행위를 스스로 인정하고, 이제와서라도 불의를 바로 잡자는 것이 본래의 법의 목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의문사 특별법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방향의 과거사법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제 과거 권위주의정권의 시대는 다행히 막을 내렸고, 새로운 민주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의문사특별법이 목적으로 내걸고 있었듯이 진정한 “국민화합” 을 위해서는 “이제 민주정부에서의 국가정보원은 과거 독재정권에서의 중앙정 보부와 같이 허위로 간첩사건이나 조작하고 고문하는 곳이 아니다, 안기부처럼 정치공작이나 하던 곳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사건을 은폐하고 조작했던 과거의 경찰이나 군이 아니다.” 라는 점을 과거의 암울한 경험에 의해 이들 국가 기관들을 불신할 수 밖에 없는 국민들에게 명확히 보여줘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과거의 썩은 부분은 도려내는 것이 지금 몸담고 있는 기관을 ‘진정’ 살리는 길이라는 점을 인식시켜 줘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과거청산의 진상조사에 이들 관련 국가기관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스스로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매우 중요한 대책이라고 생각한다. 의문사 문제는 물론 과거의 문제다. 그러나 이 문제의 해결은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 모두의 책무인 것이다. 우리가 우리에게 주어진 책무를 다하지 못할 때 우리는 다시금 역사의 심판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끝으로 과거 청산의 목적에 부합하는 과거사법의 제정을 정부와 국회에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 KCI등재

        진상약재의 관광자원화와 문화권역

        안상경(An Sang Gyeong)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2

        Medicinal ingredients associated with health has excellent suction power than any other subject. This is validated by the efficacy of long experience, it came too high credibility. About the efficacy of the medicinal ingredients brought to the central government recognized the medicinal ingredients can imagine. But the subject of medicinal materials from a tourism festival, the reality of the pharmaceutical ingredients, as well as tourism resources are utilized, the central government devoted to the medicinal use of the material and not the regional peculiarities. Attention to these realities, the Abstrac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dedicated to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medicinal ingredients brought to the central government based on the medical implications of the material resources in tourism was raised from the perspective hakjeok Humanities. Furthermore, the central government devoted to the medicinal ingredients on the premise that the meaning of the resources in tourism, medical tourism festival themed material issues were raised and the alternatives. The central government filed an alternative herbal medicine devoted to the cultural resources in material culture has zones to fit the new direction. Claims filed by the discussion as follows. First, the central government devoted to the history of medicinal materials in three dimen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ach every time, every province in the central government devotes every kind of medical material quantity, unique items, as well as space, climate, geology, population and central government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material devoted to the medical claims were considered together. For example,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a limited central government, dedicated to each region to see the quantity of pharmaceutical material, when seen in quantity from the edge of the area stretching Baekdudaegan two were able to identify ourselves. Laid out to justify them Baekdudaegan this does not change based on region, time dev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set the standards by changing pharmaceutical ingredients and pharmaceutical ingredients to the central government, central government over how bachyeotneunji dedicated to tracking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medicinal ingredients and the local nature and could be seen simultaneously deduced. Second, the tour’s Humanities confirm the identity of the material from the central government, dedicated to medical resources in tourism has meant tracking. First tour to see the fundamental implications of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a plural and cultural resources found in the trace of a clue. Two kinds of rationale, the central government devoted to the tourism resources of medicinal materials mad type of medical material or intangible contributors to the central government’s own cultural resources than the meaning, type of medical material and intangible benefits through, especially in its central government have proven efficacy as contributors to the fact that travelers can feel what the default program maryeon was defined as an operation. This medicinal ingredients or medicinal ingredients associat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devoted to the sky, earth,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by looking at tourist experience of the intangible psychological and cultural needs are met with a focus on inner psychological content,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should be done claims were. Third, pharmaceutical ingredients, medicinal ingredients brought to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center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look at local festivals naeseun subject, the pharmaceutical ingredients produced in the area to determine the uniqueness of the program was insufficient to face the truth. Pharmaceutical ingredients, medicinal ingredients associat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devoted to the sky, land, people saw the environment as a result is ignored. Heaven, earth, man’s environment is changing 약재는 어떤 건강 관련 테마보다 흡입력이 뛰어나다. 오랜 경험에 의해 효험이 검증되어 왔기 때문에 공신력도 높다. 약재의 효험에 대한 공신력은 ‘진상약재’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약재를 테마로 한 관광축제의 구현에서는 현상의 약재만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을 뿐, 진상약재의 지역적 특수성은 활용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을 주목하고, 본고에서 진상약재의 역사성을 바탕으로 진상약재의 관광자원화 의미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제기하였다. 나아가 진상약재의 관광자원화 의미를 전제로, 약재를 테마로 한 관광축제 구현의 문제점 및 그 대안을 제기하였다. 특히 대안의 제기를 진상약재의 문화자원화 문화권역의 새로운 방향 설정에 맞추었다. 논의를 통해 제기한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상약재의 역사성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시기마다, 각 지방마다 진상약재의 종류나 종수, 유일 품목은 물론 면적, 기후, 지질, 인구 등 진상을 둘러싼 외적조건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예컨대 충청북도에 한정해서 각 권역별 진상약재의 종수를 볼 때, 종수에서 우위를 보이는 군현들이 백두대간이 뻗어있는 지역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빌미로 백두대간이 뻗어있는 지역을 불변의 축으로, 시기별 진상약재를 가변의 축으로 설정하여 약재의 진상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추적을 통해 진상약재의 역사성과 지역성, 공시성까지 동시에 도출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관광의 인문학적 정체성 확인으로부터 진상약재의 관광자원화 의미를 좇았다. 우선 관광의 근원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觀國之光” 및 문화자원의 포괄적 개념에서 실마리를 찾았다. 두 논거에 근거해서, 진상약재의 관광자원화를 유형의 약재 또는 무형의 진상이라는 문화자원의 자체 의미보다, 유형의 약재를 통한 무형의 효능, 특히 그것이 진상되었을 만큼 효능이 입증되었다는 사실을 여행자가 느낄 수 있도록 어떤 기제를 마련하는 작업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약재 또는 진상약재의 천문, 지문, 인문 등을 살펴보고 체험함으로써 여행자가 무형의 정신적,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는 내적심리에 초점을 맞춘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셋째, 약재, 진상약재를 중심으로‘한방’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지역축제들을 조망하면, 지역약재의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직시했다. 약재, 약재진상과 관련한 천문, 지문, 인문환경을 도외시한 결과로 보았기 때문이다. 천문, 지문, 인문환경이 급격히 변화하였더라도, 그 변화는 지역의 고유인자로서 풍토를 함축하고 있는 변화일 뿐이지, 결코 완전한 변화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에 기초해서 약재, 진상약재와 관련한 천문, 지리환경과 생업활동 또는 의료활동으로서 인문환경을 관광축제와 분리시킬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약재, 진상약재의 총체적 맥락 속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이해, 체험할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넷째, 진상약재의 문화자원화 문화권역 설정에서도, 진상약재의 문화자원화 실천을 귀납적으로 추적할 것이 아니라, 먼저 진상약재의 문화권역을 설정하고, 그 토대 위에서 지역적 현실에 부합하는 문화자원화 방안을 강구ㆍ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시류에 의한 문화산업의 변화상과 가공에 의한 지역적 이미지를 문화권역 설정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현상적 약재와 함께 그 근원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자원, 유형자원, 무형자원, 지식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통찰하고, 그것이 지역의 풍토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다른 지역과 어떤 유사성이 있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등을 축출해내야만 진정한 의미에서 진상약재의 문화자원화 문화권역 설정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약재, 진상약재와 관련한 지역민의 삶, 그것에 대한 관심은 한민족의 자연관 내지 신앙관에 대한 관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진상약재의 문화자원화 문화권역 설정은 지역약재의 재발견인 동시에 새로운 문화가치의 창조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진

      • 晉商票號研究綜述

        魏晉(Weijin)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0 아시아연구 Vol.- No.11

        Shanxi Merchants have a long history, during hundreds of years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Shanxi Merchants were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commercial circle and were known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business history in China or even in the world. Their ways of running business and dealing with others have always been seen as the precious treasure of Chinese history civilization. Shanxi Merchants’ achievements and failure have also drawn lots of discussions and research at home and abroad which have been lasted for more or less one hundred years without stopping. In recent years, the historical research becomes more open, the scope of mind turns much wider, a bulk of data and kinds of related material have been excavated, large numbers of folk stories have been passed down orally. As the result of all the reasons above and the scholars’ hard working,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theories of numbers of social-science disciplines which lay emphasis on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 Econometrics, the study of Shanxi Merchants is developing very rapidly. Since the 1980s, a mass of theories and methods have been achieved. As the basements of the study on Shanxi Merchants, Shanxi University, Social Sciences in Shanxi Province and Shanxi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 make great contribution to research of money exchange shop of Jin Province. Additionally, the successfully holding of interrelated meetings and some activities such as “Walk again Shanxi Merchants’ way” has also helped to turn the research of Shanxi Merchants more significant and international. The influencing capability and the research level of the money exchange shop of Jin Province have been greatly enhanced. But at the same time, there also exists a bottle-neck of the study. The further investigation of Shanxi Merchants’ culture has been restricted by the history mode and traditional writing style. So what we urgent needed three points .Firstly is the broader scope of mind and study from a higher perspective to Shanxi Merchants’ culture. Secondly use new research method which include some Social science methods and Mathematical methods. Thirdly keep deepen the existing research from sub-disciplinary and find a new perspective from the historical details in order to work over Shanxi Merchants better. So, to continuously expand the scope of Shanxi Merchants study make the research more perfect. 晉商晉商은 明.清商界를 수백 년 간 종횡무진 활동하였기 때문에, 晉商의 生成.發展.衰落등의 원인과 그에 포함된 상업사상, 경영방법, 成敗功過등이 학계의 관심의 대상이 된지 백여 년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 사학연구가 개방됨에 따라 史學思路도 더욱 넓어지고, 다량의 자료와 각종 관련 실물이 발굴되고, 口傳을 통한 民間故事가 總結되고, 수많은 학자들이 지속적인 노력을 거쳐, 경제학 등 여러 사회과학의 새로운 이론들이 도입됨에 따라 晉商研究는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198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구성과는 뚜렷이 증가되었다. 현재의 山西大學.山西省社科院.山西財經大學등 3개의 연구기지가 형성되어 晉商票號研究는 커다란 발전을 가져왔다. 이외에 晉商과 관련된 학술회의가 여러 차례 개최되었고 “晉商路 다시 걷기”와 같은 관련 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晉商票號의 영향과 연구 수준을 높아졌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晉商과 관련된 연구가 한 때 침체되기도 하였다. 역사학 중심의 연구방식은 先人들의 문장을 답습하는 데에 그치면서 晉商研究의 발전에 제약을 주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현재 학자들이 시야를 넓혀 더욱 고차원적이고 넓은 범위에서의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연구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더욱 많은 사회과학의 연구방법을 이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통계이론도 도입해야 한다. 셋째는 현재의 연구에서 그 깊이를 더해야 한다. 여러 學科에서 分科의 시각에서 더욱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많은 史料의 細節속에서 연구의 새로운 시 각을 발견하여 晉商票號연구의 범위를 넓혀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고려 ‘進上制’의 내용과 성격의 변화

        이정란(Lee jung ran)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조선에서 진상은 봉상하는 물품에 따라 物膳進上·方物進上·祭享進上 등으로 나뉘는데, 고려에도 조선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 고려의 자료에서 자주 나오는 진상은 물선과 방물의 진상이다. 물선진상이란 임금의 식생활 재료를 바치는 진상을 의미하는데, 고려에서는 정기적인 물선의 진상인 常膳은 물론 비정기적인 진상인 別膳의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 방물진상이란 각 지역의 특산물을 임금에게 바치는 것으로, 거기에는 名日進上과 講武進上등이 있다. 특히 고려에서 명일진상은 臣子로서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의무였다. 한편, 고려왕조는 임금에게 예물을 바치는 의례의 일환이었던 진상의 본래적 함의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 사실 중국에서 진상은 황제의 영역적 지배를 확인시키는 상징적 의례로서의 의미를 지녔는데, 고려의 진상에도 동일한 원리가 작동되었다. 즉, 고려의 각종 賀禮儀에는 諸州縣에서 진상물을 바치는 절차만을 규율해 두었을 뿐 京官의 그것을 삽입해두지 않았는데, 이는 진상물의 상납의례가 임금의 권한이 미치는 영역을 만민들에게 보여주는 상징의례였음을 가시적으로 구현한 조치였다. 또한 고려에서는 진상품으로서 상납되는 물품이 소량이었는데, 이것 역시 의례성이 강하였을 뿐 실용적인 목적이 없었던 진상의 본래적 의미를 살린 조치였다. 그런데 의례적인 예물이었던 진상이 唐代에 이르러 사적인 선물로 변질되어 갔던 중국의 역사는 고려에서도 되풀이 되었다. 임금의 총애를 얻기 위해 개인적으로 진상하는 私膳이 고려후기에 크게 유행했던 것이다. 사선은 관인층의 욕망에서만 비롯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고려의 임금들이 사선을 부추긴 측면이 컸는데, 그렇게 된 배경에는 왕실재정의 악화가 자리하였다. 사선의 성행에 따른 진상제의 확대는 선물경제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전근대 사회에서 관료들 사이에 다양한 물품을 주고받던 시스템인 선물체제는 사실 封餘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고려에서 조선조까지 크게 성행했다. 봉여를 수수하던 선물경제의 관행은 당대 지배층들이 지녔던 治者意識에서 비롯된 현상이었다. 다시 말해 자신들도 임금과 마찬가지로 민으로부터 공물의 상납을 받아야 하는 치자라는 인식으로 인해 아무 거리낌 없이 봉여를 자기들끼리 관행적으로 주고받았던 것이다. In Joseon, jinsang(進上) was divided into mulseonjinsang(物膳進上), bangmuljinsang(方物進上), jehyangjinsang(祭享進上), depending on the type of offered goods, and a similar system is found in Goryeo too. Mulseon and bangmul are frequently mentioned in Goryeo documents related to jinsang. The former is an offering of food for king, and both regular sangseon(常膳) and irregular byeolseon(別膳) were offered. The latter is an offering of regional specialties for the king, and they are further divided into myeongiljinsang(名日進上) and gangmujinsang(講武進上). Many documents from Goryeo show that myeongiljinsang was practiced all the time. In Goryeo, the essential meaning of jinsang—a ritual of presenting an offering to the king—was fully embraced. In China, jinsang served as a symbolic ritual of confirming the emperor’s territorial control, and the same applied to Goryeo. In Goryeo, only the procedure of sending regional specialties was defined in royal rituals, true to that offering of jinsang is essentially a symbolic ritual that shows people how far the king’s authority reaches. In Goryeo, only a small number of goods were offered as jinsang, also true to its fundamental ritualistic nature, without practical use. However, in China, the symbolic meaning of jinsang was changed to private gifts by the time of Tang Dynasty, and this was followed in Goryeo as well. Saseon(私膳), a personal offering to win the king’s affection, became hugely popular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This did not solely stem from officials’ desire. In fact, kings encouraged such offerings, driven by dwindling royal coffers. As the practice of jinsang grew with popularity of saseon, gift economy expanded. In a pre-modern society, exchanges of various gifts among government officials are closely related to bongyeo(封餘), which is to share remaining offerings among officials, and this practice thrived from Goryeo to Joseon. The customs of taking bongyeo was established due to the ruling class’ sense of entitlement. They felt that they were equally qualified as king to receive offerings from the people, and accordingly, liberally shared bongyeo amongst them without any qualm.

      •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의 의의와 향후과제

        김정호(Kim, Joung-Ho)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8 인권법평론 Vol.- No.21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한지 38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 고,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여전히 우리사회의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5・18 역사왜곡을 집대성한 전두환회고록이 출간되고, 인터넷을 중심으로 인터넷의 익명성 때문에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폄훼 시도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계속적인 왜곡과 폄훼 시도는 오히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하는 계기라고 할 것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왜곡과 폄훼를 막는 것이 가장 필요한 이유는 다름 아닌 국민통합을 위해서이다. 진상규명이 되지 않아서 가해자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피해자로서는 누구를 용서해야 할지 용서할 대상조차 모른 상황에서 상처가 치유되지 않는 채로 국민통합을 주장하는 것은 합리성을 결여한 주장이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이나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국가 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의 경우 그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의 논란을 제기하지 않도록 팩트 체크를 위해서라도 ‘국가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가 필요하다. 만시지탄이지만 지난 2018년 3월 14일 5・18진상규명특별법이 제정되었 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의 제정은 5・18진상규명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이후 진상규명을 위한 산적한 문제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인적 증거 확보방 안(동행명령제도의 개선)과 물적 증거 확보방안(압수수색검증 요청권한의 개선) 등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조사권한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정해야 할 내용이 존재하고, 시행령을 통해 보완해야 할 내용도 존재한다. 한편, 전두환회고록이 작년 4월 출판됨으로 인하여, 그 5・18 역사왜곡에 대한 형사사건으로 2018년 5월 3일 전두환의 사자명예훼손 사건이 공소 제기되었고, 민사사건으로는 2017년 8월 4일과 2018년 5월 14일 두 차례에 걸쳐 출판 및 배포금지가처분신청이 인용되었으며, 위 가처분에 대한 본안소 송(손해배상청구와 출판및배포금지청구)도 제기되어 사법부의 판단을 앞두고 있다. 5・18 당시 북한군개입설이나 헬기사격, 암매장 등 상당한 쟁점에 대하여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활동이 개시되기 이전에 대부분 사법부의 판단을 받아볼 수 있어서 객관성이 담보된 사법부의 판단이 5・18진 상규명특별법을 통한 진상규명활동의 디딤돌이거나 촉매제로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두환회고록의 출판이 그 출판의도와 달리 오히려 5・18진상규명의 계기가 되고, 사법부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결코 진보와 보수의 문제가 아니고, 상식과 정의의 문제이자, 민주주의 가치를 보존하는 일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는 문명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품격을 훼손하고 민주주의 자체를 위협하는 시대착오적인 행위라고 할 것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은 정치적 문제가 아닌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여 국민통합을 위한 길이며, 우리사회의 품격과 민주주의의 성숙도와 법제도의 건강성을 지키는 길이 될 것이다. 역사의 교훈을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전두환회고록 관련 소송 등을 통한 사법부의 판결과 5・18진상규명특별 법에 의하여 구성될 진상규명조사위원회를 통한 진상조사가 상호 보완되어 5・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작업이 결실을 맺기를 기대한다. Despite the fact that 38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1980, the problem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remains an incomplete task in our society. Chun Doo-hwan s memoir, which compiles the history distortions of May 18, has been published, and the distortion and denigration to the May 18 democracy movement is still ongoing centered on the Internet due to the anonymity of the Internet. The continuing distortions and denigra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n opportunity to rais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t is for the sake of national unity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identify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o prevent distortion and denigration. It is a lack of rationality to insist on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 without knowing who the perpetrator is because the facts are not clarified, and the victims do not even know who to forgive and the wound remain unhealed. For the people who appreciat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official truth report at the national level’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be recognized for its justification and for the fact check to avoid further controversy for those who distort and deny the May18th Democratic Movement. Although rather long overdue, on March 14, 2018,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was enacted.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s not the end but the beginning. Alth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of substantially strengthening the investigation authority of the investigation committee, such as measures for securing human evidence (improvement of cooperative order system) and measures for securing physical evidence (improvement of authority to request seizure verification).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and there is content to be supplemented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Meanwhile, due to the publica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n April of last year, a case of defamation of the dead by Chun Doo-hwan was filed as a criminal case against May 18 history distortion on May 3, 2018, two civil cases were filed on August 4, 2017 and on May 14, 2018 for applica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 for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and the lawsuit against the above dispositions (claims for damages and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is also being filed and the judgment of the judiciary is on the way. Most of the issues such as North Korean intervention, helicopter shooting, and secret burial during the time of May 18 can be judged by the judiciary before the May 18 investigation committee commences its activities, and it became more likely that the judiciary s judgment, which has been secured with objectivity, could act positively as a stepping stone or as a catalyst for truth-clarifi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t is an irony of history that unlike the publication inten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t provided the occasion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and the opportunity to be judged by the judiciary. The issue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not a question of liberal or conservative, but a matter of common sense and justice, and preserving democratic values. The act of distorting the histor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ould be an anachronistic act that undermines the quality of Korea as a civilized nation and threatens democracy itsel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 way to unite the people by identifying historical truths, not political ones, and it will be a way to maintain the dignity of our society, the maturi

      • KCI등재

        농암 유수원의 進上制 인식과 개혁 구상

        전상욱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6

        The Donation System(進上制) is a ritualized gift given to the king by the people. As a result, it was paid in ki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Daedong system(大同法). So The Donation System(進上制) has various problems. In this regard, Nongam Ryu Soowon presented the reform idea in the Woo seo. He recognized The Donation System(進上制) in relation to the Daedong system(大同法). And he recognized he Donation System(進上制) in terms of imtojakgong(任土作貢 : tribute collection based on the local products). However, he criticized luxury and emphasized the reduction of The Donation System(進上制). And also set up stores in the provinces and fostered Gongin (貢人). 진상물은 臣民의 국왕에 대한 존엄이 반영된 의례화된 선물이다. 이로 인해 대동법 시행 이후에도 진상물의 현물상납방식은 유지되었다. 그러나 진상물의 현물상납방식 유지로 인해 각종 문제가 제기되었다. 유수원은 우서에서 이에 대한 개혁구상을 제안하였다. 그는 진상제를 대동법과 관련하여 인식하였고, 임토작공 측면에서 진상제를 인정하였다. 다만 과도한 진상물을 비판하면서, 진상 물의 경감을 통한 節儉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상설점포를 설치하여 지방군현에서 진상물을 전담 조달하는 공인을 둘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輿地圖書』에 나타난 進上관련 조항의 분석

        전상욱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3

        In Ryeojidoseo(輿地圖書) Jinging(進貢) Bangmul(方物) item, The Goods name, date, How to make, quantity, etc. are recorded.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wns by the way it is written. at Goods in Jinging(進貢) Bangmul(方 物) item, contained medicines, fish and shellfish, provisions, fruit, salted seaweed, weaponry, Leather, buchaeryu are included. And these goods are the town were offering some of the tribute(貢物) and the donation to the palace(進上物) in the mid 18th century.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daedongbeop(大同法). If this analysis approach to the provinces, This analysis makes clear. for example, in Gyeonggido(京畿道) only 12 species recorded and in Chungcheongdo(忠淸道) no a monthly-Jinsang(朔膳進上), in Chollado(全??道) Sammyeongilbangmul(三名日方物) is not recorded but Bamboo and liabilities are recorded, no bangmul-Jinsang(方物進 上) in Gangwondo(江原道), etc. This shows the nature of the Jinging(進貢) Bangmul(方物) item 『輿地圖書』는 18세기 英祖때 전국적인 지리지를 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비록 공식적인 간행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조선후기 각 군현의 사회상 및 경제상황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일찍부터 그 자료적 가치를 주목받아 왔다. 특히 진상 관련 조항은 다른 진상 관련 자료가 진상물의 분정 상황이 도 단위까지만 파악된 것과 달리 도내 즉, 고을 단위까지 진상물이 파악되어 있어, 진상물의 전국적인 분정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조항이다. 『輿地圖書』의 진상 관련 조항은 進貢조항과 方物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조항에는 물품명·상납시기·수량 등이 기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각 고을별로 기재양식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상납시기와 수량에 관한 정보가 부실하여 물품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진상 관련 조항에 수록된 물품은 약재류·어류·조개류·해조류·과실류·젓갈류·무기류·모피류·부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進上物目에 따라 분류한 후 도별로 정리하여 다른 진상 관련 자료와 비교하면『輿地圖書』진상 관련 조항의 자료적 성격이 18세기 전반 각 고을에서 현물상납하는 물품이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물품은 대동법 실시 이후 대부분의 공물은 경중에서 마련한 것과 달리 진상물은 현물상납이 유지된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 진상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진상물의 현물상납 유지로 인해 매년 상당한 액수의 경비가 지방에서 소비됨으로써 지방 상업 발달의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집 : 뒤늦은 국가차원의 친일청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준식 ( Junsik Lee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5 법과 사회 Vol.0 No.49

        한국사회의 과거사 문제는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지만 크게 보면 일제 식민통치가 남긴 과거사와 독재정권이 남긴 과거사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두 종류의 과거사가 사실상 동전의 양면과 같다는 데 한국 과거사 문제의 특징이 있다. 실제로 독재정권의 과거사 문제는 해방 직후 이승만 정권에 의해 친일파 청산, 더 나아가서는 일제잔재 청산이 좌초한 데서부터 비롯되었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독재정권과 친일파가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는 사실이 사람들의 눈길을 끌게 되었다. 그러면서 한국사회 민주화의 한 과정으로 친일청산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반민특위의 와해로 좌초된 친일청산을 뒤늦게나마 마무리하자는 ‘제2의 친일청산운동’이 벌어진것이다. 시민사회에서 시작된 친일청산 요구는 국민의 여론을 등에 업고 국가로 확대되었다. 그 결과 2004년 3월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이 범에 따라 2005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출범했다. 반민규명위는 법에 정해진 바에 따라 친일청산을 위한 진상규명 활동을 벌였다. 친일청산에 반대하는 정치권과 보수언론의 집요한 방해공작에도 불구하고 1,006명에 대해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을 내린 것이야말로 반민규명위의 중요한 성과라고 할 것이다. 오랫동안 한국사회에서 금기의 영역에 속해 있던 친일의 문제를 국가차원에서 정리했다는 것 자체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반민규명위의 성과는 인권과 민주주의 시민의 연대의식이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해방된 지 60년도 더 지나 국가차원의 친일청산이 이루어지는 바람에 청산의 핵심이어야 할 사법적 처리는 불가능했지만 그나마 친일반민족행위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묻고 역사의 기록으로 남겼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 60년도 더 지난 뒤의 과거사청산이라는 점에서 친일청산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다른 과거사청산처럼 국가차원의 친일청산도 국회에서 특별법을 만들고 법에 따라 설치된 진실위원회 형태의 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특별법 자체가 진상규명의 범위를 애초에 지나치게 좁게 잡아 놓았기 때문에 위원회의 활동도 그로부터 제약을 받았다. 처음부터 조사대상과 범위에 대한 신축적인 판단의 여지가 상당 정도 봉쇄되어 있었던 것이다. 국가차원의 친일청산은 시민사회의 친일청산 움직임에서 촉발되었다. 미완의 친일청산을 마무리하는 것은 다시 시민사회의 몫이 되었다. 반민규명위의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은 친일청산의 완결이 결코 아니다. 국가차원의 친일청산이 친일청산의 모든것이 될 수는 없다. 반민규명위의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은 앞으로 시민사회와 학계차원에서 이루어질 친일청산을 위한 토대이자 시금석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일제강점기를 비롯해 과거사의 진상을 규명하는 일은 현재진행형의 역사쓰기이자 앞으로 전개될 민주화 이후 우리 현대사의 첫 장을 여는 작업이기도 하다. 친일 진상규명작업은 민주화 운동의 성과물이기도 하지만 민주화 운동의 또 다른 시작이기도 한것이다. The past history of Korea is various types of problems. The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past of the colonial rule by Japan has left and by the abuses of dictatorial government. Peculiarly, their relationship is in line with each other such as both sides of coin. During a chaotic period of Korea achieved independence, all the makings of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was regarded as necessary for setting up to Syngman Rhee government which was actively supported by them. Obviously, the pro-Japanese liquidation by Syngman Rhee’s regime was sloppy, even that it ran aground. After June Democracy Movement in 1987, it began to catch the people``s eyes that the dictator regime was closely related to pro-Japanese. Sad to say, Korean society had failed to clear way Japanese colonialism by downfall of the Special Committee for Prosecution of Anti-National Offenders due to constant sabotage under Syngman Rhee government. A public pressure was gradually mounting for demand of pro-Japanese liquidation and it had to be done as a process of democracy. Consequentially, it took place sporadically the “history clean-up” or “set the history right” campaigns, which referred a second pro-Japanese liquidation movement, and formed a social consensus to uphold historical justice. Strong demand from the civil society expanded to the country in an instant by acting in accordance with public opinion. At last, the Special Act on the Inspection of Collaborations for Japanese Imperialism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2004 and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Inspection of Collaborations for Japanese Imperialism was started at 2005 by it. The committee was clarifying the truth for the pro-Japanese prudently. Despite the relentless disturbance of political and conservative journalism, the committee came up with noticeable fruition what that it made a determination of fingering 1,006 people as pro-Japanese collaborators. There was important meaning itself that national institution clearly did indentify pro-Japanese issues that belonged to taboo areas in Korea. Also, In regard to past history liquidation after the past more than 60 years, Pro-Japanese liquidation would be an unprecedented. Even legal procedure as a core of settlement was not possible because it was delayed over sixty years after liberation, it made them take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vities and was important to put that on record in Korea history. If there were desired, th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was limited because it was installed by Special Act, which was based on political compromise in national assembly, and operated it as other past affairs. To crown it all, the special act itself placed first in excessively narrow hold a range of Truth. There was no room for flexible judgment of the survey and the range has been sequestered a considerable degree from the beginning. No one can deny that Pro-Japanese settlement of the national level was inspired from an earnest desire of civil society. Nevertheless, to finish the uncompleted pro-Japanese liquidation will belong to civil society again. The committee decision was not only enough but also it is not all for the pro-Japanese liquidation. However, it should be evaluated as a touchstone because it is not finished and must do it more than the committee by the civil society and the groves of academe. In conclusion, investigating the truth of the past history including Japan colonial era, it is ongoing history writing and also can be a first chapter of our modern history since democratization movements. The truth commission activity for Pro-Japanese is the product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other word, it was also in another of the beginning of the democratic movement.

      • KCI등재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나타난 진상(進上) 관련 조항의 분석

        전상욱,Jeon, Sang Wuk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3

        In Ryeojidoseo(輿地圖書) Jinging(進貢) Bangmul(方物) item, The Goods name, date, How to make, quantity, etc. are recorded.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wns by the way it is written. at Goods in Jinging(進貢) Bangmul(方物) item, contained medicines, fish and shellfish, provisions, fruit, salted seaweed, weaponry, Leather, buchaeryu are included. And these goods are the town were offering some of the tribute(貢物) and the donation to the palace(進上物) in the mid 18th century.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daedongbeop(大同法). If this analysis approach to the provinces, This analysis makes clear. for example, in Gyeonggido(京畿道) only 12 species recorded and in Chungcheongdo(忠淸道) no a monthly-Jinsang(朔膳進上), in Chollado(全羅道) Sammyeongilbangmul(三名日方物) is not recorded but Bamboo and liabilities are recorded, no bangmul-Jinsang(方物進上) in Gangwondo(江原道), etc. This shows the nature of the Jinging(進貢) Bangmul(方物) item.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8세기 영조(英祖) 때 전국적인 지리지를 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비록 공식적인 간행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조선후기 각 군현의 사회상 및 경제상황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일찍부터 그 자료적 가치를 주목받아 왔다. 특히 진상 관련 조항은 다른 진상 관련 자료가 진상물의 분정 상황이 도 단위까지만 파악된 것과 달리 도내 즉, 고을 단위까지 진상물이 파악되어 있어, 진상물의 전국적인 분정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조항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진상 관련 조항은 진공(進貢) 조항과 방물(方物)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조항에는 물품명 상납시기 수량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각 고을별로 기재양식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상납시기와 수량에 관한 정보가 부실하여 물품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진상 관련 조항에 수록된 물품은 약재류 어류 조개류 해조류 과실류 젓갈류 무기류 모피류 부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진상물목(進上物目)에 따라 분류한 후 도별로 정리하여 다른 진상 관련 자료와 비교하면 "여지도서(輿地圖書)" 진상 관련 조항의 자료적 성격이 18세기 전반 각 고을에서 현물상납하는 물품이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물품은 대동법 실시 이후 대부분의 공물은 경중에서 마련한 것과 달리 진상물은 현물상납이 유지된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 진상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진상물의 현물상납 유지로 인해 매년 상당한 액수의 경비가 지방에서 소비됨으로써 지방 상업 발달의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