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암제영(斗庵題詠)』소재 가사의 형상화와 문학사적 가치

        손대현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3 No.-

        본 논문은 김약련의 『斗庵題詠』소재 가사의 서술방식과 주제의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학사적 가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제까지 학계에 보고된 바가 없는 『斗庵題詠』소재 가사 작품들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 논의라는 의미가 있다. 『斗庵題詠』소재 가사들은 1789년 이후에 창작된 작품으로 출사와 유배, 귀향을 반복한 영남 지역 향촌 사족의 삶과 당대에 대한 인식이 충실이 드러나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老婦歎>과 <答婦詞>는 대화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小學歌>에서는 예화를 통한 교훈의 전달이, <老婦歎>과 <科弊歎>에서는 장면화를 통해 상황을 더욱 충실히 전달하고 있다. 또한 각 작품들은 대상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바탕으로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부정적 현실에 대해서는 풍자를 통해 강렬하게 비판하고 있다. <老婦歎>과 <答婦詞>는 개인적 어려움과 고통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를 문제삼고 있으며 <小學歌>에서는 사족의 신분을 확고히 할 수 있는 여성의 처신을 문제삼고 있다. 또한 <科弊歎>에서는 서울과 지방의 차별과 과거장에서의 부패 문제를 지적하면서도 문풍의 쇠퇴가 과폐의 핵심이며 이러한 국가적 문제를 해결할 주체가 사대부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 『斗庵題詠』의 발견은 조선 후기 향촌 사족의 삶과 문학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科弊歎>은 과거의 폐단을 다룬 유일한 가사작품으로서,<小學歌>는 .士小節.과 송시열의 <戒女書>가 어떻게 변이해 갔는가를 살필 수있는 작품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本文考察金若練的"斗庵題詠"所載歌詞的敍述方式和中心思想僞目的。"斗庵題詠"所載歌詞四首是從未在學界里報告過,因此本文的硏究意義也在此。這些作品當中敍述了金若練一生的傳奇。也在此充分看出當代的社會像和他的認識關。各個作品是以話者片面的獨白來敍述的。其中,``老婦嘆``和``答婦詞``是獨白形式,可是以對話形式構成的。還有,話者片面的形式是一般在``小學歌``當中常用。而且,``小學歌``是用典故來傳達敎訓。``老婦嘆``和``科弊端``使用場面化來更充實的表達出當時狀況。還有,作品當中常用諷刺來强烈的批評了腐敗的現實。``老婦嘆``和``答婦詞``里主要提出了社會或者階級問題以及如何受容個人的痛苦或困惑。``小學歌``一詞當中提出了變化多端的世態當中依然可以掌握好自己身貧的士族女性問題。還有,``科弊嘆``里也提出了京都和地方的差別和科廠上的各種問題。而且,``科弊嘆``一詞還明得指責了文風的衰弱都是科擧的弊端而引起的。而且,作者認僞 這樣的種種問題都是國家和士大夫是避免不了責任的。這些作品當中``科弊端``是唯一表達了科擧地各種問題的歌詞。``小學歌``的意義在于 査看士小節 和宋時烈的``谿女歌``的變化過程。也可以說査看當代響村士族的樂享有和文學的形象化的重要作品。

      • KCI등재

        『斗庵集』․『斗庵叟隨錄』․『斗庵題詠』을 통한 斗庵 金若鍊의 산문 연구(1) -傳을 중심으로-

        한의숭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7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attempt to fully illuminate the Duam prose thanks to the discovery and introduction of the manuscript 『Duamsusurok』 and 『Duamjeyeong』, which are the first draft materials of the collection 『Duamjib』. To this end, we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uam prose, focusing on Jeon, among the pros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Duamjib』 and the manuscript 『Duamsusurok』, 『Duamjeyeong』. There are nine work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Duamjib』. Looking at the expulsion of the work, it is confirmed that it aims to strengthen the Confucian ideology that revealed “Chung(忠), Hyo(孝), Yeol(烈)” at the forefront. In addition, the target of entry is also noted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women and animals, which seems to be aimed at attracting effective targets to clearly convey ideology. Among them, first,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preparation for 「Euigujeon(義狗傳)」 and 「Geumyeolyeojeon(琴烈女傳)」, which are commonly included in 『Duamjib』 and 『Duamsusurok』. Above all, compared to the manuscript 『Duamsusurok』, the works included in the 『Duamjib』 were almost half deleted in terms of volume, and many traces of processing were found during the compilation proce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ure of the work included in the 『Duamjib』 was also transformed into a pattern in which the controversy was erased and the biography elements focused on the record of the event were emphasized compared to the original 『Duamsusurok』.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works included in 『Duamsusurok』 were created in a pattern in which discussions and narratives were strengthened compared to 『Duamjib』. On the other hand, the works of biography not included in 『Duamjib』 are included in 「Eonpeon(俚諺編)」of 『Duamjeyeong』 such as 「Mosijajeon(某氏子傳)」, 「Yeohogeoljeon(女豪傑傳)」, 「Rakyangheonbujeon(洛陽賢婦傳)」, 「Honammangsajeon(湖南妄士傳)」. These works are translated into the story of Duam's transmission, focusing on ‘femininity’ and ‘eccentricity’. Among them, 「Mosijajeon(某氏子傳)」 and 「Honammangsajeon(湖南妄士傳)」 are noted for their humorous tendency using curious subject, while 「Yeohogeoljeon(女豪傑傳)」 and 「Rakyangheonbujeon(洛陽賢婦傳)」 focus on describing female figures who edify men or perform comparable actions. As part of analyzing the prose works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Duamjib』 the manuscript 『Duamsusurok』 and 『Duamjeyeong』 the characteristics of Duam prose were first highlighted, focusing on the works of the three texts. Through th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entire Duam prose will be conducted, which will lead to a study of the genealogy of Galam and Milam families affected by the Duam prose. In that case, research on the prose of Yeong-nam Namin in the 17th and 8th centuries is expected to face a new turning point. In this respect,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attempt to establish a place to partition the history of prose on Yeong-nam Nam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illuminating the new trend of prose on Yeong-nam Namin in the 17th and 8th centuries. 본고는 문집본 『斗庵集』의 초고본 자료인 필사본 『斗庵叟隨錄』과 『斗庵題詠』이 새롭게 발굴, 소개된 것에 힘입어 두암 산문을 전면적으로 새롭게 조명하려는 시도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문집본 『두암집』과 필사본 『두암수수록』, 『두암제영』에 수록된 산문 가운데 傳 작품을 중심으로 두암 산문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집본 『두암집』에 수록된 傳 작품은 9편이다. 작품 제명을 살펴보면 ‘忠, 孝, 烈’을 전면에 드러낸 유교 이데올로기의 강화를 지향하고 있는 게 확인된다. 그리고 입전 대상 또한 여성, 동물과 같은 사회적 약자가 주목되는데, 이는 이데올로기성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효과적인 대상을 끌어오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먼저 『두암집』과 『두암수수록』에 공통적으로 수록된 「義狗傳」과 「琴烈女傳」을 대비하여 성격을 분석하였다. 무엇보다 초고본 형태인 필사본 『두암수수록』에 비해 『두암집』에 수록된 작품은 분량에 있어서 절반 가까이 삭제된 양상을 보이는 등 편찬 과정에서 가공된 흔적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작품의 성격 또한 『두암집』에 수록된 작품은 『두암수수록』에 비해 의론성이 소거되고 사건의 기록에 비중을 둔 傳記性이 강조된 양상으로 탈바꿈된 게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초고본 『두암수수록』에 수록된 작품은 『두암집』에 비해 의론과 서사가 강화된 양상으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두암집』에 미수록된 傳 작품은 「某氏子傳」, 「女豪傑傳」, 「洛陽賢婦傳」, 「湖南妄士傳」 4편으로 『두암제영』의 「俚諺編」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 작품은 두암이 구비전승된 이야기를 한역한 것으로 ‘女性’과 ‘奇異’를 중심에 두고 있다. 이 가운데 「모씨자전」과 「호남망사전」은 기이한 소재를 활용한 야담적 성향이 주목되며, 「여호걸전」과 「낙양현부전」은 남성을 교화하거나 필적할 만한 행동을 실행하는 여성 형상을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게 확인된다. 본고는 문집본 『두암집』과 필사본 『두암수수록』, 『두암제영』에 수록된 산문 작품을 분석하기 위한 일환으로 먼저 3개의 텍스트에 수록된 傳 작품을 중심으로 두암 산문의 특징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두암 산문 전반에 대한 총체적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이는 두암 산문이 영향을 받은 갈암, 밀암 계열 문인 계보에 대한 연구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럴 경우 17∼8세기 영남 남인 산문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는 이런 측면에서 17∼8세기 영남 남인 산문의 새로운 경향을 입체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조선 후기 영남 남인 산문사를 구획하기 위한 입점을 마련하려는 시도에 해당된다.

      • KCI등재

        내방가사를 통한 여성의 자기표현과 부부관계의 구성 - 『두암제영』 소재 <노부탄>과 <답부사>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애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paper analyzes two matrimonial dialogue-style gasa written in Hangul, ‘Nobutan(老婦歎)’ and ‘Dabbusa(答婦詞)’, from Duamjeyeong (斗庵題詠) by Kim Yak-ryeon(金若鍊, 1730~1802)’s. The objectiv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within the family community and the place of the wife as an autonomous being. In the Joseon society where Confucianism was firmly established as institutional discourse, women were perceived as beings who were devoted to and had to sacrifice for their family, rather than individuals with their own voices. In a cultural environment that emphasized collectivist culture in particular, married women’s silence and sacrifice were praised as virtues. However, unlike the institutional discourse that praised women’s sacrifice and womanly virtues(婦德), women in the daily life built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members in a more active and autonomous w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status of women within the family. This paper seeks to redefine the place of women within family relationships by carefully examining matrimonial dialogue-style gasa written in Hangul. ‘Nobutan’ and ‘Dabbusa’ are two matrimonial dialogue-style gasa which consist of the wife’s lament and the husband’s response to it. These literary works do not reflect the sole voices of noble men and noble women, and rather provide a real insight into the similarities and divergences in the spouses’ discourses on the same matters, as well a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wife and husband. In that sense, they constitute invaluable materials to achieve successfu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이 글은 부부가 주고받은 화답 형태의 가사 작품 <노부탄>과 <답부사>를 대상으로 아내의 주체적 면모가 가사 작품에 드러나는 양상과 남편에게 수용되면서 부부관계가 구성되고 조율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두 가사 작품이 지닌 가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부탄>의 시적 화자는 가정경제와 가정경영에 대한 뚜렷한 가치관을 갖고 치산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남편을 설득하면서 18세기 이후 사회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이 확산되던 시기의 모습과 가정경제를 책임지던 아내의 적극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시적 화자의 모습은 여성의 주체성과도 연결지어 파악할 수 있다. 자율적 주체의 개념을 ‘자기-규율’과 ‘자기-결정’, ‘자기-통치’라고 한다면, <노부탄>의 시적 화자는 자신의 의지에 따른 분명한 가치관을 갖고 이에 따라 행위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통제하는 주체적 면모를 보여주었다. 또한 <노부탄>과 <답부사>에서 보여준 시적 화자의 주체적 면모는 부부관계를 조율하는 것에서 나아가 가족담론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약련은 두 가사 작품을 기록함으로써 부부의 대화가 사적인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가족 담론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답부사>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개개인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가족관계가 구성된다는 그의 가족관을 드러냈다. <노부탄>과 <답부사>를 통해 ‘열쇠꾸러미’로 상징되는 가족경제의 주축인 여성이 가족경영 과정에서 남편의 유교적 가치관을 설득하는 과정과 그 속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주체적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사를 통해 부부간의 대화가 문학적으로 표출되고 기록됨으로써 가정 내에서 또는 부부관계 구성에서 여성의 지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두 작품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科弊歎〉의 서술 양상과 문학적 가치

        손대현(Son, Dae-Hyun)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39

        This paper focuses on the inner order of 〈Gwapyetan〉, included in Kim Yak-ryeon’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Duamjeyeong, and examines the text’s narrative aspects to elucidate its literary value. 〈Gwapyetan〉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and is classified into five or nine paragraphs in detail. The writer Kim Yak-ryeon claims that the Gwageo (civil service examination) has been debased: he criticizes, the attitudes of scholars preparing for the Gwageo, the corruption of the entire examination process, and the badly written examination answers. In order to solve such an abuse of the Gwageo, he brings forward a concrete plan that details a reform of the government, a correct selection of candidates, and a correct performance of ethics. Finally, he claims that high officials and scholars will assume these roles. The abuse of the Gwageo is described in chronological order, while and the corruption of the Gwageo exam place is heavily analyzed. However, the solution plan is described in reverse order and there is no mention of solution for corruption in the exam place. It can be assumed, then, that the writer Kim Yak-ryeon believed that corruption of the Gwageo exam place was temporary and easy to resolve, since the wrong study attitude and the decline of the writing style recognizes the high officials’ responsibility. 〈Gwapyetan〉 are the lyrics that criticize the reality reflected from the provincial aristocrats’ perception of the Gwageo, and they earnestly treat the abuse of the Gwageo. It is valuable that the only piece of the lyrics work treating the abuse of the Gwageo earnestly, and that the work is written in Hang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