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 방안

        김삼섭,전병운,정해동,박은영,고진복,박은송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2

        A Mid- to Long-term Scheme of Supply and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 연구는 교원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특수교육 교원 수요를 다양한 측면에서 예측하고,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법적ㆍ제도적 측면과 특수교육의 실제를 반영한 현실적 측면 두 가지 접근을 시도하고, ① 특수교육기관의 학교과정별 학급당 학생수, ② 특수학교ㆍ학급별 교원배치 기준, ③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안에 따른 의무교육 시행, ④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안에 따른 무상교육 시행, ⑤ 특수교육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 ⑥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여섯 가지 변수들을 선정하여 예측값을 산출하였다. 변수들을 고려한 예측값과 특수교육 교원의 퇴직자수를 반영하여 수요예측값을 제시하였고, 이를 대학과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 교원 양성규모,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원의 수 등을 고려한 공급예측값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중 특수교육 실제를 반영한 특수교육 교원 수요예측값과 공급예측값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자료는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주제어> 특수교육 교원 수급 예측, 특수교육교원 중장기 수급 방안

      • KCI등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대한 초등학교교사의 인식 연구

        김재은,박주열,김원경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특수교육의 근간이 되어왔던「특수교육진흥법」이 2007년 5월에 전면 개정되어 2008년 5월부터「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란 새로운 법제명 아래 단계적으로 시행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특수학급 다수 설치 등으로, 통합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개정된 특수교육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내실 있고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모색함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개정법에 대한 인식의 연구를 위하여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와 특수학급이 없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정된 법에서 통합교육과 관련이 있는 내용을 설문하였다. 설문내용은 특수교육법의 개정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인식, 개선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교육법의 관련성, 특수교육의 중요성은 많이 이해하고 있었으나 특수교육법의 개정 과정과 개정 내용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자의 확대 방안이 통합교육과 일반학교에 많은 영향을 끼치리란 것은 예상하였으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편이었다. 통합교육의 발전 동향은 잘 알고 있었으나 통합교육의 내실화 방안은 부담을 느꼈으며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보조인력 지원, 특수교육운영지원센터 운영 등 국가적 책무성을 많이 기대하였다. 「Special Education Law」 was instituted in May 2007 with its new legal name 「Special Education Law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ike」 and will soon go into effect in phases. This research, which of the ultimate goal is to help substantial and responsible inclusive education,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w law. Both the teachers in schools with special classrooms and the teachers in schools without special classroom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hich was about the recognition towards the law, the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the revised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understanding on the relevancy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law and the importance of special education were satisfactory, but understanding level of the amending process and the amended content about the law was poor. Also, understanding level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was very low even though the plan to increase the recipients would greatly effect the inclusive education and regular schools. They felt the burden of the plan that makes the inclusive education substantial. And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y expected great governmental help and responsibility such as support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classroom assistants and establishing and administrati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 특수교육교원 양성 및 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운종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

        우리나라에서 특수학교 교사의 양성은 주로 4년제 대학 내의 사범대학에 설치된 ‘특수교육과’와 일반대학 교육과인 ‘특수교육과’ 및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전공’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특수학교 교사자격증 취득자수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여 2008년에는 특수학교의 유치원·초등·중등을 모두 합한 수가 약 2,800여명에 달하고 있다. 이 중에 서 복수전공자를 제외하면 실제로는 약 1,800여명 정도가 취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07년부터 특수교육 관련학과의 신설을 가급적 제한하고 있으며, 복수전공에 의한 교사자격증 취득 인원을 제한하고 있어 특수학교 교사의 양성규모가 현재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특수학교 교사의 임용은 국·공립 특수학교의 경우 매년 신규교사 임용시험을 통하여 공개경쟁으로 선발되어 배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립 특수학교는 학교단위로 공개경쟁에 의한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립 특수학교 신규교사의 선발인원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8학년도 임용시험에서는 700여명 선까지 늘어났으나, 2009학년도 임용시험에서는 정부시책에 따라 선발인원이 다소 줄어들었다. 그러나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증대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설립 확대에 따른 수요의 확대 등을 감안할 때 향후 특수학교 신규교사 선발인원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특수교육교원의 양성 및 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논의를 위하여 먼저 특수학교 교원의 자격기준과 양성과정 및 표시과목 등이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특성·능력·장애유형 또는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다음으로 최근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현황을 분석하여 특수학교 교사의 수급을 전망한 후 이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또한 특수학교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특수학교 교사양성과정을 5년제 또는 대학원 수준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 및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아울러 신규교사 임용의 측면에서 현재의 사회적·경제적 환경 및 출산율의 감소 등을 고려할 때 특수학교를 포함한 전체 교원의 정원 확대가 상당기간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특히 교사 1인당 학생 4명으로 규정되어 있는 특수학교 교원의 법정 정원기준을 확보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특수학교 교원정원의 추가적인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 입법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석진,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enactment and amendment of Korean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based on analysing and reviewing them (Korea policie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For this job, this study divided the periodical process of changes on Korea special education policies into the followings: the Civilized Nation Period(1870-1911),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1911-1945), the American Occupation Period(1945-1948),the Quickening Period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1948-1976), the take-off Period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1977-1994),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1994- ), and investigated the process of formation, enforcement and evaluation through grasping wether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or not at each period.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were the National Constitution, the Law of Education, the Law of Education Standards, the La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Enforcement Ordinance,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Enforcement Regulations, and the Special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Ordinance. Through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changes of these kinds of laws in Korea, there was present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이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 입법 정책의 변천과정을 분석․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 관련 법규의 제정과 개정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정책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개화기ㆍ일제 강점기ㆍ미군정기ㆍ태동기ㆍ안정기ㆍ발전기로 시대를 구분하고, 각 시대의 특수교육 관련 법규의 존재여부를 파악하여 그 법규의 형성ㆍ집행ㆍ평가 과정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대상이 된 법규는 헌법, 교육법,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초․중등교육법시행령, 특수교육진흥법, 특수교육진흥법시행령, 특수교육진흥법시행규칙, 특수학교시설․설비기준령이었다. 이 법규들의 변천과정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 입법 정책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패러다임의 이동과 대응방안

        이유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imitations and problems according to paradigm shift from traditional segregated education to inclusive education at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s follows:First, limitations and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revealed to regard disabilities as individual problems rather than social problems, the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only psychology and biology, objective research attitude, physical state of inclusive education, and behavioral education based on functionalism. Second, countermeasures according paradigm shift in special education is to reorganize the special education on paradigmatic viewpoint, to establish the special education in multi-paradigmatic and multidisciplinary way, to approach in assimilative way in special education and dissimilative way in regular education, to secure an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inclusive education, to try for self-criticism of professional groups, to inquire exact features of special class, to set up and manage model school for inclusive education, and to renovate the special education based on research and evidence.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이 전통적인 분리교육 패러다임에서 통합교육 패러다임으로 패러다임 이동에 따른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 특수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은 장애를 사회적 문제보다 개인적 문제로 파악하고 특수교육적 요구보다 장애를 더 우선하는 장애 인식, 심리학과 생물학에만 기초를 둔 특수교육의 지식, 객관주의적 연구태도, 물리적 수준의 통합교육, 기능주의에 입각한 행동주의 교육 위주라는 점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응방안은 특수교육의 비판과 개혁, 다중 패러다임적이고 다학문적인 특수교육학의 정립, 교육의 공동성 실현을 위한 특수교육의 동화와 일반교육의 이화적 접근, 통합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 따른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보, 특수교육 혁신을 위한 전문가 집단의 자기비판, 특수학급에 대한 분명한 성격 규정, 통합교육을 위한 모델학교의 설치·운영, 연구중심과 증거중심의 특수교육 개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적 인식 연구

        이필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actica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 math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ersed in 2015.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idman’s In-depth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Recognition of Content Element Presentation Criteria (2) Recognition of content system (3) Recognition of connection with general education mathema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it is desirable to present the contents elements of the mathematics of the basic curriculum by stage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ed inadequate in time dividen in the content system of the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nd most intensively teach the 'numbers and arithmetic' areas, while avoiding the 'data and possibilities' and 'regularity' areas. The difficult areas are called the 'number and arithmetic' and 'shape' area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connection to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general education mathematics, demanding presentation of content elements by stage level, strengthening of time allotment discretion, strengthening the 'number and arithmetic' area, and adjusting the learning difficulty. 이 연구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요소 제시 기준에 대한 인식과 내용 체계에 대한 인식 및 일반교육 수학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D광역시의 특수교육 경력 4년 6개월에서 21년 6개월의 특수교사 5명이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수집된 결과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한 주제와 8개의 부주제, 19개의 코드명이 도출되었다. 3개의 주요 주제는 1. 내용 요소 제시 기준에 대한 인식, 2. 내용 체제에 대한 인식, 3. 일반교육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요소는 단계 수준별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체계에 있어서 시간 배당이 부적절하며, ‘수와 연산’ 영역을 가장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반면, ‘자료와 가능성’, ‘규칙성’은 기피하는 영역이고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은 ‘수와 연산’ 및 ‘도형’ 영역이라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일반교육 수학과와의 연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내용 요소의 단계 수준별 제시, 시간 배당 재량권 강화, ‘수와 연산’ 영역의 강화 및 학습 난이도 조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이병인,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how the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stud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have become positive perception on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experience.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narrative inquiry study was used and two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operating inclusive classrooms for more than five year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Research design was us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research participants’ diaries, an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following change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rst,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have become education philosophy as an inclusive education teacher by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y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tudying the graduate studies. Third, they have become more active teachers of education to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possible to talk about how to implement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provide helpful data and effective methods for effectively operating inclusive education for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들이 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며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5년 이상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 2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과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유치원 교사들은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함으로써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장애유아 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 교사에게 통합학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와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현장 적용성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이필상(Lee Pil-sa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과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D 광역시의 A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육 경력 3년 10개월에서 26년 10개월의 특수교사 5명이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수집된 결과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한 주제와 8개의 부주제, 16개의 코드명이 도출되었다. 3개의 주요 주제는 첫째,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 둘째,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이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인식하고 있지만, 학생 수준별로 성취기준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낮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의 양과 수준이 적절하지 못하여 학생의 장애 정도와 특성에 따른 적용상의 문제가 있으니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실행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perception of application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ersed in 2015.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idman’s In-depth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Percep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2) Perception of the subject’s content (3) Perception of curriculum restructu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y were aware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ut they said they had low understanding of how to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by student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amount and level of curriculum content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as not appropriate, and there was a problem in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isabiliti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ut their understanding of how to implement it was low, so they requested countermeasures.

      • KCI등재

        최선의 개별화교육 실현을 위한 양방향 접근법을 적용한 특수학교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구

        강은영(Kang Eunyoung),박경옥(Park Kyoung-ock),박남수(Park Nam-su),박은희(Park Eun-hee),황정현(Hwang Jung-hyun),주교영(Joo Kyo-young),박지민(Park Ji-min),최연호(Choi Yeon-h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최선의 개별화교육 실현을 이루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를 도출하고 이를 교과별 연간 교육과정 수립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은 단위 학교 차원에서 과정이나 학년으로 묶인 집단적 맥락이고, 개별화교육계획(IEP)은 개별 학생의 차원이다. 이렇게 학교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이 지닌 고유 성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에서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IEP)을 논할 때, 같은 위계에서의 병렬적 구조로 언급할 때가 많아 개념적 갭(conceptual gap)이 존재하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교육과 특수학교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은 어떤 차원의 공통점과 차별점이 있는지를 밝혀내고, 양방향 접근법(two-way approach)적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양방향 접근법을 통한 특수학교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에 대해 제시하고,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내 교과별 연간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이 어떻게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실현되어갈 수 있는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색 과정을 통해 향후 특수학교의 존재 목적에 따라 개별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지닌 각각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면서 동시에 학교 교육의 가치를 최대한으로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후속 연구들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cedure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to achieve the best individualized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and to explore ways to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n annual curriculum for each subject.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is a collective context tied to courses or grades at the unit school level, an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is at the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when discussing the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in special education,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a parallel structure in the same hierarchy, creating a conceptual gap and confusion. has caused To this end, we discover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general education from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ss, and developed a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ss that applied a two-way approach.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s through a two-way approach is presented, and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dures in special schools are presented. Based on this, a plan for establishing an annual curriculum for each subject in the school curriculum was proposed. Through this study, the point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were emphasized, and based on this, a plan was proposed for how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of individual students can be realized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this search process, it was expected tha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istence of special schools in the future, it was expected that a detailed plan to realize the value of school education to the maximum while mee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individu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would lead to follow-up studie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실행에 따른 유치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유치원 교사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김현숙,홍은숙,박계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kindergartens and special schools that have chang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ative implementation of「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asures to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were proposed.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3 themes, 6 subcategories, and 14 concepts were derive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pen curriculum operation through consultation and active scholarship guidance by administrators were activated. Through these changes, we have experienced a change in the system to operate a high-quality curriculum for all young children, including thos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is, the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all children, including children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as formed. Second, as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ed o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lay and play behaviors of children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they came to perceive the play of children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ositively. Third, although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was applied an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education field, the previous curriculum or show-type curriculum operation method was still maintained. In addition, administrators tended to distrust teachers’ autonomous management. In order to form a more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necessary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ne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manag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operation pla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as a ‘curriculum for everyone’. 본 연구는「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적용 이후 변화된 유치원과 특수학교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향후「2019 개정 누리과정」의 질적 실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1명의 유아특수교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 결과 3개의 주제와 6개의 하위범주, 1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2019 개정 누리과정」적용 이후 협의를 통한 열린 교육과정 운영과 관리자의 적극적인 장학지도가 활성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는 체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와 놀이 행동의 발달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2019 개정 누리과정」이 적용되고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으나 여전히 과거 교육과정이나 보여주기식 교육과정 운영 방법을 고수하거나 교사의 자율적 운영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효과적인「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필요한 더욱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을 위해 관리자와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