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술지 「한국교육」 에 대한 평가와 과제

        고 전,김영옥,박병기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ademic productivity of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JKE) and to suggest the tasks that lie before it in the future. To begi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journal, including objectives and processes, were reviewed briefly. The JKE has three official objectives: 1)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2) to accelerate the advance and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education policy, and 3)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foundation to contribute to Korean education policies. The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this journal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procedures of submission, acceptance, publication, and quality control.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journals that shared certain characteristics with the JKE: journals published by government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a journal that covered comprehensive issues of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 in-depth analysis of the JKE. Targeted populations were the contributors to the JKE and members of the editorial boards of the JKE; one hundred and fifty-two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In addition to the survey data,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former editorial board member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JKE and expectations for it were identifie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JKE focused on three goals: 1) to ensure the journal’s status as a main educational journal; 2) to fulfill its role as an institutional journal of KEDI, a primary government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organization; and 3) to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scholars, researchers, schools, and other figures in education in Korea. 이 논문은 학술지 「한국교육」(제1호(1974)∼제40호(2013))에 대하여 그 학술적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여야 할 과제를 모색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먼저 이 학술지의 발간 배경과 과정을 개관하였고 그 성격을 진단하였다. 우선 이 학술지의 발간 규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세 목적(1. 한국교육의 발전에 기여 2. 교육정책 관련 지식과 정보의 발전 및 교류 촉진 3. 한국교육정책 개발에 기여할 지적 기반의 확보)에 비추어 그 달성 성과를 논의하였다. 이어 이 학술지의 편집 및 발간에 있어서 특징과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국책연구기관 학술지로서 특징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술지와의 비교 통해 논의하였으며, 종합학술지로서의 성격에 대하여 한국교육학회와의 비교를 통해 논의했다. 보다 구체적인 학술지의 문제점 진단을 위하여 학술지의 주요 수요자이자 관계자였던 최근 6년 동안의 투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회수 152건)를 실시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내외의 전임 편집위원을 대상으로 검토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육』에 대한 이해도 및 기대수준, 문제인식, 개선방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서 향후 학술지 『한국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개선 과제는 첫째로는 교육학 정론지로서 위상 확립 측면에서, 둘째로는 국가 교육정책연구 주무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 기관 학술지로서 역할 측면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학자․연구자․교육현장 간의 교류 및 국제교류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 한국교육의 실패와 희망에 대한 또 하나의 미래교육 담론: Bruner의 내러티브론을 중심으로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It can be said that the discourse on education problems and crises in Korea has always exist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being produced and reproduced and disseminated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arrative theory proposed by Bruner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discussing the issue of Korean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eory. Diagnosing the failure of Korean education and constructing a new hope here is possibl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y of human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narrative theory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e romantic narratives about the future of education,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unreasonably, tend to be very bureaucratic and administrative, lacking authentic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way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Bruner's discussion, the possibility of renewing the hope of Korean education will be opened up in the path of recreating the language of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self as a narrative being. In order to achieve these expectations and objectives, the main issues to approaching these objectives was discussed. 한국의 교육문제와 위기에 대한 담론은 늘 다양하게 존재해왔고, 지금도 여러 방식으로 생산, 재생산되면 유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문제에 대해서 숙고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조망으로서 Bruner가 제안한 내러티브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그 기반 위에서 한국 교육의 방향과 미래 전망을 해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교육의 실패를 진단하고 여기에서 새로운 희망의 구성은 인간교육론의 구성으로 가능하며, 그 이론적 토대로서 내러티브 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무리하게 논의되는 미래교육에 대한 낭만적 이야기들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 인간 존재 방식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결여된 채로 매우 관료적, 행정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Bruner의 논의에 의하면 내러티브 존재로서 인간의 자아 구성에 주목하여 교육의 언어를 새롭게 창조하는 길에서 한국 교육의 희망을 새게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이러한 기대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탐색해볼 것이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강화적 전략과 보완적 전략의 공존

        전하람,심재휘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3

        Purpose: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causal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to look into the complicated nature of Korean shadow education intertwined with enrichment and remedial strategies. Methodology: Using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2 and the first to sixth waves of 7th-graders coh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 examined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mount of hours students participated in shadow education. First, we compar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across countries. Next, an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and a Differenc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DGMM) analysi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at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ways, respectively. Finding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PISA 2012, a very limited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Korea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The OL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KCYPS also confirmed that positive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effects of family income, the number of siblings and urbanicity o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The DGMM showed the longitudinal impact of prior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effect was on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low-achieving students. Value: Findings support that shadow education is predominantly used as an enrichment strategy to keep competitiveness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social success. However, shadow education is also widespread among low achievers. Furthermore, we ad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coexistence of two strategies i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본 연구는 PISA 2012 데이터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 코호트의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PISA 2012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와 사교육 참여 시간 간의 관계에 대한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의 학생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OL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PISA 2012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의 관계가 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한국은 양자 간의 관계가 가장 강한 국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OLS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거주지 규모가 클수록 사교육 참여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GMM 분석 결과는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를 종단적으로 보여주었다. 한편 집단별 분석 결과 학업성취 ‘하’ 집단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강화적 전략으로서의 사교육 참여 행태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사교육 참여가 저성취 집단에서도 부족한 학업성취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에 따른 집단 구분을 통해 성적 상위집단에서는 사교육 참여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이전 학업성취가 이후 사교육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성적 하위집단에서는 이전 학업성취 향상도에 따라 부족한 학업을 보완하기 위해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학생의 학업성취에 따라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달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과 발전 과제

        강경숙,강성종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1

        한국 특수교육학계의 연구 패러다임은 양적 연구 시각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특수교육 환경이 점차 변화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양적 연구 시각만으로 특수교육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양적 연구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수교육 현상의 ‘있는 그대로’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질적 연구 패러다임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논문 투고 편수의 경향성을 중심으로 진단해본 결과,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의 연구논리는 양적 연구방법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국외적으로는 특수교육관련 전문 학회와 단체가 중심이 되어 질적 연구방법론의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특수교육학계에서의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질적 연구의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그 대안으로서 각각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해당하는 질적 연구 아이디어, 질적 연구의 엄격성, 질적 연구 확산에 대한 재음미를 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질적 연구 동향, 문헌 연구 등의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발전 과제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한국 특수교육의 발전 과제 다섯 가지는 ‘특수교육 연구 패러다임의 다양화’, ‘대학에서 가르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확대’, ‘양적 시각으로 질적 연구 보기에 대한 극복 노력’, ‘학문의 동반 발전을 위한 노력’,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국가적 지원 요청’이다. 여기서 제시한 한국 특수교육 질적 연구의 발전 과제는 단독으로 추진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Specia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dominated by quantitative methodology. Now that the circumstanc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gradually changing, though, a research paradigm that focuses mainly on the quantitative aspect is not effective in understanding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as a mea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studies. Firs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jority of academic articles and degree theses mainly use quantitativ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f overseas cases, however, tells us that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 societies an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suggest specific ways to adopt the qualitative methodology. Furthermore,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incorporating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research is confirmed by showing the limitations of the mathematical quantification method. Qualitative research ideas, the strict rules to follow in implementing a qualitative study and the five particular task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presented. The five tasks are ‘diversifying special education research paradigms', ‘increasing faculty members who can teach the qualitative methods in college', ‘overcoming the dependence of the quantitative methods for primarily qualitative issues', ‘seeking the development of both research styles', and ‘demanding more government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The tasks listed above can be fulfilled when all of them are process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when they are pursued separately.

      • KCI등재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혜원,이재분,이해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namely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data from research conducted by KEDI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chiev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o have a reasonable fitness by the goodness-of-fit test. Second, it was shown that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school adaptation of the children. Third, it was shown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ive to their children directly affects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the mothers give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imply that educational support is critical in enhancing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school adaptation.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와 자녀에 대한 교육적 지원, 그리고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자료는 2009년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된 다문화가족 구성원에 대한 역량 조사 및 교육적지원에 관한 연구 수행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613명의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과 그들의 결혼이민 어머니들의 자료가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학생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 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자녀학교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학교적응에, 그리고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결혼이민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박종효,변기용,우선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2

        본 연구는 UNESCO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현행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97) 개정에 대비하여,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 개정안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와 UNESCO 회의자료 분석을 통해 ISCED 개정의 주요 쟁점과 개선 방향을 확인하였고, 전문가 협의회와 교육기관 방문조사를 통해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의 쟁점 및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현재 UNESCO에서 논의중인 네 가지 개정대안별로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안을 개발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개정안의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취학이전 교육단계와 고등교육단계 주요지표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 개정안은 2011년 UNESCO의 국제표준교육분류 최종안이 마련되면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and empirically verify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submit nation-level suggestions for ISCED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revision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primary issue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s debated at several international OECD and UNESCO meetings. Revisions to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UNESCO's latest revision, the ISCED level has been extended from 7 levels (ISCED 0-6) to 9 levels (ISCED 0-8). Second, the ISCED level has been changed to not only include kindergarten but also center-based child care institutions. The decision must still be made whether to constrain the entrance age of children to three or older or to grant entrance to younger children. Third, post-secondary non-tertiary education has been changed to include vocation and job training education institutes that are established and run by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Fourth, tertiary education, which had complicated sub-categorized levels, has been simplified and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s awarded and theoretical duration. Simulations have been conducted on main indicator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vised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Discussion should continue in order to create a better classific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정책 전개과정과 담론 분석 : 교과부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정책(2006-2009)을 중심으로

        이민경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cour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006-2009). In other words, this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vision and orientation of national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Multicultural discourse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culture-based discourse, paternalistic sympathy-based discourse, global human capital-based discourse, identity-based discourse, and human rights-based discourse. Cultural understanding and paternalistic sympathy are the predominant discourses that constitute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Much of the discourse takes place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current social values and structure.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we giv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y as an effort to build a multicultural society.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 담론의 전개과정과 특성을 교육과학기술부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 계획(2006- 2009)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즉,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 정책이 어떤 담론에 기반하여 실행되고 구현되는지를 분석하여 한국 다문화 교육정책의 기조와 방향성을 비판적으로 읽으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문화기반 담론, 온정주의 담론, 글로벌 인적자원 담론, 정체성 담론, 인권담론 등 다섯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는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담론은 현재의 사회구조와 가치에 대한 반성적 성찰 없이 단순한 문화 이해와 시혜적 차원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열린 다문화사회 구축을 위한 교육적 과제로서 다문화 교육정책에 대한 논의 및 문제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원양성 교육 경험에 대한 개념도 분석

        민윤경,허주 한국교육개발원 2023 한국교육 Vol.50 No.2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의 교원양성 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여 교원양성기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대학교(7개교)와 사범대학(8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 각각 14명과 16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결과 교육대학교의 경우에는 체계성・다양성-실용성의 축과 교수・학습 방식 및 프로그램-대학 교육과정의 축으로, 사범대학의 경우에는 다양성・실용성-목적성・체계성의 축과 대학 수업 및 특강-교사 양성 지원 전반의 축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진술문이 구조화되었다. 특히,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교육실습의 체계성 부족, 수업내용의 부적절, 임용 관련 정보 및 프로그램 부족 등을, 사범대학 학생들은 교수의 피드백 부족, 교육실습 경험의 편차, 교육과정의 부정합 등을 교원양성 교육에 대한 경험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교원양성 교육에서 목적성은 물론 내용과 방법의 측면에서 체계성, 다양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용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prospective teachers at prim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educ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primary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concept mapp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14 prospectiv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16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followed by concept mapping analysis. Findings/Results: First, prospective prim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ized their experience as encompassing teaching, learning, and programs’ system diversity. Notably, a high demand for project-based learning was identified. Secondly,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ized their experiences as relating learning support and system diversity. Additionally, they expressed needs for practical content knowledge,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more opportunities for teaching practice.. Value: The results reveal that student teachers attending teacher training institutes experience a lack of alignment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s in their education. This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more discussion about making teacher education more systematic, diverse, and practical.

      • KCI등재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노인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

        류윤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노인직업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노인직업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외국의 노인직업교육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노인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노인을 위한 직업교육활성화 전략’과 ‘노인에 의한 노인직업교육활성화 전략’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노인을 위한 직업교육활성화 전략으로는 첫째, 평생학습체제로의 노인직업교육 체제 구축, 둘째, 노인직업교육전담기구의 설치, 셋째, 현장적응력 향상을 위한 주문식 교육 강화, 넷째, 고학력 노인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육기관과의 연계교육 강화, 다섯째, 노인직업교육정보망 구축 등이며, 노인에 의한 노인직업교육 활성화전략으로는 영유아교육, 청소년교육, 여성교육, 노인직업교육, 체육문화 분야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aged population. By analyzing some foreign example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necessity, actual state and problem of the aged vocational education until now. As a result, it suggests the concrete policies to improve the aged vocational education in lifelong learning society as follows: First, an alternative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aged is 1) the age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as a part of lifelong learning system; 2)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should be adjusted to achieve the goal of the education; 3) the aged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focused to strengthen extensive field adaptation ability; and 4) it should establish interactive connections wit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aged with hi-academic career,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network. Second, An alternative of the aged vocational education part by the aged is infant education, youth education, an woman education, the aged vocational education, physical culture education, etc.

      • KCI등재

        독일 역량기반교육과정의 개혁과 시사점

        김문숙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4

        Currently, Germany is carrying out educational reforms on the basis of a strict, level- headed examination of the reality of its educational system. Behind these reforms ar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German adolescents were shown to have lower achievement levels in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achievement (PISA 2000) and, in general, preparations for the society of the future. As a first step to solving these problems, Germany is advocating and carrying out measures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German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 process is quite noteworthy because it shows a new perception of the core elements of curriculum reform. This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eks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teaching-oriented 'input curriculum' and strives to achieve an achievement-oriented “output curriculum.” The teaching act of the teacher is not the focus, instead the expected student achievement results are the focus. The reality of curriculum design and application in Korea is such that the general direction of education and the particulars of education according to curricula are often at odds.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Germany, which takes effectiveness into consider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when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Korea.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curriculum in Germany, the curriculum is no longer neglected in the margins of normative study, but is a practical curriculum for which teachers together search for method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2000년대 독일은 교육개혁을 적극적으로 단행하고 있다. 개혁의 배경으로는 국제 성취도 비교에서 드러난 독일 청소년의 저조한 성취 결과라는 특수성과, 미래사회에 대한 준비라는 보편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출발점으로 '교육의 질 향상’을 주장하며 각종 개혁이 과감하게 실천되고 있다. 그 중 미래사회 대비와 성취결과의 향상이란 목적으로 도입된 역량기반교육과정은 기존의 교수행위 중심(Input)의 교육과정으로부터 탈피하여 아동의 성취결과 도출(Output)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교사의 가르치는 행위가 중심이 아니라, 기대되는 아동의 성취결과가 핵심이 되는 것이다. 역량기반교육과정의 특징으로는 주제중심의 범교과적 교수법, 교사들의 공동작업, 교사의 책무성과 역량강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틀을 기반으로 한 역량기반교육과정은 교사의 수동성을 적극성으로 유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현장에서의 실효성과 교사의 책무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역량기반교육과정(Kompetenzorientiertes Curriculum)과 그 개혁과정을 고찰하여 우리의 교육과정의 개혁 및 교육과정의 현장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