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명여대 음악치료대학원과 한국음악치료학회 20년사

        최병철 한국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한국의 음악치료 교육이 어떻게 숙명여대에서 시작하게 되었으며 한국음악치료학회가 국내 최초로 결성되고 발전해 온 지난 20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음악치료가 국내에 자리 잡게 된 1990년대의 역사적 내용들을 음악치료대학원과 학회의 결성, 학술대회, 학회지, 자격제도와 보수교육, 대내외 활동들(직업홍보, 음악치료홍보, 대외 활동, 지역 활동, 숙명음악치료센터활동)을 1부에 정리하였고, 2부에서는 한국음악치료의 발전과 조망으로 특히 4가지 내용을 주목하고 관련 내용들을 소개하였다. 한국음악치료는 (1) 음악치료 특강 15주 과정을 통해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2) 초기에서부터 다양한 치료적 모델들을 발전시켜 올 수 있었다; (3) 음악치료사 취업에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가졌다; (4) 출발에서부터 개척자 정신이었다. 한편 한국음악치료 발전의 역사에서 여전히 고려되어야 할 몇 가지 문제들도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document how Korean music therapy has developed during its twenty year history. An account of its origin beginning in the 1990s—along with historical reports such as conferences, centers, publishing journals, certifications an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nd activities in and outside community—will be given. In particular, four unique aspect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therapy will be explored. (1) The biannual special 15-week lecture series on music therapy that was open to the general public in Korea ha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awareness of the field; in the past 20 years, over 13,000 people have attended these lectures. (2) Korea readily adapted already well-established music therapy models from the beginning and rigorous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se training programs (e.g. GIM, N-R Improvisation, and Vocal Psychotherapy). (3) There was a strong emphasis on providing a music therapy job market; Sookmyung music therapy centers were opened right after the first graduate music therapists matriculated from the program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career advancement. (4) People have kept the pioneer spirit from the beginning. Beyond the offerings of music therapy to the general public, there has also been an emphasis on using music therapy for outreach of specific populations endemic to Korea, such as North Korean refugees. Finally, this paper will discuss some of the ongoing issues and barriers to the development of a unified certification system for music therapists in Korea—in particular the dissonance between hospital internship periods and the academic calendar for students in music therapy programs.

      • KCI등재

        「한국음악치료학회지」연구 동향 : 성과와 과제

        김경숙,이상은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음악치료 영역의 대표 학술지인 「한국음악치료학회」의 창간호부터 현재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성과와 동향을 알아보고 향후 학회지의 발전 과제를 알아보기 위함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6년 8월까지 한국음악치료학회의 학회지에 게재된 총 158편의 논문에 대해 연구 발행 현황, 연구자, 연구 유형, 연구 내용,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데이터 분석 방법, 참고문헌 등에 따라 내용 분석 후 자료를 빈도와 교차분석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그 결과, 창간호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고른 분포를 보이며 논문이 출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수도권에 있는 국내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에 의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시행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연도별 변화 없이 지속되었다. 연구 내용 면에서는 효과연구, 음악특성 연구, 치료 과정 연구와 특정주제/개관연구, 지각/태도 연구, 그리고 직무 관련 연구 순으로 게재 빈도가 높았다. 성인 대상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게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음악치료사(학생)를 포함한 비장애 성인대상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정서영역과 인식도나 선호도 등을 다룬 기타영역 연구가 다른 영역의 연구들 보다 더 많이 게재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양적 연구에서는 변량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분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연구자 소속기관에 따른 연구 내용이나 연구 대상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모두 기관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연구 내용도 연구 대상이나 연구 방법, 혹은 연구 영역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음악치료학회」는 창간 이후로 꾸준히 발전하며 한국 음악치료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는데 필수적인 학문적 공헌에 앞장 서 왔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음악치료 정체성에 적합한 대상과 내용을 다루는 연구들을 더욱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trends within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from the first to current issue, and to understand the subjects of development for future issues of the journal. For this data gathered from 158 publications listed in journal issues from 1999 to August of 2016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cross analysis. Types of data gathered for the study include: publication status, researcher, research type, topic, subject,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method and reference. Results show that number of publications are distributed equally among the journal issues and that most of the researches a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Overall the frequency of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greatly prevalent over qualitative researches but there were no specific trends within the annual publications. In decreasing order, effectiveness, musical aptitude and attitude, treatment process, research review, recognition/attitude, and vocational behaviors categories were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topics. Adult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especially non-handicapped adults including music therapists and music therapy major students. Researches in areas concerning emotion, preference and awareness were shown to be more prevalent than researches from other areas of study. In the analysis of data processing methods, for quantitative studies variance analysis was most commonly used while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most common for qualitative studies. The results of kai-square test showed that both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were dependant upon the research institution and that research contents were also dependant upon the subject, method, or area of study.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has been leading the scholastic contribution to the music therapy in Korea since its creation. For the further growth, future studies should concern subjects and contents appropriate to the identity of music therapy.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

        김봄(Kim, Bom),문지영(Moon, Ji Young) 한국음악치료학회 2021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치료적 동맹, 발달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치료적 동맹, 발달수준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발달수준, 치료적 동맹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 변인들이 모두 각각의 변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 검증 결과, 발달수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음악치료기술’ 하위요인이 가장 높은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치료적 동맹, 발달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지능과 치료적 동맹의 관계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치료적 동맹을 위해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과 발달수준을 탐구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rapists’ emotional intelligence, therapeutic alli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velopment level o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24 clinically active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level, and therapeutic alliance.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level, and therapeutic alli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each other. Third, each subdimension of development level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rapeutic alliance with the sub-dimension ‘music therapy skills & techniques’ having the strongest effec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therapeutic alliance, and development level, this study presented relevant data regard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music therapist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further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apis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elopment level on their therapeutic alliance.

      • KCI등재

        음악치료 전공생 음악개입 자기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주희,김영신 한국음악치료학회 2022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전공생의 음악개입을 자기평가하는 척도(Music Intervention Self-Assessment Scale for Music Therapy Students: MISAS-MT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을 통해 음악치료사의 음악개입들을 검토 후, 실습 슈퍼바이저가 포함된 숙련된 음악치료사 여덟 명과 음악치료 전공생 여섯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89개의 최초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이후 내용타당도 검증, 국문 자문, 인지타당도 검증을 통해 4요인, 60개의 예비 조사 문항을 도출하였다. 실습 및 인턴십 과정의 음악치료 전공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162부의 자료를 수집한 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요인, 22개의 본조사 문항을 도출하였다. 예비조사와 동일 조건의 대상자에게 본조사를 실시하여 197부의 자료를 수집한 후, 문항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 증거를 확보하고 4요인, 18문항의 최종문항을 완성하였다. 4요인은 ‘음악자원’, ‘음악인식’, ‘음악개입 적용’, ‘음악개입 불안’이었다. 또한 ‘초심상담자의 상담 수행능력 자기평가 척도’와 ‘음악치료사 자기효능감 척도’를 외적 준거로 하여 공인타당도와 예측타당도의 증거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 전공생이 자기성찰을 위한 셀프 슈퍼비전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음악치료에서 음악개입의 적절성만을 측정해 볼 수 있으며, 음악치료 영역 안에서 개발된 척도로서음악치료만의 고유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현황과 참여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도 조사

        차지영,황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문화예술교육 분야 참여에 대한 음악치료사들의 인 식을 알아보고 향후 음악치료의 새로운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의의가 있 다. 음악치료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음악치료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지도 분석 결과, 75.7%가 문화예 술교육을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지인을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 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음악치료사의 대부분은 방과후 프 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음악치료가 감성발달 및 심리적 건강증진, 사회성 및 대인관계형성 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며 대상은 초·중·고 청소년, 발달장애, 특수목적계층, 노인과 치매노인 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며 음악치료 영 역을 확장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나 현재 음악치료의 활성화 수준은 낮으며 이 원인은 음악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 부족에 있다고 답하였다. 셋째, 음악치료의 발전 방안에 대한 분석 결과, 교구(악기 등)의 지원과 다양한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 한 필요성이 가장 높았다. 음악치료사가 갖춰야할 중요한 자질로는 음악치료의 영향력에 대한 확신이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cognition of music therapists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o suggest a basis material for expanding new areas of music therapy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2 who have the certification authorized from music therapy associ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with the result of recognition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75.7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ve heard about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route to get the information is found to have the largest number of acquaintances. Second, music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d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counts for 40 percent of the total and 54 percent of them participated in the after-school programs. Experienced music therapists answered the primary priority for contributing function is the emotional developmen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nhancement of soc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t was answered that music therapy was effective for teenagers, developmental disorders, vulnerable classes, elderly people and the dementia. Also, the importanc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will be increases, and the need to expand the area of music therapy will be broadened. However, the vitalization level of music therapy is low, and the cause for this is on a lack of social awareness. Third, with the analysis of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for the revitalization i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re was such a lot of need to support for musical instruments and programs development for various subjects.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music therapist who works in the field of this is the confidence about the influence of music therapy and expectations for job creation were the highest in all the items.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고명한 한국음악치료학회 2011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하여 음악치료사로서의 발전을 꾀하려는 여러 음악치료사들과 학생들에게 음악치료에 관한 보다 깊은 이해와 더불어 음악치료사로서의 자신의 역할과 앞으로의 경험과 계획에 대한 미래지향적 성찰의 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섯 명의 음악치료사의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결과는 Giorgi(2003)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77개의 의미단위들로부터 33개의 의미단위, 16개의 하위구성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음악치료사들은 내적 즐거움과 심미적 자기탐구로서의 과거 음악경험, 변화와 호기심의 내적욕구와 애타심에 의해 음악치료 선택, 음악과 인간관계의 치료적 관점으로의 인식변화와 치료효과의 입증필요성 인식, 음악치료의 개념혼동과 치료효능성 입증의 어려움으로 인한 정체성 혼란, 의욕저하와 시행착오로 이어지는 정체성혼란의 부정적 영향, 자기탐구와 임상적 탐구를 통한 혼란극복시도, 자기 성장과 직업정체성의 성숙, 그리고 음악치료사로서의 견고한 정체성확립의 과정을 통해 음악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identity and to suggest appropriate answer for understanding music therapy and the rolel as a music therapist. Five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gathered through depth interview. Date were analyzed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2003).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8 domains and 16 subdomains. The results showed that through 8 domains : past-musical experience for internal pleasure and esthetic self investigation, choosing music therapy by internal need and altruism, changing attitudes regarding music therapy to therapeutic perspectives, confusion of identity due to confuse the concept of music therapy and difficulty to prove an therapeutic effectiveness, negative effect by demotivation and trial and error, attemption to self-clinical investigation, growth of self identity, and establishing strong identity, music therapist grow their identities as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 KCI등재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음악치료 동향 및 과제

        김영신 한국음악치료학회 2020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music therapy trends in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tasks of music therapy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ployment status of therapists for the 260 responses collected, 75 music therapists had retired due to the COVID-19, of which 26 music therapists no longer had any job related to music therapy at the time of the survey.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234 cases, excluding the 26 respondents who reported not currently doing music therapy work, are as follows. First, a decrease in the therapist's working hours and income was reported in all areas of music therapy, and it was found that the therapists who worked for the elderly and patients were particularly influenced. Second, it was found that music therapists were actively coping with the COVID-19, such as disinfection, but on the other hand, seeking to change the method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 or, in particular, attempts to provide non-face-to-face music therapy services were confirmed to be passive. Third, it was found that music therapists expect multifaceted help from the music therapy community for this crisis brought by the COVID-19 outbreak. Fourth, in order to prepare for the post-corona era, music therapists reported that not only they should recognize the need for non-face-to-face intervention, but also personal efforts should be carried out. Lastly, music therapist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many changes in the area of music therapy in the post-corona era, and in particular, clients without disability were expected to become the main targets for music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response of music therapists in the Corona 19 crisis, and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to support music therapists in the crisis and prepare for the post-corona era.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음악치료 동향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음악치료 발전 과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수집된 260개의 응답에 대해 치료사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75명의 음악치료사가 코로나19로 인해 퇴직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26명의 음악치료사들은 설문 조사 시점에 더 이상 음악치료와 관련된 어떤 직무도 맡고 있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현재 음악치료 업무를 하지 않는다고 보고한 26명의 응답을 제외한 2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전 영역에서 치료사의 활동 시간 감소와 수입 감소가 보고되었고, 특히 노인 및 환자를 대상으로 일하는 치료사들의 피해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음악치료사들은 개인 방역과 소독 등 코로나19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에 비해 음악치료 중재 방식 변경을 모색하거나 특히 원격 비대면 음악치료 서비스에 대한 시도는 소극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사태가 불러온 재난 상황에 대해 음악치료사들은 음악치료 공동체의 다각적 도움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음악치료사들은 비대면 치료의 필요를 인식할 뿐 아니라 개인적인 노력도 병행하여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음악치료의 전반적 영역에 있어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특히 ‘일반인’ 클라이언트가 음악치료의 주 대상자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사태에서 음악치료사들의 현황과 대처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재난 상황에서 음악치료사들을 지원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대비를 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이해도 및 기대도 관련 조사연구

        박소연,황은영,이은선 한국음악치료학회 2010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를 발전시키고 또한 음악치료의 새로운 대상영역을 창조하고 확대하기 위해 음악치료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이해도 및 기대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표본은 전국 20대 이상 성인 474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국을 도별로 군집으로 나누고 하위단계별로 나누어 그 안에서 연구자 편의에 따라 표집한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음악치료를 알고 있는 비율은 58.4%(2722명)였다. 둘째,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도에 따라 음악치료의 이해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음악치료의 효과, 음악치료의 전문성에 대한 시각, 교육과 치료의 관점, 음악치료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음악치료를 알고 있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음악치료의 기대도를 분석한 결과, 대중성, 영역의 확대, 다양성 등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일반인들에게 전문적 영역으로서 음악치료를 더욱 정확하게 알리고 음악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중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를 알려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음악치료 슈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 연구

        박지선,김영신 한국음악치료학회 2022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music therapy supervisors teaching clinical practicum or internship courses at universities and build them into a systematic competency model. The competency model was draf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ienced music therapy supervisors, open-ended surveys, and expert consulting, and then confirmed through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subjects for the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for certified music therapists having domestic and foreign music therapist licenses and clinical music therapy supervisor experience more than 5 years, or educators/professors at universities in charge of training music therapists. A total of 20 music therapy supervisors had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mpetency model for music therapy supervisor consisting of 3 competency clusters, 9 competency factors, and 61 competency indicators was developed. The 3 competency clusters consisted of the competency cluster of theoretical knowledge, job performance, and attitude and quality. First, the competency cluster of theoretical knowledge consisted of two competency factors: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and understanding of supervision. Second, the competency cluster of job performance consisted of four competency factors: music therapy application skill, supervision performance skill, education and guidance, and evaluation. Finally, the competency cluster of attitude and quality consisted of three competency factors: professional personality, effort for professional self-development, and ethical and legal literacy. This study is valuable because it derived the components of an agreed competency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s of music therapy supervisors in th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presented specific competency indicators.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self-inspection to strengthen professional competency of music therapy superviso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실습 및 인턴 과정을 담당하는 음악치료 슈퍼바이저에게 필요한 역량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이를 체계적인 역량모형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은 문헌 검토, 숙련된 음악치료 슈퍼바이저와의 심층 면접, 개방형 설문 조사, 그리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역량모형의 초안을 구성한 후,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역량모형을 확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연구 대상은 국내ㆍ외 인증된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임상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이면서 음악치료 슈퍼비전을 5년 이상 시행한 음악치료 슈퍼바이저이거나 음악치료사 양성을 담당하는 대학의 교수 또는 교육가 20명이었다. 연구 결과, 3개 역량군, 9개 역량요소, 61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된 음악치료 슈퍼바이저 역량모형이 완성되었다. 3개의 역량군은 이론지식, 직무수행, 그리고 태도 및 자질 역량군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이론지식 역량군은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와 슈퍼비전에 대한 이해, 2개의 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직무수행 역량군은 음악치료 적용 기술, 슈퍼비전 수행 기술, 교육 및 감독, 그리고 평가, 4개의 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태도 및 자질 역량군은 직업 인성, 전문성 증진 노력, 그리고 윤리적ㆍ법적 소양, 3개의 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 음악치료 슈퍼바이저들의 실제적인 경험을 기초로 하여 합의된 역량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구체적인 역량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역량 강화를 위한 자가 점검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양상과 역전이 관리 능력

        이소영,Yi, So Young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5 No.1

        음악치료에서는 치료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가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므로 클라이언트에 대한 치료사의 반응이나 감정 상태, 즉 음악치료사의 역전이를 탐색하는 일은 치료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양상과 음악치료사의 전문적 특성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을 탐구해 봄으로써 음악치료사가 역전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임상 실습과 인턴십을 거쳐 음악치료 대학원 과정을 수료 또는 졸업한 후 전문적인 음악치료를 제공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6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질문지 분석에서 응답자의 약 84%가 역전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경험의 최초 시기는 대학원 실습 과정 중이 전체의 48%, 졸업 후 3년 이내가 27%, 인턴십 과정 중이 14%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역전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했던 치료 대상은 정신질환 성인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발달장애 아동이었다. 역전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응답자의 약 76%가 역전이를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대부분이 역전이 탐색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역전이 관리를 위해 어떤 방법이 좋겠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자기 분석 및 자기치료를 통해서가 5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수퍼비전을 통해서가 33%, 대학원 수업 과정 중에 다루어야 한다는 의견이 13%를 차지하였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반응 질문지 분석에서는 사랑과 인정 영역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다. 문항별로는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의미 있는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를 원하였다', '클라이언트와의 음악치료 과정에서 기력 소진과 탈진을 경험하였다', '클라이언트를 항상 음악적으로 지지해주려고 하였다'의 3개 문항이 19개의 문항 중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반응과 관리능력의 관계를 상관관계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역전이 반응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통찰 점수는 높아지는 반면, 불안관리 점수는 낮아졌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학력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리능력 하위변인 전 영역에서 학력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관리능력의 평균값이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악치료사의 임상경력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은 임상경력이 많은 집단에서 관리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관리능력 하위변인 중에서는 자기통합과 공감능력에서 집단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치료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은 수퍼비전 횟수가 많은 집단에서 관리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관리능력 하위변인 중에서는 개념화기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치료사의 자기치료 경험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치료 경험이 있는 집단이 자기치료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관리능력 하위변인의 전 영역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음악치료 임상의 모든 치료 관계에서 역전이는 일어날 수 있으며, 그것은 치료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치료사 또한 역전이로 인한 갈등을 겪거나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 치료사의 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fundamental data to manage countertransference, and to research into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y aspects in therapists' experiences in countertransference and their professional characters. For the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on 62 music therapists who provided professional music therapy afte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through clinical practice and internship, and the result was drawn as follows. Around 84%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had been in trouble by countertransference in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regarding experience in countertransference. 48% among them first experienced countertransference during the practice in graduate school. 27% and 14% respectively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it within 3 years after graduation and during internship. Also, the result showed that therapists usually had difficulty with adults with mental disease, and the second most difficult clients wer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76% of participants who had difficulty by countertransference answered that they were able to manage it to some degree, and almost all who answered thought that research into countertransference and management were necessary. About the question as to how to manage countertransference, 54% suggested self-analysis and self-therapy. 33% answered that countertransference should be treated through supervision. Finally, 13%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it should be handled in graduate school. In this paper, which empirically examined therapists' experience in counter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had meaning in providing essential basic data for music therapists to apply and manage countertransference for therapists themselves, as well as for cl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