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역사지도 편찬에 관한 기초연구

        전종한(Jeon Jonghan),이명희(Lee Myeonghee)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6

        역사지도란 역사지리학의 고전적 전통인 ‘시간에 따른 지리적 변화(geographical changes through time)’와 ‘과거지리(past geographies)’를 지도학적 방법으로 표현 및 복원해 놓은 지도를 말한다. 20세기 이후의 현대 중국에서는 국가가 지원하거나 주도하는 가운데 『중국역사지도집(中國歷史地圖集)』(1982~1987)과 『중화인민공화국국가역사지도집(中華人民共和國國家歷史地圖集)』(2012~)을 잇따라 발간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중국에서 역사지도집의 연구와 제작, 그리고 편찬 작업은 중국 역사지리학의 가장 특징적인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분야 최대의 성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현대 중국의 대표적 역사지도집인 『중국역사지도집』과 『중화인민공화국국가역사지도집』을 대상으로 역사지도집의 전체적 편찬 방향과 편집 지침, 내용 체계와 구성, 기본도, 지도학적 표현상의 특징을 분석하는 한편, 역사지도집의 전체 편찬 과정에서 작동한 제작 주체의 강역의식 및 역사인식과 같은 토대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현대 중국의 역사지도집은 중국 정부가 계기를 마련하여 시작된 사업이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은 온전히 탄치시앙을 비롯한 제작 주체들이 구상한 토대 개념, 즉 ‘역사상(歷史上)의 중국’과 ‘중국사상(中國史上)의 민족’의 재현이었다. 이들 역사지도집은 중국의 오랜 역사지도 전통을 계승한 것이면서도 실재에 있어서는 ‘역사적 사실’과 ‘국가의 이익’ 사이에서 고민한 결과였다. 따라서 현대 중국의 역사지도집은 역사적 사실과 국가적 이익과 정치적 목적이 혼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차원의 역사지도집 편찬 전담 기구를 설치하여 역사지도집 편찬 시스템을 갖추고 토대 개념에 대한 논의를 비롯해 학제적 협력을 이끌어내는 일이 시급하다. Historical atlas consists of a series of maps that express and reconstruct ‘geographical changes through time’ and ‘past geographies’ which are classics of historical geography. Since the 20th century, modern China has published two historical atlas by supporting and leading by the state. One is 『Chinese Historical Atlas』(1982~1987, 中國歷史地圖集), and the other is 『Chinese National Historical Atlas』(2012~, 中華人民共和國國家歷史地圖集). As a result, today, the study, product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cal atlases in China is not only recognized as the most characteristic area of Chinese historical geography but also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in this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comprehensive guide to Chinese historical atlas, general compiling principles, contents, base map, mapping processes and cart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interpret the base concept or idea such as the consciousness and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producer(subject) who worked in the whole compilation process of the historical atlases. In conclusion, although the Chinese historical atlases are product of a business star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contents contained in it are a representation of the base concept or idea that the producers envision on ‘historical china(歷史上的中國)’ and ‘historical Chinese ethnicity(中國史上的民族)’. These historical atlases are inherited from China’s long history of historical atlases, but in reality they are the result of concerns about ‘historical facts’ and ‘national interests’. In short, modern Chinese historical atlases are a mixture of historical fact, national interest, and political purpose. In order to cope with this situation, it is urgent for Korea to establish the national institute for historical atlas, to have a historical atlas compilation system, to discuss base concepts for national historical atlas, and to draw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 KCI등재

        학회·학과·연구소를 중심으로 본 중국지리학사: 1909~1978

        이강원(Kang-Won Lee)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이 논문은 중국지학회 창립(1909년)부터 개혁개방(1978년) 무렵까지 중국 지리학의 역사에 대해 주로 학회조직, 대학의 학과,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중국지학회, 우공학회, 중국지리학회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전 창설된 지리학 관련 학회였다. 이 학회들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지리학회로 통합되었다. 1921년 중국 최초의 지리학과가 주커전(竺可楨)에 의해 난징의 둥난대학(난징대학)에 창설되었다. 이후 중산대학, 저장대학, 칭화대학, 베이징사범대학 등에 주로 ‘지학(地學)’ 또는 ‘사지(史地)’라는 명칭 하에 지리학 전공이 설치되었다. 1949년 공산정권 수립 후 1958년까지 소련식 지리학의 도입을 통한 활성화가 모색되었다. 1950년대 초 학회와 대학 학과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있었으며, 베이징대학 지질지리학계를 비롯한 지리학 관련 학과들과 중국과학원 지리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50년대 중국의 지리학은 농업생산에 기여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자연지리학과 경제지리학 위주의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58년 대약진운동 이후 1978년 개혁개방 무렵까지 중국지리학은 침체상태에 있었다. 개혁개방은 중국 지리학에 새로운 기회이자 위기로 다가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geography in China from 1909 when the Chinese Geographical Society(zhonguo dixuehui) was established to 1978 when the reform and open policy was initiated. The investigation was done with an emphasis on the history of institutions like academic societies, university departments and institutes. Before the PRC’s establishment, the Chinese Geographical Society, the Chinese Historical Geography Society(yugong xuehui) and the Geographical Society of China(zhongguo dili xuehui) were established. After the PRC’s establishment, however, the academic societies were merged together. The first university department of geography was that of Dongnan university(Nanjing university) established by Zu Kezhen in 1921. Since that Zhongshan university, Zhejiang university, Qinghua university,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Beijing university established the geography departments. In 1950s the academic societies and university departments experienced the restructuring of organization and the Institute of Geography in Chinese Academy of Science was established. At that time the task of geography imposed by PRC was to serve to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o introduce advanced Soviet science. From the beginn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66 to the eve of reform and open policy in 1978, the geography in China has experienced some deep recession. The reform and open policy was a new opportunity and crisis to geographers in China.

      • KCI등재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의 태동과 발전 - 세대, 사승관계, 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 -

        이강원,황영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3

        이 글은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의 태동과 발전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중국 지리학계의 주요 저널에 문화지리학 논문을 게재한 학자들의 사승관계를 추적하여, 세대를 구분하고, 세대별 주요 연구자 및 연구경향과 지역별주요 연구거점 및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자들을 5개의 세대로 구분할 수 있었고, 난징대학을 중심으로 화둥지역에서 출발한 문화지리학적 연구가 베이징과 광저우라는 두 개의 거점으로 분화되어 있다는 점을 파악할수 있었다.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적 연구가 태동한 것은 100년에 가깝지만, 문화지리학 과목이 대학에 처음 개설된 것은 개혁개방 직후인 1980년대 중반 제3세대 학자들에 의해서였다. 1990년대 말부터 2010년대 말까지 연구를주도한 제4세대는 앞세대로부터 물려받은 ‘역사문화지리학’에서 ‘사회문화지리학’으로 전환을 이끌었으며, 대략2010년대에 학술활동을 시작한 제5세대는 ‘사회문화지리학’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 지속가능성’ 과 ‘중국적 문제의식’을 중국 문화지리학의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Examining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ultural geography in Chin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ajor researchers and research trends by generation and to identify major research bases and characteristics by region as well. For these purposes, we tracked the master-apprentice relationship of scholars who published cultural geographical studies in major geographical journals in China. According to the generation classification, scholars could be divided into five generations in this study. Geographical study of culture started in the Huadong region centered on Nanjing University was found to be divided into two bases: Beijing and Guangzhou. Although it is nearly 100 years since geographical study of culture emerged in China, cultural geography was firstly introduced to universities as a course by the third generation scholars in the mid-1980s, shortly after the Chinese economic reform. Leading the research from the late 1990s to the late 2010s, the fourth generation had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from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that inherited from earlier generations to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The fifth generation, who began academic activities in the 2010s, has switched to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We argue that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and ‘critical mind on issues in China’ are the tasks of Chinese cultural geography.

      • KCI등재

        중국의 지리 평가 특성 분석

        이간용(Khan-Yong Le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3

        본 연구는 중국의 지리 평가에 대한 외형적 및 내용적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주요 분석 자료는 최근 5년간(2004-2008년도) 중국의 대학입학시험인 ‘보통고등학교초생전국통일 고시 문과종합능력측시 전국권 Ⅰ, Ⅱ’ 에 출제된 지리 평가 문항이다. 중국의 지리 평가의 외형적 특성으로는 편집 방식 면에서 A4 크기의 용지에 1단으로 편집되는 책자형 방식을 취하고 있었으며, 선택제와 비선택제 등 2개 권(卷)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문항 구조 면에서 선택형 문항은 모자료 아래, 서답형 문항은 대제 아래에 하위 문항들이 포섭되는 세트형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문항 요소 면에서 단위 문항은 ‘지시문-모자료-문두-답지’ 등 네 요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내용적 특성으로는 행동 영역 면에서 선택형이나 서답형 문항 모두 탐구 지향적 성격이 강하였다. 주제 영역 면에서 선택형은 계통 지리적 주제, 서답형은 지역 지리적 주제가 많이 다루어졌으나, 양자 모두 자연 지리와 경제 지리 내용의 비중이 높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자료 구성 면에서는 지도 보다는 그래프 자료가 많이 등장하였고, 자료는 단순하지만 관련 문항은 비교적 질 높은 사고를 요하도록 구안되어 있었다. 한편 중국에서는 지리, 역사, 정치 등 세 과목의 통합형 문항이 출제되고 있다는 점과 문항 공모제가 시행되고 있다는 점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features of the geography test of China from the perspectives of form and content. For this study, test items of geography for Chines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from 2004 to 2008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formal aspect, the test had a booklet format (A4 size) and the booklet consisted of two parts: multiple choice question part and open-ended question part. Each question was consisted of a set. Each set had a direction for the whole set followed by instructive materials, sub-questions, stem items and multiple choices. With respect to content, both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pen-ended questions were inquiry-oriented type questions. Regarding themes of geography dealt in the test, multiple choice questions were mostly on systematic geography and open-ended questions were mostly on regional geography. Both types of questions included high proportion of physical geography and economic geography. Graphs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the test than maps and students should use thinking skills to answer the questions. One of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geography test items was that they were integrated item of geography, history and politics.

      • KCI등재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강창숙(Chang Sook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2

        지리는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이해를 증진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을 갖춘 도구 교과이지만, 중국의 지리교 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이에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 과정과 최근의 교육과정인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지리교육과정은 정치적 이념과 사회적 변 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번창→위축→진흥→발전의 과정으로 발달하였다. 둘째, 최근의 지리과정표준은 종합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내용표준 중심의 개혁적인 교육과정으로, 학생 중심 그리고 지리적 지식과 기능의 유기적 연계를 추구하는 활동 중심으로의 변화가 가장 큰 특징이다. 셋째, 지리과정표준은 크게 서언, 과정목표, 내용표준, 실시건의 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초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는 지구와 지도, 세계지리, 중국지리, 향토지리 4영역 의 기초적인 지리 지식과 기본적인 지리 기능을 강조한다. 다섯째, 고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은 3개의 필수과목과 7개 의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장래 직업과 지역 실정을 고려한 지리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Geography is a core subject for mutual understanding a relationship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But the research and report on the Chinese geography education are poor progress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changes and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GC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political ideology and changes of society could lead to serious influences on the geography education. It is change through the process stage of prosperity→withdrawal→promotion→development. Second, most recently, Chinese GCS carried out a drastic reform of their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needs and activity,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synthesis, practical value of the geography. Third, the organization of GCS consist of an introduction, curriculum objective, contents standard, performance rules. Fourth, the middle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basis of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4 subjects(the earth and the maps, world geography, Chinese geography, regional geography). Finally, The high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occupational course and consideration of regional circumstances.

      • KCI등재

        중국기업 해외 M&A에서의 역기술이전 분석 - 지리의 볼보 인수 사례를 중심으로 -

        최의현(崔?炫),송녕(宋?)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9 중국과 중국학 Vol.- No.38

        본 연구는 특허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볼보의 기술이 직접적으로 지리에 이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단순히 M&A 이후 지리의 특허 출원이 증가했는지를 보는 것이 아니라 지리의 특허에 볼보의 기술이 들어갔는지(특허 인용문헌 분석), 볼보의 기술자가 직접적으로 지리의 기술개발에 참여했는지(특허 출원인 분석), 그리고 스웨덴 볼보 본사에 지리측 연구원이 기술개발에 직접 참여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리는 볼보와 함께 플랫폼을 개발하고, 지리의 특허에 볼보 기술자가 직접 참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볼보가 개발한 제품을 사용한 것과 기술을 이전받았다는 것은 별개이며, 지리가 볼보의 기술을 자신들의 특허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는 못하였다. 기술혁신은 투입지표인 R&D 규모와 결과지표인 특허출원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지리는 여타 로컬자동차에 비해 혁신이 높다고 할 수 없다. 볼보가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고는 있지만 이는 여타 선진국 자동차가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는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리의 PCT 특허 출원에서 약간의 역기술이전이 발견되었지만, 이것이 지리 내부로 기술이 체화되었음을 의미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오히려 지리는 기술개발은 볼보에게 맡기고 자신은 그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였다.

      • 중국 연변지역 중등학교 지리 교과서 분석

        최병두 대구대학교 2006 敎育硏究 Vol.2 No.1

        본 논문은 중국 연변지역에서 초급 중학교 및 고급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리 교과서를 구성체계, 단원 전개, 학습 자료의 활용 등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했다. 중국 연변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등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전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통지리와 지역지리를 순차적으로 교육하고 있으며, 지역지리 내에서도 세계지리를 먼저 이수한 후 자국(중국)지리를 교육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고급 중학교에서는 세계지리를 다루지 않고 있다. 둘째, 계통지리에서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대체로 균형되게 교육하고 있다. 셋째, 저학년(초급중학교)에서 자국의 지리(계통지리이든 지역지리이든지 간에)는 주로 경제지리 및 개발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넷째 고학년으로 갈수록 계통지리에서도 비경제지리분야가 강조되거나 응용지리 차원에서 정책과 관련된 경제지리 및 지역지리가 결합된 형태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네 번째 특성은 우리나라의 지리교과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징적 내용 구성이라고 하겠다. 본 논문은 교과서 구성의 형식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교과서의 구체적 내용을 경험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석하지 못했으며, 다른 연구에서 급변하고 있는 중국의 지리적 상황을 교과서에 어떻게 (특히 이데올로기적으로) 반영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청말·민국 시기 중국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의 변화

        이빈빈 ( Li Binbin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청말·민국 시기 중국 지리교과서는 한국 관련 서술이 풍부하여 당시 중국인들이 한국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연구하는 데 유용한 공적 자료이다. 한·중 양국은 수천 년 동안 정치, 경제, 문화 등 많은 방면에서 교류했으며, 19세기 말 이전까지 한국은 중국 주도 하의 중화질서에서 가장 중요한 일원으로서 중국의 전통 지리 문헌에서 항상 ‘소중화’와 ‘예의지방’으로 높은 명성을 누렸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중국 지리교과서 속 한국의 이미지는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졌다. 본 논문은 청말·민국 시기 중국의 교육 근대화 이후 편찬된 일련의 신식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의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 관련 서술과 인식을 비교연구로 하였다. 19세기 말 이후 한·중 양국 관계는 불평등에서 평등으로, 상하급에서 동반자로 전환되었고 이에 따라 청말·민국시기 중국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도 대체로 ‘소중화’에서 ‘후진국’으로, 그리고 다시 ‘동반자’로 바뀌는 과정을 거쳤다. 중국 지리교과서 속 한국의 이미지는 시기별로 중국이 직면한 여러 가지 현실적인 곤경에 영향을 받아 변화해 왔다. 대중의 지리 지식과 타국 인식을 양성하는 주요 매체인 지리교과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 중국 정부와 교과서 편찬자가 자라나는 후속세대에게 한국을 어떻게 인식시키려고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견문록, 신문잡지 등 사적 자료를 연구 내용으로 한 기존의 선행 연구와 상호 검증과 보완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geography textbooks of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contained quite rich descriptions of Korea, which were very powerful materials for studying the Chinese people’s knowing of Korea at that time. Befor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orea, as the most important member of the China Order, had always enjoyed the reputation of 'Sojunghwa' and 'Polite Country' in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Howev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image of Korea in geography textbooks has undergone great changes compared with before.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ve shifted from inequality to equality, from upper and lower levels to partners, and as a result, Korea's image in Chinese geography textbooks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periods, and has roughly experienced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Sojunghwa' to 'Backward Country' and finally to 'Companion'. Korea's image in Chinese geography textbooks has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realistic difficulties facing China over time.

      • KCI등재

        연구 논문 : 근대 중국에서 지리학 학지의 형성

        한지은 ( Ji Eun Han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7

        이 논문은 중국에서 지리학이 근대적 학문의 하나로 정착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근대 중국에서 지리학의 형성은 서양의 분과학 개념의 단순한 ``전파`` 혹은 ``수입``으로만 정의할 수 없는 복잡한 과정이었다. 중국은 역사적으로 풍부한 지리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지만, 16세기부터 서구에서 유입된 지리학 지식들은 중국의 지식인들에게 쉽사리 받아들여지지 못했으며 이는 전통의 지리적 관념의 관성이 얼마나 강력한 것인지를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면 중국인들은 스스로 근대적 지리학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지리학의 개념 정의가 이루어지고, 대학 강좌와 교과서의 제작 등으로 근대적 지리학 제도가 형성되었으며, 전문적 학회와 잡지 등을 통해 지리학 연구 집단이 형성되었다는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리학이 근대적 학지로 제도화되는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근대적 지식으로서 지리학의 정체성의 근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modern geography in China. It took a long and hard time to form of academic knowledge about geography in China. Chinese were not willing to discard their geographical tradition, and to reorganize their knowledge system. But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modern geography was in embryo. Since then geography was institutionalized one of the modern sciences, and it was crystallized by some groups of professional geographers. Now geography is still unfixed and continually constructed, it needs to be identified object of geographical study and its academic worth.

      • KCI등재

        중국인의 방한관광에 대한 한류의 영향

        최경은(Kyung-Eun Choi)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4

        이 연구는 일반 중국 단체관광객의 관광행태 분석에 기반하여 중국인의 방한관광에 대한 한류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국은 폐쇄 정책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외부 정보에 대한 통제를 가하고 중국 공민의 지리적 이동에 대한 욕구를 억눌러 왔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특히 1990년대 중반 이후 출국관광에 대한 정책적 통제가 완화됨에 따라 해외지역으로의 관광 욕구가 폭발하면서 중국인들의 출국관광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최근에 나타난 한류, 특히 드라마/영화는 허구와 현실을 넘나들며 우리나라의 국가경관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한류는 외부세계와 오랫동안 단절되었던 중국인들의 우리나라에 대한 지리적 상상력을 확대 또는 재구성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즉, 이전에는 중국인들이 주로 지정학적 또는 경제적 요인들로 우리나라의 국가경관을 상상하였으나, 한류에 의해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양식을 이루는 문화적인 요인들로 지리적 상상력을 재구성하거나 확대하게 되었다. 한류에 의해 새로이 구성된 지리적 상상력은 중국인들의 방한관광 선택에 중요한 흡인 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며, 방한관광의 동기 형성과 친척/친구에게 추천할 만한 주요 매력물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즉, 방한관광 선택에 미친 한류의 영향이 클수록 방한 동기와 추천 매력물이 문화적 요인인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번 방한관광 선택에서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만족도와 향후 재방문 의향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중국관광객들이 일반 패키지 단체관광 형식으로 방한했음에도, 한류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수록 관광목적지로서 우리나라에 대해 더 큰 애착을 가지게 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한류가 중국인 방한관광 수요의 양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질적인 변화, 즉 태도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on Chinese tourism to South Korea through a behavioral analysis of Chinese tourists in the general group package tours. China suppressed the needs of the Chinese people’s geographical movement and imposed restrictions on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world with the use of a policy of “closure”for a long time. But since reforms and open-door policies were introduced in China,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relaxation of control policies over Chinese outbound tourism after the mid-1990’s, more and more Chinese make trips abroad including visits to South Korea. In this situation, the recent Korean Wave(especially, drama/film) describes the Korean national image by forming a bridge between fiction and reality and plays a pivotal role in broadening or reconstructing the geographical imagination of the Chinese people who have been historically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Although Chinese have imagined the Korean nationscape on the basis of geopolitical or economic factors in the past, they have currently broadened or reconstructed their geographical imagination to include socio-cultural factors related closely to the Korean way of life due to the recent Korean Wave. This newly constructed geographical imagination led by the Korean Wave functions as an important pulling factor in Chinese destination choices, affecting Chinese tourists’motivation formation and the recommendation of main attractions. The more influential the Korean Wave is on their destination choice, the more the respondents select the cultural factors in both their motivation for tourism to South Korea and their recommendations of tourism attractions to other peopl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of both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e more influential the Korean Wave is on their destination choice, the higher is the degree of both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n other words, although Chinese tourism to South Korea is chiefly in the general group package tours, Chinese tourists who are influenced by Korean Wave on their destination choice have more attachment to(or affection for) Korea as a tourism destin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Korean Wave affects qualitative change - that is, change of attitude - as well as quantitative change in Chinese demand for tourism to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