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北村透谷「『歌念佛』を讀みて」論 : 「文學極衰極盛」論及び<德川時代の軟文學>に對する評價と關聯させて 「文學極衰極盛」論 및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에 대한 평가와 관련지어

        金勁和 세계문학비교학회 200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 No.-

        본 논고는, 키타무라 토오코쿠(北村透谷, 1868-1894)가 치카마쯔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 1653-1724)의 劇文學 『우타넨부쯔(歌念佛)』에 대해 쓴 평론 「『우타넨부쯔(歌念佛)』를 읽고」(『女學雜誌』第321號, 明治25年6月)를 중심으로 해, 明治20年代(1887-1896) 언설공간이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에도 게사쿠(江戶戱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를, 『文學極衰極盛』論 등과 관련지어 고찰해봤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치카마쯔(近松)의 『우타넨부쯔(歌念佛文)』는, 유곽을 배경으로 한 남녀간의 色情을 다룬 작품인데, 실제,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은 그러한 好色的·遊戱的경향의 작품이 많은 편이다. 그렇다면 明治20년대 언설공간은 好色的·遊戱的 경향의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을 어떤 식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일까? 본 논고가 치카마쯔(近松)의 『우타넨부쯔(歌念佛)』에 대한 토오코쿠(北村)의 평론 「『우타넨부쯔(歌念佛)』를 읽고」에 초첨을 맞춘 것은, 明治20년대에, 치카마쯔(近松)작품이 대량 복간되었을 뿐 아니라,문단계및 아카데미계에서 치카마쯔(近松)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졌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를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토오코쿠(北村)는,치카마쯔(近松)의 『우타넨부쯔(歌念佛)』에 묘사되고 있는 남녀간의 情을, 「신성한 연애(love)」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아무런 희망이 없는 「유곽적 연애(love)」라고 부정적으로도 평가하고 있다. 즉, 한 평론에서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好色的 경향의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에 대해 토오코쿠(北村)가 보여주고 있는 그러한 <ambivalence>적 입장은, 동시대의 우찌다 로안(內田魯庵, 1868-1929)에게서도 보여진다. 로안(魯庵)은,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을, 「봉건시대의 하류계층의 人情」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반면, 「비천하고 왜설적」인 문학이라는 점에서는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물론 토오코쿠(北村)와 로안(魯庵)의 관점이 다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양자가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 <ambivalence>적 입장은, 明治20年代 언설공간이, 好色的·遊戱的 경향의 <토쿠가와(德川) 시대의 軟文學>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음을 보여 주고 있는 예라고 생각한다. 明治20年代에 발행된, <古(典)文學> 산문총서에 해당하는 『日本文學全書』(博文館, 明治23年-25年)에, <토쿠가와(德川)시대의 軟文學>이 제외되어 있음은 그와 관련하여 생각해 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덕천시대(德川時代)의 『논어(論語)』관(觀)과 그 학문정신 -고학파(古學派)의 『논어(論語)』관(觀)을 중심으로-

        신현승 ( Hyun Seung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이 논고는 「德川時代의 『論語』觀과 그 학문정신」이라는 제목 하에 주로 도쿠가와시대에 新儒學의 안티테제로서 등장하는 古學派(Kogakuha)의 학문정신 및 이들의 『論語』觀과 해석의 양상 등을 살펴 본 것이다. 그래서 이 논고는 儒敎의 텍스트 가운데 四書(The four books)의 하나인 『論語』를 둘러싸고 전개되는 주석 혹은 해석의 문제점에 관하여 일본 도쿠가와시대의 『論語』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동아시아 유학사에서의 『論語』해석이라는 시점 하에 일본 古學派의 『論語』觀및 그들의 학문정신을 탐구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문은 대략 두 개의 큰틀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의 첫 번째는, 「古學派」의 학문정신이라는 주제 하에 일본 古學派의 중요한 두 인물 Ito Jinsai(伊藤仁齋)와 Ogyu Sorai(荻生組徠)의 학문정신을 다루었다. 더 세밀하게 분류하면 仁齋의 Kogigaku(古義學) 정신과 ?徠의 Kobunjigaku(古文辭學) 정신을 각각 다룬 것이다. 우선 仁齋의 古義學의 두 축이 『論語』와 『孟子(The works of Mencius)』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두 텍스트를 철저히 심사숙고하여 읽는 것에 의해 聖人[孔子]의 뜻과 의도가 명확히 파악될 수 있다는 의미로써 古義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徠의 古文辭學的학문정신으로의 사상적 전환은 宋代의 朱子學과 仁齋의 古義學에서 촉발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古文辭學의 구체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문의 두 번째는 이 두 인물의 학문정신이 드러나 있는 『論語』 解釋書를 통해 이들의 論語觀과 그 해석 특징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under 「the name of standpoint of Confucian analects and its scholastic spirits during Tokugawa era」, will discuss scholastic spirit of Kogakuha appeared as Antithese against Neo-Confucianism and their standpoints of Confucian analects and aspect of its interpretation primarily for Tokugawa era. Therefore, this paper, focusing on discussion and interpretation problems about Confucian analects which is one of The four books among texts of Confucianism during Tokugawa era, will plan for research on standpoint of Kogakuha regarding Confucian analects. For these purposes, main text of this paper consists of 2 frames. The first issue in the main text, under the subject of scholastic spirit for Kogakuha, will discuss scholastic spirits of Ito Jinsai and Ogyu Sorai who were 2 major people of Kogakuha. To speaking more specifically, it will discuss the spirit of Kogigaku for Jinsai and that of Kobunjigaku for Sorai respectively. First of all, this paper confirmed that 2 axis of Kogigaku for Jinsai are Confucian analects and The works of Menciu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gigaku in terms of the fact that meaning and intentions of the saint (Confucius) can be clarified by careful reading of these two texts. This paper, mentioning that philosophical conversion into Kobunjigaku of Sorai was incurred by Juzahak during Song era and Kogigaku of Jinsai, surveye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bunjigaku. The second issue of main text in this paper, through interpreted book of Confucian analects in which scholastic spirits of these 2 people appeared, will discuss the standpoint of Confucian analects and its interpretation.

      • KCI등재

        德川時代의 『論語』觀과 그 학문정신 ― 古學派의 『論語』觀을 중심으로 ―

        신현승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This paper, under 「the name of standpoint of Confucian analects and its scholastic spirits during Tokugawa era」, will discuss scholastic spirit of Kogakuha appeared as Antithese against Neo-Confucianism and their standpoints of Confucian analects and aspect of its interpretation primarily for Tokugawa era. Therefore, this paper, focusing on discussion and interpretation problems about Confucian analects which is one of The four books among texts of Confucianism during Tokugawa era, will plan for research on standpoint of Kogakuha regarding Confucian analects. For these purposes, main text of this paper consists of 2 frames. The first issue in the main text, under the subject of scholastic spirit for Kogakuha, will discuss scholastic spirits of Ito Jinsai and Ogyu Sorai who were 2 major people of Kogakuha. To speaking more specifically, it will discuss the spirit of Kogigaku for Jinsai and that of Kobunjigaku for Sorai respectively. First of all, this paper confirmed that 2 axis of Kogigaku for Jinsai are Confucian analects and The works of Menciu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gigaku in terms of the fact that meaning and intentions of the saint (Confucius) can be clarified by careful reading of these two texts. This paper, mentioning that philosophical conversion into Kobunjigaku of Sorai was incurred by Juzahak during Song era and Kogigaku of Jinsai, surveye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bunjigaku. The second issue of main text in this paper, through interpreted book of Confucian analects in which scholastic spirits of these 2 people appeared, will discuss the standpoint of Confucian analects and its interpretation. 이 논고는 「德川時代의 『論語』觀과 그 학문정신」이라는 제목 하에 주로 도쿠가와시대에 新儒學의 안티테제로서 등장하는 古學派(Kogakuha)의 학문정신 및 이들의 『論語』觀과 해석의 양상 등을 살펴 본 것이다. 그래서 이 논고는 儒敎의 텍스트 가운데 四書(The four books)의 하나인 『論語』를 둘러싸고 전개되는 주석 혹은 해석의 문제점에 관하여 일본 도쿠가와시대의 『論語』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동아시아 유학사에서의 『論語』 해석이라는 시점 하에 일본 古學派의 『論語』觀 및 그들의 학문정신을 탐구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문은 대략 두 개의 큰 틀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의 첫 번째는, 「古學派」의 학문정신이라는 주제 하에 일본 古學派의 중요한 두 인물 Ito Jinsai(伊藤仁斎)와 Ogyu Sorai(荻生徂徠)의 학문정신을 다루었다. 더 세밀하게 분류하면 仁斎의 Kogigaku(古義學) 정신과 徂徠의 Kobunjigaku(古文辭學) 정신을 각각 다룬 것이다. 우선 仁斎의 古義學의 두 축이 『論語』와 『孟子(The works of Mencius)』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두 텍스트를 철저히 심사숙고하여 읽는 것에 의해 聖人[孔子]의 뜻과 의도가 명확히 파악될 수 있다는 의미로써 古義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徂徠의 古文辭學的 학문정신으로의 사상적 전환은 宋代의 朱子學과 仁斎의 古義學에서 촉발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古文辭學의 구체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문의 두 번째는 이 두 인물의 학문정신이 드러나 있는 『論語』 解釋書를 통해 이들의 論語觀과 그 해석 특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경주 덕천리유적 목곽묘단계의 시・공간적특징으로 본 집단과 계층

        박형열 한국고고학회 2016 한국고고학보 Vol.100 No.-

        This paper aims to describe differences in term of groups status as seen through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at Duckcheon-ri, in Gyeongju. Firstl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eight stages based on the excavated artifacts. Based on a comparison with the artifacts of other Gyeongju tombs belonging to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Duckcheon-ri tombs had been established between CE 180 and 340. The wooden chamber tomb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 large, medium, and small — according to scale. Based on the fact that a difference in the nature of grave goods could be observed between the large wooden chamber tombs of the north and south area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difference in the groups buried in the respective areas. The size of the wooden chamber tomb of each particular type appears to have determined the quantity of pottery deposited and use of iron weaponr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 social hierarchy was already in place, and that a differentiation in terms of wooden chamber tomb size existed from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 in Gyeongju. It was also possible to observe that a differentiation existed in terms of the number of grave goods, their composition, and their types.

      • KCI등재

        한국의 백정과 일본의 피차별 부락민의 비교 연구

        김중섭(Joong-Seop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1·2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전통 사회에서‘버림받은 집단’으로 인식된 백정과 부락민이 겪은 역사적, 사회적 과정을 비교 논의하고 있다. 이 두 집단은 국가를 비롯한 지배 집단과 일반 사람들에 의하여 공적 세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이나 사회관계의 사적 세계에서 차별과 억압을 겪으며 살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한 차별과 억압은 특히 조선시대와 덕천(도쿠가와) 막부시대의 신분제에서 제도적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들은 직업과 호칭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어‘별난’집단으로 인식되며, 사회적 차별과 억압, 격리 속에서 살았다. 떠돌이 빈민집단인 백정들은 천하고 반사회적인 잠재적 범죄 집단이라는 인식을 통하여, 또 천한 일들을 하는 부락민들은 부정(不淨) 관념에 근거하여 더럽다는 인식 아래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겪으며 버림받은 집단으로 굳어졌던 것이다. 19세기 말 조선의 신분제가 와해되고, 또 덕천 막부의 지배가 끝나면서 백정과 부락민의 신분해방이 이루어졌지만 차별은 사라지지 않았다. 20세기 초에 신분 차별 철폐를 위하여 형평사와 수평사가 결성되어 활동하였지만, 일제의 제2차 세계대전 도발 와중에 활동은 지속되지 못 하였다. 그리고 세계대전 이후 이 두 집단의 궤적은 크게 달랐다. 한국에서는 백정에 대한 차별이 사라지고, 그 존재를 찾을 수 없는 반면에, 일본에서는 여전히 부락민 차별이 큰 사회적 문제로 남아있다. 두 집단을 둘러싸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사회 환경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던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and historical processes of Korean paekjong and Japanese burakumin who were regarded as being outcast groups in their traditional society, respectively. Both groups had commonly suffered from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in public and private spheres by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especially by ruling groups. Such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were institutionalized under hierarchical sinbun systems in Choson dynasty and Tokugawa period. They were identified as being inferior to others by their occupations and titles which contributed to reinforcing social discrimination. Paekjong’s status as poor wanderers led them to be regarded menial and even deviant in potential criminals. As for burakumin, they were regarded as filthy and impure people because of their ‘menial’ works. These social prejudices forced them to be outcast groups under the agony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sinbun system of Choson society collapsed and the ruling system of Tokugawa period was terminated, both paekjong and burakumin were legally proclaimed free from the bondage of social agonies. However,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se groups continued in practice afterwards. These situation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Hyongpyongsa in Korea and the Suiheisha in Japan with the purpose of socially liberating paekjong and burakumin, respectively. Both organizations ended their activities in the last years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World War II ended in 1945,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trajectories. Whereas Korea saw few traces of paekjong and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m, conflicts and tensions that resulted from discrimination against burakumin have often occurred in contemporary Japan. These situations reflect the differences in social circumstances of Korea and Jap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