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과시제도의 형성과정

        최광만 ( Kwang Man Choi )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2

        이 글은 조선후기 교육제도에서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는 과시제도의 형성과정을 추적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과시제도의 재구조화 과정이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는?과시등록?을 기본 자료로 하되, 조선후기적인 과시제도가 규정되어 있는 ?속대전?을 개념틀로 삼아서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의 과시제도는 1639년(인조17) 소학고강의 신설로 인한 공도회의 실시, 1655년-1659년(효종6-10) 사학합제의 시행과 공도회의 분리 그리고 1663년(현종4) 성균관 과시를 비롯한 제반 과시규정의 정비의 단계를 거쳐 확정되었다. 이후 몇 차례 부분적인 조항이 변경되기는 하였지만, ?속대전?의 규정으로 정착되기까지 큰 변화는 없었다. 둘째, 조선후기 과시제도는 변화된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정책, 즉 소학교육 강화정책, 재가유생 중심의 학교운영 정책에 영향을 받으면서 강화되었다. 그리고 17세기 중반 이후 과시제도가 확립되면서 18세기에는 조선후기의 중요한 교육제도로서 교육현실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셋째, 과시제도의 확립은 조선후기의 교육을 조선전기처럼 학교제도와 과거제도만으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변화된 조선후기의 교육환경에서 과시제도가 미친 영향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Guasi Jedo, 課試制度) of Joseon Dynasty in 17th century. The primary sources are Guasi Deungrok(課試謄錄) and Sok Daejeon(續大典).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important phenomena of the process a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Hak(小學) test in 1639, the establishment of the Sahak Hapje(四學合製) in 1655-1659 and the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in 1663. Secondly, the examination system wa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policy in 17th century. And the examination system became an important composing el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Lastly, the National Encourgement Examination System is a distinctive component of the Joseon Dynasty educational system. It is not found even in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So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Korea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 KCI등재

        사부학당과시제도(四部學堂課試制度)의 정비와 사학합제(四學合製)의 성립과정

        여영기 ( Young Ki Yeo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1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 trends and the administrative principles of The National School Examination System(Keshi zhidu, 課試制度) by reconstructing the newly established process of Sixuehezhi(四學合製) on Josen Dynasty in 17th Century. Sixuehezhi(四學合製) was a Keshi(課試) that had made by separating and recombining the Sixue(四學) Examinations, that is, Sixue lunci caishu(四學輪次製述), Sixue shinian lunjiang(四學式年輪講), Gongduhui caishu(公都會製述), Xiaoxue kaojiang(小學考講).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ree principles of administration and reorganization on Guasi in 17th century, viz, principle of Encouragement of Schools, principle of balance between Capital and Province, principle of Balance between Caishu(製述) and Kaojiang(考講). Therefore, Sixuehezhi was not a lower grade examina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under the kingdom(keju, 科擧)``, but one of Josen`s National School Examinations which had made under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for the nomalization and encouragement of schools. 본 논문은 17세기 四部學堂의 課試인 四學合製의 성립을 중심으로 사부학당의 과시제도의 변화과정을 재구성해 봄으로써 課試制度의 성격과 운영상의 원리, 그리고 교육제도의 조선후기적 변화의 양상을 검토해본 것이다. 사학합제는 17세기 양란 이후 사학의 과시제도를 정비하면서 신설된 시험으로, 그 후 『속대전』에 수록되어 陞補試와 함께 조선후기 사학 과시제도의 항식이 되었다. 본론에서는 주로 사학 합제가 기존의 사학의 과시인 四學輪次製述, 四學式年輪講, 公都會, 그리고 17세기 새로 추가된 小學考講이 과시 운영의 원칙에 맞게 통합되며 만들어진, 조선후기 사학 과시 정비의 종합적 결과물임을 규명 하였다. 17세기 인조-현종대 사학합제의 성립과정을 분석해보면, 크게 세 가지 과시제도 운영과 변통의 원칙들이 고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장려의 원칙[장권의 요구], 제술-고강 균등의 원칙[교육과 정상의 요구], 서울-지방 균등의 원칙[교육행정적 요구], 이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 세 원칙은 사학의 과시뿐만 아니라 국가의 학교 시험제도 전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었다. 이는 조선후기 과시제도가 科擧의 하위시험이 아니라, 과거시험과는 별도로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학업의 권장의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과시의 실제와 교육사적 의의에 대한 보다 진척된 논의를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과시제도 운영과 변통의 원칙들이 17세기 이외의 시기에도 적용되었는지, 사학합제 등의 과시들이 얼마나 실효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시행되었는지, 그리고 과시제도의 정비와 강화가 실제 학교의 운영과 학생들의 학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의 문제들이 향후 연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주제들에 대한 탐색은 조선시대 과시제도의 실제와 의의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학교제도와 과거제도 중심의 논의만으로 포착되지 않던 조선시대 교육의 실상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는 데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사학과시 정책의 추진과정

        최광만(Choi, Kwangman) 교육사학회 2017 교육사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사학과시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조선후기의 사학과시 정책추진과정을 탐색한 내용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의 사학과시 정책은 법적 · 제도적 기반을 갖추는 데에 중점이 두어졌다. 인조 대에는 능력 있는 교관을 임명하여 일상적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에서 정책이 추진되었고, 효종 초에 반포된 「응행절목」에도 이러한 성격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응행절목」이 실패하고 그 대안으로 「사학지규」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이전의 교육정상화 정책은 약화되고, 과시를 통한 교육진흥책이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숙종 대는 이러한 과시 중시의 정책이 집중적으로 시행된 시기로서, 『태학성전』의 편찬이나 『수교집록』과 같은 보완 법전의 제정으로 사학과시의 법적․제도적 위상이 강화되었다. 둘째, 18세기의 사학과시 정책은 이전의 정책을 계승하면서 과시의 공정성 확보와 안정적 운영을 위한 조치에 집중되었다. 그 결과 영조와 정조 대에는 과시를 통해 인재를 교육하고 양성하는 제도, 즉 과시 중심의 학교제도가 형성되게 되었다. 영조와 정조는 사학과시의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여 공정하고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셋째, 19세기의 사학과시 정책은 기본적으로 영조와 정조가 마련한 제도를 유지하는 데에 초점이 있었다. 즉 규정에 따라 사학과시를 시행하고,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과시는 무효로 처리하며, 새로운 과시 규정은 신설하지 않은 것이다. 한 마디로 선왕이 마련한 『대전통편』의 규정에 따라 과시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처리하는 것이 정책의 주 내용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표면적으로는 이전의 제도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지만, 그 이면에서는 사학과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약화됨으로써 여러 문제가 나타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olicy of the Four National Attached Schools’(四部學堂) examination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in the 17th century focused in stabiliz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of the examination as a substitute for strengthening the usual education of the Four Schools. The enactment of [the Rule of Four National Attached Schools(四學之規)] was the start point of the change. Second, the policy in the 18th century focused in securing the fairness and stabilizing the execution of examination.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e policy was the creation of the examination centered school system. Third, the direction of policy in the 19th century formally maintained the previous examination centered school system. But the actual efforts were weakened, so the new school system became relaxed.

      • KCI등재

        18세기 과시의 유형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18세기에 학제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었던 과시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 과시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을 고찰하는 내용이다. 1단계에서는 개별 과시의 운영요소, 즉 시관 · 응시대상 · 시기및절차 · 특혜를 추출하고, 이것을 기초로 2단계에서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도에 비추어 교육형 · 관리형 · 선발형 등 3가지 과시유형을 구분하였다. 첫째, 교육형 과시에는 통독과 승보가 포함된다. 통독은 주로 관학유생의 경학학습을 장려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매달 얻은 점수를 누적해서 우등자를 선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이때 매달의 시험은 진도에 따라 학습상황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그 자체가 교육과정 운영의 일환이었다. 승보는 사학유생의 제술능력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에서 도입되었는데, 매달 특정 문체를 반복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합산하는 시험이었다. 당시의 제술교육이 매달 특정 문체를 반복적으로 점검하는 방식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제술교육과정의 일환으로 간주할 수 있다. 둘째, 관리형 과시에는 사학합제와 지방의 공도회가 포함된다. 이 두 과시는 2단계 선발방식으로 시행되었고, 가능한 많은 유생에게 학업 능력을 공인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기본 취지가 있었다. 당시의 교육환경을 고려할 때, 소속 유생들이 시험일정에 따라 자신의 학업을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선발형 과시에는 전강 · 절일제 · 황감제가 포함된다. 이들 과시는 모두 대과와 관련되어 있고, 정부고관이 시험을 주관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1회성 시험으로서, 능력이 우수한 유생을 선발하려는 목적이 강하였다. 이러한 과시의 유형은 법전과 성균관규정집을 중심으로 추출한 이념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과시시행 사례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tracting the ideal types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s(課試) and explaining their character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system of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Then the examination system wa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actor of the educational system, so the understanding the examination system is the gateway to the garden of the 18th century education. But the examination system is very complicated to understand, because it continuously changed. It demands to start from revealing the structures of the examinations. The Sequel of the Great Code(續大典) helps for the work, in so far as it enacts some important points of the examinations. This study can extract three ideal types of the examinations from the Code. These are education type, management type and selection type. The character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type contains ‘Tongdok(通讀)’ and ‘Sengbo(陞補)’. The two examinations have educational function as the curriculum in common. Because they are implemented monthly in order, and the records are summed up annually. Second, the management type contains ‘Hanbje(合製)’ and ‘Gongdohoe(公都會)’. The two examinations are identical in process of the test. And the aim of the test is the enlargement of the opportunity for the student to enter himself for the examination, and so the management of the learning of them. The students could control their schedule of learning by the tests. Third, selection type contains ‘Jeongang(殿講)’, ‘Jeolilje(節日製)’ and ‘Hwanggamje(黃柑製)’. These are identical to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fact. Because the winners of the examinations were considered as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civil service exam. These results shows the divirsity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s. But the types are ideal and formal because they are extracted from the law book. So they must be reconsidered through looking deep into historical evidences.

      • KCI등재

        조선 후기 과시 규정의 변화

        최광만 교육사학회 2018 교육사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aims at tracing the change of the rules of School Examination(Guasi, 課試) in Royal Codes for the foundation of the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and selection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2nd Royal Code(Sok-Deajeon, 續大典) shows the rationalization of the rules of School Examination. The adjustment of examination schedules and the foundation of penalty articles are the typical aspects of it. Second, the 3rd Royal Code(Deajeon-Tongpyeon, 大典通編) shows the establishment of the rules of School Examination. But it also includes some new rules which preannounce the 19th century’s School Examination. They are about the new school examinations, the change of taking the civil examination and the emphasis on the literature tests. Third, the 4th Royal Code(Deajeon-Huetong, 大典會通) is basically identical with the 3rd Code. But it accelerates the tendency of the emphasis on the literature tests. 본 연구는 『속대전』, 『대전통편』, 『대전회통』에 나타난 과시 규정의 변화를 고찰하는 내용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속대전』의 규정은 과시가 관행에 따라 진행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과시의 현실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현실화 조치는 제재 규정을 정비한 데에서도 확인된다. 둘째 『대전통편』의 과시 규정은 외형상 『속대전』과 비슷해 보이지만, 내용상으로는 큰 변화가 있었다. 즉, 과시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규정을 신설하였고, 춘추도기와 응제를 사실상 별도의 과시로 분리시켰으며, 과시에서 얻은 은사를 식년시 이외의 과거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셋째 『대전회통』의 과시 규정은 기본적으로 정조 대의 규정을 명문화한 내용이다. 『대전통편』의 규정을 바탕으로 하면서, 정조 말까지 신설된 몇 개의 규정을 부가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대전통편』부터 나타나는 새로운 경향이 더욱 분명해지는 모습이 보이는데, 그것은 제술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해진다는 점이다. 법전의 과시 규정에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들은 각 시기의 과시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향후 조선 후기 과시의 제도적 의미와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서 실제 운영방식과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정조 대 초계문신의 문과급제경로 분석

        정상준 교육사학회 2020 교육사학연구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ses the tendency of the successful rate in Civil Service Examination(Dae-gwa, 大科) of Chogyemoonsin(抄啟文臣) in Jeongjo regime. The total number of the Chogyemoonsin is 14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eongjo ordered Uijeongbu(議政府) to select Chogyemoonsin if Chogyemoonsin was insufficient or if new List of successful applicants(Dae-gwa, 大科) was announced and additional Chogyemoonsin was needed. A total of 143 people were selected over 17 occasions (10 times under the supervision of Uijeongbu and 7 times under King Jeongjo's special orders). Second, those who have a talent for literature were selected as Chogyemoonsin. King Jeongjo had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skills through the process of marking the answer sheets for Seongkunkwan examination(成均館課試) and interviewing the superior in the examinations. Third, the proportion of those with honors in the school examination(Sa-hak Gwa-si 四學課試) was 31 (21.7%) which was quite high. Fourth, 54.5 percent of Chogyemoonsin passed Civil service Examination(Dae-gwa, 大科) after passing the So-gwa, 小科) This figure is 23.4% higher than successful candidates of Common Civil service Examination(Dae-gwa, 大科) in Jeongjo regime. The fifth, Chogyemoonsin concentrated on taking the Seongkunkwan examination over the years before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Dae-gwa, 大科). 본 연구는 정조 대 초계문신이 문과에 진출하는 추이를 분석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초계문신의 명단을 확정하고, 이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선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문과 급제 과정에서 이들의 사학유생 여부, 사학 과시 우등여부, 소과 입격여부, 성균관 과시 우등 여부, 대과 급제 경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계문신은 총 17회(의정부 주관 10회, 정조 특교 7회)에 걸쳐 143명이 선발되었는데, 정조는 초계문신의 선발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의정부가 뽑아 올린 초계문신과 정조가 특교로 뽑은 초계문신 모두 정조가 개인의 면면을 살핀 후에 선발되었다. 둘째 문학에 재능이 있는 이들이 초계문신으로 선발되었다. 정조는 각종 과시의 답안지를 직접 채점하고 과시의 우등자를 소견하는 과정을 통해 유생들의 문예능력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셋째 사학과시 우등자의 비율이 31명(21.7%)으로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초계문신이 뽑힌 37개의 방에서, 초계문신의 선발조건에 해당하는 사람은 55명이었는데, 특교로 뽑힌 두 명을 제외하고 29명(52.7%)이 초계문신이 되었다. 즉 사학과시 출신 2명중 1명이 초계문신이 된 셈이다. 넷째 소과를 거쳐 문과에 급제하는 비율이 54.5%로 정조 대 문과 급제자가 소과를 거쳐 문과에 급제하는 비율 31.1%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다섯째 초계문신들은 문과에 급제하기 전 수년에 걸쳐 집중적으로 성균관 과시에 응시하였다. 초계문신 중 성균관 과시우등자의 비율은 73.4%로 초계문신의 대부분이 성균관 과시 우등 이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과에서는 직부전시자의 비율이 50.2%로 가장 높았고 정시와 증광시가 각각 20.3%, 14.7%를 차지하였다. 식년시는 2.1%에 불과하였는데, 정조 대 문과급제자의 46.7%가 식년시인 점을 고려한다면 독특한 경향이다.

      • KCI등재

        정조 대 문과 출신자의 급제 경로 분석

        정상준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passing process of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Moon-gwa, 文科) in King Jeong-jo reign. For this investigation, the tendency to pass the Seung-bo(陞補), Hab-je(合製), the tendency to pass the so-gwa(小科) test, the tendency to pass the Sungkyunkwan examination(成均館課試) test, and the tendency to pas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t were investigated for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test [SaengWon(生員)․JinSa(進士) 218 and Yu-Hak(幼學) 519] during the King Jeong-jo re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onor rate of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King Jeong-jo reign in the Seung-bo, Hab-je was 9.4%. They continued to take the Seung-bo and Hab-je exams for several years at the intersection. Sercond, The honor rate of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King Jeong-jo reign in the so-gwa was 33.2%. The types of so-gwa they passed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previously passed the Seung-bo, Hab-je. Those who passed the Seung-bo, Hab-je tended to advance into Jinsa(進士). Third, The honor rate of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King Jeong-jo reign in Sungkyunkwan examination was 53.3%. 74.8% of SaengWon․JinSa passed and 42.6% of Yu-hak passed the Sungkyunkwan examination. SaengWon․JinSa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writing tests of Sungkyunkwan examination and Yu-hak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oral tests of Sungkyunkwan examination. Fourth,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SaengWon․JinSa or Yu-hak, the type (writing test or oral test) of Sungkyunkwan examination that passed was different. SaengWon․JinSa did well on the writing test. Yu-hak usually did well on oral tests. However, Yu-hak sometimes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gion. Yu-hak living in Han-sung(漢城) did well on the writing test and those living in the provinces did well on the oral test. SaengWon․JinSa mainly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 through the Kyung-gwa(慶科), and Yonsei University students tended to pass the Siknyun-si. 본 연구는 정조 대 문과 출신자의 구체적인 급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이들의 과시 우등 이력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거 진출 양상을 분석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정조 대 문과 급제자 777명(생원․진사 258명, 유학 519명)을 대상으로 사학 과시 우등 경향, 소과 입격경향, 성균관 과시 우등 경향, 문과 급제 경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조 대 문과 급제자의 9.4%는 급제 이전에 사학 과시에서 우등을 하였다. 이들 중 52.1%는 중복 우등을 하였고, 이들은 평균 최소 5.3년에 걸쳐 사학과시에 응시한 것으로 조사되는데, 대체로 승보와 합제에 모두 응시하였다. 둘째, 정조 대 문과 급제자의 33.2%는 급제 이전에 소과에 입격하였다. 입격 당시 연령은 30.3세였다. 이들의 소과 입격 비중은 생원시 50.8%, 진사시 44.6%, 양시 4.6%인데, 사학 과시 우등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사학 과시 우등자의 경우 소과 입격률이 61.6%로 미우등자의 입격률 30.3%에 비해 약 2배가 높았고, 주로 진사시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정조 대 문과 급제자의 53.3%는 급제 이전에 성균관 과시 우등을 하였다. 생원․진사의 경우, 74.8%로 대부분이 성균관 과시에서 우등을 하였고, 유학의 경우 42.6%가 성균관 과시에서 우등을 하였다. 생원․진사의 우등 비율이 약 1.8배 높았다. 생원․진사의 경우 제술과시에서 우등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유학의 경우 강경과시에서 우등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성균관 과시 우등자의 92.5%는 제술과시와 강경 과시 중 한 과목에서 주로 우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들이 당시 장기를 보이는 과목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넷째 성균관 과시 과목별 과시 은사나 직역에 따라 두각을 드러내는 과목이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고, 문과 진출 시험역시 구분되는 경향이 보였다. 생원․진사의 경우 제술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경향이 뚜렷했다. 이들은 제술과목 성균관 과시에서 우등을 하여, 직부전시로 문과에 진출하거나 경과를 통해 급제하는 경향(94.6%)이 뚜렷했다. 유학의 경우 지역별로 경향이 달랐는데, 한성지역의 유학의 경우에는 제술과목에서 두각을 나타내서 제술직부전시나 경과를 통해 문과에 진출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지만, 대부분의 유학은 강경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강경과목 성균관 과시에서 우등을 하여, 직부전시로 문과에 진출하거나 식년시를 통해 급제하는 경향(61.8%)이 주로 나타났다.

      • 뇌동맥류 파열 위험성 예측을 위한 혈류 역학 기반 딥러닝 모델

        양현동(Hyeondong Yang),조광천(Kwang-Chun Cho),김정재(Jung-Jae Kim),김재호(Jae Ho Kim),김용배(Yong Bae Kim),오제훈(Je Hoon Oh)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Cerebral aneurysms should be treated before rupture because ruptured cerebral aneurysms result in serious disability. Therefore, accurate rupture risk prediction is important and has been estimated using various hemodynamic factors. Our study aimed to suggest a new way to predict rupture risk in cerebral aneurysm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hemodynamic factor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as utilized for rupture risk prediction for 123 aneurysm cases. To train the effect of hemodynamic parameters on the CNN, the hemodynamic parameters were first calculate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fluid-structure interaction. Then, they were converted into images for training the CNN using a novel approach. In addition, new data augmentation methods were devised to obtain sufficient training data. A deep learning algorithm based on hemodynamic factors, including WSS and strain, c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predicting rupture risk in cerebral aneurysms with good predictive accuracy.

      • KCI등재

        조선 후기 사학 과시 우등 출신의 관직 이력

        최광만 한국교육사학회 2019 한국교육사학 Vol.4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overnment post career of the Honer Students of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e object of study is the 725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government examination out of the 4,109 honor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honor students were appointed ‘Gajuseo(假注書)’ at first.(423/427, 99.1%) Second, afterwards they were appointed national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school examiners. The appoint rates of teachers are 53.8%(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65.2%(National Universtiy; Seunggyungwan, 成均館), and 35.2%(Principal of National University; Daesaseong, 大司成). The rates are 2.0~2.8 times the other successful candidates separately. And the appoint rates of examiners are 53.5%(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examinations) and 49.2%(National University examinations) Third, the appoint rate of the important posts(Yojik, 要職; eg. Samsa, 三司, Seungjeongwon, 承政院) is about 80%. and the appoint rate of minister(Panseo, 判書) or prime minister(Jeongseung, 政丞) is 22.5%. Especially the appoint rate of prime official laureate(Deajehak, 大提學) is 46.2%(12/26). The rate is about 5 times the other candidates. So the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examinations were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and selection system in the 18th~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사학 과시 우등 출신자들이 엘리트 관리로서 진출하는 양상을 조사한 내용이다. 연구 대상은 사학 과시 우등 출신 총 4,109명 중 문과에 급제한 725명이고, 조사 자료는 『승정원일기』, 각종 겸교수안, 『청선고』 등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학 과시 우등 출신은 평균 37.6세에 문과에 급제 하고, 7품관을 거칠 때에는 대부분 승정원 가주서(99.1%)에 임명되었다. 이후의 관직 이력은 사학 겸교수(53.5%), 성균관 교관(65.2%), 대사성(35.2%)과 같은 교관(시관)이나 삼사 및 승정원(80%) 등의 요직을 거쳤고, 50세경에는 판서․정승(22.5%)에 올랐다. 특히 대제학의 경우는 정조 이후 총 26명 가운데 12명(46.2%)을 차지하였다. 이것은 영조대의 상신 서명균이 ‘선비들은 승학(陞學) 시험에서 문명(文名)을 얻고, 생원․진사의 장원이나 문형(文衡)을 주관하는 자들이 모두 이 시험에서 배출된다’고 진술한 것과 부합한다. 즉 조선 후기의 사학 과시 우등 출신은 장래의 재상이나 문형으로 진출하는 주요 통로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인재 교육․선발 과정에서 사학 과시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또 다른 통로였던 성균관 과시나 공도회와의 관련성에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사학 과시 우등 문과 급제자와 지방(강원․충청) 출신 급제자 간의 관직 진로 비교 시론

        이상무 한국교육사학회 2019 한국교육사학 Vol.4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reer paths between the honor students of the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Sahak, 四學) and the successful students from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late Joseon Dynasty, and to confirm the status of the show of the private school at that ti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cluded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Mungwa, 文科) from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from 1744 to 1875 and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rom Gangwon and Chungcheng Province from 1725 to 1894. Comparing their careers after passing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ratio of appointments of those from the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was higher than those from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major institutions such as Saganwon(司諫院), Saheonbu(司憲府), Hongmunkwan(弘文館) and Seungjeongwon(承政院). Especially, the rate of appointment of Hongmunkwan and Seungjeongwo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institutions. And the ratio of those who were the honor student of the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to promotion to Jeongseung(政丞) and Panseo(判書) was much higher than those from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examination(Sahah Gwasi, 四學 課試) at that time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hannel to be promoted to the main position and the highest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status of the four national affiliated schools’ examination was considered to be quite high.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사학 과시 우등자 출신 문과 합격자들과 지방(강원․충청) 출신 문과 합격자들 간의 진로를 개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그 당시 사학 과시의 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반상』에 수록된 1744년부터 1875년까지 사학 과시 우등 출신자 중에서 문과에 합격한 사람들과 『문과방목』에 수록된 1725년부터 1894년까지 문과에 급제한 강원․충청 지역 출신 합격자들이며 이들은 모두 1,373명이다. 이들의 문과 합격 이후 진로를 비교하면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 승정원 등 주요 기관에서 사학 과시 우등 출신자들의 임용 비율이 강원․충청 지역 유생들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홍문관과 승정원의 임용 비율은 타 기관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학 과시 우등 출신자들이 정승과 판서에 승진하는 비율도 강원․충청 지역 유생들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당시의 사학 과시는 주요 요직과 최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사학 과시의 위상은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