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코메니우스와 몬테소리의 교육 사상 비교 -감각교육을 중심으로-

        김지영 ( Kim Ji Yo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2

        사람은 살아가는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거기서 생존에 필요한 것들을 습득한다. 특히, 인간의 지식은 경험에 의해 축적되며, 이러한 경험은 감각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 코메니우스는 감각기관의 중요성율 인식하고 최초로 시청각교육의 실천을 통해 당시의 이론과 언어 중심의 교육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몬테소리는 감각교육을 위한 교구개발과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감각교육의 활성화를 이루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감각기관을 통한 지식습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식습득은 인간의 창조적 본성의 회복, 자존감과 존엄성 및 자율성을 중시한 감각교육 실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 정이다. 즉, 인위적인 교육 방법을 배제하고 자연과 사물에 대한 관찰과 교류를 통해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며, 교육실천올 위한 과학적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코메니우스는 감각교육올 시각화 하는데 머무름으로 감각교육의 한계점을 드러내었다는 것과 여전히 인식론적인 경험에 근거를 두었다는 점이다. 반면 몬테소리는 감각기관의 경험율 위해 다양한 감각교구 개발과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개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율성올 존중함으로서 창조적 능력을 희복혜야 할 필요성올 촉구 하며, 교육 현장의 욕구 충족을 위해 감각교육의 다변화를 모색한다. Having been influenced by one`s own environment, man lives and learns necessary things to survive. In particular, the knowledge of man can be accumulated by experience. The experience can be obtained by sensory education. Comenius recognised the importance of sense organ and became the first person to use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time that theory and speech orientated education was common. And, Montessori has made sensory education popular by developing instruments of education for sensory education. The common ground of both is that education has been done by recognising the importance of obtaining knowledge through sensory education. In addition, obtaining knowledge can be done by restoring the nature of humanity, self-esteem and dignity. They have suggested scientific tools for education by making children obtain knowledge and experience through observing nature and objects.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Comenius has been focused only on visual education based on epistemological experience, revealing its limitation, Montessori has developed various sensory tools and organised programme. It is noticed that new paradigms of learner oriented education are important It is challenged that recovering creativeness by respecting self-regulation is very much needed. The diversity of sensory education is sought to meet the felt need of education field.

      •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모듈식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김진규 ( Kim Jin Gyu ),윤길근 ( Yoon Kil Gyeu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모듈식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원의 인성교육 역량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시행 하고 있는 유아교육 관리자 인성교육 연수과정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유일한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 연수과정이라는 사실, 다양한 교육기관에로의 확대 시행의 필요성, 표준 연수 과정의 연구와 핵심 모듈 개발, 그리고 현업적용도 평가 시행 등이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 원장의 인성교육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서 인성교육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인성교육정책, 인성교육 지도 전략, 가정·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 그리고 유치원 현장 적용 실천 등 4가지 핵심 모듈을 구성하여 모두 20개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수담당자의 요구에 따라 15시간으로 편성된 3일 연수과정과 30시간으로 편성된 5일 연수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modular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directors. We hav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competency of teachers are variously proposed according to researchers.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haracter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kindergarten director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nager training course conducted by the Nat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were analyzed. Four core modules such as character education policy, character education instructional strategy, linkage with home and community, and application of kindergarten field were presented. And 20 subjects in the training program were selected. In addition, we presented the 3-day training course organized in 15 hours and the 5-day training course organized in 30 hours.

      • Montessori교육의 사상사적 재 고찰

        신화식 ( Hwa-Sik Shin )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09 실천유아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현대 유아교육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 Montessori 와 Frobel, Dewey, Piaget의 유아의 사고 및 행동과 교육적 적용에 정립한 핵심적인 사상들 (Braun & Edward, 1972; 신화식, 2006)을 문헌을 통해 유아관, 환경관, 교사관 및 교육관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로 Motessori와 Frobel, Dewey 및 Piaget는 서로 사상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이는 Montessor 교육과정이 100년이 지난 지금도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와 함께 진행되고 발전될 수 있음으로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ntessori educational theory on the fiel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do that, the theories including Frobel, Dewey, and Piaget were compared to the Montessori theory as ways to underst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theory. The guideline developed by Braun & Edward(1972)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heoreandal components (e.g., a view of children, teachers, and learning) in each theor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교사의 목소리로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

        윤혜자 ( Hye Ja Yoon ),홍길회 ( Khil Hoe Hong ),정가윤 ( Ga Yoon J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1

        본 연구는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교육을 통해 유아교사가 음악교육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 유아교육현장에 들어오는 외부의 음악수업에 대한 교사의 생각은 어떠한지, 그리고 유아들에게 음악을 교육할 때 교사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유치원 음악교육활동의 직접 관찰과 4명교사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와 유아들에게 실시되는 음악교육과 교사에게 필요한 음악적 환경, 교사들의 음악교육실행의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 교육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에 들어오는 외부의 음악수업에 대한 교사의 생각은 어떠한가? 셋째, 음악교육을 통해 본 교사의 음악지도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교사를 통해 본유치원의 음악 교육은 수업 속에 활용되는 음악으로 음악 교육이라기보다는 생활주제를 유아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거나, ‘노래 부르기’와 같은 활동만으로 음악교육을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외부 음악 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을 하였으며, 외부음악교육에 대해 그에 따른 교육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를 통해 본 교사의 음악지도의 어려움은 음악적 자신감 결여와 지도방법의 연계방법 부족으로 인하여 음악적 개념지도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교사들에게 음악 교육의 재교육의 필요성과 예비교사들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전문 교사자격’ 체제를 실시하여 유아교육에서도 유아음악교육 전문성 교사 배출시스템 설계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By monitoring kindergarten musical activities in-depth interviewing with four kindergarten teachers, this paper researched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al educations, ways of their plan and implementing educations, thoughts about musical educations programed by private institutions and difficulties of educating musical educations to students. Thus,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to improve understandings of musical educations, musical education practices` environments in kindergarten field regarding of three questions: First, how were actual educations like by a teacher`s point of view?, Second, what were teachers` attitude toward on accepting musical educations programmed by private institutions? Third, what were teachers` difficulties for teaching musical edu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nswering the first question, "how were actual musical educations like by a teacher`s point, musical educations were performing as subject of living discussion time and as the one of activities such as "Sing-Along". Answering the second question, what were teachers` attitude toward on accepting muscial educations programmed by private institutions?, the answer was found as the attitude was positive. Answering the third question, what were teachers` difficulties for teaching musical educations?,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were struggling with advising musical education concepts due to a lack of confidence on educations and of applied ideas to musical educations.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However, by restraining the musical education, they were willing to teach musical educations to students systematically. Eventually, this research would challenged current kindergarten teachers to be suggested for needs of restraining musical education and systematic musical education.

      •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분석

        박지영 ( Park Chi-young ),이경화 ( Lee Kyun-ghwa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확인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4월 24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에 따른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연령, 근무교육기관, 학력, 경력, 담당 유아연령,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교사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배경 변인에 따라서 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teacher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teachers who a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24,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assess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One-way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except teacher's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 friendly attitude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g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career, the infant ag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지능형 로봇 활용에 관한 유치원 학부모의 인식조사

        심우경 ( Sim Woo Ky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로봇 활용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조사를 토대로 로봇 활용교육에 대한 부모님의 이해와 활용을 돕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3·4·5세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료 윤현민(2010)의 로봇인식조사를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인식설문지를 통해 로봇에 대한 학부모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문, 교사보조 교육용 로봇의 활용과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님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0%이상의 부모는 로봇과 컴퓨터는 다르다고 인식하며 로봇은 동화와 동요 듣기 기능에 좀 더 효과적이며 외형적인 요소로는 동물을 선호하며 하루 이용시간은 30분을 초과하지 않길 요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교육을 할 때, 로봇을 활용한 다양한 경험을 해봄으로써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친구처럼 놀아주며, 유아의 고민 상담을 해 줄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으로 교육활동을 구성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is investigation aims to let parents understand and use an intelligent robot This is based on kindergarten parents` perceptions survey about using an inte1ligent robot in preschool education field. This researcher had made an analysis of the need for educational assistance robot with the revised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a robot perceptions survey by Hyunmin Yun(2010) to 100 people who have children as 3,4,5 years old in a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is located in Chungcheong-province. According to this study, more than fifty percent of the 100 people recognize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robot and a computer, A robot is more effective at listening to children`s songs than a computer as well. They preferred a robot in an animal shape and requested that it not be used for more than 30 minutes pet day. In conclusion using a robot in preschool education filed will be needed to give the chance a variety of experiences, such as playing with th erobot and counselling for the children, like close fri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